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보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장보고는 9세기 신라 시대의 인물로, 해상 무역을 통해 큰 세력을 이루었다. 본명은 궁복 또는 궁파로 알려져 있으며, 당나라에서 군인으로 활동하다가 신라로 돌아와 해적을 소탕하고 청해진을 설치했다. 그는 당, 일본, 발해 등 여러 나라와 무역하며 막대한 이익을 얻었고, 신라 왕위 계승 분쟁에 개입했으나, 결국 반란을 일으켰다가 염장에게 살해되었다. 장보고는 긍정적 평가와 부정적 평가를 모두 받았으며, 그의 업적을 기리는 기념관과 문화 콘텐츠가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841년 사망 - 규봉종밀
규봉종밀은 당나라 승려이자 화엄종 제5대 조사이며 하택종의 제7대 조사로, 교선일치를 주장하고 돈오점수를 수행론으로 제시했으며, 한국 불교 사상에 큰 영향을 미쳤다. - 841년 사망 - 누 이븐 아사드
- 신라의 무신 - 김흠순
김흠순은 신라의 왕족이자 장군으로, 김유신의 동생이며 황산벌 전투에서 아들의 죽음으로 신라군의 사기를 진작시키고 고구려 정벌에 참여하여 삼국 통일에 기여한 후 승상에 올랐으나 당나라에 억류되기도 했고, 그의 삶은 여러 작품에서 재조명되었다. - 신라의 무신 - 알천
알천은 신라의 장군이자 상대등으로 선덕여왕, 진덕여왕 대에 활약하며 여근곡 전투와 칠중성 전투에서 백제와 고구려 군을 격파하는 등 신라의 정치와 군사 분야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고, 진덕여왕 사후 김춘추를 지지하여 왕위에 오르게 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하였다.
장보고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원어명 | 장보고 |
다른 이름 | 궁복(弓福), 궁파(弓巴) |
출생지 | 신라 |
사망지 | 신라 청해진 |
사망일 | 846년 |
국적 | 신라 |
종교 | 불교 |
관직 | |
주요 활동 | 청해진 대사, 감의군사, 진해장군 |
최종 계급 | 진해장군 |
섬긴 군주 | 흥덕왕 → 신무왕 → 문성왕 |
2. 생애
장보고는 신라 하대의 인물로, 그의 가문과 출신에 대해서는 정확히 알려진 기록이 없다. 다만, 그의 활약으로 827년~835년 이후 해상에서 신라 노예 매매가 사라졌다는 기록을 통해 해상 무역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음을 알 수 있다.[19]
장보고는 해적을 토벌했을 뿐만 아니라, 서남해 해상권을 장악하여 당나라, 일본은 물론 발해, 탐라, 우산국 등 여러 나라와 무역하며 많은 이익을 얻었다. 840년에는 일본에 무역 사절을 파견하고 당나라에도 견당매물사(遣唐賣物使)를 보내는 등 삼각무역을 실시했다.[22]
836년 흥덕왕 사후, 신라 수도 금성(경주)에서 왕위 계승 다툼이 일어났고, 장보고는 신무왕이 왕위에 오르는 것을 도와 감의군사(感義軍使) 직책과 식읍 2,000호를 하사받았다.
문성왕 대에 자신의 딸을 왕비로 보내려 했으나, 신분이 미천하다는 이유로 귀족들의 반대에 부딪혔다. 이에 앙심을 품고 반란을 일으켰다가 염장에게 암살당했다. 장보고 사후, 851년 신라 조정은 청해진을 폐지하고 주민들을 벽골군(碧骨郡)으로 강제 이주시켰다.[23]
장보고와 관련된 일련의 병란을 "궁복의 난"이라고 칭하기도 한다. 사후에 반역자로 취급받았기 때문에 장보고에 관한 자료나 그의 근거지는 파괴되어 거의 남아 있지 않고, 남아있는 자료는 매우 귀중하다. 전 부하들의 일부는 규슈로 이동한 것으로 보인다.[15]
2. 1. 초기 생애와 당나라 진출
