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루과이 축구 국가대표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우루과이 축구 국가대표팀은 우루과이를 대표하는 축구팀으로, 1901년 아르헨티나와의 경기를 통해 첫 경기를 치렀다. 1924년과 1928년 하계 올림픽에서 2회 연속 금메달을 획득하고, 1930년 자국에서 열린 제1회 FIFA 월드컵에서 우승하며 세계 축구 강호로 자리매김했다. 코파 아메리카에서는 15번 우승하여 최다 우승 기록을 보유하고 있으며, FIFA 월드컵에서는 1930년과 1950년에 우승, 1954년, 1970년, 2010년에는 4위를 기록했다. 2023년 기준, 루이스 수아레스가 68골로 최다 득점 선수이며, 디에고 고딘이 161경기로 최다 출장 기록을 가지고 있다. 홈 유니폼은 하늘색이며, 아르헨티나, 브라질과 라이벌 관계를 형성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우루과이 축구 국가대표팀 - 우루과이의 FIFA 월드컵 성적
우루과이는 FIFA 월드컵에 총 14회 진출하여 1930년과 1950년 두 번 우승했고, 통산 59경기에서 25승 13무 21패를 기록하며 역대 9위에 올랐으며, 2030년에는 공동 개최국으로서 자동 진출할 예정이다. - 우루과이의 축구 - 우루과이 축구 협회
우루과이 축구 협회는 1900년에 설립되어 우루과이의 축구를 관장하며, 국가대표팀 운영 및 주요 대회 주관을 맡고 있고, 현재 이냐시오 알론소 회장이 2030년 FIFA 월드컵 공동 개최를 추진 중이다. - 우루과이의 축구 - 우루과이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
우루과이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은 "라스 셀레스테스" 또는 "차루아스"라는 별칭으로 불리며 코파 아메리카 페메니나에서 2006년 3위, 2007년 팬아메리칸 게임에 진출한 우루과이 대표 여자 축구팀이다. - FIFA 월드컵 우승국 - 잉글랜드 축구 국가대표팀
잉글랜드 축구 국가대표팀은 잉글랜드 축구 협회에 의해 운영되며, 1966년 FIFA 월드컵에서 우승을 차지하고 2020년 유로 대회에서 준우승을 기록했으며, 스코틀랜드와 함께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축구 국가대표팀으로 웸블리 스타디움을 홈 구장으로 사용한다. - FIFA 월드컵 우승국 - 스페인 축구 국가대표팀
스페인 축구 국가대표팀은 "라 로하"라는 별칭으로 불리는 스페인 대표 남자 축구 국가대표팀으로, FIFA 월드컵 1회 우승과 UEFA 유럽 축구 선수권 대회 4회 우승을 달성하며 세계적인 강팀으로, 특히 2008년부터 2012년까지 메이저 대회를 연달아 우승하며 전성기를 누렸고 '티키타카' 패싱 플레이로 유명하며, 이탈리아, 포르투갈, 프랑스 등과 라이벌 관계를 맺고 있다.
우루과이 축구 국가대표팀 - [스포츠팀]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별칭 | 라 셀레스테 (La Celeste, 하늘색) 로스 차루아스 (Los Charrúas, 차루아족) |
협회 | Asociación Uruguaya de Fútbol (AUF) |
연맹 | 남미 축구 연맹 (CONMEBOL) |
감독 | 마르셀로 비엘사 |
주장 | 호세 히메네스 |
최다 출장 선수 | 디에고 고딘 (161) |
최다 득점 선수 | 루이스 수아레스 (69) |
홈 경기장 | 에스타디오 센테나리오 |
FIFA 코드 | URU |
FIFA 최고 랭킹 | 2위 |
FIFA 최고 랭킹 날짜 | 2012년 6월 |
FIFA 최저 랭킹 | 76위 |
FIFA 최저 랭킹 날짜 | 1998년 12월 |
엘로 최고 랭킹 | 1위 |
엘로 최고 랭킹 날짜 | 1920–29년의 다양한 날짜 |
엘로 최저 랭킹 | 48위 |
엘로 최저 랭킹 날짜 | 1979년 9월 5일 |
웹사이트 | auf.org.uy/mayores |
유니폼 정보 | |
홈 유니폼 | pattern_la1: _uru24H pattern_b1: _uru24H pattern_ra1: _uru24H body1: 80BBFF shorts1: 000000 socks1: 000000 |
원정 유니폼 | pattern_la2: _uru24A pattern_b2: _uru24A pattern_ra2: _uru24A leftarm2: FFFFFF body2: FFFFFF rightarm2: FFFFFF shorts2: 80BBFF socks2: FFFFFF |
경기 정보 | |
첫 번째 경기 | 0–6 (몬테비데오, 우루과이; 1902년 7월 20일) |
최대 점수차 승리 | 9–0 (리마, 페루; 1927년 11월 6일) |
최대 점수차 패배 | 0–6 (몬테비데오, 우루과이; 1902년 7월 20일) |
월드컵 | |
출전 횟수 | 14회 |
첫 출전 | 1930년 |
최고 성적 | 우승 (1930년, 1950년) |
코파 아메리카 | |
출전 횟수 | 46회 |
첫 출전 | 1916년 |
최고 성적 | 우승 (1916년, 1917년, 1920년, 1923년, 1924년, 1926년, 1935년, 1942년, 1956년, 1959년, 1967년, 1983년, 1987년, 1995년, 2011년) |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 | |
출전 횟수 | 2회 |
첫 출전 | 1997년 |
최고 성적 | 4위 (1997년, 2013년) |
CONMEBOL–UEFA 컵 오브 챔피언스 | |
출전 횟수 | 1회 |
첫 출전 | 1985년 |
최고 성적 | 준우승 (1985년) |
메달 기록 |
2. 역사
우루과이 축구 국가대표팀은 1901년 첫 경기를 가졌지만, 우루과이 축구 협회가 아닌 알비온 FC 주최였기 때문에 공식 경기로 인정받지 않는다. 1902년 7월 20일 아르헨티나와의 경기가 공식 첫 경기로 기록되었으며, 이 경기에서 0-6으로 패했다.[54][55]
20세기 초 우루과이는 세계 축구 강호로, 1924년과 1928년 올림픽 축구에서 연속 우승했다. 1924년 올림픽은 FIFA가 주관한 첫 프로 선수 대상 대회로, FIFA 월드컵과 동등한 가치를 인정받았다.[5] 우루과이는 유고슬라비아, 미국, 프랑스, 네덜란드, 스위스를 꺾고 첫 시니어 프로 축구 세계 챔피언이 되었다. 1928년 올림픽에서는 네덜란드, 독일, 이탈리아를 꺾고 결승에서 아르헨티나를 2-1로 이겨 세계 타이틀을 지켰다.
두 번의 올림픽 우승 후, 우루과이는 1930년 첫 FIFA 월드컵 개최국이 되었다. 페루, 루마니아, 유고슬라비아를 꺾고 결승에서 아르헨티나를 4-2로 이겨 우승했다.
이후 우루과이는 1930년 대회에 대한 유럽 국가들의 불참에 항의하며 1934년 FIFA 월드컵에 불참했다. 1938년 FIFA 월드컵은 남미-유럽 순환 개최 합의를 어기고 프랑스에서 열려 불참했다.
1935년 남미 선수권 대회에서 아르헨티나를 3-0으로 이기고 우승한 후 우루과이의 황금 세대는 은퇴했다. 이들은 4번의 남미 선수권 대회(1917, 1923, 1924, 1926) 우승과 3번의 세계 타이틀(1924, 1928, 1930)을 기록했다.
1916년 첫 남미 선수권 대회(코파 아메리카)에서 우루과이는 칠레, 브라질을 이기고 아르헨티나와 비겨 첫 메이저 대회 우승을 차지했다. 1917년 대회에서는 모든 경기에서 승리하며 타이틀을 지켰다. 1919년 코파 아메리카에서는 브라질과의 플레이오프에서 1-0으로 패하며 대회 첫 패배를 기록했다.[11]
1930년 FIFA 월드컵과 1950년 FIFA 월드컵에서 우승했지만, 1950년대부터 하락세를 보였다. 1954년 FIFA 월드컵과 1970년 FIFA 월드컵에서 4강에 올랐지만, 이후 월드컵 우승과는 거리가 멀어졌다.
대회 | 결과 |
---|---|
1930년 FIFA 월드컵 | 1라운드 조별리그: 우루과이 3-1 페루, 우루과이 4-0 루마니아 토너먼트: 4강 우루과이 6-1 유고슬라비아, 결승 우루과이 4-2 아르헨티나 |
1950년 FIFA 월드컵 | 1라운드 조별리그: 우루과이 8-0 볼리비아 2라운드 결승리그: 우루과이 2-2 스페인, 우루과이 3-2 스웨덴, 우루과이 2-1 브라질 |
우루과이는 FIFA 월드컵 창설 전 1924년, 1928년 올림픽 축구에서 2연속 금메달을 획득했다. 남미 축구 선수권 대회에서도 첫 10번 중 6번 우승하며 남미 최강이었다.
우루과이는 첫 FIFA 월드컵 개최에 성공했지만, 유럽에서는 프랑스, 벨기에, 루마니아, 유고슬라비아 4개국만 참가했다. 우루과이는 조별리그에서 페루(1-0), 루마니아(4-0)를 꺾고 준결승에서 유고슬라비아를 6-1로 완파했다. 결승에서는 아르헨티나와 전반전을 1-2로 뒤졌으나, 후반전에 카스트로, 세아, 이리아르테 삼각편대를 가동해 4-2로 역전 우승했다.
1950년 브라질 월드컵을 앞두고 열린 1949년 남미 축구 선수권 대회에서 우루과이는 6위에 그쳤다. 그러나 브라질은 대승을 거듭하며 우승, 월드컵 기대감을 높였다.
우루과이는 20년 만에 월드컵에 출전, 볼리비아를 8-0으로 대파하고 결승리그에 진출했다. 결승리그에서 스페인과 비기고(2-2), 스웨덴을 3-2로 이겼다. 브라질과의 마지막 경기는 무승부만 해도 브라질이 우승하는 상황이었다. 브라질은 '브라질 우승!' 기사를 냈고, 우루과이 선수들은 분노했다. 알시데스 기지아는 신문에 소변을 보며 선수들을 독려했다. 브라질에 선제골을 내줬지만, 후안 알베르토 스키아피노와 알시데스 기지아의 연속 골로 역전승, 경기장은 침묵에 빠졌다.
