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르스테드 메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외르스테드 메달은 미국 물리학 교사 협회(AAPT)가 수여하는 상으로, 물리학 교육에 뛰어난 기여를 한 사람에게 수여된다. 1936년부터 시작되어 매년 수여되며, 2025년까지의 수상자 목록이 공개되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물리학 교육 - 열물리학
열물리학은 온도, 열, 열역학 법칙을 통계적으로 해석하여 물리계의 에너지, 전자기적 특성, 화학 퍼텐셜, 이상 기체, 응축, 자유 에너지, 화학 및 상 평형, 엔트로피, 수송 과정 등을 연구하며 나노 기술 등에 응용되는 학문이다. - 물리학 교육 - 울프럼 알파
울프럼 알파는 자연어 처리 기반 지식 엔진으로, 텍스트 입력을 통해 질문에 대한 답변과 복잡한 계산, 통계 분석, 금융 계산 등의 연산 결과를 제공하고 시각화한다. - 미국의 과학기술상 - 튜링상
튜링상은 컴퓨터 과학 분야에 큰 공헌을 한 인물에게 수여되는 상으로, 알고리즘, 프로그래밍 언어, 인공지능 등 다양한 분야에서 혁신적인 업적을 이룬 연구자들에게 수여되며 "컴퓨터 과학 분야의 노벨상"으로 불린다. - 미국의 과학기술상 - 브레이크스루 상
브레이크스루 상은 과학 분야의 뛰어난 업적을 기리는 시상식으로, 올라퍼 엘리아슨이 제작한 원환체 트로피를 수여하며, 제네바에서 시작해 마운틴뷰, 로스앤젤레스 등에서 개최되고 모건 프리먼, 케빈 스페이시, 제임스 코든 등이 진행을 맡았고 2023년부터 유튜브로 생중계된다. - 물리학상 - 노벨상
노벨상은 알프레드 노벨의 유언에 따라 인류에 공헌한 사람들에게 수여되는 권위 있는 상으로, 물리학, 화학, 생리 의학, 문학, 평화, 경제학 6개 분야에서 스웨덴과 노르웨이의 기관들이 수상자를 선정한다. - 물리학상 - 마테우치 메달
마테우치 메달은 이탈리아 과학 아카데미에서 물리학 분야의 뛰어난 업적을 기려 과학자에게 수여하는 상으로, 헤르만 폰 헬름홀츠, 마리 퀴리, 알베르트 아인슈타인, 닐스 보어 등 저명한 과학자들이 수상했으며 유럽과 미국, 영국 등 다양한 국적의 과학자들이 수상했지만 현재까지 한국인 수상자는 없다.
외르스테드 메달 | |
---|---|
기본 정보 | |
![]() | |
수여 기관 | 자연 과학 보급을 위한 덴마크 협회 |
수여 대상 | 자연 과학 교육에 상당한 기여를 한 개인 |
수여 분야 | 물리학, 화학, 생물학, 수학, 지질학 등 자연 과학 분야 |
국가 | 덴마크 |
수여 시작 | 1936년 |
역대 수상자 | |
1937년 | 닐스 보어 |
1939년 | 조지 드 헤베시 |
1954년 | 막스 보른 |
1960년 | 조지 가모프 |
1962년 | 폴 디랙 |
1963년 | 세실 파월 |
1967년 | 아르노 펜지어스, 로버트 우드로 윌슨 |
1973년 | 벤 로열 모텔손, 오게 닐스 보어 |
1984년 | 피오트르 카피차 |
1990년 | 한네스 알벤 |
1994년 | 리처드 어른스트 |
1996년 | 돈 페이 |
2001년 | 앨런 히거 |
2005년 | 데이비드 그로스 |
2006년 | 폴 라우터부르 |
2007년 | 미셸 마요르 |
2008년 | 요이치로 남부 |
2009년 | 아다 요나트 |
2010년 | 제임스 W. 블랙 |
2011년 | 브라이언 P. 슈미트, 애덤 리스, 솔 펄무터 |
2012년 | 로버트 르페코위츠, 브라이언 코빌카 |
2013년 | 피터 힉스 |
2014년 | 스벤 리스고르 한센 |
2017년 | 라이너 바이스, 킵 손 |
2018년 | 프레데리크 파네, 제임스 프레이저 스토더트 |
2020년 | 에마뉘엘 샤르팡티에, 제니퍼 다우드나 |
2021년 | 클라우스 하셀만, 조르조 파리시 |
2022년 | 모턴 멜달 |
2023년 | 카탈린 카리코, 드루 와이스먼 |
2. 수상자 목록
wikitext
년도 | 수상자 |
---|---|
1936 | 윌리엄 서다즈 프랭클린 |
1937 | 에드어드 허버트 홀 |
1938 | 알렉산더 윌머 더프 |
1939 | 벤저민 해리슨 브라운 |
1940 | 로버트 앤드루스 밀리컨 |
