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금 세종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금 세종은 금나라의 제5대 황제이다. 본명은 완안옹(完顏雍)으로, 해릉왕에 반기를 든 세력에 의해 옹립되어 즉위했다. 그는 한족 문화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여진족의 정체성을 확립하려 노력했으며, 남송과의 평화를 유지하며 대내외적으로 안정을 추구했다. 세종은 여진어와 문화를 장려하고, 중국 고전을 여진어로 번역하는 등 여진족의 전통을 지키려 했다. 그의 치세는 '대정의 치'로 불리며 칭송받았지만, 여진족의 한화와 군사력 약화, 재정적 어려움 등의 한계도 있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세종 - 요 세종
    요 세종은 요 태조의 손자이자 요나라의 제3대 황제로, 개혁을 통해 중앙 집권 체제를 다졌으나 사촌의 쿠데타로 암살당했다.
  • 1123년 출생 - 미나모토노 요시토모
    미나모토노 요시토모는 헤이안 시대 말기의 무장으로, 호겐의 난에서 아버지와 동생들을 처형하고 헤이지의 난에서 패배하여 암살당했으며, 그의 아들 요리토모는 가마쿠라 막부를 세웠다.
  • 1123년 출생 - 파라크라마바후 1세
    파라크라마바후 1세는 12세기 스리랑카를 통일하고 폴론나루와 시대를 번성하게 한 왕으로, 종교 개혁과 대규모 건설 사업, 남인도 및 미얀마에 대한 군사적 개입을 통해 스리랑카 역사에 큰 영향을 미쳤다.
  • 1189년 사망 - 미나모토노 요시쓰네
    미나모토노 요시쓰네는 겐페이 전쟁에서 활약했지만 이복형과의 갈등으로 자결한 비극적인 무장으로, 일본 대중문화에서 영웅적인 인물로 널리 알려져 있다.
  • 1189년 사망 - 헨리 2세
    헨리 2세는 1154년 잉글랜드 왕위에 올라 앙주 제국을 건설하고 법률 및 사법 제도를 개혁했으나, 토마스 베켓과의 갈등과 아들들과의 상속 문제로 갈등을 겪다가 사망했다.
금 세종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휘 (한 이름)완안수 (完顏褎), 이후 완안옹 (完顏雍)
휘 (여진 이름)오록 (烏祿)
출생1123년 3월 29일
사망1189년 1월 20일
능묘흥릉 (興陵, 현재 팡산 구, 베이징)
통치
재위 기간1161년 10월 27일 – 1189년 1월 20일
연호대정 (大定)
존호 및 묘호
묘호세종 (世宗)
시호광천흥운문덕무공성명인효황제 (光天興運文德武功聖明仁孝皇帝)
가계
아버지완안종요
어머니이씨 부인
배우자명덕황후, 기타 (가족 섹션 참고)
자녀완안윤공, 완안옹제, 기타 (가족 섹션 참고)
즉위 및 계승
전임자완안량
후임자장종
왕조
왕가완안
왕조금나라

2. 생애

금나라 시조 금 태조 아구다의 손자이자 완안종요의 아들로, 발해 귀족 출신인 어머니의 영향을 받으며 성장했다.[1] 사촌 형인 황제 해릉왕의 견제를 받았으며, 해릉왕의 압박으로 아내 오림답씨가 비극적인 죽음을 맞기도 했다.[1] 1161년, 해릉왕이 남송 원정을 떠난 틈을 타 여진족 귀족들의 추대로 반란을 일으켜 황제로 즉위했다(금 세종).[1] 해릉왕은 원정 중 부하에게 살해되었다.[1]

세종은 즉위 후 남송과의 전쟁을 종식시키고 1164년 화의를 맺어 비교적 장기간의 평화를 구축했으며[7][8], 거란족의 반란을 진압하고 해릉왕 시대의 혼란을 수습하여 국내 안정을 도모했다.[7] 또한 요양에 백탑(白塔) 등을 건설하였다. 내정에서는 재정 재건을 시도하고[9] 여진족의 고유 문화를 보존하려 노력했으나, 한족 문화 동화를 막는 데는 큰 성과를 거두지 못했다.[1]

세종의 29년 치세는 금나라의 전성기로 평가받으며 '대정의 치' 또는 '소요순시대(小堯舜時代)'로 불리지만[1][8][11], 여진족의 군사력 약화와 민생 문제 등의 그늘도 있었다. 1189년 사망하였고, 손자인 금 장종이 뒤를 이었으며, 이후 금나라는 북쪽의 몽골과 남쪽의 남송이라는 양면 전선의 위기에 직면하게 되었다.

