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한 하인리히 알스테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요한 하인리히 알스테드는 1588년 미테나르에서 태어나 1638년 알바율리아에서 사망한 독일의 백과사전 편집자, 철학자, 신학자이다. 헤르본 아카데미와 마르부르크 대학교에서 교육을 받았으며, 헤르본 아카데미에서 철학과 신학 교수로 활동했다. 30년 전쟁으로 트란실바니아로 망명하여 칼뱅주의 아카데미를 설립했다. 주요 저작으로는 《백과사전》(1630)이 있으며, 이는 당시 지식을 집대성한 것으로 평가받는다. 또한 논리학과 신학 분야에서도 저술 활동을 펼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독일의 백과사전 편집자 - 아브라함 고트헬프 케스트너
아브라함 고트헬프 케스트너는 독일의 수학자, 시인, 과학 역사가로, 라이프치히 대학교에서 수학 등을 공부하고 괴팅겐 대학교의 정교수와 천문대장을 역임했으며, 《수학 기초론》과 《수학사》를 저술했다. - 독일의 백과사전 편집자 - 폴 티리 돌바크
폴 티리 돌바크는 프랑스 계몽주의 시대의 철학자로서, 무신론, 유물론, 자연주의적 세계관을 옹호하며 《백과전서》 기고, 살롱 운영, 저서 《자연의 체계》 등을 통해 당대 사회와 프랑스 혁명에 큰 영향을 미쳤다. - 트란실바니아 작센인 - 페터 마파이
루마니아 출신 독일 가수 페터 마파이는 "Du"의 성공적인 데뷔 후 독일에서 가장 성공한 아티스트 중 한 명으로, 16개의 앨범 차트 1위 기록과 4천만 장 이상의 음반 판매고를 기록했으며, "타발루가" 창작 및 뮤지컬 제작, 사회 공헌 활동 등 다방면에서 활동하고 있다. - 트란실바니아 작센인 - 미카엘 클레인
루마니아 태생의 축구 선수 미카엘 클레인은 루마니아 리그 우승 후 독일 분데스리가에서 활약했으며, 프랑스 축구 국가대표팀으로 UEFA 유로 1984 우승과 1986년 FIFA 월드컵 3위에 기여했으나 2008년 심근경색으로 사망했다. - 독일의 음악 이론가 - 고트프리트 빌헬름 라이프니츠
고트프리트 빌헬름 라이프니츠는 독일의 철학자, 수학자, 과학자, 외교관, 법학자, 도서관학자이자 언어학자로, 합리주의 철학을 대표하며 모나드론과 예정조화설을 주장했고, 미적분학을 독자적으로 발견하고 이진법을 체계화하는 등 다양한 학문 분야에 기여했다. - 독일의 음악 이론가 - 요하네스 케플러
요하네스 케플러는 행성 운동의 세 가지 법칙을 발견하여 근대 천문학과 과학 발전에 혁명적인 기여를 한 독일의 천문학자, 수학자, 점성술사이다.