1954년 월드컵에서 우루과이는 체코슬로바키아(2-0), 스코틀랜드(7-0), 잉글랜드(4-2)를 꺾고 4강에 진출했다. 헝가리와의 준결승전은 월드컵 역사상 최고의 경기 중 하나로, 우루과이는 0-2로 뒤지다 2-2 동점을 만들었으나 연장전 끝에 4-2로 패했다. 이는 1925년 이후 30년 만의 세계 무대 패배였다. 3,4위전 에서도 오스트리아에게 패하며 4위를 기록했다.
1960년대와 1970년대 초 나시오날과 페냐롤 선수들을 중심으로 경쟁력을 유지, 대륙 및 클럽 세계 타이틀을 획득했다. 1962년 월드컵에서는 소련과의 경기 후 조별 리그에서 탈락했다.
1966년 FIFA 월드컵에서는 잉글랜드와 비기고 8강에 진출했으나, 서독에 패했다. 1967년 몬테비데오에서 아르헨티나를 1-0으로 꺾고 11번째 남미 선수권 대회 우승으로 1960년대를 마무리했다.
1967년 남미 축구 선수권 대회 우승 후 1970년 FIFA 월드컵에 참가, 이탈리아, 스웨덴, 이스라엘과 함께 죽음의 조에 편성되었다. 이스라엘을 2-0으로 이기고 이탈리아와 비겨 8강에 진출, 소련을 이기고 4강에 올랐다. 4강에서는 펠레가 활약하는 브라질에 1-3으로 패하고, 3위 결정전에서도 서독에 패해 4위를 차지했다.
1970년 FIFA 월드컵 이후 우루과이는 40년간 약체로 전락했다.[76] 1978년 FIFA 월드컵, 1982년 FIFA 월드컵, 1994년 FIFA 월드컵, 1998년 FIFA 월드컵, 2006년 FIFA 월드컵 등 5번의 월드컵 예선에서 탈락했다. 그러나 1986년 FIFA 월드컵과 1990년 FIFA 월드컵에서 연속 16강에 진출했다.
1983년 코파 아메리카, 1987년 코파 아메리카에서 2연패하고, 1989년 코파 아메리카와 1999년 코파 아메리카에서 준우승하며 남미에서는 강한 모습을 유지했다.
1970년대 후반, 우루과이 20세 이하 대표팀이 1975년부터 1981년까지 남미 선수권 대회 4연패, 1979년 U-20 월드컵 4강에 진출하며 희망을 보였다. 1980년대에는 월드컵 50주년 기념 1980년 월드 챔피언스 골드컵 우승, 1983년 코파 아메리카와 1987년 코파 아메리카 연속 우승, 1989년 코파 아메리카 준우승을 기록했다.
2010년 FIFA 월드컵에서 40년 만에 4강에 오르고, 2011년 코파 아메리카에서 우승하며 재중흥의 발판을 마련했다.
2010년 FIFA 월드컵 남아메리카 지역 예선에서 아르헨티나에 패하며 탈락 위기에 몰렸으나, 칠레가 에콰도르를 이겨 대륙간 플레이오프로 진출, 코스타리카를 누르고 본선에 진출했다.
본선 조별리그에서 프랑스와 비기고 멕시코와 남아공을 꺾고 16강에 진출했다. 16강에서 대한민국과 접전 끝에 8강에 진출, 디에고 포를란은 대한민국을 가장 어려운 상대로 회고했다. 8강에서 가나를 상대로 루이스 알베르토 수아레스가 핸드볼 반칙으로 퇴장당하고, 아사모아 기안이 페널티킥을 실축하며 승부차기 끝에 4강에 진출했다. 4강과 3위 결정전에서 네덜란드와 독일에 각각 2-3으로 패하며 4위를 차지했다.
2011년 코파 아메리카 우승 후 FIFA 랭킹 2위까지 올랐고, 2014년 FIFA 월드컵에서 톱시드를 받았다. 그러나 죽음의 조에 편성, 코스타리카에 1-3으로 패하고 잉글랜드를 2-1로 이겼다. 이탈리아와의 경기에서 루이스 알베르토 수아레스가 조르조 키엘리니를 깨물어[13][14][15] 출전금지 조치를 당했고, 16강에서 콜롬비아에 0-2로 패했다.[16]
2018년 FIFA 월드컵 남미 지역 예선 2위로 본선 진출, A조 3차전에서 러시아를 3-0으로 꺾고 조 1위로 16강에 진출했다. 16강에서 크리스티아누 호날두의 포르투갈을 2-1로 꺾었으나,[17][18] 8강에서 프랑스에 0-2로 패했다.
2022년 FIFA 월드컵에서는 포르투갈, 가나, 대한민국과 함께 H조에 편성되었다. 대한민국과 0-0 무승부, 포르투갈에 0-2로 패했다. 가나와의 최종전에서 히오르히안 데 아라스카에타의 멀티골로 2-0으로 이겼으나, 대한민국이 포르투갈을 2-1로 이기면서 16강 진출에 실패했다.[19]
2. 1. 초창기 (1901년 ~ 1930년)
20세기 전반 우루과이는 세계 최고의 강호로 군림하여 1924년과 1928년 올림픽에서 연속 우승을 차지했다.1924년 올림픽 축구 토너먼트는 프로 선수들에게 처음으로 열린 "공개" 선수권 대회였으며 FIFA가 직접 주관했다.[5] 따라서 이 토너먼트는 당시(그리고 그 이후에도) FIFA 월드컵과 동등한 가치를 지닌 것으로 인정받았다.[4] 우루과이는 유고슬라비아, 미국, 프랑스, 네덜란드, 그리고 스위스를 꺾고 최초의 시니어 프로 축구 세계 챔피언이 되었다. 1928년 올림픽 축구 토너먼트에서 우루과이는 네덜란드, 독일, 이탈리아를 꺾고 결승전에서 아르헨티나와 재경기를 치러 2-1로 승리하며(첫 경기는 연장전 후 무승부) 세계 타이틀을 유지했다.
두 번의 올림픽 승리 후 우루과이는 우루과이 건국 100주년을 기념하여 1930년 첫 FIFA 월드컵 개최국으로 선정되었다. 이 대회에서 우루과이는 페루, 루마니아, 유고슬라비아와의 모든 경기에서 승리했다. 결승전에서 셀레스테(La Celeste)는 센테나리오 스타디움(Estadio Centenario)에서 이웃 아르헨티나와의 경기에서 전반 1-2로 뒤지던 것을 뒤집어 4-2로 승리하며 3번째 세계 타이틀을 거머쥐었다.
이 대회 이후 우루과이는 1930년 대회에 일부 유럽 국가들이 참가를 거부한 것에 대한 보이콧으로 1934년 FIFA 월드컵에 참가하지 않았다. 1938년 FIFA 월드컵은 남미와 유럽에서 번갈아 개최하기로 한 이전 합의와 달리 프랑스가 개최국으로 선정되었기 때문에 우루과이는 다시 참가를 거부했다.
우루과이의 황금 세대는 1935년 남미 선수권 대회에서 아르헨티나를 3-0으로 이기고 우승한 후 은퇴했다. 이는 이 세대의 7번째 우승으로, 4번의 남미 선수권 대회(1917, 1923, 1924, 1926) 우승과 3번의 세계 타이틀(1924, 1928, 1930)을 합친 국제 축구 역사상 가장 많은 메이저 타이틀 기록으로 남아있다.
우루과이 대표팀의 첫 경기는 1901년 5월 16일 아르헨티나와의 경기였지만, 이 경기는 우루과이 축구 협회가 주최한 것이 아니라 우루과이 최초의 클럽팀인 알비온 FC가 주최한 것이었기 때문에 공식 경기로는 인정되지 않는다. 우루과이 대표팀이 처음으로 공식 경기를 치렀다고 여겨지는 경기는 1902년 7월 20일에 열린 아르헨티나와의 경기였다. 우루과이는 약 8,000명의 관중 앞에서 0-6으로 패했다.[54][55]
1916년 이전 우루과이는 30경기 이상을 치렀는데, 단 한 경기를 제외하고 모두 아르헨티나와의 경기였다. 1916년 첫 남미 선수권 대회(코파 아메리카)에서 우루과이는 칠레와 브라질을 이기고 아르헨티나와 비기며 첫 메이저 대회 우승을 차지했다. 1917년 남미 선수권 대회에서 우루과이는 대회를 개최하여 모든 경기에서 승리하며 타이틀을 유지했다. 1919년 코파 아메리카에서는 우루과이가 브라질과의 플레이오프에서 1-0으로 패하며 대회 첫 패배를 기록했는데, 이 경기는 연장전 두 번까지 가는 역사상 가장 긴 코파 아메리카 경기였다.[11]
2. 2. 중흥기 (1930년 ~ 1970년)
1930년 FIFA 월드컵과 1950년 FIFA 월드컵에서 우승을 차지하긴 했으나 1950년대부터 하락세를 타며 1954년 FIFA 월드컵과 1970년 FIFA 월드컵에서 준결승에 이름을 올린 이후 월드컵 우승권에서 점차 멀어졌다. 하지만, 2010년 FIFA 월드컵에서 40년 만에 준결승에 오른 뒤 바로 이듬해에 2011년 코파 아메리카에서 우승을 차지하면서 중흥의 발판을 마련하였다. 우루과이는 코파 아메리카에서 15번의 우승을 기록했으며 이는 코파 아메리카 최다 우승 기록이다. FIFA에서는 월드컵 우승 팀에게 유니폼에 '우승'을 상징하는 '별'을 달 것을 권장하고 있다. 이에 따라 우루과이는 2회 월드컵 우승과 함께 월드컵 창립 이전에 실시된 올림픽 축구 금메달 2개 획득을 근거로 총 별 4개를 유니폼에 새겨넣고 있다.[73] 1920년대의 올림픽 우승을 기리는 이유는 당시는 월드컵 대회가 출범하기 이전이었으며, 유럽팀이 최강이라는 인식이 자리 잡고 있던 시기에 올림픽 축구를 남미 국가가 제패함으로써 아마추어 선수로 출전 자격이 제한된 올림픽 무대와는 별도로 진정한 세계 최강팀을 가리는 대회를 만들자는 공감대가 형성되었으며 그로 인해 1930년 초대 월드컵이 개최되는 계기가 되었다.[74]1930년 FIFA 월드컵과 1950년 FIFA 월드컵에서 우승을 차지하긴 했으나 두 대회 모두 단 4경기만 치러 우승했다. 반면 본격적으로 경기가 많아지기 시작한 1974년 FIFA 월드컵(결승까지 7경기) 이후부터는 결승에 진출하지 못하고 있다.
