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학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신학은 유일신을 믿는 종교에서 신에 대해 논리적으로 추론하는 학문으로, 종교 전통의 주장에 헌신하는 반면 종교학은 종교 전통의 참/거짓 문제를 다루지 않는다는 점에서 구분된다. 어원은 그리스어 'theos'(신)와 'logia'(말, 담론)의 합성어 'theologia'에서 유래했다. 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는 신학을 철학의 한 분야로 보았으며, 기독교 신학은 성경과 기독교 전통을 중심으로 연구한다. 유대교, 이슬람교, 힌두교, 불교, 신도 등 다양한 종교에서도 신학이 존재하며, 학문적 신학은 고등 교육 기관에서 오랫동안 연구되어 왔다. 그러나 신학은 불가지론, 비판, 무의미함 등의 이유로 비판을 받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종교학 - 비교종교학
비교종교학은 세계 여러 종교의 역사, 교리, 의례, 실천 등을 비교 연구하는 학문으로, 고대부터 발전해 왔으며 이슬람 황금시대 학자들의 종교 다원주의 연구 기여와 19세기 사회 과학자들의 관심, 그리고 종교 현상을 특정 틀에 맞추려는 경향에 대한 비판적 시각을 포함한다. - 종교학 - 주신
주신은 각 문화권과 종교에서 가장 높은 권위를 가지는 신을 지칭하며, 세계 창조, 질서 유지, 인간의 운명 관장 등 다양한 권능을 행사하는 최고신으로 숭배받는다. - 신학 - 언약신학
언약신학은 창조, 타락, 구원, 종말에 걸쳐 하나님과 인간의 관계를 언약(계약)이라는 관점에서 이해하는 신학 체계로, 행위 언약, 속죄 언약, 은혜 언약 등을 통해 하나님의 구원 계획을 설명하며 개혁파 신학의 핵심 요소로 간주된다. - 신학 - 성령
성령은 기독교 삼위일체 중 한 위격으로, 구원의 은총을 사람에게 적용하며, 신자에게 영적 은사와 능력을 부여하여 예수 그리스도를 믿게 하는 역할을 한다.
신학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학문 분야 | 종교 |
주요 연구 대상 | 신 |
개요 | |
정의 | 신과 종교적 믿음에 대한 연구 |
어원 | "θεολογια" (그리스어) θεος (그리스어, "신") λογος (그리스어, "학문", "말") |
관련 학문 | |
관련 학문 | 종교학 |
2. 정의
신학(神學, 시올로지/theology영어)이라는 용어는 유일신을 믿는 종교에 더 적합하며, 그 신에 대해 논리적으로 추론할 수 있다는 믿음을 전제한다.[25] 외젠 고블레 달비에야는 '신성학(Hierology)'을 대안으로 제시하기도 했다.[25] 현대에는 신학이 연구 대상인 종교 전통 주장에 헌신하는 반면, 종교학은 종교 전통의 참/거짓 문제를 그 분야 밖에 두어야 한다는 점에서 구분된다.[76] 종교학은 종교인류학, 비교종교학, 종교사, 종교철학, 종교심리학, 종교사회학 등을 포함한다.[76] 신학과 종교학은 긴장 관계에 있거나,[77] 긴장 없이 공존하기도 하며,[78] 경계가 불분명하다는 의견도 있다.[79]
신학(Theology)이라는 용어는 그리스어 ''theologia'' (θεολογία)에서 유래하는데, 이는 ''theos'' (Θεός, '신')와 ''logia'' (λογία, '말, 담론, 예언')의 결합어이다.[9] '로기아'(logia)는 그리스어 ''logos'' (λόγος, '말, 담론, 설명, 추론')와 관련이 있다.[10] 이 용어는 라틴어 테올로기아/theologiala를 거쳐 프랑스어 테올로지/théologie프랑스어가 되었고, 최종적으로 영어 ''theology''가 되었다.
플라톤은 그의 저서 ''국가''에서 '신에 대한 담론'이라는 의미로 '테올로기아'(θεολογία)를 사용했다.[12] 아리스토텔레스는 이론 철학을 ''수학'', ''자연학'', 그리고 ''신학''으로 나누었는데, 여기서 신학은 형이상학에 해당하며 신의 본성에 대한 담론을 포함했다.[13]
일본의 사상사 연구에서는 신학을 기독교 신학을 가리키는 데 사용하지만, 다른 종교의 신학을 부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슬람교 신학 등 다른 종교 신학은 종교명을 붙여 구분한다. 신도에서는 마노 도키츠나의 『고금신학류편』처럼 에도 시대부터 사용되었으나, 현대 신도에서는 '교학'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불교에서는 '종학'이나 '교학'이 사용된다.
방법론적으로는 철학과 거의 동일하며, 철학의 한 분야로 간주되기도 한다. 그러나 토마스 아퀴나스는 신학이 이성에 기반하지 않은 신앙을 전제한다는 점에서 철학과 다르다고 보았다.