장보고의 본명은 '''궁복'''(弓福) 또는 '''궁파'''(弓巴)로, 활과 관련된 이름으로 해석된다.[19][20] 어릴 적 이름은 궁복이었으며 활을 잘 쏘는 사람이란 뜻이었다.[3] 뱃사공의 아들로 태어났으며 천민 출신이었다.[3] 어려서부터 무술과 수영에 뛰어났다.[3] 《삼국사기》에는 장보고가 무술에 능했다고 기록되어 있으며, 동료 정년은 숨을 쉬지 않고 5리(약 2.5km)를 잠수할 수 있었다고 한다.[4]신라에서는 장군이 될 수 없다는 것을 알고[3] 일찍부터 친구 정년과 함께 당나라 서주(徐州)로 건너갔다.[21] 그곳에서 승마와 창술에 특출난 재주를 보이며 군인으로 출사해 무령군중소장(武寧軍中小將) 직책을 받았다.[21] 810년 중국 산둥반도로 건너가, 군벌 세력이었던 서주 무령군에 들어가 고구려 출신 북방 군벌 이정기와 싸웠고, 서주 절도사 휘하 군 소장 지위를 얻었다.[4]
2. 2. 청해진 설치와 해상 무역 발전
淸海鎭중국어은 828년(흥덕왕 3년) 신라 흥덕왕의 승인을 받아 완도에 설치된 해상 무역 거점이다. 장보고는 왕에게 신라인들이 해적에 납치되어 노예로 팔리는 참상을 전하고, 군사 거점을 세워 이를 막고자 했다. 1만여 명의 군대를 확보한 장보고는 청해진을 세우고 대사(大使)가 되었다. 그의 활약으로 827년~835년 이후 해상에서 신라 노예 매매가 사라졌다고 평가받는다.[19]장보고는 해적 토벌뿐만 아니라 서남해 해상권을 장악하여 당나라, 일본, 발해 등 여러 나라와 무역하며 큰 세력을 이루었다. 특히 산둥성 문등현 적산촌에 신라인들이 법화원을 건립할 때 적극 지원하였다. 법화원은 신라인들의 정신적 중심지로 성장했고, 많은 인파가 몰려들었다.[20]
838년부터 847년까지 당나라에 머물며 구법행을 했던 일본 승려 엔닌은 장보고 휘하 신라인들의 도움으로 구법행을 완수할 수 있었다. 엔닌은 귀국 후 히에이 산 엔랴쿠지에 적산법화원을 본떠 적산선원을 건립하기도 했다.[21]
장보고는 골품제와 같은 신분제에 얽매이지 않고 유능한 인재를 널리 받아들였다. 신분에 상관없이 실력에 따라 대우하여 능력을 발휘할 수 있게 하였고, 빈민과 인재들을 포용하여 해상활동 능력을 조직화하였다.
청해진 설치는 장보고 경력의 절정이었다. 그는 황해 무역과 항해의 중재자가 되었으며, 신라 조정의 파벌 정치에도 관여하게 되었다.
2. 3. 신라 왕위 계승 분쟁 개입과 최후
838년 희강왕이 시해되고 민애왕이 즉위하자, 김양은 군사를 모아 청해진으로 찾아와 김우징을 만나 장보고에게 도움을 청했다. 김우징은 장보고에게 자신이 왕위에 오르면 그의 딸을 왕비로 삼겠다고 약속했고, 장보고는 이에 동의하여 친구 정년에게 군사 5천을 내주어 김양과 함께 왕경으로 진격하게 했다.[6] 청해진 군사는 무주와 대구를 거쳐 왕경에 입성, 왕경군을 격파하고 민애왕을 죽인 뒤 김우징을 신무왕으로 추대했다. 이 공으로 장보고는 감의군사(感義軍使)의 직책과 식읍 2,000호를 하사받았다. 신무왕이 죽고 문성왕이 즉위한 뒤에는 진해장군(鎭海將軍)에 임명되었다.[22]그러나 귀족과 신하들은 장보고가 왕위를 노린다고 문성왕에게 계속 경고했고, 결국 문성왕은 장보고의 부하였던 염장을 보내 장보고를 살해했다. 《삼국사기》는 장보고가 사망한 해를 문성왕 8년(846년)이라고 기록했지만,[22] 《속일본후기》는 조와(貞和) 7년(841년) 11월 중에 죽었다고 하였다. 《입당구법순례행기》에는 회창(會昌) 5년(845년) 7월에 전 청해진 병마사가 국난을 당하여 중국에 망명하였다는 기록이 있어, 교차검증과 전후맥락 측면에서 보다 설득력이 있다. 현재 대한민국 국사편찬위원회에서도 장보고의 사망 기년을 841년으로 보고 있다.
851년, 신라 조정은 청해진을 없애고 그곳 주민을 벽골군(碧骨郡)으로 옮겼다.[23]
3. 청해진 폐지와 그 이후
846년 문성왕은 장보고의 무력을 두려워하여 토벌을 주저했지만, 염장이라는 검객이 그의 암살을 자청했다. 염장은 장보고에게 위장 투항하여 연회 자리에서 장보고를 암살했다.[13] 《삼국사기》에는 846년에, 《삼국유사》에는 신무왕 대의 일로 기록되어 있다. 《속일본후기》에서는 841년 11월까지 사망했다고 기록하고 있다.
