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 태종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금 태종은 금나라의 제2대 황제로, 아구다의 뒤를 이어 1123년에 즉위했다. 요나라를 멸망시키고 내몽골을 지배했으며, 북송과의 동맹을 통해 요나라를 공격했다. 이후 송나라의 배신으로 전쟁을 시작하여 개봉을 함락시키고 휘종과 흠종을 사로잡아 북송을 멸망시켰다(정강의 변). 재위 기간 동안 금나라의 정치 체제를 강화하고 영토를 확장했지만, 자신의 아들이 아닌 조카인 금 희종을 후계자로 지명하고 1135년에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075년 출생 - 김부식
신라 왕족 후예인 김부식은 고려 중기 문신이자 학자로, 이자겸의 난과 묘청의 서경천도운동 진압에 공을 세웠으며 《삼국사기》를 편찬했다. - 1075년 출생 - 로타르 3세
로타르 3세는 작센 공작, 독일 왕, 신성 로마 제국 황제였으며, 호엔슈타우펜 가문과의 권력 투쟁과 이탈리아 원정을 겪고 시칠리아 왕국을 견제하기 위한 원정 중 사망했다. - 1135년 사망 - 북송 휘종
북송 휘종은 예술적 재능이 뛰어났으나 정치적 실정과 외교적 실패로 금나라에 포로로 잡혀 비참한 최후를 맞은 북송의 제8대 황제이다. - 1135년 사망 - 헨리 1세
헨리 1세는 1100년부터 1135년까지 잉글랜드를 통치한 왕으로, 자유 헌장 선포, 노르망디 정복, 성직 임명권 분쟁 해결, 행정 및 사법 개혁을 통해 국가 기틀을 다졌지만 후계자 문제로 인해 내전의 씨앗을 남겼다. - 12세기 중국의 군주 - 북송 휘종
북송 휘종은 예술적 재능이 뛰어났으나 정치적 실정과 외교적 실패로 금나라에 포로로 잡혀 비참한 최후를 맞은 북송의 제8대 황제이다. - 12세기 중국의 군주 - 금 희종
금 희종은 금나라의 제3대 황제로, 중앙집권 체제 강화와 중국화 정책을 추진했으나, 공신 숙청과 폭정으로 반대파 쿠데타로 암살당했다.
금 태종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휘 (한명) | 완안 성(完顏晟) |
휘 (여진명) | 완안 오걸매(完顔吳乞買) |
아버지 | 완안핵리발 |
어머니 | 익간황후 나라씨(拿懶氏) |
재위 | |
즉위 | 천회(天會) 7년 9월 6일 (1123년 9월 27일) |
퇴위 | 천회(天會) 13년 1월 25일 (1135년 2월 9일) |
전임자 | 태조(太祖) |
후임자 | 희종(熙宗) |
존호 및 시호 | |
묘호 | 태종(太宗) |
시호 | 체원응운세덕소공철혜인성문열황제(體元應運世德昭功哲惠仁聖文烈皇帝) |
생애 | |
출생일 | 요 대강(大康) 원년 10월 15일 (1075년 11월 25일) |
사망일 | 천회(天會) 13년 1월 25일 (1135년 2월 9일) |
능묘 | |
능호 | 화릉(和陵) → 공릉(恭陵) |
연호 | |
연호 | 천회(天會) 1123년 ~ 1135년 |
가족 관계 | |
배우자 | 흠인황후(欽仁皇后) 흘석렬씨(唐括氏) |
2. 생애
금 태종은 형인 아구다를 보좌했으며, 1123년 형이 사망하자 금나라 제2대 황제로 즉위했다. 태종은 용맹하고 과감하며, 과단성과 실행력이 뛰어난 인물이었다.[2]
즉위 후, 태종은 형이 북송과 맺은 동맹에 따라 요나라를 공격했다. 1125년 천조제를 사로잡아 요나라를 멸망시키고 내몽골을 지배하에 두었다.[2]
같은 해, 송나라가 연운 16주를 되찾으려는 움직임을 보이자, 1126년 북송을 공격하여 수도 개봉을 포위했다. 송군이 저항하자 흠종과 강화를 맺고 철수했으나, 송이 세공을 체납하자 1127년 다시 공격하여 개봉을 함락시키고 흠종과 휘종을 북쪽으로 압송하여 북송을 멸망시켰다.(정강의 변)[2]
태종은 외몽골로 도망친 야율대석을 추격하여 몽골 고원까지 세력을 확장하고, 서하와 고려를 복속시켰다. 이처럼 태종 시대에 금나라는 영토를 크게 넓히고 국력을 강화했다.[2]
태종은 금나라의 정치 체제와 제도를 강화했다. 그러나 여진 사회는 부족제가 강했고, 태종의 권력 기반은 완전하지 못했다. 1130년 동생 완안고가 사망하자, 태종은 아들이 아닌 형 태조의 적손 합랄(희종)을 황태자로 삼았다.[2]
2. 1. 초기 생애와 즉위