기독교 신학과의 차이에 대해서는, 대상은 같지만 접근 방법이 다르다는 의견과 본질적인 차이가 없다는 의견이 있다.[97] 특정 신학자의 이름을 붙여 「칼 바르트 신학」 등으로 사용하거나, 자유주의 신학처럼 사상명을 붙여 사용하기도 한다.
3. 어원
여러 변형(예: ''theologie'', ''teologye'')을 거쳐 영어 ''theology''는 1362년경 현재의 형태로 변화했다.[11] 영어에서 이 단어가 가지는 의미는, 라틴어와 그리스어에 해당하는 단어가 교부 시대와 중세 기독교 용례에서 얻은 의미에 크게 좌우되지만, 영어 용어는 이제 기독교적 맥락을 넘어 확장되었다.
4. 역사
그리스 스토아 학파의 자료를 바탕으로 라틴 작가 바로는 신에 대한 담론을 세 가지 형태로 구분했다.[14] 첫째는 그리스 신들의 신화에 관한 것이고, 둘째는 신들과 우주론에 대한 철학적 분석이며, 셋째는 공공 종교 의식의 의례와 의무에 관한 것이다.
테르툴리아누스와 히포의 아우구스티누스 같은 일부 라틴계 기독교 저술가들은 바로의 3가지 용법을 따랐다.[14][15] 아우구스티누스는 신학을 "신에 관한 추론이나 논의"로 정의했다.[16] 6세기 초 라틴 작가 보에티우스는 신학을 철학의 하위 분류로 사용했는데, 이는 움직이지 않고 비물질적인 현실을 다루는 것이었다.[17] 보에티우스의 정의는 중세 라틴어 용법에 영향을 미쳤다.[18]
교부 시대 기독교 자료에서 신학은 좁은 의미로 신의 본질에 대한 경건하고 영감받은 지식과 가르침을 가리켰다.[19] 스콜라 철학에서 이 용어는 기독교 교리에 대한 합리적인 연구, 또는 성경과 신학적 전통의 일관성과 함의를 조사하는 학문 분야를 의미하게 되었다. 르네상스 시대에는 '시적 신학'과 '계시된 신학'의 구분이 철학의 부흥을 위한 디딤돌 역할을 했다.
17세기부터 '신학(theology)'은 기독교와 관련이 없거나 다른 종교의 사상과 가르침을 연구하는 데 사용되기 시작했다.[22] 예를 들어, 특정 기독교 계시와 무관하게 자연적 사실로부터 추론하여 신학을 의미하는 자연 신학이라는 용어가 사용되었다.[22] 또한, '신학'은 "이론적 원칙의 체계; (비실용적이거나 엄격한) 이데올로기"를 의미하는 파생적인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23][24] 19세기 초, 독일 등 유럽의 계몽주의 시대에 기독교 신학의 탁월한 지위가 도전을 받았다. 다른 학문 분야의 독립성과 명성이 높아지면서, 특정 종교 전통의 권위에 대한 헌신을 포함하는 신학의 위치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었다.
4. 1. 고대 철학
플라톤은 그의 저서 ''국가''에서 '신에 대한 담론'이라는 의미로 '테올로기아'(θεολογία)를 사용했다.[12] 아리스토텔레스는 이론 철학을 ''수학'', ''자연학'', 그리고 ''신학''으로 나누었는데, 여기서 신학은 형이상학에 해당하며 신의 본성에 대한 담론을 포함했다.[13]
그리스 스토아 학파의 자료를 바탕으로 라틴 작가 바로는 신에 대한 담론을 세 가지 형태로 구분했다.[14] 첫째는 그리스 신들의 신화에 관한 것이고, 둘째는 신들과 우주론에 대한 철학적 분석이며, 셋째는 공공 종교 의식의 의례와 의무에 관한 것이다.
4. 2. 기독교 신학의 발전
테르툴리아누스와 히포의 아우구스티누스 같은 일부 라틴계 기독교 저술가들은 바로의 3가지 용법을 따랐다.[14][15] 아우구스티누스는 신학을 "신에 관한 추론이나 논의"로 정의했다.[16] 6세기 초 라틴 작가 보에티우스는 신학을 철학의 하위 분류로 사용했는데, 이는 움직이지 않고 비물질적인 현실을 다루는 것이었다.[17] 보에티우스의 정의는 중세 라틴어 용법에 영향을 미쳤다.[18]
교부 시대 기독교 자료에서 신학은 좁은 의미로 신의 본질에 대한 경건하고 영감받은 지식과 가르침을 가리켰다.[19] 스콜라 철학에서 이 용어는 기독교 교리에 대한 합리적인 연구, 또는 성경과 신학적 전통의 일관성과 함의를 조사하는 학문 분야를 의미하게 되었다. 르네상스 시대에는 '시적 신학'과 '계시된 신학'의 구분이 철학의 부흥을 위한 디딤돌 역할을 했다.