장보고가 암살된 후, 문성왕은 851년에 청해진을 폐지했다. 장보고의 전 부하들은 경주의 벽골현(지금의 김제)으로 이동되었지만, 이곳에서 다시 반란을 일으켰다. 장보고와 관련된 일련의 병란을 "궁복의 난"이라고 칭하기도 한다. 사후에 반역자로 취급받았기 때문에 장보고에 관한 자료나 그의 근거지는 파괴되어 거의 남아 있지 않고, 남아있는 자료는 매우 귀중하다. 전 부하들의 일부는 규슈로 이동한 것으로 보인다.[15]
4. 평가
장보고는 사후에 신으로 숭배받았으며, 특히 장도에서 숭배받았다. 섬에 있는 무속 사당은 '송대장군'을 숭배하는데, 섬 주민들에 따르면 '송대장군'은 장보고의 존칭이다.
이 지역에는 장보고('장 장군')와 그의 사위인 '엄 장군'에 관한 신화가 전해진다. 엄 장군은 장 장군의 사위였으며, 엄나무골에 살았다. 어느 날, 장 장군과 엄 장군은 누가 먼저 동쪽 벼랑에 깃발을 꽂을 수 있는지 시합을 했다. 장보고는 수컷 꿩으로 변신하여 벼랑으로 날아갔지만, 엄 장군은 매로 변하여 꿩으로 변한 장 장군을 잡아먹었다. 그래서 그 벼랑을 지금도 괕뚜리여(수꿩 벼랑)라고 부른다.
4. 1. 긍정적 평가
《삼국사기》 장보고열전의 저본은 중국 당나라 두목이 지은 장보고전, 즉 《신당서》 권220 신라전이다. 장보고가 신라로 돌아가 청해진대사가 된 뒤, 정년이 장보고를 찾아갔을 때 예를 갖추어 환대하고, 군사 5천을 내어주며 반란을 토벌하고 새로운 왕을 옹립하게 한 사실 등을 적고 있다. 두목은 장보고와 정년의 교제를 안녹산의 난 때의 곽분양(곽자의)ㆍ이임회(이광필)의 교제에 빗대어 인의(仁義)의 사람이라 칭찬하였다. 《신당서》 열전을 편찬한 송기는 국난의 시기에 의(義)를 품고 국가의 우환을 먼저 생각한 사람으로서 진나라의 기해, 당나라의 곽분양, 그리고 장보고를 거론하며 "어찌 동방에 뛰어난 인물이 없다고 할 수 있겠는가?"라고 칭하고 있다.[13] 이를 다시 《삼국사기》에 기재한 김부식은 장보고에 대한 두목과 송기의 평가를 지지한다. 또한 김유신전의 말미에서도 김유신의 공적을 뛰어나다고 칭찬하면서도 고구려 을지문덕의 지략과 장보고의 무용을 함께 찬양하고 있다.9세기 전반, 산둥반도의 항구 도시인 적산(당시 많은 신라 상인이 거주하고 있었다)에 적산 법화원을 기증하고, 입당 청익승 엔닌의 장기간 불법 체류를 지원했다. 엔닌의 일본 귀국 시에는 장보고는 이미 암살되었지만, 휘하의 장수 장영이 엔닌의 귀국 실현에 진력했다. 엔닌의 《입당 구법 순례행기》에는 직접 만나지는 않았지만, 장보고의 이름이 여러 곳에 등장한다.
- 교토의 "적산선원"은 엔닌의 제자가 엔닌의 뜻을 이어 신라인의 신을 모시기 위해 888년(닌와 4년)에 세운 것이다.[16]
- 엔닌은 오대산의 하나인 북대 섭두봉(3058미터)에 등정한 시점에 얻은 향나무로 문수상을 만들고, 귀국을 실현한 뒤 861년(조간 3년) 10월, 엔랴쿠지에 문수루를 건립(오다 노부나가의 비젠 산 화재로 소실. 현재의 문수루는 재건된 것)했지만, 이 엔닌의 엔랴쿠지 문수루 옆에는 "청해진 대사 장보고 비"[17]가 세워져 있다.