요한 하인리히 알스테드 | |
---|---|
기본 정보 | |
![]() | |
출생일 | 1588년 3월 |
출생지 | 미트나르, 신성 로마 제국 |
사망일 | 1638년 11월 9일 |
사망지 | 줄라페헤르바르, 트란실바니아 공국 (1570-1711) |
영향 받은 인물 | 라몬 Llull 피터 라무스 |
영향을 준 인물 | Łyszczyński 코메니우스 |
주요 관심사 | 교육학 백과사전 저술 |
주목할 만한 작품 | Encyclopaedia Cursus Philosophici |
주목할 만한 학생 | 야노시 아파차이 체레 |
철학적 배경 | |
지역 | 서양 철학 |
시대 | 바로크 철학 |
2. 생애
요한 하인리히 알스테드는 미테나르에서 태어나 헤르본 아카데미, 마르부르크 대학교, 바젤 등지에서 교육받았다.[2] 1608년경부터 헤르본 아카데미에서 교수로 재직하다가,[2] 30년 전쟁으로 인해 트란실바니아로 망명하여 알바율리아에서 생을 마감했다.[3]
2. 1. 초기 생애와 교육
요한 하인리히 알스테드는 미테나르에서 태어났다. 그는 헤세주 헤르본 아카데미에서 요하네스 피스카토르에게 교육받았다. 1606년부터 마르부르크 대학교에서 루돌프 고클레니우스, 그레고리우스 쇤펠트, 라파엘 에글리에게 가르침을 받았다. 이듬해 바젤로 가서 레온하르트 추블러에게는 수학을, 아만두스 폴라누스 폰 폴란스도르프에게는 신학을, 요한 북스토르프에게 가르침을 받았다. 1608년경 헤르본 아카데미로 돌아가 철학과 신학 교수로 가르쳤다.[2]2. 2. 헤르본 아카데미 교수
요한 하인리히 알스테드는 헤세주에 있는 헤르본 아카데미에서 요하네스 피스카토르에게 교육을 받았다. 1608년경부터 헤르본 아카데미에서 철학과 신학 교수로 가르쳤다.[2]2. 3. 트란실바니아 망명과 죽음
알스테드는 이후 30년 전쟁으로 인해 트란실바니아로 망명했으며, 그곳에서 여생을 보냈다. 1629년, 그는 전쟁으로 황폐해진 독일을 떠나 바이센부르크(현재 루마니아의 알바율리아)로 가서 칼뱅주의 아카데미를 설립했다. 이는 트란실바니아 왕가가 유니테리언에서 칼뱅주의로 막 복귀한 상황이었으며, 알스테드와 요하네스 비스터펠트는 수준 향상을 위해 초빙된 독일인 교수였다.[3] 그곳의 학생 중에는 야노스 아파차이 체레가 있었다.[3]알스테드는 1638년 알바율리아에서 사망했다.
3. 주요 저작 및 업적
알스테드는 다작의 작가로, 그의 《백과사전》(1630)은 오랫동안 높은 명성을 누렸다. 1608년 《철학 강좌 백과사전》을 포함한 짧은 저작들이 먼저 나왔다. 1630년 《백과사전, 7권으로 나뉨》은 35권으로 나뉘었고, 48개의 개요 표와 색인이 있었다. 알스테드는 "이 삶에서 인간이 배워야 할 모든 것을 체계적으로 정리한 것"이라고 묘사했다.[5]
1610년, 알스테디우스는 자신의 백과사전 초판을 출판했다. 1630년, 그는 두 권의 대형 전판으로 훨씬 더 포괄적인 형태의 두 번째 판을 출판했는데, 이 판과 그의 《성서 백과사전(Encyclopedia Biblica)》에서 그는 전체의 기초와 자료가 성경에서 발견될 수 있음을 증명하려 했다. 처음 네 권은 논의될 다양한 주제에 대한 해설을 담고 있다. 그는 여섯 권을 어학, 열 권을 철학, 네 권을 실용적인 문제에 할애했다. 그 다음에는 신학, 법학, 의학에 관한 세 권, 기계 공학에 관한 세 권, 역사, 연대기, 잡학에 관한 다섯 권이 이어진다.[10]
알스테드는 ''논리학 체계 조화론''(1614)을 출판했다. 그는 반라무스식 백과사전을 저술하면서 자신의 논리학 개념을 인간 지식의 총체에 적용했다.[11] 이를 위해 그는 라무스식 주제 논리학에 룰리스트의 기억술을 더했는데, 이는 라무스의 원래 개념 중 하나를 뒤집은 것이었다.[12]
알스테드는 트란실바니아 시절에 쓴 저서인 『Prodromus』(1641년 인쇄, 1635년 발행)를 남겼다. 『Prodromus』는 요하네스 푈켈의 《De vera religione》에 대한 칼뱅주의적 반박이었다.[14]
3. 1. 백과사전 편집
