완얀 종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완안종간은 금 태조 완안아골타의 서장자로, 금 희종 치세 동안 권력의 핵심으로 활동했다. 그는 희종 즉위 후 숙부인 오걸매의 사망 이후 조카인 희종을 옹립하고, 점몰갈을 제거하는 등 권력 투쟁을 벌였다. 또한 남송과의 관계에서 포로호, 달랄을 모함하여 처형하기도 했다. 완안종간은 1141년에 사망했으며, 해릉왕 시기인 1150년에 덕종으로 추존되었다. 그의 가족으로는 황후 대씨가 있으며, 해릉왕 완안량이 그의 아들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완얀 종간 - [인물]에 관한 문서 | |
---|---|
인물 정보 | |
이름 | 斡本 (오벤) |
다른 표기 | 중국어 간체: 完颜宗幹 |
본명 | 完顔宗幹 (완안 종간) |
칭호 | 헌고홍도문소무열장효예명황제 → 명숙황제 |
민족 | 여진족 |
출생 | 미상 |
사망 | 황통(皇統) 원년 5월 12일 (1141년 6월 17일) |
사인 | 병사 |
가족 관계 | |
아버지 | 아골타 |
어머니 | 광의황후 배만씨 |
배우자 | 정처: 애황후 도단씨 측실: 자헌황후 대씨 측실: 영비 소씨 측실: 순비 이금가 측실: 문비 도단씨 측실: 육정고 |
자녀 | 아들: 신토만, 해릉왕, 완안오동, 완안영경, 포갑 딸: 경의공주, 등국공주, 평양공주, 가상공주 |
관직 및 직함 | |
주요 직책 | 양송국왕(梁宋國王) |
2. 생애
1130년 금 태종의 동생 완안고가 사망하자, 태종 완안성(完顔晟)은 후계자를 결정하지 못하고 망설였다. 이때 완안종간은 완안종한, 완안종보, 완안희윤 등을 이끌고 태종에게 가서 완안단을 황태자로 추천하였다.[1]
1132년, 금 태종은 태조의 자식에게 황위를 승계한다는 명을 내렸다. 이후 완안종간의 주도로 완안단을 황태자로 세웠다. 1135년에 태종이 사망하자, 완안단은 희종으로 즉위하였다. 1141년, 완안종간은 세상을 떠났다.[1]
2. 1. 권력 투쟁과 남송과의 관계
천회 13년(1135년), 숙부인 태종 오걸매(우키마이)가 사망하자, 종형인 진왕 점몰갈(네메가, 종한)과 함께 조카이자 자신의 양자인 합랄(호라, 후의 희종)을 옹립하였다. 완안종간은 태종의 아들인 포로호 (불후, 종반)와 종부 달랄 (영가의 아들)과 대립하였다. 포로호와 달랄이 실각하자, 완안종간은 황족의 실력자인 점몰갈을 다음 표적으로 삼았다. 그는 희종에게 상소하여 점몰갈을 태보 영 삼성사라는 황제 측근의 명예직에 임명하고, 대동을 기반으로 하던 점몰갈의 군사권을 빼앗았다. 점몰갈은 점차 쇠약해져 1137년에 59세로 병사했다.[1]포로호와 달랄이 다시 권력을 잡자, 완안종간은 이들과 손을 잡고 금나라의 괴뢰 속국이었던 제(斉) 황제 유예를 촉왕으로 강등시켜 내몽골의 임황부로 강제 이주시켰다. 이후 완안종간은 이복동생인 심왕 알철 (종필)과 손잡고 포로호, 달랄과 다시 대립했다.[1]
천권 2년(1139년) 4월, 완안종간은 포로호와 달랄이 유예의 제국 폐지 후 복종을 조건으로 산시(陝西)와 허난(河南)을 남송에 할양한 것을 남송과 내통했다고 무고하여 이들을 모반죄로 처형하는 데 성공했다. 그러나 달랄의 이복동생인 오야는 완안종간 편에 서서 형과 대립했기 때문에 연좌되지 않았다. 짐을 내려놓은 완안종간은 황통 원년(1141년) 5월에 병사했다. 희종은 양부의 죽음을 매우 슬퍼하며 통곡했다고 한다.[1]
3. 추존
1150년, 해릉왕은 완안종간을 황제로 추존하고 묘호를 '''덕종'''(德宗), 시호를 '''헌고홍도문소무열장효예명황제'''(憲古弘道文昭武烈章孝睿明皇帝)라 하였다. 금 세종이 즉위한 1162년에는 묘호를 삭제하고 시호를 '''명숙황제'''(明肅皇帝)로 고쳤다. 해릉왕이 폐위된 후에는 황자의 직위로 격하되었고, 황제의 시호마저 삭제되었다. 다시 황백(皇伯)과 태사(太師) 등으로 봉해졌고, 시호 충렬(忠烈)을 받아 '''요충렬왕'''(遼忠烈王)이라 칭해졌다.