대회 | 결과 |
---|---|
1930년 FIFA 월드컵 | 1라운드 조별리그: 우루과이 3-1 페루, 우루과이 4-0 루마니아 토너먼트: 4강 우루과이 6-1 유고슬라비아, 결승 우루과이 4-2 아르헨티나 |
1950년 FIFA 월드컵 | 1라운드 조별리그: 우루과이 8-0 볼리비아 2라운드 결승리그: 우루과이 2-2 스페인, 우루과이 3-2 스웨덴, 우루과이 2-1 브라질 |
우루과이 축구 국가대표팀은 이 때 이미 아르헨티나, 잉글랜드와 나란히 세계 축구 3강을 이루었다. 특히 FIFA 월드컵이 창설되기 전에 우루과이는 이미 1924년 하계 올림픽과 1928년 하계 올림픽 남자 축구 종목에서 2번 연속 금메달을 획득했다. 세계 최초의 대륙컵이자 국가대항 대회였던 남미 축구 선수권 대회에서도 첫 대회 포함 최초 10번 중 6번을 우승하며 남미에서도 가장 강한 전력을 가지고 있는 강호였다.
우루과이 정부와 우루과이 축구 협회에서는 출전국에 대한 모든 여비와 수당, 숙식 비용 일체를 지불한다는 조건으로 기념비적인 첫 FIFA 월드컵을 개최하는 데에 성공했다. 하지만 유럽은 프랑스, 벨기에, 루마니아, 유고슬라비아 이렇게 단 4개국만 출전했으며 나머지는 미주 지역의 국가들만 참가했다. 이 대회에서 우루과이는 조별리그에서 페루를 1-0, 루마니아를 4-0으로 승리하며 전승을 달성하고 준결승에 올랐으며 준결승에서도 유고슬라비아를 6-1로 완파하고 결승에 진출했다. 결승 상대인 아르헨티나와는 서로 자국의 공인구를 사용하겠다고 다투었고 결국 제비뽑기로 전반전은 아르헨티나제 축구공을, 후반전에는 우루과이제 축구공을 사용하여 경기를 진행하게 되었다. 우루과이는 전반전을 1-2로 끝냈으나 후반전에서 카스트로, 세아, 이리아르테의 삼각편대를 가동시키면서 아르헨티나를 일방적으로 밀어붙이며 결국 4-2로 승리하고 첫 월드컵의 우승을 달성했다.
이후 우루과이는 자국에서 개최한 월드컵에 유럽 대륙에서 집단으로 참가를 거부한 것에 대한 불만의 표시로 1934년 FIFA 월드컵과 1938년 FIFA 월드컵에서 불참했는데 이 두 월드컵은 이탈리아가 온갖 논란 속에 우승을 차지한 대회들이였다. 이후 제2차 세계대전의 발발로 월드컵은 개최되지 못하고 있다가 1950년에 인접국인 브라질에서 월드컵을 개최하게 되었다.
브라질 월드컵을 1년 앞두고 1949년 남미 축구 선수권 대회가 브라질에서 열렸다. 축구 열기가 없었던 베네수엘라, 에콰도르 그리고 브라질과 사이가 험악했던 아르헨티나를 제외한 모든 팀이 참가한 이 대회에서 우루과이는 8개국 중 6위라는 초라한 성적을 받았다. 2승 1무 4패라는 성적으로 골득실까지 마이너스를 기록했으며 남미 대회 최다 우승국이었던 우루과이의 체면은 말이 아니었다. 하지만 브라질은 10-1, 9-1, 7-0, 5-1 등 가공할 대승을 여러 차례 거두며 우승을 차지, 1년 뒤 월드컵에서의 기대감을 더욱 높이고 있었다.
이에 우루과이는 20년 만에 월드컵에 출전했다. 그런데 우루과이는 조별리그부터 문제가 많았다. 우루과이가 편성된 조에서는 볼리비아, 스코틀랜드, 터키가 먼저 배정되었으나 스코틀랜드와 터키가 기권했다. 이에 FIFA는 부랴부랴 프랑스를 초청해서 그 조에 편성했으나 역시 프랑스마저 기권하는 바람에 그 조의 조별리그 경기는 우루과이 대 볼리비아전이 유일했다. 이 경기에서 우루과이는 오스카 미구에스의 해트트릭을 비롯하여 8-0으로 볼리비아를 상대로 대승을 거뒀으며 조별리그 3경기에서 원래 넣어야 할 골을 한 경기만에 다 때려넣고 결승리그에 진출했다.
결승리그에는 우루과이, 브라질, 스페인, 스웨덴이 진출했는데 사실 이 월드컵의 개최국인 브라질은 처음부터 우승을 노리던 팀은 아니었다. 하지만 브라질이 도저히 이길 것 같지 않았던 아르헨티나가 모종의 사유[75]로 기권하고 이탈리아가 수페르가의 비극을 끝내 극복하지 못하고 스웨덴에게 패하고 탈락한 데다가 잉글랜드 마저 미국과 스페인에게 연달아 패하고 탈락했으므로 브라질은 점점 우승을 노리기 시작했다. 거기다 뚜껑을 열어보니 우루과이가 스페인과는 간신히 비기고 스웨덴을 상대로는 1-2로 뒤지고 있다가 3-2로 간신히 역전승을 거둔 반면 브라질은 스웨덴을 7-1, 스페인을 6-1로 각각 대승을 거두었다. 결국 마지막 남은 결승전은 무승부가 되어도 브라질의 우승이었다. 이 때문에 브라질은 아예 '1950년 FIFA 월드컵 브라질 우승!'이라는 신문기사를 내보냈고 이에 우루과이 선수들은 머리끝까지 화가 났다. 특히 알시데스 기지아는 그 기사가 실린 신문에 대놓고 소변을 보면서 선수들을 독려하며 우루과이의 분노를 보여주자며 외쳤다. 경기가 시작되자 브라질은 우루과이에게 선제골을 넣었다. 하지만 승리의 기쁨에 도취되어서인지 브라질 선수들의 움직임은 뭔가 이상했고 그것을 노린 우루과이 선수들은 맹공을 퍼부은 끝에 후안 알베르토 스키아피노와 알시데스 기지아의 연속 골로 결국 역전승을 거두었다. 이로 인하여 경기장의 분위기는 바로 을씨년스러워졌고, 이에 기겁한 우루과이 선수들은 시상식만 끝내고 조국으로 도망쳤다.
1950년, 우루과이는 1930년 이후 처음으로 월드컵에 다시 참가했다. 이번에는 라 셀레스테가 결승 조에 진출하여 스페인과 2-2로 비기고 스웨덴을 3-2로 꺾고 개최국 브라질과의 결승전에 진출했다. 1950년 7월 16일, 우루과이는 173,850명의 유료 관중 앞에서 브라질을 2-1로 꺾고 두 번째 FIFA 월드컵이자 네 번째 시니어 세계 타이틀을 획득했다. 이 경기는 "마라카나조"로 알려진 상징적인 경기였다. 역사적 추정에 따르면 관중 수는 200,000명을 훨씬 넘었다.[12] 이 업적은 우루과이 축구 정체성의 중요한 부분이 되었고, 세대를 거듭하며 미래의 축구 선수들에게 영감의 원천이 되었다.
이후 1954년 FIFA 월드컵에 출전하여 당대의 강호 체코슬로바키아를 2-0으로 이기고 스코틀랜드를 7-0으로 대파하는 등 승승장구한 끝에 8강에 진출했으며 8강에서도 잉글랜드를 4-2로 완파했다. 하지만 준결승에서 당대 최강이었던 헝가리를 상대로 연장 혈투 끝에 분패했다. 그리고 3위 결정전에서 오스트리아를 상대로마저 져서 4위를 기록했다. 1954년 월드컵에서 우루과이는 체코슬로바키아, 스코틀랜드, 잉글랜드를 꺾고 주목할 만한 활약을 펼친 후 네 번째로 준결승에 진출했다. 헝가리와의 준결승전은 여전히 월드컵 역사상 최고의 경기 중 하나로 여겨진다. 라 셀레스테는 전반전에 0-2로 뒤진 후 후반 막판 극적으로 2-2 동점을 만들었다. 우루과이는 연장전 끝에 4-2로 패했는데, 이는 1925년 1월 이후 30년 만에 처음으로 세계 무대에서 패한 경기였다.
이후 우루과이는 1958년 남미 예선에서 파라과이에 0-5로 패하며 처음으로 월드컵 진출에 실패했다. 그 후 우루과이는 1960년대와 1970년대 초까지 나시오날과 페냐롤의 선수들을 중심으로 경쟁력 있는 세대를 유지했다. 이 기간 동안 두 클럽은 여러 대륙 및 클럽 세계 타이틀을 획득했다. 1962년 우루과이는 소비에트 연방과의 극적인 마지막 경기 후 조별 리그에서 탈락하며 상대적으로 부진한 월드컵을 치렀다.
1966년 FIFA 월드컵에서는 이 대회 우승팀인 잉글랜드와 무승부를 기록한 끝에 8강에 진출했으나 8강에서 서독에 밀려 준결승 진출이 좌절되었다. 1966년 우루과이는 개최국 잉글랜드와 비기고 프랑스를 꺾고 8강에 진출했다. 서독과의 8강전에서 논란이 된 패배는 긍정적인 캠페인으로 여겨졌던 대회에 오점을 남겼다. 라 셀레스테는 1967년 몬테비데오에서 아르헨티나를 1-0으로 꺾고 11번째 남미 선수권 대회 우승으로 1960년대를 마무리했습니다.
1967년 남미 축구 선수권 대회를 우승하면서 다시 기세가 살아나기 시작한다. 대륙 최강의 타이틀을 가져온 후 1970년 FIFA 월드컵에 참가했는데, 조별리그에서 하필 이탈리아를 만났다. 이탈리아도 바로 전 대륙컵인 UEFA 유로 1968 우승국이었고 월드컵 2회 우승을 했던 나라였는데, 당시 월드컵 최초 3회 우승국에게 줄리메 컵을 영원히 안기는 제도 때문에 브라질, 이탈리아, 우루과이 세 나라가 이를 놓고 치열하게 경쟁하는 판도였다. 거기에 12년 전 월드컵 개최국이자 준우승국 스웨덴도 있었고, 셋엔 못 미치지만 그래도 아시아 최강이었던 이스라엘까지 있는 죽음의 조였다.
여기서 이스라엘을 2-0으로 잡고 이탈리아와 비기며 일찍 8강 자리를 사수하였다. 8강에서 당대의 강호 소련을 이기고 준결승에 올랐지만 준결승에서는 20년 전 마라카낭의 비극으로 이를 갈던, 펠레가 맹활약하는 브라질을 만났다. 브라질의 모든 선수와 국민들은 20년 전의 악몽을 갚으려 눈에 불을 켜고 있었고, 심지어 펠레조차 우승을 못 해도 좋으니 원수 우루과이만은 꼭 이기자고 다짐할 정도였다. 게다가 이 때 브라질은 지역 예선을 포함해 10연승을 달리던 역대 최강팀이었기에, 도저히 감당하지 못하고 브라질에게 1-3으로 패해 3위 결정전에 갔다. 3위 결정전에서도 서독에게 패하고 4위를 차지했다.