4. 3. 근대 이후
17세기부터 '신학(theology)'은 기독교와 관련이 없거나 다른 종교의 사상과 가르침을 연구하는 데 사용되기 시작했다.[22] 예를 들어, 특정 기독교 계시와 무관하게 자연적 사실로부터 추론하여 신학을 의미하는 자연 신학이라는 용어가 사용되었다.[22] 또한, '신학'은 "이론적 원칙의 체계; (비실용적이거나 엄격한) 이데올로기"를 의미하는 파생적인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23][24] 19세기 초, 독일 등 유럽의 계몽주의 시대에 기독교 신학의 탁월한 지위가 도전을 받았다. 다른 학문 분야의 독립성과 명성이 높아지면서, 특정 종교 전통의 권위에 대한 헌신을 포함하는 신학의 위치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었다.
5. 종교별 신학
5. 1. 기독교 신학
'''신학'''은 신을 뜻하는 "Θεο(theo)"와 학문을 뜻하는 "λογία(logy)"의 합성어다. 좁은 의미로는 예수 그리스도에 대한 연구를 의미한다. 기독교 신학은 예수 그리스도에 대한 연구를 중심으로, 구약 성경과 신약 성경의 본문과 기독교 전통에 초점을 맞춘다.[99] 기독교 신학자들은 성서 해석학, 이성적 분석 및 논증을 사용한다. 신학은 기독교 교리에 대한 이해를 높이거나, 기독교와 다른 전통 간의 비교를 하거나, 기독교에 대한 반론과 비판에 대응하거나, 기독교 교회의 개혁을 촉진하거나, 기독교의 전파를 지원하는 등 다양한 목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토마스 아퀴나스는 신학을 하느님이 가르치시는 것, 하느님을 가르치는 것, 그리고 하느님께로 인도하는 것이라고 정의했다.[26]
교파에 따라 개신교 신학, 로마 가톨릭 신학, 정교회 신학, 성공회 신학 등으로 나뉜다. 일반적으로 그리스도교 신학은 구약신학, 신약신학, 조직신학, 역사신학, 실천신학, 선교신학, 그리스도교 상담학 등으로 세분화된다.
5. 2. 유대교 신학
유대교 신학은 역사적으로 전문 학문 기관보다는 유대교 공동체와 회당을 중심으로 발달해 왔다. 유대교 신학이 그리스도교 신학이나 이슬람교 신학에 미친 영향은 적지 않다. 그러나, 그리스도교 신학에 대응될 만한 유대교 신학은 주로 할라카와 미드라쉬에 대한 랍비들의 논의와 주석으로 이루어진다고 볼 수 있다.
유대교 신학에서 정치적 권위의 역사적 부재는 대부분의 신학적 성찰이 유대 공동체와 회당의 맥락에서, 랍비들의 유대법 및 미드라시(랍비 성서 주석) 논의를 통해 이루어졌음을 의미한다. 유대교 신학은 다른 종교의 신학과 마찬가지로 윤리와도 관련이 있으며, 따라서 어떻게 행동해야 하는지에 대한 함의를 갖는다.[29][30] 주요 신학자로는 마이모니데스, 아브라함 J. 헤셸 등이 있으며, 탈무드와 카발라가 주요 주제이다.
5. 3. 이슬람교 신학
이슬람교에서 기독교의 신학에 견줄 만한 학문적 논의를 가리키는 용어는 "칼람(Kalam)"이다. 그러나 이슬람교에서 칼람은 그리스도교에서 신학이 차지하는 위치에 비해 그 역할이 작은 편이다. 일부 이슬람 신학자들은 그리스도교 신학의 발달에 특기할 만한 영향을 미쳤다.[27]
기독교 신학 논의와 유사한 이슬람 신학 논의는 ''칼람(Kalam)''이라고 불린다. 기독교 신학 논의에 상응하는 이슬람의 것은 ''샤리아(Sharia)'' 또는 ''피크흐(Fiqh)''의 조사와 설명이 더 적절할 것이다.[27] 칼람(Kalam)...은 기독교에서 신학이 차지하는 주요한 위치를 이슬람 사상에서 차지하지 않는다. 기독교적 의미에서 '신학'에 해당하는 것을 찾으려면 여러 학문과 우술 알-피크흐(usul al-fiqh)뿐만 아니라 칼람(kalam)에도 의존해야 한다.[27]
독일의 일부 대학교에서는 이슬람 신학과를 설립했다.[28]
5. 4. 힌두교 신학
힌두교 철학 내에는 우주의 본성, 신(브라흐만, 파라마트만, 이슈바라, 바가반으로 불림), 아트만(영혼)에 대한 다양한 철학적 사색 전통이 존재한다.[33] 힌두 철학의 여러 학파를 가리키는 산스크리트어 단어는 ''다르샤나''('관점, 견해')이며,[33] 현대 힌두교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학파는 베단타와 그 다양한 하위 학파들로, 각각 이슈바라(최고의 주, 신)에 대한 서로 다른 이론을 제시한다.[33]바이슈나바 신학은 수 세기 동안 인도의 많은 신자, 철학자, 학자들의 연구 대상이 되어 왔다. 연구의 상당 부분은 수천 명의 신과 그들의 여러 모습을 분류하고 체계화하는 데 있다.[33] 최근 수십 년 동안 옥스퍼드 힌두 연구 센터(Oxford Centre for Hindu Studies)와 쁘악티베단타 대학(Bhaktivedanta College)과 같은 유럽의 여러 학술 기관에서도 힌두교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33] 샤이바교의 다양한 신학(이원론적 및 비이원론적 경향 포함)뿐만 아니라 궁극적인 존재로 여성 신을 설정하는 여신 중심의 샤크타 전통을 포함한 다른 힌두 신학 전통도 존재한다.