1941 | 헨리 크루 |
1942 | 없음 |
1943 | 조지 월터 스튜어트 |
1944 | 롤런드 로이 틸스턴 |
1945 | 호머 리바이 도지 |
1946 | 레이 리 에드워즈 |
1947 | 두에인 롤러 |
1948 | 윌리엄 할리 바버 |
1949 | 아르놀트 조머펠트 |
1950 | 오린 H. 스미스 |
1951 | 존 웨슬리 혼벡 |
1952 | 앤설 A. 놀턴 |
1953 | 리처드 M. 서튼 |
1954 | 클리퍼드 N. 월 |
1955 | 버넷 E. 이턴 |
1956 | 조지 E. 울른벡 |
1957 | 마크 W. 지먼스키 |
1958 | J. W. 버크타 |
1959 | 폴 커크패트릭 |
1960 | 로버트 W. 폴 |
1961 | 제럴드 R. 재커리어스 |
1962 | 프랜시스 W. 시어스 |
1963 | 프랜시스 L. 프리드먼 |
1964 | 월터 크리스천 마이킬스 |
1965 | 필립 모리슨 |
1966 | 레너드 I. 시프 |
1967 | 에드워드 밀스 퍼셀 |
1968 | 하비 E. 화이트 |
1969 | 에릭 M. 로저스 |
1970 | 에드윈 C. 캠블 |
1971 | 우리 하버샤임 |
1972 | 리처드 파인먼 |
1973 | 아놀드 에런스 |
1974 | 멜바 N. 필립스 |
1975 | 로버트 레스닉 |
1976 | 빅토어 바이스코프 |
1977 | H. 리처드 크레인 |
1978 | 윌리스 A. 힐턴 |
1979 | 찰스 키틀 |
폴 E. 클롭스테그 (특별상) | |
1980 | 제럴드 홀턴 |
1981 | 로버트 카플러스 |
1982 | 이지도어 아이작 라비 |
1983 | 존 아치볼드 휠러 |
1984 | 프랭크 오펜하이머 |
1985 | 샘 트리먼 |
1986 | 스탠리 S. 밸러드 |
1987 | 클리퍼드 E. 스워츠 |
1988 | 노먼 포스터 램지 |
1989 | 앤서니 P. 프렌치 |
1990 | 칼 세이건 |
1991 | 프리먼 다이슨 |
1992 | 오이겐 메르츠바허 |
1993 | 한스 베테 |
1994 | E. 레너드 조셈 |
1995 | 로버트 벡클라크 |
1996 | 도널드 F. 홀컴 |
1997 | 다니엘 클레프너 |
1998 | 에드윈 F. 테일러 |
1999 | 데이비드 L. 굿스타인 |
2000 | 존 G. 킹 |
2001 | 릴리언 C. 맥더멋 |
2002 | 데이비드 헤스티니스 |
2003 | 에드워드 W. 콜브 |
2004 | 로렌스 클라우스 |
2005 | 유진 D. 코민스 |
2006 | 케네스 W. 포드 |
2007 | 칼 위먼 |
2008 | 밀드리드 S. 드리슬호스 |
2009 | 조지 스무트 |
2010 | 없음 |
2011 | F. 제임스 러더퍼드 |
2012 | 찰스 H. 홀브로 |
2013 | 에드워드 F. 레디시 |
2014 | 딘 졸만 |
2015 | 칼 C. 마몰라 |
2016 | 존 윈스턴 벨처 |
2017 | 얀 토보치닉 |
2018 | 바버라 L. 휘튼 |
2019 | 게이 스튜어트 |
2020 | 데이비드 소콜로프 |
2021 | 셜리 앤 잭슨 |
2022 | 없음 |
2023 | 실베스터 제임스 게이츠 |
2024 | 로라 H. 그린 |
2025 | 프레드 M. 골드버그 |
2. 1. 1930년대
1930년대 외르스테드 메달 수상자는 다음과 같다.년도 | 수상자 |
---|---|
1936 | 윌리엄 서다즈 프랭클린 |
1937 | 에드어드 허버트 홀 |
1938 | 알렉산더 윌머 더프 |
1939 | 벤저민 해리슨 브라운 |
2. 2. 1940년대
1940년대 외르스테드 메달 수상자는 다음과 같다.년도 | 수상자 |
---|---|
1940 | 로버트 앤드루스 밀리컨 |
1941 | 헨리 크루 |
1942 | 수상자 없음 |
1943 | 조지 월터 스튜어트 |
1944 | 롤런드 로이 틸스턴 |
1945 | 호머 리바이 도지 |
1946 | 레이 리 에드워즈 |
1947 | 두에인 롤러 |
1948 | 윌리엄 할리 바버 |
1949 | 아르놀트 조머펠트 |
2. 3. 1950년대