2. 3. 암흑기 (1970년 ~ 2000년대 초)
1970년 FIFA 월드컵이 끝난 이후 우루과이 축구 국가대표팀은 40년에 달하는 긴 시간 동안 축구 약체로 전락하고 말았다.[76] 이 기간 동안 우루과이는 1978년 FIFA 월드컵, 1982년 FIFA 월드컵, 1994년 FIFA 월드컵, 1998년 FIFA 월드컵, 2006년 FIFA 월드컵과 같이 다섯 번의 월드컵에서 지역 예선조차 통과하지 못했다. 우루과이는 왕년의 강호로만 기억될 뿐 팀 분류상 약체로 분류되었으며, 우루과이 국민들조차 자국 국가대표팀의 실력에 큰 기대를 걸지 않았을 정도였다.그러나 이 기간에도 우루과이는 1986년 FIFA 월드컵과 1990년 FIFA 월드컵에서 연속으로 16강에 진출했다. 비록 1986년에는 서독, 스코틀랜드와 비기고 덴마크에 1-6으로 패했음에도 조 3위 와일드카드로 16강에 진출했고, 1990년에는 대한민국을 상대로 오프사이드 오심 골로 1-0 승리했을 뿐 1승 1무 2패에 2득점만 얻는 등 아쉬운 모습을 보였다.
1983년 코파 아메리카, 1987년 코파 아메리카에서 2연패를 달성하고, 1989년 코파 아메리카와 1999년 코파 아메리카에서 준우승을 차지하는 등 남미 내에서는 강한 모습을 유지했다. 이전의 뛰어난 성적 덕분에 상대적으로 암흑기였을 뿐, 실제 실력은 꾸준히 중상위권을 유지하고 있었다.
1970년대 후반, 우루과이 축구에는 희망이 보이기 시작했다. 20세 이하 대표팀이 1975년부터 1981년까지 남미 선수권 대회에서 4연패를 달성하고, 1979년에는 U-20 월드컵 준결승에 진출했기 때문이다. 이러한 젊은 세대의 성공은 1980년대에 결실을 맺어, 우루과이는 월드컵 50주년 기념으로 과거 월드컵 우승팀들이 참가한 1980년 월드 챔피언스 골드컵에서 우승을 차지했다. 이후 1983년 코파 아메리카와 1987년 코파 아메리카에서 연속 우승을 거머쥐었으며, 1989년 코파 아메리카 결승전에서는 개최국 브라질에 1-0으로 패하며 준우승에 머물렀다.
2. 4. 재중흥기 (2010년 ~ 현재)
2010년 FIFA 월드컵에서 40년 만에 준결승에 오른 뒤, 바로 이듬해인 2011년 코파 아메리카에서 우승을 차지하면서 재중흥의 발판을 마련하였다.2010년 FIFA 월드컵 남아메리카 지역 예선에서 아르헨티나에게 홈과 원정에서 모두 패하며 지역 예선 탈락 위기에 몰렸으나, 칠레가 에콰도르를 이긴 덕분에 대륙간 플레이오프로 진출했다. 이후 코스타리카를 누르고 본선에 진출했다.
본선 조별리그에서는 프랑스와 비기고 멕시코와 개최국 남아프리카공화국을 연파하고 16강에 진출했다. 16강에서는 대한민국과 접전 끝에 8강에 진출했는데, 디에고 포를란은 2010년 월드컵에서 가장 어려운 상대가 대한민국이었다고 회고했다. 8강에서는 가나를 상대로 연장 후반 루이스 알베르토 수아레스가 손으로 슈팅을 쳐내 퇴장당했고, 아사모아 기안이 페널티킥을 실축하며 승부차기 끝에 40년 만에 준결승에 진출했다. 준결승에서 네덜란드와 3위 결정전에서 독일에게 각각 2-3으로 패하며 4위를 차지했다.
2011년 코파 아메리카에서 우승하며 FIFA 랭킹 2위까지 올랐으며, 2014년 FIFA 월드컵에서는 톱시드를 받았다. 그러나 1982년 FIFA 월드컵 2라운드의 브라질, 아르헨티나, 이탈리아 조 이후 최악의 죽음의 조에 편성되었다. 코스타리카에게 1-3으로 패하고, 잉글랜드를 2-1로 이겼다. 이탈리아와의 조별리그 마지막 경기에서 루이스 알베르토 수아레스가 조르조 키엘리니의 어깨를 깨무는 사건을 일으켜[13][14][15] 결승전까지 출전금지 조치를 당했고, 16강에서 콜롬비아에게 0-2로 패했다.[16]
2018년 FIFA 월드컵 남미 지역 예선에서는 2위로 본선에 진출, 본선 A조 3차전에서 개최국 러시아를 3-0으로 꺾고 조 1위로 16강에 진출했다. 16강에서 크리스티아누 호날두가 이끄는 포르투갈을 2-1로 꺾었으나,[17][18] 8강에서 프랑스에게 0-2로 패했다.
2022년 FIFA 월드컵에서는 포르투갈, 가나, 대한민국과 함께 H조에 편성되었다. 대한민국과의 첫 경기에서 소극적인 경기운영으로 0-0 무승부를 기록했고, 포르투갈과의 경기에서 0-2로 패했다. 가나와의 최종전에서 히오르히안 데 아라스카에타의 멀티골로 2-0으로 이겼으나, 대한민국이 포르투갈을 2-1로 이기면서 16강 진출에 실패했다.[19]
3. 국제대회 기록
우루과이 축구 국가대표팀은 여러 국제 대회에서 뛰어난 성적을 거두었다.
FIFA 월드컵우루과이는 1930년 FIFA 월드컵과 1950년 FIFA 월드컵에서 우승했으며,[73] 1954년 FIFA 월드컵, 1970년 FIFA 월드컵, 2010년 FIFA 월드컵에서 4위를 기록했다. 특히 1930년 대회는 우루과이에서 개최되었으며, 결승전에서 아르헨티나를 4-2로 꺾고 초대 챔피언이 되었다.[74] 1950년 대회에서는 마라카낭의 비극으로 불리는 결승전에서 개최국 브라질을 2-1로 꺾고 우승하였다.
코파 아메리카우루과이는 코파 아메리카에서 15번의 우승을 기록했으며, 이는 코파 아메리카 최다 우승 기록이다.[73]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우루과이는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에 2번 출전하여 모두 4위를 기록했다. 1997년 대회와 2013년 대회에서 준결승에 진출했다.
하계 올림픽우루과이는 FIFA 월드컵이 창설되기 전인 1924년 하계 올림픽과 1928년 하계 올림픽 남자 축구 종목에서 2회 연속 금메달을 획득했다.[73] FIFA는 월드컵 우승 팀에게 유니폼에 '우승'을 상징하는 '별'을 달도록 권장하는데, 우루과이는 2회 월드컵 우승과 함께 월드컵 창립 이전의 올림픽 금메달 2개를 근거로 총 별 4개를 유니폼에 새겨넣고 있다.[73]
CONMEBOL–UEFA 챔피언스컵우루과이는 1985년 대회에서 준우승을 차지했다.
팬아메리칸 게임우루과이는 팬아메리칸 게임 축구 종목에서 1983년과 2015년에 금메달을 획득했다.
3. 1. FIFA 월드컵
우루과이는 1930년 FIFA 월드컵과 1950년 FIFA 월드컵에서 우승을 차지했다.[73] 특히 1930년 대회는 우루과이에서 개최되었으며, 결승전에서 아르헨티나를 4-2로 꺾고 초대 챔피언이 되었다.[74] 1950년 대회에서는 마라카낭의 비극으로 불리는 결승전에서 개최국 브라질을 2-1로 꺾고 우승하였다.1950년대부터 하락세를 겪었으나, 1954년 FIFA 월드컵과 1970년 FIFA 월드컵에서 4위를 기록했다. 2010년 FIFA 월드컵에서는 40년 만에 준결승에 진출하여 4위를 차지하며 부활의 신호탄을 쏘아 올렸다.