5. 5. 불교 신학
불교 내 일부 학문적 연구는 불교가 ‘테오스’ 또는 창조주 신에 대한 동일한 개념이 부족하기 때문에 “불교 신학”이라는 용어보다 “불교 철학”이라는 명칭을 선호한다.[31] 호세 이그나시오 카베손은 “신학을 어원적 의미로 제한하지 않기 때문”에 “신학”이라는 용어의 사용이 사실 적절하다고 주장한다.[31] 그는 불교가 신의 개념을 거부하는 무신론적이라고 말한다.[31]붓다성과 궁극적 실재/최고 형태의 신성의 본성에 대한 다양한 불교 이론과 논의가 있으며, 이는 루이 드 라 발레 푸생과 같은 일부 학자들에 의해 "붓다학"이라고 불린다.[32] 대승불교에서 붓다학의 중심 개념은 삼신(산스크리트어:트리캬아/त्रिकायsa)[32] 교리이다. 이 교리는 모든 대승불교 전통에서 공유된다.
5. 6. 신도
일본에서 '신학'이라는 용어는 마노 도키츠나의 『고금신학류편』 출판과 함께 에도 시대부터 신도에 적용되어 왔다. 현대에는 신도뿐만 아니라 불교 신앙 연구를 나타내는 다른 용어들, 예를 들어 교학(교가쿠/教学일본어)과 종학(슈가쿠/宗学일본어)이 사용된다. 현대 신도에서는 '교학'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5. 7. 현대 이교
영국의 학자 그레이엄 하비는 이교도들이 "신학에 대해 논의하는 경우가 드물다"고 언급했다.[34] 그럼에도 불구하고, 신학은 위카, 헤이덴리즘, 드루이드교 및 케메티즘을 포함한 현대 이교 공동체의 일부 부문에서 적용되어 왔다. 이러한 종교들은 정교행위를 우선시했기 때문에, 신학적 견해는 신봉자들 사이에서 종종 다양하다. 크리스틴 크레이머는 저서 ''신비를 찾아서: 이교 신학 소개''에서, 그리고 마이클 요크는 ''이교 신학: 세계 종교로서의 이교''에서 이 용어를 사용했다.6. 학문적 신학
6. 1. 역사
고등 교육 기관에서 신학 연구의 역사는 기관 자체의 역사만큼 오래되었다. 탁실라는 기원전 6세기 또는 그 이전부터 베다 학문의 초기 중심지였고,[37][38] 기원전 4세기에 설립된 플라톤 학원은 신학적 주제를 포함했던 것으로 보인다.[39] 기원전 2세기부터 중국의 태학은 유교 교육을 제공했고,[40] 니시비스 학파는 서기 4세기부터 기독교 교육의 중심지였다.[41][42] 인도의 날란다는 적어도 서기 5세기 또는 6세기부터 불교 고등 교육의 장소였으며,[38] 10세기부터 모로코의 알카라위인 대학교와[43] 카이로의 알아즈하르 대학교는 이슬람 학문의 중심지였다.[44]최초의 대학교들은 라틴 교회의 후원 아래 스투디움 게네랄리아로서, 그리고 아마도 대성당학교에서 교황령에 의해 발전되었다. 파리 대학교를 제외하고는 대성당학교가 대학교로 발전하는 것은 매우 드물었다.[45] 나중에는 왕들( 나폴리 프리드리히 2세 대학교, 프라하 카를 대학교, 크라쿠프 야기엘로니안 대학교)이나 지방 자치 단체( 쾰른 대학교, 에르푸르트 대학교)에 의해서도 설립되었다. 중세 초기에는 대부분의 새로운 대학교가 기존 학교에서 설립되었는데, 이 학교들이 주로 고등 교육의 장소가 되었을 때였다. 많은 역사가들은 대학교와 대성당학교가 수도원에서 장려한 학문에 대한 관심의 연속이었다고 말한다.[46]
기독교 신학 학문은 교회법 연구와 마찬가지로 이러한 기관의 구성 요소였다. 대학교는 교회 직무를 위한 사람들을 훈련하고, 교회가 그 가르침의 명확화와 옹호를 추구하는 데 도움을 주고, 세속 통치자에 대한 교회의 법적 권리를 옹호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47] 그러한 대학교에서 신학 연구는 처음에는 신앙과 교회의 삶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설교, 기도 및 미사의 축하 관행에 영향을 주고받았다.[48] 고중세 시대에는 신학이 "과학의 여왕"으로 불리며 대학교에서 궁극적인 과목이었고, 삼학과 사학의 정점 역할을 했다. 즉, 철학을 포함한 다른 과목은 주로 신학적 사고에 도움이 되기 위해 존재했다.[49]
이러한 맥락에서 서구 기독교의 중세 신학은 나중에 더 자급자족하게 될 연구 분야, 예를 들어 형이상학(아리스토텔레스의 "제1철학",[50][51] 또는 존재론(존재의 과학)을 포함할 수 있었다.[52][53]