2. 1. 초기 생애와 즉위 과정

금 세종의 본명은 '''완안옹'''(完顏雍|완안옹중국어)이다. 금나라 시조 아구다의 손자이며, 아버지는 아구다의 셋째 아들이자 금나라 초기의 유명한 장군이었던 엘리두오(완안종요)이다.[1] 1123년 상경회령부에서 완안종요와 측실 이씨(정의황후 이씨) 사이에서 태어났다. 어머니 이씨는 발해 귀족 이추어지의 딸이었다. 완안옹이 12세 때 아버지를 여의자, 어머니 이씨는 여진족의 수계혼 관습에 따른 재혼을 거부하고 승려가 되었다.[1] 어머니의 영향으로 완안옹은 한족식 교육을 받으며 중국 고전에 대한 지식을 쌓았다.[1]

성인이 된 후 갈왕(葛王)에 봉해졌고, 병부상서, 판대종정사, 중경유수 등을 역임했다. 그는 인자하고 효성이 지극했으며, 배까지 내려오는 아름다운 긴 수염을 가졌고 기마술과 활쏘기(기사)에 뛰어났다고 전해진다. 가슴에는 북두칠성 모양의 사마귀가 있었다고 한다.

완안옹은 사촌 형인 황제 해릉왕(디구나이)과 사이가 좋지 않았다. 해릉왕은 완안옹을 경계하여 그를 제남윤(濟南尹)으로 파견하면서 아내 오림답씨를 수도인 연경에 두고 가도록 명했다. 발해계 귀족 가문 출신인 오림답씨는 해릉왕의 음욕을 예상하고 남편을 떠나보낸 뒤, 하북(河北) 양향(良鄕) 고절진(固節鎭)에서 투신하여 스스로 목숨을 끊었다. 해릉왕의 의심을 피하고자 완안옹은 아내의 죽음 앞에서도 불만을 드러내지 않았으며, 이 때문에 해릉왕으로부터 어리석다는 평을 받으며 경시되기도 했다.[1] (세종은 즉위 후 오림답씨를 황후로 추존하고 평생 다른 황후를 맞이하지 않았다.) 이 사건은 두 사람 사이에 깊은 적대감을 만들었다.[1]

1161년, 해릉왕이 남송을 침공하기 위해 대규모 원정을 시작했다. 이때 완안옹은 동경 유수로 있었다. 해릉왕의 폭정, 한화 정책 강행, 남송 원정으로 인한 인명 피해, 그리고 황족 암살 시도 등에 불만을 품은 많은 여진족 귀족과 장교들은 해릉왕에 대한 반란을 계획했다.[1] 이들은 동경 유수로 있던 완안옹을 찾아 추대하려 했다. 반란을 지지한 첫 군 장교는 완안 모옌(完顏謀衍|완안 모옌중국어)이었다.[1] 해릉왕의 측근이자 동경 부유수로서 완안옹을 감시하던 고존복을 1161년 겨울 10월 병오일에 살해하고 그의 목을 내걸어 반란의 시작을 공식화했다. 완안옹은 여진족 귀족들에게 옹립되어 황제로 즉위하고 해릉왕의 폐위를 선언했다. 해릉왕은 남송 원정 중 채석 전투에서 패배한 뒤, 불만을 품은 자신의 부하 야율원의(耶律元宜)에게 살해되었다.[1] 이로써 완안옹은 별다른 저항 없이 새로운 황제가 될 수 있었다.

2. 2. 대내 정책: 여진족 정체성 확립과 한족 문화 존중

대정 24년(1184) 산동(山東) 곡부(曲阜) 안묘(顏子廟) 편액(우)


금 세종은 황위에 오른 후, 전임 황제 해릉양왕의 남송 침략 계획을 포기하고 국내의 지나친 한화(漢化) 정책을 폐지했다.[12][1] 세종은 한족 문화에 정통했지만, 여진족의 강점은 그들의 '단순하고 진실된' 고유문화를 유지하는 데 있다고 생각했다. 그는 디구내가 여진 문화를 무시하고 버렸기 때문에 실패했다고 보았다.[12][1] 그렇다고 세종이 중국 문화 자체를 부정적으로 본 것은 아니었다. 오히려 그는 '자연스럽고 정직한' 여진족의 삶의 방식이 고대 중국 현인들의 가르침과 통한다고 주장하기도 했다. 다만, 중국 고전을 읽기만 하고 실제 행동으로 옮기지 않는 것은 의미가 없다고 여겼다.[12][1]

