완도대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완도대교는 전라남도 완도군과 해남군을 연결하는 교량으로, 1969년 완공된 초대 완도대교를 시작으로 2대, 3대 완도대교가 건설되었다. 초대 완도대교는 한강철교의 트러스 구조물을 활용하여 건설되었으며, 1985년 2대 완도대교가, 2012년 3대 완도대교가 건설되었다. 3대 완도대교는 1주탑 2면식 비대칭 사장교로 건설되었으며, 장보고의 기상을 상징하는 무역선과 투구를 형상화했다. 3대 완도대교 건설로 완도와 해남 간 이동 시간이 단축되었고, 기존 완도대교는 철거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완도군의 건축물 - 보길도 윤선도 원림
보길도 윤선도 원림은 윤선도가 보길도에 조성한 별서정원으로, 낙서재, 동천석실, 세연정 등으로 구성되어 자연과 인공의 조화를 이루며, 윤선도의 자연관과 예술혼이 담긴 명승으로 한국 정원 문화의 중요한 유산이다. - 완도군의 건축물 - 고금시외버스터미널
고금시외버스터미널은 전라남도 완도군 고금면에 위치하며, 호남권 방면 시외버스와 고금여객 군내버스가 운행한다. - 해남군의 건축물 - 해남시외버스터미널
해남시외버스터미널은 전라남도 해남군에 위치하며, 서울, 수원 방면 고속버스와 동서울, 광주, 목포, 부산 등 수도권, 호남권, 영남권 시외버스 노선을 운행한다. - 해남군의 건축물 - 해남공룡박물관
해남공룡박물관은 호남 지역 최초의 공룡 발자국 화석 발견을 기념하여 2007년 해남군에 개관한 공룡 전문 박물관으로, 아시아 최초로 전시된 알로사우루스 진품 화석과 다양한 전시물들을 통해 공룡 시대를 체험할 수 있다. - 완도군의 교통 - 국도 제13호선
국도 제13호선은 전라남도 완도군에서 충청남도 금산군까지 287.8km에 걸쳐 전라남도, 광주광역시, 전라북도, 충청남도를 잇는 국도로, 1971년 지정 이후 노선 변경 및 확장을 거쳤으며 완도군 일부 구간은 자동차 전용도로이다. - 완도군의 교통 - 국도 제77호선
국도 제77호선은 부산광역시 중구에서 경기도 파주시 문산읍까지 국토 서쪽 해안선을 따라 이어지는 897km의 장거리 국도로, 주요 교량과 터널을 포함하며 경제 활성화와 교통 편의 증진에 기여하고 일부 구간은 건설 중에 있다.
완도대교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교량 정보 | |
명칭 | 완도대교 |
![]() | |
위치 | 전라남도 완도군 군외면 원동리 |
길이 | 500m, 초대: 189m, 2대: 190m |
폭 | 25.9m, 초대: 7.7m, 2대: 10m |
높이 | 75m |
일반 정보 | |
영어 명칭 | Wando Bridge |
한글 명칭 | 완도대교 |
한자 명칭 | 莞島大橋 |
가타카나 명칭 | 와ンドデギョ |
상세 정보 (완도대교) | |
교통 시설 | 국도 제13호선, 국도 제77호선 |
횡단 위치 | 완도와 달도 사이 바다 |
관리 | 익산지방국토관리청 |
설계 | 구 완도교: 트러스교 신완도대교: 비대칭 사장교 |
총 길이 | 구 완도교: 189m 신완도대교: 500m |
너비 | 구 완도교: 1차로 신완도대교: 4차로 |
착공일 | 구 완도교: 1962년 4월 구 제2완도교: 1983년 9월 24일 |
완공일 | 구 완도교: 1969년 2월 1일 구 제2완도교: 1985년 신완도대교: 2012년 3월 29일 |
개통일 | 2012년 3월 29일 |
폐쇄일 | 2012년 (구 완도교) |
2. 역사
1962년 4월 초대 완도대교가 착공되어[2] 1969년 2월 1일 완공되었다.[5] 1963년 2월 5일 국도 제55호선(2급 국도)으로 지정되었다가,[3] 1967년 1월 1일 국도 제13호선(2급 국도)으로 변경되었다.[4] 1971년 8월 31일에는 국도 등급이 폐지되었다.[6]