대학교에서 기독교 신학의 탁월한 지위는 특히 독일에서 유럽의 계몽 시대 동안 도전을 받기 시작했다.[54] 다른 과목들은 독립성과 명성을 얻었고, 점점 더 독립적인 이성에 전념하는 것으로 이해되는 기관에서 특정 종교 전통의 권위에 대한 헌신을 포함하는 것으로 보이는 학문의 위치에 대한 질문이 제기되었다.[55] 19세기 초 이후로 서구에서는 학문적 학문으로서 신학에 대한 다양한 접근 방식이 등장했다. 대학교 또는 일반 고등 교육 과정에서 신학의 위치에 관한 많은 논쟁은 신학의 방법이 적절하게 이론적이고 (대체로) 과학적인지, 또는 신학이 실무자에 의한 신앙의 사전 약속을 필요로 하는지, 그리고 그러한 약속이 학문의 자유와 상충하는지 여부를 중심으로 한다.[54][56][57][58]
6. 2. 현대적 접근 방식
6. 3. 목회 훈련
신학은 기독교 목회를 위한 전문 교육의 한 형태로 여겨져 왔다. 프리드리히 슐라이어마허는 이러한 이유로 1810년 베를린 대학교에 신학과를 포함시킬 것을 주장했다.[59][54]독일의 국립 대학교 신학부는 일반적으로 프로테스탄트 또는 로마 가톨릭과 같은 특정 교파와 연계되어 있으며, 교파에 얽매인 ''(konfessionsgebunden)'' 학위를 수여한다. 교수진 중에는 교파에 얽매인 공직을 가진 사람들이 있으며, "기독교 지식의 발전과 성장에 기여"하는 것 외에도 "독일 학교의 미래 성직자와 종교 교육 교사를 위한 학술 교육을 제공"한다.[60]
미국에서는 하버드 대학교,[61] 조지타운 대학교,[62] 보스턴 대학교, 예일 대학교,[63] 듀크 대학교,[64] 프린스턴 대학교[65] 등 여러 저명한 대학들이 성직자 신학 교육을 주요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신학교와 성서 대학은 신학의 학문적 연구와 기독교 목회를 위한 훈련을 연합해왔다. 미국의 피닉스 신학교, 시카고의 가톨릭 신학 연합,[66] 버클리의 대학원 신학 연합,[67] 달라스의 크리스웰 대학교,[68] 루이빌의 남침례교 신학교,[69] 일리노이주 디어필드의 트리니티 복음 신학교,[70] 달라스 신학교,[71] 텍사스주 파머스 브랜치의 노스 텍사스 컬리지엣 인스티튜트,[72] 그리고 미주리주 스프링필드의 오순절 신학교 등이 그 예이다. 유일한 유대 기독교 신학교는 콜로라도 주 덴버에 있는 콜로라도 유대인 대학교의 일부인 '아이다호 메시아 성서 신학교'이다.[73]
6. 4. 독립 학문 분야
어떤 맥락에서는 학자들이 특정 교회와 공식적으로 연관되지 않고, 목회 훈련에 초점을 맞추지 않고 신학을 학문 분야로 추구하기도 한다.[74][75] 예를 들어, 캐나다의 콘코디아 대학교 신학 연구과와 영국의 많은 대학교 학과들(예: 케임브리지 대학교 신학부, 엑서터 대학교 신학 및 종교학과, 리즈 대학교 신학 및 종교학과)에서 이러한 경향이 나타난다. 애버딘 대학교의 럼스덴 삭스 펠로우십과 같은 전통적인 학술상은 신학과 종교학 분야의 성과를 인정하는 경향이 있다.6. 5. 종교학과의 관계
일부 현대적 맥락에서는 신학(theology)과 종교학(religious studies)을 구분하는데, 신학은 연구 대상인 종교 전통의 주장에 어느 정도 수준의 헌신을 포함하는 것으로 간주되는 반면, 종교학은 연구 대상인 종교 전통의 참과 거짓 문제를 그 분야 밖에 두어야 한다는 것을 일반적으로 요구하는 것으로 여겨진다.[76] 종교학은 역사적 또는 현대적 실천이나 그러한 전통의 사상을 특정 종교 전통에 국한되지 않고 일반적으로 중립적이거나 세속적인 것으로 이해되는 지적 도구와 틀을 사용하여 연구하는 것을 포함한다.[76] 이러한 의미에서 '종교학'이 중점이 되는 맥락에서는 종교인류학, 비교종교학, 종교사, 종교철학, 종교심리학, 종교사회학 등이 주요 연구 형태이다.때때로 신학과 종교학은 긴장 관계에 있는 것으로 여겨지고,[77] 다른 때에는 심각한 긴장 없이 공존하는 것으로 여겨진다.[78] 때로는 그 사이에 명확한 경계가 있다는 것을 부정하기도 한다.[79]
7. 비판
신성에 대한 이성적인 논의 가능성은 오랫동안 논쟁의 대상이었다.[80][81] 기원전 5세기경, 프로타고라스는 신의 존재에 대해 불가지론적인 이유로 아테네에서 추방당했다.[80][81] 그는 "신들에 관해서는 그들이 존재하는지, 존재하지 않는지, 어떤 형태를 갖고 있는지 알 수 없습니다. 알 수 없게 만드는 것이 너무 많기 때문입니다. 즉, '주제의 불투명성'과 인간 수명의 짧음 때문입니다."라고 말했다.[80][81]