세종은 여진족의 정체성을 강화하고 여진어 사용을 장려하기 위해 다양한 정책을 추진했다. 즉위 직후부터 중국 고전을 여진어로 번역하는 사업을 시작하여, 서경을 시작으로 대정 연간 말까지 여러 고전의 여진어 번역본을 간행했다.[12][1] 또한, 3천 명의 여진인을 선발하여 여진어를 가르치고, 1173년에는 여진어 과거 시험인 진사(進士) 제도를 도입했다. 수도에는 여진국자학(女眞國子學)을, 지방 곳곳에는 학교를 세워 여진어 교육을 확대했다.[12][1] 현대 학자들은 이 여진 진사 제도가 관리 임용보다는 여진어 연구와 교육을 활성화하려는 목적이 더 컸다고 본다. 실제로 합격자 대부분은 여진어 교사나 번역가로 활동했기 때문이다.[12][1] 세종은 관료들에게 여진어 사용자와 대화할 때 여진어로 응답하도록 지시했으며,[12][1] 1174년에는 황실 근위병들에게도 여진어를 배우고 사용하도록 명령했다.[12][1] 1183년에는 효경의 여진어 번역본 1천 부를 배포하여 여진족의 교화 자료로 삼기도 했다.[12][1]

경제 및 사회 정책 면에서도 여진족의 기반을 다지려 노력했다. 사용되지 않는 땅이나 소수 여진 지주가 독점한 땅을 몰수하여 북중국에 정착한 여진족에게 재분배했다.[12][1] 하지만 많은 여진족이 직접 농사를 짓기보다는 한족 농민에게 땅을 빌려주고 안일하게 생활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세종은 여진족이 술에 빠져 지내며 전통적인 무예와 승마, 활쏘기 등 군사적 기량을 잃어가는 현실을 비판했다.[12][1] 스스로 모범을 보이기 위해 1162년부터 사냥을 연례 왕실 행사로 삼았고, 1188년까지 거의 매년 가을과 겨울에 직접 사냥에 나섰다. 평소에도 공놀이와 활쏘기를 즐겼다.[12][1] 그러나 남부 지역(대명, 산동 등)의 가난한 여진족 가구들이 부유한 여진족의 사치스러운 생활을 모방하여 딸을 노예로 팔거나 농사일을 피하려 땅을 소작시키는 등의 문제가 발생했다. 부유한 여진족 역시 연회와 음주를 즐기고 비단 옷을 입는 등 사치에 빠졌다.[13][2] 세종은 1181년 이러한 풍조를 바로잡으려 시도하기도 했다.[13][2]

여진족 고유의 풍속을 지키기 위한 정책도 시행했다. 여진 전통의 부활을 위해 하인이나 노비가 비단을 입는 것을 금지했으며, 1188년에는 일반 여진족이 한족의 복장을 착용하는 것도 금지했다.[12][1]

종교적으로 세종과 그의 후계자 장종불교도교를 모두 신앙했던 것으로 보인다.[14][3] 1187년, 세종은 도교의 한 분파인 전진교의 창시자 왕중양의 제자 왕처일을 궁궐로 초청하여 설법을 듣기도 했다.[14][3] 일부 기록에는 왕중양의 다른 제자인 구처기 역시 초청되었다는 설도 있다. 세종은 임종 시 왕처일에게 곁을 지켜달라고 요청하기도 했다.[14][3]

2. 3. 대외 정책: 남송과의 평화

해릉왕이 1161년 남송 침공을 개시했으나[6], 완안옹(훗날 금 세종)이 해릉왕에 반기를 들고 즉위하면서 상황이 변했다. 해릉왕은 남정 중 부하에게 살해되었고, 완안옹은 제5대 황제 세종으로 즉위하여 송나라와의 화평을 추진했다.

세종은 즉위 후 전임 황제의 남송 침략 계획을 포기했다. 대정 2년(1162년), 해릉왕의 남벌군을 격파한 기세로 금나라 영토로 진격해 온 남송군을 격퇴하였다.[7] 이후 대정 4년(1164년) 남송과 융흥의 화의(隆興和議)를 맺었는데, 이는 건도화약(乾道和約)이라고도 불린다.[7][8]

융흥의 화의(건도화약) 주요 내용[7][8]
항목변경 내용
양국 관계기존의 군신(君臣) 관계 → 숙질(叔姪) 관계로 완화
공물 명칭세공(歲貢) → 세폐(歲幣)로 변경
세폐 액수은(銀), 비단 각각 25만 냥 → 각각 20만 냥으로 감액



세종이 남송과의 강화에 서두른 이유 중 하나는 거란족이 과거 요나라 왕가가 다스리던 중앙아시아의 서요와 연계하여 행동하는 것을 경계했기 때문이다.[7] 또한, 금나라의 세종과 남송의 효종은 각 왕조에서 최고의 명군으로 평가받는 인물들이었는데, 공교롭게도 동시대에 즉위하여 남북 간 평화 분위기가 조성될 수 있었다.[10]

융흥의 화의 이후 약 40년간 금나라와 남송 사이에는 평화가 유지되었고, 이는 금나라의 번영과 안정의 시대, 이른바 '대정의 치' 또는 '소시대(小堯舜時代)'로 이어졌다.[8][11] 그러나 1189년 세종 사후 금나라는 몽골남송을 상대로 두 개의 전선에서 싸우게 되면서 평화는 깨지게 되었다.