1983년 9월 24일 2대 완도대교가 착공되어[7] 1985년 11월 24일 준공되었으며,[8] 2001년 8월 25일 국도 제13호선과 국도 제77호선의 다리가 되었다.[9]
2010년 6월 16일 3대 완도대교(신완도대교)가 착공되어[10] 2012년 3월 29일 완공되었다.[11]
2. 1. 구완도대교 (초대 완도대교)
1962년 4월에 착공하여 1969년 2월 1일에 완공된 완도군과 해남군을 잇는 최초의 교량이다.[22] 당시 명칭은 '''완도교'''였다. 건설 비용은 당시 금액으로 1.6억원이었다. 이 교량은 1962년부터 1968년까지 진행된 한강철교 복구 작업에서 철거된 트러스 구조물을 가져와서 건설한 것이 특징으로, 차도 4.5m, 보도 3.2m, 총 길이 189m로 한강철교와 비슷한 구조로 가설되었다.[23]완도교 완공으로 완도에서 전라남도 내륙을 연결하는 버스가 운행되기 시작했고, 이후 국도 제13호선의 기점이 완도로 변경되는데도 영향을 미쳤다. 또한 완도군에서 어획한 수산물 수송이 원활해져 주요 수산물 시장으로 발전하게 되었고, 완도 주변 도서 지역은 모두 완도로 이동하게 되어 육지와 해상을 잇는 교통의 중심지로 발전하는데 큰 역할을 하였다.[23]
그러나 구교는 폭이 4.5m에 불과해 차량 1대가 겨우 통과할 정도였다. 1983년 건설부에서 20.61억원을 들여 폭 10m, 길이 190m의 새로운 완도교(2대 완도대교)를 착공해 1985년에 완공했다.[24]
2012년 신완도대교 건설로 기존 다리 존치 문제가 논란이 되었다. 조형물 보존 시 이설비만 35억원, 매년 유지관리비가 3000만원~4000만원 정도의 예산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완도군은 후손들의 산 교육장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1경간 63m를 군외면 원동리 IC 인근 공원으로 옮겨 역사적 조형물로 보존하고자 국토해양부, 익산지방국토관리청, 한국전쟁기념재단 등을 수차례 방문 건의했으나, 당국이 국비 지원을 통한 보존에 난색을 표해 결국 철거되고 말았다.[25]
2. 2. 2대 완도대교
1969년 완공된 초대 완도대교는 폭이 좁아 차량 교행이 어려웠고, 통행량이 급격히 증가하였다. 이에 따라 1983년 9월 24일, 기존 완도대교 옆에 2대 완도대교 건설이 시작되었다.[7] 1985년 11월 24일에 준공된 2대 완도대교는 폭 10m, 총 연장 190m 규모였으며, 건설 비용은 20.61억원이었다.[8][15] 2대 완도대교 완공 이후에도 초대 완도대교는 철거되지 않았다. 2001년 8월 25일, 2대 완도대교는 국도 제13호선과 국도 제77호선의 다리가 되었다.[9]2. 3. 신완도대교 (3대 완도대교)
'''신완도대교'''는 국도 제13호선 군외∼남창 구간 확장공사의 일환으로 기존 완도대교 북쪽에 건설된 다리이다. 2012년 3월 29일 완공되어 1주탑 2면식 비대칭 사장교 형식으로 건설되었다. 통일신라 시대 ‘해상왕’ 장보고의 진취적 기상을 상징하는 무역선과 투구를 형상화했다.[21] 왕복 4차로로 건설되어 완도군에서 해남군까지 이동 소요시간이 기존 50분에서 30분 수준으로 단축되었다.[21]초대, 2대 완도대교는 해수면으로부터의 높이가 1.4m에 불과해[16] 일부 선박 통행에 지장을 주었다. 이에 3대 완도대교(신완도대교)는 총 연장 500m, 해수면에서 교량까지 12m, 해수면에서 주탑 높이 75m, 4차선으로 건설되었다.[17][18] 총 비용은 1558억원이었다.[19]
2. 3. 1. 구완도대교 철거 논란
2012년 신완도대교가 건설되면서 기존 구 완도대교의 존치 문제를 두고 논란이 일어났다. 구 완도대교는 1969년 완공된 완도군과 해남군을 잇는 최초의 교량으로, 한강철교 복구 작업에서 철거된 트러스 구조물을 가져와 건설하여 역사적 의미를 지니고 있었다.[22]완도군은 구 완도대교를 후손들의 교육 자료로 활용하기 위해 1경간(63m)을 군외면 원동리 IC 인근 공원으로 옮겨 조형물로 보존하고자 국토해양부, 익산지방국토관리청, 한국전쟁기념재단 등에 여러 차례 건의하였다.[25]