2014년 FIFA 월드컵에서는 코스타리카, 잉글랜드, 이탈리아와 함께 '죽음의 조'에 속했으나, 잉글랜드와 이탈리아를 꺾고 16강에 진출했다. 하지만 루이스 알베르토 수아레스의 '핵이빨 사건'으로 인한 징계 여파로 16강에서 콜롬비아에 패했다.[13][14][15]
2018년 FIFA 월드컵에서는 조별리그를 3승으로 통과하고 16강에서 포르투갈을 꺾었으나, 8강에서 프랑스에 패했다.[17][18]
2022년 FIFA 월드컵에서는 대한민국, 포르투갈, 가나와 같은 조에 속했으나, 대한민국, 포르투갈에 밀려 조별리그에서 탈락했다.[19]
FIFA 월드컵 본선 기록 | FIFA 월드컵 예선 기록 | |||||||||||||||||
---|---|---|---|---|---|---|---|---|---|---|---|---|---|---|---|---|---|---|
년도 | 결과 | 순위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승점 | 순위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승점 | |
1930년 | 우승 | 1위 | 4 | 4 | 0 | 0 | 15 | 3 | 12 | 자동참가(개최국) | ||||||||
1934년 | 불참 | 불참 | ||||||||||||||||
1938년 | ||||||||||||||||||
1950년 | 우승 | 1위 | 4 | 3 | 1 | 0 | 15 | 5 | 10 | 자동참가(페루, 에콰도르 기권) | ||||||||
1954년 | 준결승 | 4위 | 5 | 3 | 0 | 2 | 16 | 9 | 9 | 자동참가(전 대회 우승국) | ||||||||
1958년 | 예선 탈락 | 3조 2위 | 4 | 2 | 1 | 1 | 4 | 6 | 7 | |||||||||
1962년 | 조별리그 | 13위 | 3 | 1 | 0 | 2 | 4 | 6 | 3 | 2그룹 승리 | 2 | 1 | 1 | 0 | 3 | 2 | 4 | |
1966년 | 8강 | 7위 | 4 | 1 | 2 | 1 | 2 | 5 | 5 | 1조 1위 | 4 | 4 | 0 | 0 | 11 | 2 | 12 | |
1970년 | 준결승 | 4위 | 6 | 2 | 1 | 3 | 4 | 5 | 7 | 3조 1위 | 4 | 3 | 1 | 0 | 5 | 0 | 10 | |
1974년 | 조별리그 | 13위 | 3 | 0 | 1 | 2 | 1 | 6 | 1 | 1조 1위 | 4 | 2 | 1 | 1 | 6 | 2 | 7 | |
1978년 | 예선 탈락 | 2조 2위 | 4 | 1 | 2 | 1 | 5 | 4 | 5 | |||||||||
1982년 | 3조 2위 | 4 | 1 | 2 | 1 | 5 | 5 | 5 | ||||||||||
1986년 | 16강 | 16위 | 4 | 0 | 2 | 2 | 2 | 8 | 2 | 2조 1위 | 4 | 3 | 0 | 1 | 6 | 4 | 9 | |
1990년 | 16강 | 16위 | 4 | 1 | 1 | 2 | 2 | 5 | 4 | 1조 1위 | 4 | 3 | 0 | 1 | 7 | 2 | 9 | |
1994년 | 예선 탈락 | 2조 3위 | 8 | 4 | 2 | 2 | 10 | 7 | 14 | |||||||||
1998년 | 7위 | 16 | 6 | 3 | 7 | 18 | 21 | 21 | ||||||||||
2002년 | 조별리그 | 26위 | 3 | 0 | 2 | 1 | 4 | 5 | 2 | 5위 | 20 | 8 | 6 | 6 | 22 | 14 | 30 | |
2006년 | 예선 탈락 | 5위 | 20 | 7 | 7 | 6 | 24 | 29 | 28 | |||||||||
2010년 | 준결승 | 4위 | 7 | 3 | 2 | 2 | 11 | 8 | 11 | 5위 | 20 | 7 | 7 | 6 | 30 | 21 | 28 | |
2014년 | 16강 | 12위 | 4 | 2 | 0 | 2 | 4 | 6 | 6 | 5위 | 18 | 8 | 5 | 5 | 30 | 25 | 29 | |
2018년 | 8강 | 5위 | 5 | 4 | 0 | 1 | 7 | 3 | 12 | 2위 | 18 | 9 | 4 | 5 | 32 | 20 | 31 | |
2022년 | 조별리그 | 20위 | 3 | 1 | 1 | 1 | 2 | 2 | 4 | 3위 | 18 | 8 | 4 | 6 | 22 | 22 | 28 | |
2026년 | 미정 | 진행중 | ||||||||||||||||
2030년 | 자동 본선 진출 | 자동참가(개최국) | ||||||||||||||||
합계 | 14회 진출(14/22) | 우승(2회) | 59 | 25 | 13 | 21 | 89 | 76 | 88 | 합계 | 172 | 77 | 46 | 49 | 240 | 186 | 277 | |
순위 | FIFA 월드컵 역대 순위 : 9위 | 월드컵 예선 승점 순위 : 16위 (남미 2위) |
3. 2. 코파 아메리카
우루과이는 코파 아메리카에서 15번의 우승을 기록했으며, 이는 코파 아메리카 최다 우승 기록이다.[73]코파 아메리카 기록 | |||||||||
---|---|---|---|---|---|---|---|---|---|
년도 | 결과 | 순위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승점 |
남미 축구 선수권 대회 | |||||||||
1916년 | 결선리그 | 우승 | 3 | 2 | 1 | 0 | 6 | 1 | 7 |
1917년 | 결선리그 | 우승 | 3 | 3 | 0 | 0 | 9 | 0 | 9 |
1919년 | 결선리그 | 2위 | 4 | 2 | 1 | 1 | 7 | 5 | 7 |
1920년 | 결선리그 | 우승 | 3 | 2 | 1 | 0 | 9 | 2 | 7 |
1921년 | 결선리그 | 3위 | 3 | 1 | 0 | 2 | 3 | 4 | 3 |
1922년 | 결선리그 | 3위 | 4 | 2 | 1 | 1 | 3 | 1 | 7 |
1923년 | 결선리그 | 우승 | 3 | 3 | 0 | 0 | 6 | 1 | 9 |
1924년 | 결선리그 | 우승 | 3 | 2 | 1 | 0 | 8 | 1 | 7 |
1925년 | 기권 | ||||||||
1926년 | 결선리그 | 우승 | 4 | 4 | 0 | 0 | 17 | 2 | 12 |
1927년 | 결선리그 | 2위 | 3 | 2 | 0 | 1 | 15 | 3 | 6 |
1929년 | 결선리그 | 3위 | 3 | 1 | 0 | 2 | 4 | 6 | 3 |
1935년 | 결선리그 | 우승 | 3 | 3 | 0 | 0 | 6 | 1 | 9 |
1937년 | 결선리그 | 3위 | 5 | 2 | 0 | 3 | 11 | 14 | 6 |
1939년 | 결선리그 | 준우승 | 4 | 3 | 0 | 1 | 13 | 5 | 9 |
1941년 | 결선리그 | 준우승 | 4 | 3 | 0 | 1 | 10 | 1 | 9 |
1942년 | 결선리그 | 우승 | 6 | 6 | 0 | 0 | 21 | 2 | 18 |
1945년 | 결선리그 | 4위 | 6 | 3 | 0 | 3 | 14 | 6 | 9 |
1946년 | 결선리그 | 4위 | 5 | 2 | 0 | 3 | 11 | 9 | 6 |
1947년 | 결선리그 | 3위 | 7 | 5 | 0 | 2 | 21 | 8 | 15 |
1949년 | 결선리그 | 6위 | 7 | 2 | 1 | 4 | 14 | 20 | 7 |
1953년 | 결선리그 | 3위 | 6 | 3 | 1 | 2 | 15 | 6 | 10 |
1955년 | 결선리그 | 4위 | 5 | 2 | 1 | 2 | 12 | 12 | 7 |
1956년 | 결선리그 | 우승 | 5 | 4 | 1 | 0 | 9 | 3 | 13 |
1957년 | 결선리그 | 3위 | 6 | 4 | 0 | 2 | 15 | 12 | 12 |
1959년 | 결선리그 | 6위 | 6 | 2 | 0 | 4 | 15 | 14 | 6 |
1959년 | 결선리그 | 우승 | 4 | 3 | 1 | 0 | 13 | 1 | 10 |
1963년 | 기권 | ||||||||
1967년 | 결선리그 | 우승 | 5 | 4 | 1 | 0 | 13 | 2 | 13 |
CONMEBOL 코파 아메리카 | |||||||||
1975년 | 준결승 | 4위 | 2 | 1 | 0 | 1 | 1 | 3 | 3 |
1979년 | 예선탈락 | 6위 | 4 | 1 | 2 | 1 | 5 | 5 | 5 |
1983년 | 우승 | 1위 | 8 | 5 | 2 | 1 | 12 | 6 | 17 |
1987년 | 우승 | 1위 | 2 | 2 | 0 | 0 | 2 | 0 | 6 |
1989년 | 준우승 | 2위 | 7 | 4 | 0 | 3 | 11 | 3 | 12 |
1991년 | 예선탈락 | 5위 | 4 | 1 | 3 | 0 | 4 | 3 | 6 |
1993년 | 8강 | 6위 | 4 | 1 | 2 | 1 | 5 | 5 | 5 |
1995년 | 우승 | 1위 | 6 | 4 | 2 | 0 | 11 | 4 | 14 |
1997년 | 예선탈락 | 9위 | 3 | 1 | 0 | 2 | 2 | 2 | 3 |
1999년 | 준우승 | 2위 | 6 | 1 | 2 | 3 | 4 | 9 | 5 |
2001년 | 준결승 | 4위 | 6 | 2 | 2 | 2 | 7 | 7 | 8 |
2004년 | 준결승 | 3위 | 6 | 3 | 2 | 1 | 12 | 10 | 11 |
2007년 | 준결승 | 4위 | 6 | 2 | 2 | 2 | 8 | 9 | 8 |
2011년 | 우승 | 1위 | 6 | 3 | 3 | 0 | 9 | 3 | 12 |
2015년 | 8강 | 7위 | 4 | 1 | 1 | 2 | 2 | 3 | 4 |
2016년 | 예선탈락 | 11위 | 3 | 1 | 0 | 2 | 4 | 4 | 3 |
2019년 | 8강 | 6위 | 4 | 2 | 2 | 0 | 7 | 2 | 8 |
2021년 | 8강 | 5위 | 5 | 2 | 2 | 1 | 4 | 2 | 8 |
2024년 | 준결승 | 3위 | 6 | 3 | 2 | 1 | 11 | 4 | 11 |
합계 | 46회 진출(46/48) | 우승(15회) | 212 | 115 | 40 | 57 | 421 | 226 | 385 |
순위 | 코파 아메리카 역대 순위 : 2위 |
3. 3.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
우루과이는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에 2번 출전하여 모두 4위를 기록했다. 1997년 대회에서는 3승 2패, 8득점 6실점으로 준결승에 진출했고, 2013년 대회에서는 2승 1무 2패, 14득점 7실점으로 준결승에 진출했다.년도 | 결과 | 순위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승점 |
---|---|---|---|---|---|---|---|---|---|
1992년 | 진출 실패 | ||||||||
1995년 | |||||||||
1997년 | 준결승 | 4위 | 5 | 3 | 0 | 2 | 8 | 6 | 9 |
1999년 | 진출 실패 | ||||||||
2001년 | |||||||||
2003년 | |||||||||
2005년 | |||||||||
2009년 | |||||||||
2013년 | 준결승 | 4위 | 5 | 2 | 1 | 2 | 14 | 7 | 7 |
2017년 | 진출 실패 | ||||||||
합계 | 2회 진출(2/10) | 준결승(4위 2회) | 10 | 5 | 1 | 4 | 22 | 13 | 16 |
순위 |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 역대 순위: 10위 |
3. 4. 하계 올림픽
우루과이는 FIFA 월드컵이 창설되기 전인 1924년 하계 올림픽과 1928년 하계 올림픽 남자 축구 종목에서 2회 연속 금메달을 획득했다.[73] 당시에는 월드컵 대회가 출범하기 이전이었고, 유럽팀이 최강이라는 인식이 자리 잡고 있던 시기에 올림픽 축구를 남미 국가가 제패함으로써 아마추어 선수로 출전 자격이 제한된 올림픽 무대와는 별도로 진정한 세계 최강팀을 가리는 대회를 만들자는 공감대가 형성되었으며, 그로 인해 1930년 초대 월드컵이 개최되는 계기가 되었다.[74] FIFA에서는 월드컵 우승 팀에게 유니폼에 '우승'을 상징하는 '별'을 달 것을 권장하고 있는데, 우루과이는 2회 월드컵 우승과 함께 월드컵 창립 이전의 올림픽 금메달 2개를 근거로 총 별 4개를 유니폼에 새겨넣고 있다.[73]올림픽 축구 기록 | |||||||||
---|---|---|---|---|---|---|---|---|---|
년도 | 결과 | 순위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승점 |
1900년 | 불참 | ||||||||
1904년 | |||||||||
1908년 | |||||||||
1912년 | |||||||||
1920년 | |||||||||
1924년 | 금메달 | 우승 | 5 | 5 | 0 | 0 | 20 | 2 | 15 |
1928년 | 금메달 | 우승 | 5 | 4 | 1 | 0 | 12 | 5 | 13 |
1936년 | 기권 | ||||||||
1948년 | 진출 실패 | ||||||||
1952년 | |||||||||
1956년 | |||||||||
1960년 | |||||||||
1964년 | |||||||||
1968년 | |||||||||
1972년 | |||||||||
1976년 | 기권 | ||||||||
1980년 | 불참[77] | ||||||||
1984년 | 진출 실패 | ||||||||
1988년 | |||||||||
1992년[78] | |||||||||
1996년[79] | |||||||||
2000년[80] | |||||||||
2004년[81] | |||||||||
2008년[82] | |||||||||
2012년[83] | 조별리그 | 9위 | 3 | 1 | 0 | 2 | 2 | 4 | 3 |
2016년[84] | 진출 실패 | ||||||||
2020년[85] | 진출 실패 | ||||||||
합계 | 3회 진출(3/27) | 금메달(2회) | 13 | 10 | 1 | 2 | 34 | 11 | 31 |
3. 5. 팬아메리칸 게임
팬아메리칸 게임 기록 | |||||||||
---|---|---|---|---|---|---|---|---|---|
년도 | 결과 | 순위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승점 |
1951년 | 불참 | ||||||||
1955년 | |||||||||
1959년 | |||||||||
1963년 | 결선리그 | 4위 | 4 | 1 | 0 | 3 | 4 | 6 | 3 |
1967년 | 진출 실패 | ||||||||
1971년 | |||||||||
1975년 | 조별리그 | 10위 | 2 | 0 | 1 | 1 | 1 | 2 | 1 |
1979년 | 진출 실패 | ||||||||
1983년 | 금메달 | 우승 | 4 | 4 | 0 | 0 | 5 | 1 | 12 |
1987년 | 진출 실패 | ||||||||
1991년 | |||||||||
1995년 | |||||||||
1999년 | 조별리그 | 9위 | 4 | 0 | 1 | 3 | 2 | 9 | 1 |
2003년 | 진출 실패 | ||||||||
2007년 | |||||||||
2011년 | 동메달 | 3위 | 5 | 2 | 1 | 2 | 6 | 8 | 7 |
2015년 | 금메달 | 우승 | 5 | 4 | 0 | 1 | 8 | 2 | 12 |
합계 | 6회 진출(6/17) | 금메달(2회) | 24 | 11 | 3 | 10 | 26 | 28 | 36 |
4. 선수
2023년 11월 16일과 21일에 열린 2026년 FIFA 월드컵 남미 지역 예선에 참가한 우루과이 축구 국가대표팀 선수 명단은 다음과 같다. 이 명단에는 아르헨티나와 볼리비아와의 경기에 출전한 24명의 선수가 포함되어 있다.[73]
출장 수와 골 수는 2023년 11월 21일 볼리비아전 이후 기록이다.