알스테드는 "역사상 가장 중요한 백과사전 편집자 중 한 명"으로 불려왔다.[4] 그는 다작의 작가였으며, 1630년에 출간된 그의 《백과사전》은 오랫동안 높은 명성을 누렸다. 그보다 앞서 1608년의 《철학 강좌 백과사전》을 포함한 짧은 저작들이 있었다. 그의 주요 백과사전인 1630년 《백과사전, 7권으로 나뉨》은 35권으로 나뉘었고, 48개의 개요 표와 색인이 있었다. 알스테드는 이 백과사전을 "이 삶에서 인간이 배워야 할 모든 것을 체계적으로 정리한 것. 간단히 말해, 지식의 총체이다."라고 묘사했다.[5]3. 1. 1. 백과사전의 의의와 영향
알스테드는 "역사상 가장 중요한 백과사전 편집자 중 한 명"으로 불려왔다.[4] 그는 다작의 작가였으며, 1630년에 출간된 그의 《백과사전》은 오랫동안 높은 명성을 누렸다. 1608년의 《철학 강좌 백과사전》을 포함한 짧은 저작들이 그보다 앞서 출간되었다. 그의 주요 백과사전인 1630년 《백과사전, 7권으로 나뉨》은 35권으로 나뉘었고, 48개의 개요 표와 색인이 있었다. 알스테드는 이 백과사전을 "이 삶에서 인간이 배워야 할 모든 것을 체계적으로 정리한 것. 간단히 말해, 지식의 총체이다."라고 묘사했다.[5]《백과사전》은 당시 베르나르 라미와 코튼 매더로부터 칭찬을 받았으며, 알스테드의 제자인 얀 아모스 코메니우스의 저술에 영향을 미쳤다. 고트프리트 빌헬름 라이프니츠의 미완성 백과사전 프로젝트는 이를 확장하고 현대화하려는 계획으로 시작되었으며, 유명한 일기 작가 새뮤얼 페피스는 초판 발행 30년 후인 1660년에 한 부를 구입했다.[6] 야코프 토마시우스는 그것이 표절임을 비판했지만, 오거스터스 드 모건은 나중에 그것을 "모든 백과사전, 즉 논문집 또는 그 특징이 두드러지는 작품들의 진정한 조상"이라고 불렀다.[1]
《케임브리지 르네상스 철학사》는 칼뱅주의 형이상학의 맥락에서 다음과 같이 언급한다.
> "하이델베르크의 클레멘스 팀플러와 슈타인푸르트, 하이델베르크와 단치히의 바르톨로마우스 케케르만, 그리고 헤르본의 요한 하인리히 알스테드와 같은 저자들의 저작에서, 존재론이 각각의 특정 과학에 적절한 영역을 할당하는 역할을 하는, 과학 분야의 백과사전에 대한 새로운 통일된 비전이 나타났다."
페리 밀러는 《뉴 잉글랜드 마인드》에서 《백과사전》에 대해 다음과 같이 썼다.
> "그것은 실제로 유럽인의 정신이 아직 구상하거나 발견한 모든 것을 순차적이고 번호가 매겨진 단락으로 요약한 것에 지나지 않았다. 아리스토텔레스에서 제임스 1세에 이르기까지 500명 이상의 저작, 아퀴나스, 스코투스, 중세 신학, 그리고 《De Natura Rerum》과 같은 중세 과학도 포함되어 소화되고 방법론적으로 정리되었다."[8]
이것은 W. 슈미트-비게만이 편집한 4권의 팩시밀리 복제본으로 재발행되었다.[9]
3. 1. 2. Alstedius' Encyclopedia Biblica
알스테드는 "역사상 가장 중요한 백과사전 편집자 중 한 명"으로 불려왔다.[4] 1610년, 알스테디우스는 자신의 백과사전 초판을 출판했다. 1630년에는 두 권의 대형 전판으로 훨씬 더 포괄적인 형태의 두 번째 판을 출판했는데, 이 판과 그의 《성서 백과사전(Encyclopedia Biblica)》에서 그는 전체의 기초와 자료가 성경에서 발견될 수 있음을 증명하려 했다.[10]3. 2. 논리학
알스테드는 ''논리학 체계 조화론''(1614)을 출판했다. 그는 반라무스식 백과사전을 저술하면서 자신의 논리학 개념을 인간 지식의 총체에 적용했다.[11] 이를 위해 라무스식 주제 논리학에 룰리스트의 기억술을 더했는데, 이는 라무스의 원래 개념 중 하나를 뒤집은 것이었다.[12] 그는 당대에 독특한 방법론자로 명성을 얻었다. 존 프라이도는 1639년에 다음과 같이 질문했다.> 질문. 오늘날 사용되는 7가지 변증법적 방법론, 즉 1) 아리스토텔레스, 2) 룰리, 3) 라무스, 4) 케케르만 방식이든 알스테드 방식이든 간에 믹스트, 5) 오트망의 법정, 6) 예수회, 7) 소치니안은 목적보다는 처리 방식에서 주로 차이를 보이는가?