적어도 18세기 이후로, 여러 저자들이 신학을 학문 분야로서 비판해왔다.[82] 1772년, 돌바흐 남작(Baron d'Holbach)은 그의 저서 ''르 봉 상스(Le Bon sens)''에서 신학을 "인간 이성에 대한 지속적인 모욕"이라고 규정했다.[82] 볼링브룩 경은 그의 저서 ''인간 지식에 관한 에세이(Essays on Human Knowledge)'' 제4절에서 "잘못된 것은 신학이지 종교가 아닙니다. 신학은 판도라의 상자에 비유할 수 있는 학문입니다. 많은 좋은 것들이 가장 위에 있지만, 그 아래에는 많은 악이 잠재해 있으며, 전 세계에 재앙과 황폐를 퍼뜨립니다."라고 썼다.[83]
토머스 페인(Thomas Paine)은 그의 3부작 저서 ''이성시대(The Age of Reason)''(1794, 1795, 1807)에서 "기독교 교회에서 존재하는 신학 연구는 아무것도 아닙니다. 그것은 아무것에도 근거하지 않으며, 어떤 원칙에도 의존하지 않고, 어떤 권위에도 따르지 않으며, 아무런 자료도 없고, 아무것도 증명할 수 없으며, 어떤 결론도 도출할 수 없습니다."라고 썼다.[84] 루트비히 파이어바흐(Ludwig Feuerbach)는 그의 저서 ''미래 철학의 원리(Principles of the Philosophy of the Future)''에서 "근대의 과제는 신의 실현과 인간화, 즉 신학의 인류학으로의 변형과 해체입니다."라며 신학을 해체하려고 시도했다.[85] 그는 ''기독교의 본질(The Essence of Christianity)''(1841)에서 신학을 "모순과 망상의 그물"이라고 칭했다.[86]
마크 트웨인(Mark Twain)은 1896년경에 쓰여졌지만 1910년에야 출판된 그의 에세이 "가장 낮은 동물(The Lowest Animal)"에서 "[인간]은 이웃 사랑을 실천하면서도 신학이 다르다는 이유로 이웃의 목을 끊는 유일한 동물입니다. 그는 형제의 행복과 천국으로 가는 길을 닦기 위해 최선을 다했지만, 지구를 묘지로 만들었습니다.... 고등 동물에게는 종교가 없습니다. 그리고 우리는 그들이 내세에서 제외될 것이라고 말합니다. 왜 그럴까요? 의문스러운 취향인 것 같습니다."라고 말했다.[87][88]
A. J. 에이어는 그의 에세이 "윤리와 신학 비판"에서 신에 대한 모든 진술은 무의미하며 신의 속성은 증명할 수 없다는 것을 보이려고 했다. 그는 "현재 일반적으로, 적어도 철학자들 사이에서는 비-애니미즘 종교의 신을 정의하는 속성을 가진 존재의 존재를 증명적으로 증명할 수 없다는 것이 받아들여지고 있다… 신의 본성에 대한 모든 발언은 무의미하다."라고 썼다.[89]
월터 카우프만(Walter Kaufmann)은 그의 에세이 "신학에 반대하여"에서 일반적인 종교와 신학을 구별하려고 했다.[90] 그는 "신학은 종교가 아니며, 많은 종교는 강조적으로 반신학적이다… 따라서 신학에 대한 공격은 반드시 종교에 대한 공격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종교는 비신학적이거나 심지어 반신학적일 수 있으며, 종종 그래왔다."라고 했다.[90] 그러나 카우프만은 "기독교는 불가피하게 신학적인 종교"라고 생각했다.[90]
찰스 브래들로(Charles Bradlaugh)는 신학이 인간이 자유를 얻는 것을 막는다고 믿었지만,[91] 당시 많은 신학자들이 현대 과학 연구가 성경과 모순되기 때문에 성경이 잘못된 것이라고 주장했다는 점을 지적했다.[92] 로버트 G. 잉거솔(Robert G. Ingersoll)은 신학자들이 권력을 가지고 있을 때 대다수의 사람들이 오두막에서 살았고, 특권층 소수만이 궁전과 대성당을 가지고 있었다고 말했다. 잉거솔의 의견으로는, 사람들의 삶을 개선한 것은 과학이지 신학이 아니었다. 잉거솔은 또한 훈련받은 신학자들이 악마의 그림이 악마와 너무 똑같기 때문에 악마가 반드시 존재해야 한다고 가정하는 사람보다 더 잘 추론하지 않는다고 주장했다.[93]
진화 생물학자 리처드 도킨스(Richard Dawkins)는 신학에 대해 공개적으로 비판해왔다.[82][94] 1993년 ''인디펜던트''에 발표된 기사에서 그는 신학을 "나는 그들[즉, 신학자들] 중 어느 누구도 가장 작은 유용한 말, 뻔한 진부한 말이나 명백히 거짓된 말이 아닌 것을 한 적이 없다"라고 하며, 현실의 본질이나 인간의 조건에 대한 어떤 질문에도 완전히 그리고 반복적으로 답하는 데 실패했다고 비판했다.[94] 그는 모든 신학이 지구상에서 완전히 근절되더라도 아무도 알아차리지 못하거나 신경 쓰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94]
참조
[1]
웹사이트
theology
http://wordnetweb.pr[...]