최근 1년 사이에 우루과이 대표팀에 차출된 선수 명단은 하단의 '최근 차출된 선수'에서 확인할 수 있다.
4. 1. 현재 선수 명단
번호 | 위치 | 선수명 | 생년월일 (나이) | 출전 경기 수 | 골 | 소속 클럽 |
---|---|---|---|---|---|---|
골키퍼 | ||||||
1 | GK | 세르히오 로체트 | Sergio Rochet|세르히오 로체트es | 18 | 0 | 인테르나시오나우 (브라질) |
12 | GK | 프랑코 이스라엘 | Franco Israel|프랑코 이스라엘es | 1 | 0 | 스포르팅 CP (포르투갈) |
23 | GK | 산티아고 멜레 | Santiago Mele|산티아고 멜레es | 3 | 0 | 아틀레티코 후니오르 (콜롬비아) |
수비수 | ||||||
2 | DF | 호세 마리아 히메네스 (주장) | José María Giménez|호세 마리아 히메네스es | 83 | 8 | 아틀레티코 마드리드 (스페인) |
3 | DF | 세바스티안 카세레스 | Sebastián Cáceres|세바스티안 카세레스es | 9 | 0 | 아메리카 (멕시코) |
4 | DF | 로날드 아라우호 | Ronald Araújo|로날드 아라우호es | 16 | 1 | 바르셀로나 (스페인) |
13 | DF | 기예르모 바렐라 | Guillermo Varela|기예르모 바렐라es | 14 | 0 | 플라멩구 (브라질) |
16 | DF | 마티아스 올리베라 | Mathías Olivera|마티아스 올리베라es | 16 | 1 | 나폴리 (이탈리아) |
17 | DF | 마티아스 비냐 | Matías Viña|마티아스 비냐es | 35 | 0 | 사수올로 (이탈리아) |
18 | DF | 브루노 멘데스 | Bruno Méndez|브루노 멘데스es | 6 | 0 | 코린치앙스 (브라질) |
미드필더 | ||||||
5 | MF | 마누엘 우가르테 | Manuel Ugarte|마누엘 우가르테es | 13 | 0 | 파리 생제르맹 (프랑스) |
6 | MF | 로드리고 벤탕쿠르 | Rodrigo Bentancur|로드리고 벤탕쿠르es | 56 | 1 | 토트넘 홋스퍼 (잉글랜드) |
7 | MF | 니콜라스 데 라 크루스 | Nicolás De La Cruz|니콜라스 데 라 크루스es | 25 | 5 | 리버 플레이트 (아르헨티나) |
10 | MF | 히오르히안 데 아라스카에타 | Giorgian De Arrascaeta|히오르히안 데 아라스카에타es | 44 | 10 | 플라멩구 (브라질) |
15 | MF | 페데리코 발베르데 (부주장) | Federico Valverde|페데리코 발베르데es | 55 | 6 | 레알 마드리드 (스페인) |
20 | MF | 펠리페 카르바요 | Felipe Carballo|펠리페 카르바요es | 7 | 0 | 그레미우 (브라질) |
MF | 막시밀리아노 아라우호 | Maximiliano Araújo|막시밀리아노 아라우호es | 7 | 1 | 톨루카 (멕시코) | |
공격수 | ||||||
8 | FW | 크리스티안 올리베라 | Cristian Olivera|크리스티안 올리베라es | 3 | 0 | 로스앤젤레스 FC (미국) |
9 | FW | 루이스 수아레스 | Luis Suárez|루이스 수아레스es | 138 | 68 | 그레미우 (브라질) |
11 | FW | 파쿤도 펠리스트리 | Facundo Pellistri|파쿤도 펠리스트리es | 18 | 0 |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잉글랜드) |
14 | FW | 아구스틴 카노비오 | Agustín Canobbio|아구스틴 카노비오es | 10 | 1 | 아틀레치쿠 파라나엔시 (브라질) |
19 | FW | 다르윈 누녜스 | Darwin Núñez|다르윈 누녜스es | 22 | 8 | 리버풀 (잉글랜드) |
21 | FW | 파쿤도 토레스 | Facundo Torres|파쿤도 토레스es | 15 | 1 | 올랜도 시티 (미국) |
22 | FW | 페데리코 비냐스 | Federico Viñas|페데리코 비냐스es | 1 | 0 | 레온 (멕시코) |
4. 2. 최근 차출된 선수
;범례
- 부: 부상으로 선수단에서 제외
- 예: 예비 명단에 포함
4. 3. 선수 기록
우루과이 축구 국가대표팀은 1930년 FIFA 월드컵과 1950년 FIFA 월드컵에서 우승했지만, 1950년대부터 하락세를 겪었다. 1954년 FIFA 월드컵과 1970년 FIFA 월드컵에서 4강에 진출한 이후 오랫동안 월드컵 우승과는 거리가 멀어졌으나, 2010년 FIFA 월드컵에서 40년 만에 4강에 진출하고 2011년 코파 아메리카에서 우승하며 부활의 발판을 마련했다. 우루과이는 코파 아메리카에서 15번 우승하여 최다 우승 기록을 보유하고 있다.FIFA는 월드컵 우승팀에게 유니폼에 별을 달도록 권장하는데, 우루과이는 2번의 월드컵 우승과 월드컵 창립 이전 올림픽 축구 금메달 2개를 인정받아 총 4개의 별을 유니폼에 새기고 있다.[73] 1920년대 올림픽 우승이 인정받는 이유는 당시 월드컵이 없었고, 유럽 팀이 최강이라는 인식이 강했던 시기에 남미 국가인 우루과이가 올림픽 축구를 제패하면서 진정한 세계 최강팀을 가리는 대회를 만들자는 공감대가 형성되었기 때문이다. 이로 인해 1930년 초대 월드컵이 개최되었다.[74]
우루과이는 1930년 FIFA 월드컵과 1950년 FIFA 월드컵에서 각각 4경기 만에 우승을 차지했지만, 경기가 많아진 1974년 FIFA 월드컵 이후로는 결승에 진출하지 못하고 있다.
개최국 / 년도 | 성적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득실차 |
---|---|---|---|---|---|---|---|---|
-- 1930 | 우승 | 4 | 4 | 0 | 0 | 15 | 3 | +12 |
+10 | ||||||||
4위 | 5 | 3 | 0 | 2 | 16 | 9 | +7 | |
-2 | ||||||||
-3 | ||||||||
-1 | ||||||||
-5 | ||||||||
예선 탈락 | ||||||||
-6 | ||||||||
16강 | 4 | 1 | 1 | 2 | 2 | 5 | -3 | |
-1 | ||||||||
+3 | ||||||||
-2 | ||||||||
8강 | 5 | 4 | 0 | 1 | 7 | 3 | +4 | |
합계 '' | 출전 14회/우승 2회 | 59 | 25 | 13 | 21 | 89 | 76 | +13 |
다음은 우루과이 축구 국가대표팀 선수 명단이다.