그러나 조형물 보존에는 이설비만 35억원, 매년 유지관리비 3000만원~4000만원 정도의 예산이 필요했다. 당국은 국비 지원을 통한 보존에 난색을 보여 결국 구 완도대교는 철거되었다.[25]
3. 구조 및 특징
신완도대교는 왕복 4차로로 건설되어 늘어난 통행량을 감당할 수 있게 되었고, 완도군에서 해남군까지 이동 소요시간이 단축되었다.[21]
초대 및 2대 완도대교는 해수면으로부터의 높이가 1.4m에 불과하여[16] 일부 선박의 통행에 지장을 초래했다. 이에 따라 3대 완도대교(신완도대교)가 건설되었으며, 초대 및 2대 완도대교는 철거되었다.[20]
3. 1. 신완도대교
'''신완도대교'''는 기존 완도대교보다 북쪽에 건설된 국도 제13호선 군외∼남창 구간 확장공사로 건설한 다리이다. 2012년 3월 29일에 완공되어 개통했으며 1주탑 2면식 비대칭 사장교 형식으로 건설되었다. 통일신라 시대 ‘해상왕’ 장보고의 진취적 기상을 상징하는 무역선과 투구를 형상화해 만들어졌다.[21]총 연장 500m, 해수면에서 교량까지 12m, 해수면에서 주탑의 높이가 75m로, 기존 2차선에서 4차선으로 확장되었다. 완도군 완도읍에서 해남군 해남읍까지의 통행 시간이 50분에서 30분으로 단축되었다. 이 다리는 1주탑 2면식 비대칭 사장교로 건설되었으며, 통일신라 시대 장보고의 기상을 상징하는 무역선과 투구를 형상화했다.[17][18] 건설 비용은 1558억원이었다.[19]
4. 의의 및 영향
완도대교는 1969년 최초 개통 이후 여러 차례 재건축되면서 완도 지역 사회에 다양한 영향을 미쳤다. 특히 2012년에 완공된 신완도대교는 장보고의 진취적인 기상을 상징하는 무역선과 투구 모양으로 만들어져, 지역의 랜드마크로 자리 잡았다.[17][18]
초대 완도대교는 한강철교 복구 작업에서 철거된 트러스 구조물을 활용하여 건설되었다는 특징이 있다.[12][13] 그러나 교량 폭이 좁아 차량 교행이 어렵고, 해수면과의 높이가 낮아 선박 통행에 지장을 주는 문제가 있었다.[16] 이에 따라 1985년과 2012년에 새로운 다리가 건설되었으며, 초대 및 2대 완도대교는 철거되었다.[20] 철거 과정에서 초대 완도대교 일부를 이전하려는 시도가 있었으나, 예산 문제로 무산되었다.[20]
4. 1. 경제적 측면
완도대교의 완공으로 완도에서 어획된 수산물의 수송이 원활해져 수산 시장 발전에 기여했다.[14] 각 교량 건설 비용은 다음과 같다.구분 | 건설 비용 |
---|---|
1969년 완공된 초대 완도대교 | 165843000KRW (국비 149184000KRW, 도비 16659000KRW)[12][13] |
1985년 건설된 2대 완도대교 | 2061000000KRW[15] |
2012년 개통된 3대 완도대교 | 155800000000KRW[19] |
3대 완도대교 건설로 완도군 완도읍에서 해남군 해남읍까지의 통행 시간이 50분에서 30분으로 단축되었다.[17][18]
4. 2. 사회적 측면
완도대교 건설로 완도와 해남 간 이동 시간이 단축되어 지역 주민들의 교통 편의가 향상되었다. 기존에는 완도에서 해남까지 50분이 소요되었으나, 완도대교 개통 후 30분으로 단축되었다.[21] 이는 도서 지역인 완도의 접근성 개선에 크게 기여했다. 특히, 1969년 완공된 초대 완도대교는 완도와 육지를 연결하여, 완도에서 어획된 수산물 수송을 원활하게 해 수산 시장 발전에 기여했다.[14] 2012년 개통된 신완도대교는 왕복 4차로로 건설되어 늘어난 통행량을 감당할 수 있게 되었다.[21]4. 3. 교통망 개선
국도 제13호선 및 국도 제77호선의 일부인 완도대교는 2012년 3월 29일에 완공되어, 완도군에서 해남군까지의 이동 시간을 기존 50분에서 30분 수준으로 단축시켰다.[21] 이는 왕복 4차로로 건설되어 늘어난 통행량을 감당할 수 있게 되었기 때문이다.5. 연혁