아구다(금 태조)의 동생으로, 헬리보의 넷째 아들이자 정실 부인인 나란 부인(拏懶氏)의 아들로 태어났다. 1123년 형의 뒤를 이어 즉위했다. 1125년, 금나라 장군 완안루실이 거란족이 이끄는 요나라를 공격하여 마지막 요나라 황제인 천조제를 사로잡아 요나라를 멸망시켰다.1125년 10월, 금 태종은 송나라를 공격하기 위해 다섯째 동생인 완안고에게 명하여 금나라 군대를 이끌고 송나라 수도인 변경(현재의 카이펑, 허난성)을 두 방향에서 공격하게 했다.[1] 송나라 장군 이강은 금나라 침략군에 맞서 격렬하게 저항했다.[1] 얼마 후, 금나라와 송나라는 휴전에 합의했다.[1] 1126년 8월, 금 태종은 완안종망과 완안종한에게 명하여 금나라 군대를 이끌고 다시 변경을 공격하여 포위하게 했다.[1]
2. 2. 요나라 정벌
1123년 11월, 북요의 황제 영종이 부하들에게 살해당하자 북요를 침공하여 멸망시켰다.[2] 1125년에는 송나라와 동맹을 맺고 요나라를 협공하여 만주 지역에서 몰아내고 멸망시켰다.[2]같은 해, 요나라의 마지막 황제인 천조제를 사로잡아 요나라를 완전히 멸망시켰다.[2] 그러나 연운 16주를 되찾으려는 송군이 연운 지방에 주둔하는 금군을 견제하려는 움직임을 보이자, 1126년 곧바로 북송과의 전쟁을 시작하여 수도 개봉을 포위했다.[2]
2. 3. 송나라와의 전쟁과 정강의 변
1125년 송나라와 동맹을 맺고 요나라를 협공하여 만주 지역에서 요나라를 멸망시켰다.[2] 같은 해, 송나라가 연운 16주 탈환을 계획하고 요나라의 패잔병과 함께 금나라를 공격하려는 음모를 꾸몄으나 금나라에 발각되었고, 금 태종은 송나라를 공격했다.[2] 당황한 휘종은 퇴위하고 아들 흠종에게 황위를 물려주었으나, 금군을 피해 개봉을 탈출했다가 재상 이강에 의해 다시 돌아왔다.[2]1126년 금나라는 개봉을 함락시켰고, 1127년 휘종과 흠종을 비롯한 황족, 중신, 기술자들을 금나라로 끌고 갔다.(정강의 변)[2] 이 사건으로 북송은 멸망하고, 남송이 시작되었다. 여진 군대는 양쯔강까지 남하했으나, 회하 부근에서 저지되어 남송은 국경을 지킬 수 있었다.[2]
금 태종은 포로로 잡은 송나라 황제 휘종과 흠종에게 각각 '혼덕공(昏德公)', '중혼후(重昏侯)'라는 모욕적인 작위를 내리고, 헤이룽장성 이린 현으로 이주시켰다.[2] 한편, 북송의 황후, 황녀, 궁녀 등 수천 명의 여성들이 금나라로 끌려가 세의원에서 성노예 생활을 강요당했다.[2]
2. 4. 내치와 통치 체제 강화
1123년 11월, 북요의 황제 영종이 부하들에게 살해당하자 북요를 침공하여 멸망시켰다.[1]1125년에는 송나라와 동맹을 맺고 요나라를 협격하여 만주 지역으로부터 요나라를 멸망시켰다.[2]
같은 해, 송나라는 연운 16주 일부를 되찾았지만, 금에 점령된 나머지 지역을 되찾기 위해 요나라의 패잔병과 함께 금을 공격할 계획을 세웠다. 그러나 이 계획은 금에 발각되었고, 금 태종은 송나라를 공격했다. 당황한 휘종은 사직하고 장남 흠종에게 황제 자리를 물려주고 태상황이 되었다. 금군을 피해 개봉에서 탈출했지만, 재상 이강에 의해 다시 돌아왔다.[3]
1126년 금나라는 개봉을 함락시켰고, 1127년 휘종과 흠종은 금나라에 포로로 끌려갔다. 진회 등 중신, 기술자, 조씨 황족들도 함께 끌려갔다.(정강의 변).[4] 여진 군대는 양쯔 강까지 남하했지만 회하 부근에서 저지되었고, 남송은 국경을 지키는 데 성공했다.[4]
금나라는 화북 통치를 위해 꼭두각시 국가인 초나라를 세우려 했지만, 진회의 반대로 북쪽으로 압송되었다. 진회는 금나라 중신과 밀약을 맺은 후, 남송이 주전론을 억누르고 화친을 결정했다는 소문을 퍼뜨려 풀려났다.[5]
1130년, 진회는 금나라를 탈출해 남송의 고종에게 도착했다. 고종은 진회를 예부상서에 임명하고 다음 해에는 재상으로 임명했다. 진회는 재상에서 잠시 파면되기도 했지만 곧 복귀하여 화평 교섭을 추진했다.[6]
정강의 변 때 끌려갔던 진회는 힘없는 주전론자였지만, 귀국 후 금나라를 두려워하여 주전론자들을 경계했다. 당시 남송은 금과의 전투에서 공을 세운 악비 등 군벌 세력이 성장했고, 그들은 주화파의 우두머리인 진회를 비판했다.[7]
한편, 태종의 권력 기반은 완전하지 못하여 여진족 장로들은 부자 세습에 반대했다. 1130년 동생 완안고가 사망하자 태종은 황태자를 세우지 못하고 머뭇거렸다. 결국 형인 태조의 적손인 희종에게 황위를 물려주었다.[8]
오걸매(吳乞買)는 헬리보의 넷째 아들이자 정실 부인인 나란 부인(拏懶氏)의 아들이었다. 그는 아구다(금 태조)의 동생이었으며, 아구다는 금나라를 건국한 초대 황제였다. 그는 1123년 형의 뒤를 이어 즉위했다. 2년 후, 금나라 장군 완안루실이 거란족이 이끄는 요나라를 공격하여 마지막 요나라 황제인 천조제를 사로잡아 요나라를 멸망시켰다.