4. 2. 부정적 평가
《삼국사기》 장보고열전은 두목이 지은 장보고전, 즉 《신당서》 권220 신라전을 바탕으로 한다. 《신당서》는 장보고가 신라에서 높은 관직(청해진대사)을 얻은 뒤, 관직에서 물러나 있던 정년이 장보고를 찾아왔을 때 그를 환대하고, 왕이 살해당하고 수도가 혼란에 빠지자 정년에게 군사 5천 명을 주어 반란을 진압하고 새 왕을 옹립하게 했다고 기록한다. 두목은 장보고와 정년의 관계를 안녹산의 난 때 곽분양(곽자의)과 이임회(이광필)의 관계에 비유하며 인의(仁義)의 사람이라 칭찬했다. 《신당서》 열전을 편찬한 송기(宋祁)는 국난에 의(義)를 품고 국가를 먼저 생각한 사람으로 진(晉)의 기해(祁奚), 당의 곽분양, 장보고를 칭찬하며 "동쪽에 뛰어난 인물이 없다고 할 수 있겠는가?"라고 평가했다.《삼국사기》를 쓴 김부식은 신라본기와 내용이 어긋나는 부분을 지적하면서도 장보고에 대한 두목과 송기의 평가를 지지한다. 김유신전 말미에서도 김유신의 공적을 칭찬하며 을지문덕의 지략과 장보고의 무용을 함께 칭찬한다. 이러한 평가는 조선 안정복에게까지 이어졌다.
5. 유적과 기념물
오늘날 일본 교토시 북쪽 히에이 산에 위치한 적산선원에는 엔닌의 제자가 엔닌의 뜻을 이어 신라인들이 섬기던 신을 모시기 위해 닌나 4년(888년)에 세운 적산대묘진(赤山大明神)이 모셔져 있다. 이 신은 도교의 최고신인 태산부군으로 알려져 있지만, 일각에서는 장보고를 모티브로 한 신이 아니냐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다.[24] 적산대명신과 함께 엔랴쿠사 경내에 신라대묘진(新羅大明神)을 모신 신사도 존재하고 있는데, 현재 일본 시가현 오쓰시의 온조사(園城寺)에도 마찬가지로 이 신라대묘진을 모신 신라선신당(新羅善神堂)이 남아 있다. 조와 3년(1347년)에 아시카가 다카우지가 기부한 것이다.
엔닌이 당나라에서 오대산의 하나인 북대엽두봉(北台葉頭峰, 해발 3,058미터)에 올랐을 때 얻은 향나무로 만든 문수상을 귀국한 뒤인 죠간 3년(861년) 10월에 엔랴쿠사 경내에 따로 문수루(文殊樓)을 지어 모셨는데, 이 문수루는 훗날 오다 노부나가가 히에이 산을 불태웠을 때 소실되고 현재는 재건된 것이다. 이 문수루 옆에는 현재 장보고기념비가 세워져 있다.[25]
완도군은 장보고 대사의 업적을 기리고 해양개척 정신을 고취시키기 위한 기념관을 건립하여 역사 문화의식을 함양할 수 있는 전 국민 교육의 장으로 활용하고 해양관광 명소로 개발하기 위해서 청해진 옛 터에 '''장보고기념관'''을 건립하였다.
구분 | 내용 |
---|---|
대지면적 | 14,472m² |
건축면적 | 1,739m² |
전시면적 | 730m² |
구조 | 지상 2층 철근콘크리트 |
1층 | 중앙홀, 영상실, 기획전시실, 수장고, 휴게실 |
2층 | 상설전시실(1전시실, 바닷길, 2전시실) |
1층 중앙홀에는 청해진선박연구소 마광남 소장이 제작하고 (재)해상왕장보고기념사업회에서 기증한 '장보고 무역선(Trade ships of ChangPoGo)'이 실물의 1/4 크기로 제작 전시되어 있고, 중국공예미술대사(中國工藝美術大師) 육광정(陸光正)이 피나무로 제작한 '해상왕장보고(海上王張保皐)'라는 작품명의 대형 목조벽화(가로 8m × 세로 2.2m)가 전시되어 있다. 2층 상설전시실은 '뿌리', '청해진의 생성', '해상제국', '항해' 등 주제별로 4개의 구역으로 구분되어 있으며 각 구역마다 주제에 맞는 유물들이 전시되어 있다.
- 대한민국 해군 장보고급 잠수함 중 209급 잠수함 1번함은 "장보고"이며, 총 9척의 동형함은 장보고급으로 불린다.
6. 대중 문화
- 김동인 《아기네》, 1932년 - 동아일보에 연재된 장편소설로 일환이라는 청자에게 역사 속의 사건을 화자가 이야기해주는 형식으로 되어 있다. 이 소설은 신문연재분 129호부터 136화까지 궁파(장보고)의 이야기를 다루는데, 기존의 《삼국사기》의 시각대로 궁파를 왕을 도와 큰 공을 세우고도 자신의 딸이 왕비가 되었다가 쫓겨난 것을 보고 홧김에 반란을 일으키려다 염장에게 살해되고 마는, "용기의 뒤에 있어서 그 용기를 빛나게 할만한 사려라는 것이 없는 인물"로 평가했다.