- 1962년 4월 - 초대 완도대교 착공[2]
- 1963년 2월 5일 - 국도 제55호선(2급 국도)으로 지정[3]
- 1967년 1월 1일 - 국도 제13호선(2급 국도)으로 지정[4]
- 1969년 2월 1일 - 초대 완도대교 준공 (폭: 7.7m, 연장 189m)[5]
- 1971년 8월 31일 - 국도 제13호선 등급 폐지[6]
- 1983년 9월 24일 - 2대 완도대교 착공[7]
- 1985년 11월 24일 - 2대 완도대교 준공 (폭: 10m, 연장 190m)[8]
- 2001년 8월 25일 - 국도 제13호선과 국도 제77호선의 다리가 됨[9]
- 2010년 6월 16일 - 3대 완도대교 착공[10]
- 2012년 3월 29일 - 3대 완도대교 준공 (폭: 25.9m, 연장: 500m)[11]
참조
[1]
뉴스
국도 13호선 완도 군외 불목~원동 구간 개통
http://news.naver.co[...]
2015-11-14
[2]
뉴스
莞島橋개통
http://newslibrary.n[...]
2015-11-07
[3]
문서
1급국도와2급국도의노선지정의건
1963-02-05
[4]
문서
1급국도와2급국도의노선지정의건
1966-12-27
[5]
뉴스
莞島橋개통
http://newslibrary.n[...]
2015-11-07
[6]
문서
일반국도노선지정령
1971-08-31
[7]
뉴스
완도교 오늘着工
http://newslibrary.n[...]
2015-11-07
[8]
뉴스
간추린全國뉴스
http://newslibrary.n[...]
2015-11-14
[9]
문서
일반국도노선지정령
2001-08-25
[10]
뉴스
신설 완도대교 해상구간 내일 착공… 국내 최초 1주탑 2면식 사장교
http://news.naver.co[...]
2015-11-14
[11]
뉴스
신 완도대교 29일 개통
http://news.naver.co[...]
2015-11-14
[12]
뉴스
莞島橋개통
http://newslibrary.n[...]
2015-11-07
[13]
뉴스
'한국전쟁 상흔' 완도철교 영상으로 남긴다
http://news.naver.co[...]
2015-11-07
[14]
웹사이트
완도교
http://terms.naver.c[...]
한국학중앙연구원
2015-11-14
[15]
뉴스
莞島橋착공,85년 완공
http://newslibrary.n[...]
2015-11-07
[16]
뉴스
완도대교 대체 다리 높이 그대로
http://news.kbs.co.k[...]
2015-11-07
[17]
뉴스
신 완도대교 29일 개통
http://news.naver.co[...]
2015-11-14
[18]
뉴스
국도 13호선 완도 군외 불목~원동 구간 개통
http://news.naver.co[...]
2015-11-14
[19]
뉴스
'신 완도대교' 해상교량 구간 착공
http://news.naver.co[...]
2015-11-14
[20]
뉴스
'한국전쟁 상흔' 완도철교 영상으로 남긴다
http://news.naver.co[...]
2015-11-07
[21]
뉴스
새 완도대교 3월 29일 개통… 해남∼완도 30분으로 단축
http://news.kukinews[...]
쿠키뉴스
2012-03-27
[22]
뉴스
완도橋(교)來一日(래1일)개통
http://newslibrary.n[...]
동아일보
1969-01-30
[23]
웹사이트
완도교
https://terms.naver.[...]
[24]
뉴스
莞島橋(완도교)착공,85년 완공
http://newslibrary.n[...]
경향신문
1983-09-24
[25]
뉴스
舊 완도대교 역사속으로 묻힌다
http://www.siminilbo[...]
시민일보
2010-09-1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