1125년 10월, 금 태종은 송나라를 공격하기 위해 다섯째 동생인 완안고에게 명하여 금나라 군대를 이끌고 송나라 수도인 변경(현재의 카이펑, 허난성)을 두 방향에서 공격하게 했다. 송나라 장군 이강은 금나라 침략군에 맞서 격렬하게 저항했다. 얼마 후, 금나라와 송나라는 휴전에 합의했다. 1126년 8월, 금 태종은 완안종망과 완안종한에게 명하여 금나라 군대를 이끌고 다시 변경을 공격하여 포위하게 했다. 이번에는 금나라가 변경을 정복했을 뿐만 아니라 송나라 황제인 흠종과 휘종을 사로잡았다. 이 사건은 역사적으로 정강의 변으로 알려져 있으며, 북송의 멸망과 남송의 시작을 알렸다.
1128년, 금 태종은 포로로 잡힌 두 명의 전 송나라 황제에게 작위를 내렸다. 휘종은 "혼덕공"(昏德公)으로 불렸고, 흠종은 "중혼후"(重昏侯)로 불렸다. 그들은 오국성(五國城, 현재 이린 현, 헤이룽장성)으로 이주되었다.
재위 기간 동안 금 태종은 금나라의 정치 체제와 제도를 수립하고 강화했다. 만년에 그는 알라를 아구다의 손자로 지명하여 그의 후계자로 삼았다. 그는 1135년 명덕궁에서 사망했으며 화릉(和陵)에 묻혔다. 그의 후손들은 금나라의 네 번째 황제인 해릉왕에 의해 학살당했다. 그의 유해는 대방산(大房山)으로 옮겨졌고, 이는 공릉(恭陵)으로 알려지게 되었다.
2. 5. 사망과 후계
1130년 동생 완안고가 사망하자, 태종은 황태자를 세우는 것을 망설였다. 결국 태종은 형인 태조의 적손인 희종에게 황위를 양위하였다.[2] 여진족 장로들은 부자 세습에 반대하였기 때문에, 태종의 권력 기반은 완전하지 못했다.[2]태종은 1135년 명덕궁에서 사망하였으며, 처음에는 화릉(和陵)에 묻혔다.[1] 이후 그의 후손들이 해릉왕에 의해 살해당하면서, 그의 유해는 대방산(大房山)으로 옮겨져 공릉(恭陵)으로 알려지게 되었다.[1]
3. 가족 관계
- '''조부''' : 완안 오고내
- '''조모''' : 소숙황후 당괄씨
- '''부친''' : 완안 핵리발
- '''모친''' : 익간황후 나라씨
봉호 | 이름 | 생몰년도 | 생모 | 비고 | |
---|---|---|---|---|---|
1 | 송왕 | 완안 포로호 | ? ~ 1139년 | 흠인황후 당괄씨 | |
2 | 빈왕 | 완안 호로 | ? ~ 1147년 | ||
3 | 조왕 | 완안 곡로보 | ? ~ 1150년 | 대왕[4] | |
4 | 서왕 | 완안 아로대 | ? ~ 1124년 | ||
5 | 우왕 | 완안 아로보 | ? ~ 1139년 | ||
6 | 등왕 | 완안 곡사호 | ? ~ 1139년 | ||
7 | 정왕 | 완안 아린 | ? ~ 1150년 | 설왕[5] | |
8 | 노왕 | 완안 아로 | ? ~ 1150년 | 원왕[6] | |
9 | 익왕 | 완안 골뢰 | ? ~ 1139년 | ||
10 | 위왕 | 완안 호리갑 | ? ~ 1150년 | 풍왕[7] | |
11 | 운왕 | 완안 신토문 | 빈왕 | ||
12 | 심왕 | 완안 곡패속 | 곽왕 | ||
13 | 악왕 | 완안 알렬 | 채왕 | ||
14 | 한왕 | 완안 골사 | ? ~ 1150년 | 필왕[8] |
참조
[1]
서적
金史
[2]
서적
靖康稗史証
[3]
문서
태황태후/명덕궁태후
[4]
문서
금 해릉양왕
[5]
문서
금 해릉양왕
[6]
문서
금 해릉양왕
[7]
문서
금 해릉양왕
[8]
문서
금 해릉양왕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