Wordnetweb.princeton.edu
2012-11-11
[2]
서적
Faith Seeking Understanding: An Introduction to Christian Theology
Eerdmans
2004
[3]
간행물
Toward a Jewish Theology of Christianity
1995
[4]
서적
Anglicanism, the Answer to Modernity
Continuum
2003
[5]
서적
Why Christianity Must Change or Die
Harper Collins
2001
[6]
서적
Freedom and Creation in Three Traditions
University of Notre Dame Press
1994
[7]
서적
Crime
Society for Promoting Christian Knowledge
2004
[8]
서적
The Body Divine: The Symbol of the Body in the Works of Teilhard de Chardin and Ramanuja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2
[9]
서적
A Greek–English Lexicon of the New Testament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79
[10]
서적
Ἡ ἔννοια τῶν ὅρων 'Θεολογία', 'Θεολογεῖν', 'Θεολόγος', ἐν τῇ διδασκαλίᾳ τῶν Ἑλλήνων Πατέρων καί Ἐκκλησιαστικῶν συγγραφέων μέχρι καί τῶν Καππαδοκῶν
2016
[11]
문서
Piers Plowman
[12]
서적
The Republic of Plato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02
[13]
서적
Metaphysics
[14]
서적
City of God
[15]
서적
Ad Nationes
[16]
서적
City of God
[17]
웹사이트
Boethius, On the Holy Trinity
http://pvspade.com/L[...]
2012-11-11
[18]
서적
Old Arts and New Theology: The Beginnings of Theology as an Academic Discipline
Clarendon Press
1980
[19]
서적
Saint Gregory of Nazianzus: An Intellectual Biography
St. Vladimir's Seminary Press
2001
[20]
사전
Theology
Oxford English Dictionary
[21]
서적
Systematic Theology
1871
[22]
사전
Oxford English Dictionary
[23]
사전
Oxford English Dictionary
1989
[24]
뉴스
The 'theological' approach to Soviet Marxism...proves in the long run unsatisfactory
Times Literary Supplement
1959-06-05
[25]
서적
Independence and Exegesis: The Study of Early Christianity in the Work of Alfred Loisy (1857–1940), Charles Guignebert (1857 [i.e. 1867]–1939), and Maurice Goguel (1880–1955)
Mohr Siebeck
1983
[26]
서적
A Little Book for New Theologians. Why and How to Study Theology
https://books.google[...]
InterVarsity Press
2012
[27]
백과사전
Ilm al-kalam
Koninklijke Brill NV
1999
[28]
웹사이트
Speech by State Secretary Dr Markus Kerber at the official opening ceremony for the Islamkolleg Deutschland
https://www.deutsche[...]
2023-01-31
[29]
팟캐스트
God and Gender – Rachel Adler
2018-10-05
[30]
간행물
A Call for Jewish Theology
1999
[31]
서적
Buddhist Theology in the Academy
Routledge
1999
[32]
간행물
XXXI. Studies in Buddhist Dogma. The Three Bodies of a Buddha (Trikāya).
1906
[33]
서적
The Hare Krishna Movement: Forty Years of Chant and Change
I.B. Tauris
2006
[34]
서적
Listening People, Speaking Earth: Contemporary Paganism
Hurst & Company
2007
[35]
웹사이트
Of the Laws of Ecclesiastical Polity, 3.8.11
http://anglicanhisto[...]
2012-11-11
[36]
서적
Historical Theology: An Introduction to the History of Christian Thought
Blackwell Publishers
[37]
서적
Higher Education
Oxford University Press
[38]
서적
Education in Ancient India
Brill
[39]
서적
The Heirs of Plato: A Study in the Old Academy, 347–274 BC.
Oxford University Press
[40]
서적
An Introduction to Confucianism
Cambridge University Press
[41]
서적
The Fear of God and the Beginning of Wisdom: The School of Nisibis and the Development of Scholastic Culture in Late Antique Mesopotamia
University of Pennsylvania Press
[42]
웹사이트
The School of Nisibis
http://www.nestorian[...]
[43]
서적
A History of African Higher Education from Antiquity to the Present: A Critical Synthesis
Greenwood
[44]
서적
Cairo: A Cultural History
Oxford University Press
[45]
서적
Paris and Oxford Universities in the Thirteenth and Fourteenth Centuries. An Institutional and Intellectual History
Wiley
[46]
서적
The Renaissance: A Short History
Modern Library
[47]
서적
Themes
Cambridge University Press
[48]
서적
Theology in the Public Square: Church, Academy and Nation
Blackwell
[49]
서적
Protestant Theology and the Making of the Modern German University
https://global.oup.c[...]