GK | DF | MF | FW |
---|---|---|---|
4. 3. 1. 최다 출장 선수
2024년 7월 1일 기준[73]순위 | 이름 | 출전 수 | 득점 | 기간 |
---|---|---|---|---|
1 | 디에고 고딘 | 161 | 8 | 2005-2022 |
2 | 루이스 수아레스 | 140 | 68 | 2007- |
3 | 에딘손 카바니 | 136 | 58 | 2008-2022 |
4 | 페르난도 무슬레라 | 133 | 0 | 2009- |
5 | 막시 페레이라 | 125 | 3 | 2005-2018 |
6 | 마르틴 카세레스 | 116 | 4 | 2007- |
7 | 디에고 포를란 | 112 | 36 | 2002-2014 |
8 | 크리스티안 로드리게스 | 110 | 11 | 2003-2018 |
9 | 디에고 루가노 | 95 | 9 | 2003-2014 |
10 | 에히디오 아레발로 리오스 | 90 | 0 | 2006-2017 |
4. 3. 2. 최다 득점 선수
순위 | 이름 | 득점 | 출장 경기 수 | 득점률 | 기간 |
---|---|---|---|---|---|
1 | 루이스 수아레스 | 68 | 138 | 0.49 | 2007년- |
2 | 에딘손 카바니 | 58 | 136 | 0.43 | 2008년- |
3 | 에크토르 스카로네 | 31 | 52 | 0.60 | 1917년-1930년 |
4 | 디에고 포를란 | 31 | 112 | 0.28 | 2002년-2014년 |
5 | 앙헬 로마노 | 28 | 69 | 0.41 | 1911년-1927년 |
6 | 오스카르 미게스 | 27 | 39 | 0.69 | 1948년-1958년 |
7 | 세바스티안 아브레우 | 26 | 70 | 0.37 | 1996년-2012년 |
8 | 페드로 페트로네 | 24 | 29 | 0.83 | 1923년-1930년 |
9 | 페르난도 모레나 | 22 | 53 | 0.42 | 1971년-1983년 |
10 | 카를로스 아길레라 | 22 | 64 | 0.34 | 1982년-1997년 |
5. 대한민국과의 역대 전적
주어진 원본 소스는 우루과이 축구 국가대표팀의 최다 출장 선수 명단에 대한 내용이며, '대한민국과의 역대 전적'과는 관련이 없습니다. 따라서 해당 섹션에 포함될 내용이 없으므로, 빈 문자열을 반환합니다.
6. 팀 이미지
우루과이 축구 국가대표팀은 '셀레스테'(Celeste, 하늘색)라는 애칭으로 불리는데, 이는 홈 유니폼 색상에서 유래했다.[70] 1910년 4월 10일, 리버 플레이트가 알루미니를 상대로 승리했을 때 입었던 하늘색 원정 유니폼을 기념하여 우루과이 대표팀의 유니폼 색상으로 하늘색이 채택되었다.[31]
우루과이 대표팀은 1930년부터 몬테비데오에 있는 센테나리오 경기장을 홈 경기장으로 사용하고 있다.[33] 이 경기장은 우루과이 최초의 헌법 100주년을 기념하여 건설되었다.[33]
우루과이는 아르헨티나, 브라질과 라이벌 관계를 형성하고 있다. 특히 아르헨티나와의 경기는 '리오데라플라타 클라시코'로 불리며, 영국을 제외하면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국제 경기 더비이다.[2] 브라질과는 1950년 월드컵 결승전에서의 승리('마라카낭의 비극')로 유명하다.[12]
다음은 2024년 7월 1일 기준 우루과이 국가대표팀의 역대 최다 득점 선수 명단이다.
순위 | 이름 | 득점 | 출전 | 기간 |
---|---|---|---|---|
1 | 루이스 수아레스 | 68 | 140 | 2007- |
2 | 에딘손 카바니 | 58 | 136 | 2008-2022 |
3 | 디에고 포를란 | 36 | 112 | 2002-2014 |
4 | 에크토르 스카로네 | 31 | 51 | 1917-1930 |
5 | 앙헬 로마노 | 28 | 69 | 1913-1927 |
6 | 오스카르 미게스 | 27 | 39 | 1950-1958 |
7 | 세바스티안 아브레우 | 26 | 70 | 1996-2012 |
8 | 페드로 페트론 | 24 | 28 | 1923-1930 |
9 | 카를로스 알베르토 아길레라 | 22 | 64 | 1982-1997 |
페르난도 모레나 | 53 | 1971-1983 |
6. 1. 유니폼
우루과이 대표팀은 1901년부터 1910년까지 다양한 유니폼을 착용했다. 알비온 FC의 유니폼을 비롯하여 짙은 녹색, 아르티가스의 깃발 색상의 유니폼 등이 사용되었다.[20]1910년 4월 10일, 리버 플레이트가 알루미니를 상대로 승리했을 때 입었던 하늘색 원정 유니폼을 기념하여, 우루과이 대표팀의 유니폼 색상으로 하늘색이 채택되었다.[31] 이 하늘색 유니폼은 1910년 8월 15일 아르헨티나와의 코파 립톤 경기에서 처음으로 선보였다.[21][22]
원정 유니폼으로는 빨간색이 사용되기도 하는데, 1935년 남미 선수권 대회에서 처음 사용되었고 1991년에 공식 원정 유니폼으로 채택되었다.[24]
우루과이 축구 문장에는 네 개의 별이 있는데, 이는 1924년과 1928년 하계 올림픽 금메달과 두 번의 FIFA 월드컵 우승을 의미한다.[25][26][27]
용품 공급업체 | 기간 |
---|---|
아디다스 | 1974–1982 |
르꼬끄 스포르티브 | 1983–1986 |
푸마 | 1987–1991 |
에네레 | 1992–1998 |
코바돈가 | 1999–2001 |
L-스포르토 | 2002–2004 |
울슈포르트 | 2004–2006 |
야코 | 2006–2007 |
푸마 | 2007–2023 |
자체 제작 | 2024 |
나이키(Nike, Inc.)[32] | 2024– |
홈 유니폼은 전통적으로 밝은 하늘색을 사용하며, 이는 대표팀의 애칭인 "셀레스테"(스페인어로 하늘색)의 유래이다.[70]
6. 2. 문장
다음은 지난 12개월 동안 우루과이 축구 국가대표팀에 차출된 선수 명단이다.포지션 | 선수 | 비고 |
---|---|---|
GK | 란달 로드리게스 | 2024 코파 아메리카 예비 명단[1] |
DF | 산티아고 모리뇨 | |
DF | 세바스티안 카세레스 | |
DF | 루카스 올라자 | |
DF | 아구스틴 산트아나 | |
DF | 토마스 비에라 | |
DF | 마티아스 비냐 | 2024 코파 아메리카[7] |
DF | 로날드 아라우호 | 2024 코파 아메리카 출전 정지[8] |
DF | 브루누 멘데스 | |
MF | 조르지안 데 아라스카에타 | |
MF | 니콜라스 드 라 크루스 | |
MF | 에밀리아노 마르티네스 | |
MF | 파쿤도 베르날 | |
MF | 마르코 오로나 | |
MF | 루카스 사나브리아 | |
MF | 티아고 팔라시오스 | |
MF | 루카스 피뇨 | |
MF | 세사르 아라우호 | 2024 코파 아메리카 예비 명단[18] |
MF | 마티아스 베치노 | 국가대표팀 은퇴[19] |
MF | 로드리고 잘라자르 | |
FW | 마티아스 아발도 | |
FW | 호아킨 라베가 | |
FW | 파블로 수아레스 | |
FW | 미구엘 메렌티엘 | |
FW | 루이스 수아레스 | 국가대표팀 은퇴[24] |
FW | 아구스틴 카노비오 | 2024 코파 아메리카[25] |
FW | 브라이언 오캄포 | 2024 코파 아메리카[26] |
FW | 페데리코 비냐스 | 2024 코파 아메리카 부상으로 제외[27] |
FW | 이그나시오 라킨탄타 |
- 참고
- * INJ 부상으로 인해 제외
- * PRE 예비 명단
- * RET 국가대표팀 은퇴
- * SUS 출전 정지
- * WD 부상 이외의 사유로 인해 제외
6. 3. 홈 경기장
우루과이는 1930년부터 몬테비데오에 있는 센테나리오 경기장에서 홈 경기를 치렀다. 이 경기장은 우루과이 최초의 헌법 100주년을 기념하여 건설되었으며, 처음 완전히 개장했을 때 수용 인원은 9만 명이었다.[33] 이 경기장은 1930년 월드컵의 여러 경기를 개최했으며, 결승전에는 9만 3천 명의 관중이 경기를 관람했다.[34]6. 4. 라이벌
우루과이는 아르헨티나, 브라질과 라이벌 관계를 맺고 있다. 이 중 아르헨티나와의 경기는 '리오데라플라타 클라시코'로 불리며, 영국을 제외한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국제 더비 중 하나이다. 브라질과는 1950년 월드컵 결승전에서 만나 우루과이가 승리한 '마라카낭의 비극'으로 유명하다.6. 4. 1. 아르헨티나
아르헨티나와의 경기는 1902년 처음 시작된 "리오데라플라타 클라시코"로 불리며, 영국을 제외한 세계 축구에서 가장 오래된 국제 더비이다.[2] 두 팀은 1928년 올림픽 결승전과 1930년 첫 월드컵 결승전과 같은 역사적으로 중요한 경기에서 맞붙었다.[2] 또한 1916년부터 1967년까지 8번의 남미 선수권 대회 결승전을 치렀다.[2] 아르헨티나가 전체적인 상대 전적에서 우세하지만, 우루과이는 국제 타이틀 결정전에서 10승 1패로 더 좋은 성적을 거두었다.[2]6. 4. 2. 브라질
우루과이와 브라질의 경기는 1916년 남미 선수권 대회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두 팀은 그 이후로 여러 코파 아메리카 결승전과 상징적인 1950년 FIFA 월드컵 결승전에서 맞붙었는데, 이 경기에서 우루과이는 세계 기록적인 관중이 지켜보는 가운데 마라카낭에서 두 번째 FIFA 월드컵 우승을 차지했다.[12] 월드컵에서 두 팀이 만난 또 다른 유일한 경우는 1970년 월드컵 준결승전으로, 브라질이 과달라하라에서 3-1로 승리했다.[12] 1980년대 이후로 두 팀은 1980년 월드 챔피언스 골드컵 결승전(우루과이 승리), 그리고 1983년, 1989년, 1995년, 1999년 코파 아메리카 결승전 등 여러 결승전에서 만났다.[12] 우루과이는 1983년과 1995년 대회에서 우승했고, 브라질은 1989년과 1999년에 우승했다.[12] 또한 1990년대에는 중요한 월드컵 예선에서 브라질이 마라카낭에서 우루과이를 제치고 1994년 미국 월드컵 진출을 좌절시켰다.[12] 2000년대 이후로는 코파 아메리카와 정기적으로 열리는 월드컵 예선에서 주로 만났다.[12]참조
[1]
웹사이트
"Historia del Fútbol Uruguayo" at Deportes en Uruguay
http://www.deportese[...]
2018-06-01
[2]
웹사이트
Adiós a dos Mundiales de Uruguay: la FIFA sentencia la eterna polémica con un palmarés definitivo
https://us.marca.com[...]
2024-07-23
[3]
웹사이트
Polémica olímpica y mundial: ¿por qué Uruguay tiene cuatro estrellas en su camiseta?
https://www.espn.com[...]
2024-07-19
[4]
웹사이트
The stars that adorn La Celeste: Why Uruguay display four flourishes on their crest
https://www.fifa.com[...]
2023-02-12
[5]
웹사이트
Uruguay's 4 Stars
https://www.uruguayf[...]