1950년 오린 H. 스미스, 1951년 존 웨슬리 혼벡, 1952년 앤설 A. 놀턴, 1953년 리처드 M. 서튼, 1954년 클리퍼드 N. 월, 1955년 버넷 E. 이턴, 1956년 조지 E. 울른벡, 1957년 마크 W. 지먼스키, 1958년 J. W. 버크타, 1959년 폴 커크패트릭이 외르스테드 메달을 수상했다.2. 4. 1960년대
1960년대 외르스테드 메달 수상자는 다음과 같다.년도 | 수상자 |
---|---|
1960 | 로버트 W. 폴 |
1961 | 제럴드 R. 재커리어스 |
1962 | 프랜시스 W. 시어스 |
1963 | 프랜시스 L. 프리드먼 |
1964 | 월터 크리스천 마이킬스 |
1965 | 필립 모리슨 |
1966 | 레너드 I. 시프 |
1967 | 에드워드 밀스 퍼셀 |
1968 | 하비 E. 화이트 |
1969 | 에릭 M. 로저스 |
2. 5. 1970년대
1970년에는 에드윈 C. 캠블이, 1971년에는 우리 하버샤임이 외르스테드 메달을 수상하였다. 1972년에는 리처드 파인먼이, 1973년에는 아놀드 에런스가 수상하였다. 1974년에는 멜바 N. 필립스가 수상하였고, 1975년에는 로버트 레스닉이 수상하였다. 1976년에는 빅토어 바이스코프가 수상하였고, 1977년에는 H. 리처드 크레인이 수상하였다. 1978년에는 윌리스 A. 힐턴이, 1979년에는 찰스 키틀과 폴 E. 클롭스테그(특별상)가 외르스테드 메달을 수상하였다.2. 6. 1980년대
1980년 제럴드 홀턴, 1981년 로버트 카플러스, 1982년 이지도어 아이작 라비, 1983년 존 아치볼드 휠러, 1984년 프랭크 오펜하이머, 1985년 샘 트리먼, 1986년 스탠리 S. 밸러드, 1987년 클리퍼드 E. 스워츠, 1988년 노먼 포스터 램지, 1989년 앤서니 P. 프렌치가 외르스테드 메달을 수상했다.2. 7. 1990년대
1990년 칼 세이건, 1991년 프리먼 다이슨, 1992년 오이겐 메르츠바허, 1993년 한스 베테, 1994년 E. 레너드 조셈, 1995년 로버트 벡클라크, 1996년 도널드 F. 홀컴, 1997년 다니엘 클레프너, 1998년 에드윈 F. 테일러, 1999년 데이비드 L. 굿스타인이 외르스테드 메달을 수상했다.2. 8. 2000년대
2000년 존 G. 킹을 시작으로, 2001년 릴리언 C. 맥더멋, 2002년 데이비드 헤스티니스, 2003년 에드워드 W. 콜브, 2004년 로렌스 클라우스, 2005년 유진 D. 코민스, 2006년 케네스 W. 포드, 2007년 칼 위먼, 2008년 밀드리드 S. 드리슬호스, 2009년 조지 스무트가 외르스테드 메달을 수상했다.2. 9. 2010년대
2010년에는 수상자가 없었다. 2011년에는 F. 제임스 러더퍼드가 외르스테드 메달을 수상하였다. 2012년에는 찰스 H. 홀브로, 2013년에는 에드워드 F. 레디시, 2014년에는 딘 졸만, 2015년에는 칼 C. 마몰라가 수상하였다. 2016년, 존 윈스턴 벨처가 외르스테드 메달을 수상하였고, 2017년에는 얀 토보치닉, 2018년에는 바버라 L. 휘튼, 2019년에는 게이 스튜어트가 각각 수상하였다.2. 10. 2020년대
2020년에는 데이비드 소콜로프가 외르스테드 메달을 수상했다. 2021년에는 셜리 앤 잭슨이 수상하였고, 2022년에는 수상자가 없었다. 2023년에는 실베스터 제임스 게이츠, 2024년에는 로라 H. 그린이 수상했다. 2025년 수상자는 프레드 M. 골드버그이다.참조
[1]
웹사이트
List of Oersted Medalists on AAPT.org
http://www.aapt.org/[...]
2016-02-12
[2]
웹사이트
Karl Mamola Names as 2015 Oersted Medal Recipient
http://www.aapt.org/[...]
[3]
웹사이트
Gay-Stewart-to-Receive-AAPT-2019-Oersted-Medal
http://www.aapt.org/[...]
[4]
웹사이트
S. James Gates, Jr. to Receive AAPT 2023 Oersted Medal
https://www.aapt.org[...]
[5]
웹사이트
2024 Oersted Medal Winner is Laura H. Greene
https://www.aapt.org[...]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