- 정한숙 《바다의 왕자(王者)》 - 1960년 4월 29일부터 1961년 6월 3일까지 《경향신문》에 연재된 장편소설. 결말을 맺지 못한 채 연재 중단됐다가 1975년 《민족문학대계》권5에 작가의 퇴고를 거쳐 전재되었고, 문학평론가인 최영호 해군사관학교 인문학과 교수가 남은 원고를 정리해 2008년에 고려대학교 출판부에서 단행본으로 재출간하였다.
- 조세호 《해상왕 장보고》, 1999년
- 김중명(金重明) 《고(皐)의 백성》(원제: 皐の民), 고단샤(講談社), 2000년
- 최인호 《해신》(海神), 열림원, 2003년
- 《모험왕 장보고》- 서울무비(2002년) 장보고의 일생을 다룬 교육용 플래시 애니메이션.
- 《바다의 전설 장보고》(Legend of Blue) - 서울무비(2002년) 장보고를 모델로 한 SF애니메이션
- 《해신》(KBS, 2004년~2005년, 배우: 최수종, 백성현)
장보고급 잠수함 - 1965년 안현철 감독, 신영균과 이민자가 출연한 한국 영화 《장보고》의 소재가 되었다. 영어 제목은 《어드미럴 장(Admiral Jang)》이다.
- 대한민국 해군은 장보고를 기려 최초의 209형 잠수함에 '장보고 제독'이라는 이름을 붙였다.
- 2009년 3월, 청해 해상 작전 부대가 대한민국 해군에 의해 소말리아 해역 해적에 대항하기 위해 창설되었다. 이 부대는 장보고가 신라와 당의 해상에서 해적을 소탕하기 위해 건설한 해상 기지인 청해진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 선양시에는 2007년 장보고를 기리는 기념관이 문을 열었다.
- TV 시리즈 《당신의 뿌리를 찾아서》의 한 에피소드에서 '''데이비드 장'''의 부계 조상 중 한 명이 장보고라는 사실이 밝혀졌다.
참조
[1]
서적
Asia Inside Out
https://books.google[...]
Harvard University Press
2015-06-08
[2]
서적
Global Talent: Skilled Labor as Social Capital in Korea
https://books.google[...]
Stanford University Press
2015-03-18
[3]
웹사이트
장보고
https://terms.naver.[...]
2021-06-13
[4]
방송
Spirit of Korea (Ep.1) Jang Bogo & Yi Sun-shin
Arirang TV
2016-04-05
[5]
서적
Slavery in Silla and its Sociological and Economic Implications
Center for Korean Studies
1974
[6]
서적
Ennin's Diary; the Record of a Pilgrimage to China in Search of the Law
Ronald Press
1955
[7]
서적
Samguk Yusa: Legends and History of the Three Kingdoms of Ancient Korea
Silk Pagoda
2006
[8]
웹사이트
Finding Your Roots Children of Exile Season 8 Episode 3 Ideastream
https://video.ideast[...]
2023-07-17
[9]
웹사이트
KBS Global Marketing
http://contents.kbs.[...]
2006-04-18
[10]
웹사이트
张保皋传记馆
http://www.shenyangl[...]
[11]
웹사이트
Finding Your Roots Children of Exile Season 8 Episode 3
https://video.ideast[...]
PBS
2022-05-03
[12]
문서
장보고 이름 표기 관련 논의
[13]
문서
『속일본후기』承和7年12月27日条
[14]
문서
『속일본후기』承和8年2月27日条
[15]
문서
藤間 1966
[16]
문서
金炳坤 2015, p. 1.
[17]
문서
金炳坤 2015, pp. 2-3.
[18]
문서
장보고 한문 표기 관련 중국과 일본 기록 비교
[19]
문서
장보고 이름 표기 변천과 아유카이 후사노신의 견해
[20]
웹인용
장보고일대기
http://www.wando.go.[...]
[21]
문서
군중소장의 규모에 대한 여러 설
[22]
문서
삼국사기 문성왕 8년 청해 궁복의 반란과 염장의 토벌
[23]
문서
삼국사기 문성왕 13년 청해진 폐지
[24]
문서
엔닌 귀국 당시 장보고 휘하 장영의 도움
[25]
문서
장보고의 출생지 장도와 무술 수련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