2024-04-23
[6]
웹사이트
Plata en el fútbol
https://www.elgrafic[...]
[7]
웹사이트
La primera final de la Copa del Mundo
https://www.elgrafic[...]
2022-07-30
[8]
웹사이트
Historias, curiosidades y estadísticas de la Selección, tras sus "primeros" 900 partidos
https://www.elgrafic[...]
2012-07-04
[9]
웹사이트
Argentina national team archive
https://www.rsssf.or[...]
[10]
웹사이트
Uruguay - international results
https://www.rsssf.or[...]
[11]
웹사이트
Anexo:Final del Campeonato Sudamericano 1919
https://es.wikipedia[...]
2024-04-25
[12]
웹사이트
A 69 años del Maracanazo, la hazaña que nunca más será igualada
https://www.elpais.c[...]
2024-04-28
[13]
뉴스
Luis Suarez banned: Fifa hand striker record nine-game ban AND a four month football ban for biting Giorgio Chiellini in biggest ever World Cup suspension
https://www.independ[...]
The Independent
2014-06-26
[14]
뉴스
Luis Suárez banned for four months for biting in World Cup game
https://www.theguard[...]
The Guardian
2014-06-26
[15]
뉴스
FIFA Suspends and Fines Suarez for 9 Games and 4 Months After Biting Player
https://abcnews.go.c[...]
ABC News (United States)
2014-06-26
[16]
웹사이트
Luis Suárez suspended for nine matches and banned for four months from any football-related activity
https://web.archive.[...]
FIFA
2014-06-26
[17]
웹사이트
Uruguay beat ten-man Russia to win Group A
https://www.fifa.com[...]
2018-06-25
[18]
웹사이트
Uruguay beats Portugal to end Cristiano Ronaldo's World Cup run
https://www.cnn.com/[...]
2018-06-30
[19]
웹사이트
Uruguay beats Ghana in grudge rematch but is eliminated from World Cup after South Korea shocks Portugal
https://www.cnn.com/[...]
2022-12-02
[20]
웹사이트
Así ha evolucionado la camiseta de la Selección Uruguaya
http://www.marketing[...]
2018-04-11
[21]
웹사이트
La historia de la Celeste
http://www.mwfc.com.[...]
[22]
웹사이트
Origen de la camiseta celeste
http://montevideoant[...]
[23]
웹사이트
"Historical football kits: 1962 World Cup" at Historical Kits website
http://www.historica[...]
2013-05-03
[24]
웹사이트
"Camisetas alternativas", La Selección website
https://web.archive.[...]
2013-10-14
[25]
웹사이트
No doubts exist. Uruguay are four time FIFA World Champions.
https://web.archive.[...]
2020-06-12
[26]
웹사이트
FIFA InfoPlus: Early years 1924 - 1930
https://web.archive.[...]
FIFA
2020-06-12
[27]
서적
Orígenes de la Copa Mundial de la FIFA
https://web.archive.[...]
[28]
웹사이트
FIFA confirms the use of all 4 stars
https://www.elobserv[...]
2021-09-30
[29]
웹사이트
"Historias, curiosidades y estadísticas de la Selección, tras sus "primeros" 900 partidos
http://www.elgrafico[...]
2012-07-04
[30]
웹사이트
Argentina y Uruguay history
https://viejosestadi[...]
[31]
웹사이트
100 años de la camiseta celeste
https://www.elobserv[...]
2011-04-11
[32]
웹사이트
La selección uruguaya vestirá Nike en la CONMEBOL Copa América 2024 - AUF
https://www.auf.org.[...]
2024-04-13
[33]
서적
The Ball Is Round: A Global History of Soccer
https://books.google[...]
Penguin
[34]
웹사이트
FIFA World Cup Origin
http://fifaworldcup.[...]
2006-10-16
[35]
웹사이트
La Planilla
https://x.com/Urugua[...]
2024-06-27
[36]
웹사이트
Oscar Tabárez Uruguay's national team manager achieves world record
https://marcapaisuru[...]
Marcapais Uruguay
2016-11-22
[37]
웹사이트
Jugadores convocados para las Eliminatorias en Noviembre 2024
https://auf.org.uy/j[...]
2024-11-12
[38]
웹사이트
Uruguay – Record International Players
https://www.rsssf.or[...]
2016-05-28
[39]
웹사이트
Southamerican Championship 1935
https://www.rsssf.or[...]
2007-11-23
[40]
웹사이트
Games of the XXI. Olympiad – Football Qualifying Tournament
https://www.rsssf.or[...]
[41]
웹사이트
World Football Elo Ratings: Uruguay
http://eloratings.ne[...]
[42]
웹사이트
Copa Círculo de la Prensa
https://www.rsssf.or[...]
[43]
웹사이트
Copa Ministro de Relaciones Exteriores
https://www.rsssf.or[...]
[44]
웹사이트
Copa Confraternidad Rioplatense
https://www.rsssf.or[...]
[45]
웹사이트
Copa Artigas
https://www.rsssf.or[...]
[46]
웹사이트
Copa Juan Pinto Durán
https://www.rsssf.or[...]
[47]
웹사이트
La Copa Juan Parra del Riego
https://www.lr21.com[...]
LaRed21
2004-05-31
[48]
웹사이트
Copa Ministerio de Vivienda
https://www.rsssf.or[...]
[49]
웹사이트
Revisiting some of the memorable moments of the Nehru Cup
https://twocircles.n[...]
IANS
2007-08-14
[50]
웹사이트
Uruguay 2 vs 0 Inglaterra
https://www.auf.org.[...]
AUF Sitio Web Oficial
[51]
웹사이트
Miami Cup 1986
https://www.rsssf.or[...]
[52]
웹사이트
Uruguay national football team 'A' international record: Tiger Beer Challenge Trophy 2002
https://www.11v11.co[...]
11v11.com
[53]
웹사이트
Fútbol: Uruguay alza Copa 'Confraternidad Antel' ante Holanda
https://espanol.upi.[...]
UPI Español
[54]
웹사이트
"Historia del Fútbol Uruguayo" at Deportes en Uruguay
http://www.deportese[...]
[55]
웹사이트
Historias, curiosidades y estadísticas de la Selección, tras sus "primeros" 900 partidos
https://web.archive.[...]
El Gráfico
2012-07-04
[56]
웹사이트
1936年ベルリン大会予選、1976年モントリオール大会予選
http://www.rsssf.com[...]
[57]
웹사이트
決勝へ向けひとつの形が完成したウルグアイ
http://sportsnavi.ya[...]
スポーツナビ
2011-07-21
[58]
웹사이트
23年前の記憶を呼び覚ますファイナルの舞台
http://sportsnavi.ya[...]
スポーツナビ
2011-07-26
[59]
웹사이트
ウルグアイ、南米を制した偉大なチームの可能性
http://sportsnavi.ya[...]
スポーツナビ
2011-07-29
[60]
문서
2006 FIFAワールドカップ・南米予選
[61]
웹사이트
アルゼンチンが逆転突破、ウルグアイらも本戦へ…チリは敗退/W杯南米予選
https://www.soccer-k[...]
サッカーキング
2017-10-11
[62]
웹사이트
ウルグアイとバルベルデの変貌。W杯“大逆転”出場を実現させたアロンソのアイディア、タバレスのレガシー
https://www.football[...]
footballista
2022-03-29
[63]
웹사이트
ファクンド・ペリストリ(ウルグアイ):「とにかく恥知らずなプレーをする」リケルメ&フォルラン絶賛の“真珠”【W杯注目の新星⑥】
https://www.football[...]
footballista
2022-08-02
[64]
웹사이트
Se confirmó la lista de convocados para la Copa Mundial de Catar 2022
https://www.auf.org.[...]
2022-11-10
[65]
웹사이트
2度ポストに救われた韓国代表、W杯ドロー発進。ウルグアイ代表と0-0で勝ち点1奪取
https://www.goal.com[...]
2022-11-24
[66]
웹사이트
「C・ロナウドの得点と思ったから、そのように喜んだ」B・フェルナンデスが得点者で混乱生んだ先制点に言及
https://www.goal.com[...]
2022-11-29
[67]
웹사이트
韓国代表、後半ATの劇的弾でポルトガルに大金星! 勝ち点&得失点で並んだウルグアイを総得点数で上回る、3大会ぶり決勝Tへ
https://www.goal.com[...]
2022-12-03
[68]
웹사이트
ウルグアイ代表FWスアレスがW杯敗退後に判定などへの不満爆発「FIFAはいつも僕たちに反対している」
https://www.goal.com[...]
2022-12-03
[69]
뉴스
ウルグアイ代表暫定監督は日本代表の躍進に驚き「年を追うごとに飛躍的な成長」
https://web.archive.[...]
2023-03-23
[70]
웹사이트
<5分で分かるウルグアイ代表>前線は世界屈指の破壊力、充実のタレントで復権を果たした古豪
http://www.soccer-ki[...]
soccer king
2013-08-12
[71]
뉴스
【アニメ漫画キャラの魅力】プライド高き日系人ストライカー!ジャパニーズボンバー「火野竜馬」の魅力とは?
http://www.charapedi[...]
2022-01-11
[72]
뉴스
キャプテン翼 海外激闘編 IN CALCIO 日いづる国のジョカトーレ
https://mangapedia.c[...]
マンガペディア
[73]
뉴스
축구 유니폼에 새겨진 별은 뭘까?
http://sports.news.n[...]
[74]
웹인용
보관된 사본
http://es.fifa.com/m[...]
2014-06-24
[75]
문서
개최권을 브라질에게 넘겨줘서 기권했다.
[76]
문서
2002년 FIFA 월드컵, 2006년 FIFA 월드컵, 2010년 FIFA 월드컵, 2014년 FIFA 월드컵 이 네개 대회의 지역예선에서 연속으로 남미 5위를 차지해서 대륙간 플레이오프에 진출했는데 이 대회에서만 대륙간 플레이오프에서 패하고 탈락했다.
[77]
문서
적성국인 소련에서 경기가 열려 우루과이를 비롯한 자유 진영 대다수 국가들이 불참했다.
[78]
문서
모든 연령의 선수 참가에서 23세 이하로 변경
[79]
문서
모든 연령의 선수 참가에서 23세 이하로 변경
[80]
문서
모든 연령의 선수 참가에서 23세 이하로 변경
[81]
문서
모든 연령의 선수 참가에서 23세 이하로 변경
[82]
문서
모든 연령의 선수 참가에서 23세 이하로 변경
[83]
문서
모든 연령의 선수 참가에서 23세 이하로 변경
[84]
문서
모든 연령의 선수 참가에서 23세 이하로 변경
[85]
문서
모든 연령의 선수 참가에서 23세 이하로 변경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