이에 대한 학생의 답변은 "예"였으며, "믹스트가 정주학파, 라무스, 룰리 등 다른 사람들보다 더 선호되어야 하는가?"라는 질문에도 "예"라고 답해야 했다.[13] "믹스트"는 아리스토텔레스와 라무스 모두의 요소를 취했다. 필리포-라무스는 멜란히톤과 라무스를 혼합했는데, 이들은 "믹스트"의 한 유형이었다. "체계론자"는 알스테드가 그랬던 것처럼 시스템에 대한 믿음으로 케케르만을 따른 "믹스트"였다.[3]
3. 3. 신학
알스테드는 트란실바니아 시절에 쓴 저서인 《Prodromus》(1641년 인쇄, 1635년 발행)를 남겼다. 《Prodromus》는 가장 영향력 있는 반삼위일체론 저서 중 하나인 요하네스 푈켈의 《De vera religione》에 대한 칼뱅주의적 반박이었다. 이 저서는 폴란드 유니테리언 운동의 지도자인 파우스토 소치니의 주장을 요약한 것이었다.[14]4. 출판 목록
- ''Clavis artis lullianae'' (1609)
- ''Panacea philosophica'' (1610)
- ''Metaphysica, tribus libris tractata'' (1613)
- ''https://books.google.com/books?id=Zy9mAAAAcAAJ Methodus admirandorum mathematicorum completens novem libris matheseos universae'' (1613, 헤르보르나에 나소비아룸)
- ''Logicae Systema Harmonicum'' (1614)
- ''Theologia naturalis'' (1615)
- ''Cursus Philosophici Encyclopediae Libris XXVII'' (1620)
- ''Methodus sacrosanctae theologiae octo libris tradita in Quorum'' (하나우)
- ''Encyclopaedia septem tomis distincta: 1. Praecognita disciplinarum; 2. Philologia; 3. Philosophia theoretica; 4. Philosophia practica; 5. Tres superiores facultates; 6. Artes mechanicae; 7. Farragines disciplinarum'' (1630)
- ''Templum musicum'' (1664), 93쪽.
참조
[1]
문서
Budget of Paradoxes/O
https://en.wikisourc[...]
[2]
웹사이트
Scholasticon page
http://www.scholasti[...]
2011-08-24
[3]
웹사이트
Apaczai biography
http://www.gap-syste[...]
Gap-system.org
2012-03-09
[4]
웹사이트
Johann Heinrich Alsted (1588–1638)
http://magyar-irodal[...]
Magyar-irodalom.elte.hu
2012-03-15
[5]
서적
A Neglected Educator: Johann Heinrich Alsted
W. A. Gullick
[6]
서적
Literature and Encyclopedism in Enlightenment Britain: the Pursuit of Complete Knowledge
Palgrave Macmillan
[7]
EB1911
Encyclopaedia
[8]
문서
The New England Mind: The Seventeenth Century
Harvard
[9]
웹사이트
frommann-holzboog
http://www.frommann-[...]
Frommann-holzboog.de
2012-03-09
[10]
서적
Proceedings of the Liverpool Literary and Philosophical Society: volumes 6-7
https://books.google[...]
Literary and Philosophical Society of Liverpool
[11]
Google books
Ong, p. 299.
[12]
서적
Samuel Hartlib and Universal Reformation: Studies in Intellectual Communication
https://books.google[...]
[13]
웹사이트
Logic And Rhetoric In England 1500 1700
https://archive.org/[...]
Russell & Russell
2012-03-09
[14]
서적
Paradise postponed. Johann Heinrich Alsted and the Birth of Calvinist Millenarianism
Dordrecht
[15]
서적
Samuel Hartlib and Universal Reformation: Studies in Intellectual Communication
https://books.google[...]
[16]
웹사이트
Open Library
https://openlibrary.[...]
Open Library
2012-03-09
[17]
문서
Rossi, p. 89.
[18]
문서
Rossi, p. 131.
[19]
문서
Rossi, p. 55.
[20]
서적
The Reformed Objection to Natural Theology
https://books.googl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