Oxford University Press
[50]
서적
Theology and First Philosophy in Aristotle's "Metaphysics"
https://books.google[...]
U.M.I., Dissertation Information Service
2023-10-16
[51]
웹사이트
Ontology
https://www.encyclop[...]
[52]
서적
The Gift of Seeing: A Biblical Perspective on Ontology
https://books.google[...]
Teleioteti
2023-10-16
[53]
웹사이트
Ontology
https://www.encyclop[...]
[54]
서적
Protestant Theology and the Making of the Modern German University
https://global.oup.c[...]
Oxford University Press
[55]
서적
Protestant Theology and the Making of the Modern German University
https://global.oup.c[...]
Oxford University Press
[56]
서적
Types of Christian Theology
Yale University Press
[57]
서적
Theology in the Public Square: Church, Academy and Nation
Blackwell
[58]
서적
Theology and the University
Abingdon
[59]
서적
Brief Outline of Theology as a Field of Study
Edwin Mellen
[60]
간행물
Academic Theology in Germany
[61]
서적
The Soul of the American University: From Protestant Establishment to Established Nonbelief
Oxford University Press
[62]
서적
The Bicentennial History of Georgetown University: From Academy to University 1789–1889
Georgetown University Press
[63]
문서
The Charter of the Collegiate School, October 1701
https://archive.org/[...]
Yale University Press
[64]
웹사이트
Duke University: A Brief Narrative History
https://library.duke[...]
Duke University Libraries
2013-07-11
[65]
웹사이트
A Princeton Companion
http://etcweb.prince[...]
Princeton University Press
[66]
웹사이트
The CTU Story
http://www.ctu.edu/a[...]
[67]
웹사이트
About the GTU
http://www.gtu.edu/a[...]
[68]
웹사이트
The Criswell Vision
http://www.criswell.[...]
[69]
웹사이트
Mission Statement
http://www.sbts.edu/[...]
[70]
웹사이트
About Trinity Evangelical Divinity School
http://www.tiu.edu/d[...]
[71]
웹사이트
About
http://www.dts.edu/a[...]
2009-08-29
[72]
웹사이트
North Texas Collegiate Institute
http://ntcollege.org[...]
2016-11-23
[73]
웹사이트
Jewish University of Colorado
https://www.jewish-u[...]
2022-10-31
[74]
웹사이트
Undergraduate Study – Why study Theology?
https://web.archive.[...]
2009-09-01
[75]
웹사이트
About us
http://www.leeds.ac.[...]
2009-09-01
[76]
서적
The Politics of Religious Studies: The Continuing Conflict with Theology in the Academy
Palgrave Macmillan
2000
[77]
뉴스
The Ethics of Being a Theologian
http://chronicle.com[...]
2009-07-27
[78]
서적
Theology and Religious Studies for a Multifaith and Secular Society
Continuum
2009
[79]
서적
The Ideology of Religious Studies
Oxford University Press
2000
[80]
서적
On the Gods
University of South Carolina Press
1972
[81]
웹사이트
Protagoras (fl. 5th C. BCE)
http://www.iep.utm.e[...]
2008-10-06
[82]
서적
The Cambridge Companion to John Henry Newman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9
[83]
서적
The Philosophical Works of Lord Bolingbroke
https://books.google[...]
[84]
서적
The Age of Reason
Citadel Press
1945
[85]
서적
Principles of the Philosophy of the Future
Hackett Publishing Company
1986
[86]
서적
The Essence of Christianity
Prometheus Books
1989
[87]
웹사이트
The Lowest Animal
https://www.thoughtc[...]
1896
[88]
웹사이트
Directory of Mark Twain's maxims, quotations, and various opinions
http://www.twainquot[...]
Twainquotes.com
1902-11-28
[89]
서적
Language, Truth and Logic
Dover Publications
1936
[90]
서적
The Faith of a Heretic
Anchor Books
1963
[91]
웹사이트
Charles Bradlaugh (1833–1891)
https://web.archive.[...]
Positiveatheism.org
2012-11-11
[92]
웹사이트
Humanity's Gain from Unbelief
https://web.archive.[...]
Positiveatheism.org
2012-11-11
[93]
웹사이트
Robert Green Ingersoll
https://web.archive.[...]
Positiveatheism.org
2012-11-11
[94]
뉴스
Letter: Scientific versus theological knowledge
https://www.independ[...]
1993-03-20
[95]
문서
문맥에 따른 '護教学'의 의미
[96]
문서
일부 기독교 대학 신학부의 입학 허용 및 사례
[97]
서적
카톨릭 신학으로의 초대
上智大学出版
2009-04-10
[98]
백과사전
교학 (ブリタニカ国際大百科事典小項目事典)
[99]
웹인용
신학
https://web.archive.[...]
한국 브리태니커 온라인
2008-03-21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삼육대 미래사회와기독교연구소, 30일 춘계학술대회 개최
“극우세력 뒷배 전락한 ‘한국 개신교’ 강하게 비판하셨죠”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