2. 4. 말년과 평가

1189년 금나라몽골남송을 상대로 두 개의 전선에서 전쟁을 치르게 되었다. 같은 해 세종이 사망하고, 미리 황태손으로 지명되었던 손자 금 장종이 황위를 계승했다.

세종의 29년간의 재위 기간은 금나라 역사상 가장 안정되고 번영한 시기로 평가받으며, 후대 역사가들은 이를 '대정의 치' 또는 전설적인 성군 요와 순에 빗대어 '소요순시대(小堯舜時代)'라고 불렀다.[1] 공교롭게도 동시대 남송에서는 명군으로 평가받는 효종이 재위하여, 남북의 두 안정적인 군주 아래 비교적 평화로운 시기가 유지되었다.[8][11] 세종은 평화를 지향하고 학문을 장려했으며, 백성의 삶을 안정시키려 노력한 점에서 긍정적인 평가를 받는다.[1]

그러나 세종의 통치에는 명암이 존재한다. 그는 여진족의 고유한 정체성과 문화를 보존하기 위해 여진 문자 사용을 장려하고, 중국 고전을 여진어로 번역했으며, 사냥과 같은 전통 풍습을 유지하려 했다.[1] 하지만 이러한 노력은 큰 성과를 거두지 못했다. 현대 학자들은 세종의 여진 문화 부흥 노력이 그다지 효과적이지 않았다고 평가한다.[1] 여진어는 고유한 문학 작품이 부족했고, 중국 문학 번역은 오히려 중국 사상과 가치를 여진족에게 확산시키는 결과를 낳았다. 세종 스스로도 여진어가 "중국어보다 열등"하며 거란어에도 미치지 못한다고 인정할 정도였다.[1] 만주의 옛 영토를 벗어난 지역에서는 여진어 사용의 필요성을 느끼지 못했으며, 오랜 평화 속에서 여진족은 점차 한족 문화에 동화되었다. 이는 맹안·모극 제도로 대표되는 여진족의 군사력 약화로 이어졌다. 또한, 여진족을 전통적인 사냥꾼으로 남기려 한 시도는 그들의 생계를 개선하기 위해 농업을 장려한 정책과 서로 상충하는 결과를 낳기도 했다.[1]

경제적인 측면에서도, 해릉왕 시절의 혼란을 수습하고 재정을 확충하기 위해 단행된 증세와 관리 감축은[9] 백성들의 삶을 어렵게 만들었다는 비판이 제기된다. 나라의 역사가 조익은 그의 저서 『이십이사찰기』에서 정사금사』 세종 본기에 유독 민중 반란에 대한 기록이 많다는 점을 지적하며, 세종 시대의 사회 불안정 가능성을 시사했다.

3. 가족 관계

조왕(趙王) 완안숙련(孰輦, 차남)
월왕(越王) 완안사로(斜魯, 3남)
예국공주(豫國公主, 장녀) - 오고륜원충(任國公 烏古論元忠)에게 하가 | 즉위 전 사망, 황후 추증광헌황후 이씨(光獻皇后 李氏) | 정랄왕(鄭剌王) 완안영도(永蹈, 6남)
위소왕(衛紹王) 완안영제(永濟, 7남)
노왕(潞王) 완안영덕(永德, 8남)
한국공주(韓國公主, 차녀) - 복산규(僕散揆)에게 하가[4][5] |원비(元妃) 장씨(張氏) | 호려왕(鎬厲王) 완안영중(永中, 4남)
월충간왕(越忠簡王) 완안영공(永功, 5남) |소의(昭儀) 양씨(梁氏) | 예충헌왕(豫忠獻王) 완안영성(永成, 9남) |재인(才人) 석말씨(石抹氏) | 기왕(夔王) 완안영승(永升, 10남) |현비(賢妃) 석말씨(石抹氏) | 자녀 기록 없음 |덕비(德妃) 도단씨(徒單氏) | 자녀 기록 없음 |유비(柔妃) 대씨(大氏) | 자녀 기록 없음 | 해릉양왕의 원비 대씨의 여동생연국대장공주(兗國大長公主, 3녀) - 포찰호사(蒲察胡沙)에게 하가
오국공주(吳國公主, 4녀) - 당괄공(唐括貢)에게 하가
촉국공주(蜀國公主, 5녀) - 당괄정(唐括鼎)에게 하가
완국공주(宛國公主, 7녀) - 울린달부(烏林荅復)에게 하가
식국공주(息國公主) - 도단공필(徒單公弼)에게 하가
조국공주(曹國公主)
위국공주(衛國公主) - 포찰보속렬(蒲察蒲速烈)에게 하가
이름 없는 공주 (14녀) - 갈석열제신노(紇石烈諸神奴)에게 하가
제국공주(澤國公主) 장락(長樂) - 부라두(蒲剌睹)에게 하가 |