4. 가족 관계
완안종간은 여러 부인을 두었는데, 그 중 발해 출신인 자헌황후 대씨(慈憲皇后 大氏)는 완안량의 생모이다.[1][4][5] 그 외 부인으로는 이씨(李氏)가 있다.[6] 완안량은 금나라의 해릉왕이 된 완안종간의 차남이다.
4. 1. 조부모와 부모
- '''조부''': 세조(世祖) 성숙황제(聖肅皇帝) 완안 핵리발
- '''조모''': 익간황후(翼簡皇后) 나라씨(拿懶氏)
- '''부친''': 태조(太祖) 무원황제(武元皇帝) 완안 아골타
- '''모친''': 광의황후(光懿皇后) 배만씨(裴滿氏)
4. 2. 황후
봉호 | 시호 | 이름(성씨) | 비고 |
---|---|---|---|
양송왕비 (梁宋王妃) | 애황후 (哀皇后) | 도단씨(徒單氏) | [7] (추존) 1109년 ~ 1161년 [8] |
비(妃) | 자헌황후 (慈憲皇后) | 대씨(大氏) | [9] (추존) ? ~ 1153년 위왕(衛王) 대호천(大昊天)의 딸[10] |
- '''자헌황후''' 대씨 (慈憲皇后 大氏, ? ~ 1153년): 발해 출신[1][4], 완안 종간의 차남 완안량의 어머니.[5]
- '''애황후''' 도단씨(徒單氏): 정실. 해릉왕에 의해 주살됨.
- 이씨 부인 (李氏)[6]
- 소씨 (녕비)
- 이금가 (순비): 오저 사람
- 도단씨 (문비)
- 육정고: 북송 의왕 조박의 전 약혼자
4. 3. 후궁
봉호 | 이름(성씨) | 비고 |
---|---|---|
비(妃) | 이씨(李氏) | |
비(妃) | 육정고(陸正姑) | 1109년 ~ ? |
순비(順妃) | 이씨(李氏) | |
영비(寧妃) | 소씨(蕭氏) | |
숭비(崇妃) | 도단씨(徒單氏) |
'''황후'''
- '''자헌황후''' 대씨 (慈憲皇后 大氏, ? ~ 1153년) : 발해 출신[1][4]
- 도단씨
'''그 외'''
4. 4. 황자
순번 | 봉호 | 시호 | 이름 | 생몰년도 | 생모 | 비고 |
---|---|---|---|---|---|---|
1 | 정왕(鄭王) | 완안 신토문(完顔 神土懣) 완안 충(完顔 充) | ? ~ 1149년 | 황비 이씨 | [11] | |
2 | 기왕(岐王) | 완안 적고내(完顔 迪古乃) 완안 량 | 1122년 ~ 1161년 | 자헌황후 대씨 | 제4대 황제 해릉왕. | |
3 | 왕(王) | 완안 오동(完顔 梧桐) 완안 연(完顔 兗) | ? ~ 1153년 | |||
4 | 위왕(衛王) | 완안 영경(完顔 永慶) 완안 양(完顔 襄) | 자헌황후 대씨 | |||
5 | 왕(王) | 완안 포갑(完顔 蒲甲) 완안 곤(完顔 袞) | ? ~ 1153년 |
- '''자헌황후''' 대씨 (慈憲皇后 大氏, ? ~ 1153): 발해 출신[1][4]
- * 완안 량(1122년 ~ 1161년): 휘는 디구나이(迪古乃). 금나라의 해릉왕. 차남.[5]
- * 완안 영경(襄)
- '''이씨 부인''' 이씨 (李氏)[6]
- * 완안 신토만(充): 도단씨의 양자.