4. 연기한 배우들

5. 연호

wikitext

세종원년2년3년4년5년6년7년8년9년10년
서력
(西曆)
1161년1162년1163년1164년1165년1166년1167년1168년1169년1170년
간지
(干支)
신사(辛巳)임오(壬午)계미(癸未)갑신(甲申)을유(乙酉)병술(丙戌)정해(丁亥)무자(戊子)기축(己丑)경인(庚寅)
연호
(年號)
대정(大定)
원년
2년3년4년5년6년7년8년9년10년
세종11년12년13년14년15년16년17년18년19년20년
서력
(西曆)
1171년1172년1173년1174년1175년1176년1177년1178년1179년1180년
간지
(干支)
신묘(辛卯)임진(壬辰)계사(癸巳)갑오(甲午)을미(乙未)병신(丙申)정유(丁酉)무술(戊戌)기해(己亥)경자(庚子)
연호
(年號)
11년12년13년14년15년16년17년18년19년20년
세종21년22년23년24년25년26년27년28년29년
서력
(西曆)
1181년1182년1183년1184년1185년1186년1187년1188년1189년
간지
(干支)
신축(辛丑)임인(壬寅)계묘(癸卯)갑진(甲辰)을사(乙巳)병오(丙午)정미(丁未)무신(戊申)기유(己酉)
연호
(年號)
21년22년23년24년25년26년27년28년29년


참조

[1] 서적 The Jurchen in Twelfth-Century China University of Washington Press
[2] 학술지 The Jin Revisited: New Assessment of Jurchen Emperors https://www.jstor.or[...] 2011
[3] 문서
[4] 문서 Also known as Princess Supreme of Lu State
[5] 서적 Biographical Dictionary of Chinese Women https://books.google[...] Routledge
[6] 문서 佐伯(1975)pp.297-300
[7] 문서 梅村(2008)pp.423-431
[8] 문서 宮澤・杉山(1998)pp.210-214
[9] 문서 佐伯(1975)pp.300-302
[10] 문서 佐伯(1975)pp.307-310
[11] 문서 佐伯(1975)pp.304-305
[12] 서적 The Jurchen in Twelfth-Century China University of Washington Press
[13] 학술지 The Jin Revisited: New Assessment of Jurchen Emperors https://www.jstor.or[...] 2011
[14] 문서
[15] 문서 소덕황후(昭德皇后)
[16] 문서 해릉왕에게 강간 당하여 스스로 목숨을 끊었다. 세종 즉위 후 황후로 추존.
[17] 문서 현비(賢妃)/귀비(貴妃)
[18] 문서 위왕 즉위 후 황후로 추존되었으나, 폐출 후 원비로 강등됨.
[19] 문서 노왕(潞王)/기왕(冀王)
[20] 문서 초왕(楚王)
[21] 문서 제6대 황제 [[금 장종|장종]](章宗)과 제8대 [[금 선종|선종]](宣宗)의 아버지.
[22] 문서 노왕(魯王)
[23] 문서 세종 즉위 전에 요절함.
[24] 문서 세종 즉위 전에 요절함.
[25] 문서 정왕(鄭王)/수왕(隨王)/조왕(曹王)/기왕(冀王)/노왕(魯王)/영왕(郢王)/초왕(譙王)
[26] 문서 등왕(滕王)/서왕(徐王)/위왕(衛王)
[27] 문서 설왕(薛王)/빈왕(豳王)/노왕(潞王)/한왕(韓王)
[28] 문서 설왕(薛王)/심왕(沈王)/빈왕(豳王)
[29] 문서 심왕(沈王)/빈왕(豳王)/오왕(吳王)/연왕(兗王)
[30] 문서 서왕(徐王)/우왕(虞王)/수왕(隋王)/조왕(曹王)/완왕(宛王)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