- * 완안 오동(兗)
- * 완안 포갑(袞)
4. 5. 황녀
봉호 | 이름 | 생몰년도 | 생모 | 부마 | 별칭 | 비고 | |
---|---|---|---|---|---|---|---|
1 | 요국장공주 (遼國長公主) | 완안 적발(完顔 迪鉢) | 담왕(譚王) 포찰 아로질(蒲察 阿虎迭) | ||||
2 | 등국장공주 (鄧國長公主) | 완안 최가(完顔 崔哥) | |||||
3 | 경의장공주 (慶宜長公主) | ||||||
4 | 양국장공주 (梁國長公主) | ? ~ 1182년 | 자헌황후 대씨 | 광평군장간왕(廣平郡莊簡王) 도단 정(徒單 貞) | [12] [13] | ||
5 | 가상장공주 (嘉祥長公主) | 치충렬왕(淄忠烈王) 도단 극녕(徒單 克寧) | [14] [15] |
5. 평가
완안종간은 금나라 초기의 정치에 큰 영향을 미친 인물로, 뛰어난 정치적 수완으로 권력을 장악하고 국가 정책을 주도했다.[1] 그러나 그의 권력욕과 잔혹함은 비판받기도 한다.[1]
그의 아들 해릉왕은 황제가 된 후 완안종간에게 '''덕종'''이라는 묘호와 '''헌고홍도문소무열장효예명황제'''라는 시호를 추증했다. 하지만 세종은 "폭군의 아버지"라는 이유로 묘호를 삭제하고 제호를 '''명숙황제'''로 낮췄으며, 이후 제호마저 삭제하고 황백·태사·요왕으로 강등했다.[1]
참조
[1]
서적
Encyclopedia of Chinese History
Routledge
[2]
서적
Journal of Sung-Yuan Studied
https://books.google[...]
Department of East Asian Studies,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at Albany
[3]
서적
A Social History of Medieval China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4]
문서
History of Jin (Jin Shi)
[5]
서적
Stories to Awaken the World A Ming Dynasty Collection, Volume 3
http://worldcat.org/[...]
2012-09
[6]
서적
History of Jin (Jin Shi)
https://en.m.wikiped[...]
[7]
문서
황태후(皇太后)/영수궁태후(永壽宮太后)/운국부인(鄖國夫人)/요왕비(遼王妃)
[8]
문서
완안 종간이 요왕으로 격하하자 요왕비(遼王妃)로 격하됨
[9]
문서
황태후(皇太后)/영녕궁태후(永寧宮太后)/해릉태비(海陵太妃)/요왕부인(遼王夫人)
[10]
문서
해릉왕이 폐위 된 후, 해릉태비(海陵太妃)로 격하됨
[11]
문서
치국공(淄國公)/대왕(代王)
[12]
문서
평양공주(平陽公主)/영평현주(永平縣主)
[13]
문서
해릉왕 퇴위 후 현주로 강등됨
[14]
문서
가상현주(嘉祥縣主)
[15]
문서
해릉왕 퇴위 후 현주로 강등됨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