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리 밀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페리 밀러(Perry Miller, 1905-1963)는 미국의 문학 및 지적사 연구에 큰 영향을 미친 학자이다. 시카고 대학교에서 학사 및 박사 학위를 받았으며, 하버드 대학교에서 교수로 재직하며 미국 역사와 사상을 탐구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전략 정보국에서 활동했으며, 1949년 조나단 에드워즈의 전기를 출간했다. 주요 저서로는 《뉴잉글랜드 정신: 17세기》(1939), 《황무지로의 사명》(1956) 등이 있으며, 사후에 퓰리처상을 받은 《미국 정신의 삶》(1965)이 있다. 밀러는 청교도 연구를 통해 미국 지성사의 새로운 지평을 열었지만, 콩고에서의 경험에 대한 논란과 비판을 받기도 했다.
밀러는 1905년 시카고에서 오하이오주 만스필드 출신 의사인 이븐 페리 스터지스 밀러와 버몬트주 벨로우즈 폴스 출신인 사라 거트루드 밀러(결혼 전 성씨: 에디) 사이에서 태어났다.[3] 그의 아버지는 1895년과 1898년 시부리-웨스턴 신학대학의 집사 후보자 명단에 올랐으나,[4] 1898년에 "성직 포기"와 "면직"으로 징계를 받았다.[5]
페리 밀러는 1928년에 학사 학위를, 1931년에 박사 학위를 모두 시카고 대학교에서 받았으며, 그곳에서 람다 카이 알파 동아리의 회원이었다.[9]
페리 밀러는 미국 역사, 특히 지적이고 종교적인 면에 대한 글을 많이 남겼다. 하버드 대학교에서 영어를 가르치면서, F.O. 매티슨과 같은 미국 문학 전통을 만든 학자들과 많은 교류를 하였다. 그는 중앙 아프리카의 밀림에서의 경험을 바탕으로 미국 역사의 다양한 면을 보다 생생하게 기록해야 한다는 의무감을 느꼈다고 고백하였다. (광야로의 심부름, viii)
2. 초기 생애
페리 밀러는 18세 생일을 3개월 앞두고 집을 떠났다. 제1차 세계 대전 참전 용사들의 유럽 모험담에 영감을 받아, 1922년부터 1926년까지 캘리포니아의 상추밭에서 일하고, 브로드웨이 그리니치 빌리지에서 배우로 활동하고, 잡지에 글을 쓰고, 콩고강을 따라 화물선에서 일하는 등 널리 여행했다.[7]
2. 1. 출생과 가정 환경
밀러는 1905년 시카고에서 오하이오주 만스필드 출신 의사인 이븐 페리 스터지스 밀러와 버몬트주 벨로우즈 폴스 출신인 사라 거트루드 밀러(결혼 전 성씨: 에디) 사이에서 태어났다.[3] 그의 아버지는 1895년과 1898년 시부리-웨스턴 신학대학의 집사 후보자 명단에 올랐으나,[4] 1898년에는 "성직 포기"와 "면직"으로 징계를 받았다.[5] 19세기 말 일리노이주의 미국 성공회는 "도덕적 과실", "교리적 오류", "질병 및 허약함"의 경우에 징계 통지를 흔히 발부했으며, 페리 밀러는 7년 후에 태어났다.[6]
페리 밀러는 18번째 생일을 3개월 앞두고 집을 떠났다. 제1차 세계 대전 참전 용사들의 유럽에서의 모험담을 듣고 영감을 받아, 1922년부터 1926년까지 캘리포니아의 상추밭에서 일하고, 브로드웨이 그리니치 빌리지에서 배우로 활동하고, 잡지에 글을 쓰고, 콩고강을 따라 화물선에서 일하는 등 널리 여행했다.[7]
2. 2. 청소년기와 방황
밀러는 1905년 시카고에서 태어났다. 그의 아버지는 오하이오주 만스필드 출신 의사인 이븐 페리 스터지스 밀러였고, 어머니는 버몬트주 벨로우즈 폴스 출신인 사라 거트루드 밀러(결혼 전 성씨: 에디)였다.[3] 그의 아버지는 1895년과 1898년 시부리-웨스턴 신학대학의 집사 후보자 명단에 올랐으나,[4] 1898년에 "성직 포기"와 "면직"으로 징계를 받았다.[5]
페리 밀러는 18세 생일을 3개월 앞두고 집을 떠났다. 제1차 세계 대전 참전 용사들의 유럽 모험담에 영감을 받아, 1922년부터 1926년까지 캘리포니아의 상추밭에서 일하고, 브로드웨이 [그리니치 빌리지]에서 배우로 활동하고, 잡지에 글을 쓰고, 콩고강을 따라 화물선에서 일하는 등 널리 여행하며 방황했다.[7]
1956년 ''황무지로의 여정'' 수집본 서문에서 페리 밀러는 콩고강 기슭에서 청교도의 지적사를 연구하기로 결심했다고 밝혔다. 그는 제1차 세계 대전 참전 용사들이 경험한 "모험"을 추구하며 ("나 또한 나만의 전쟁을 치르게 되리라는 선견지명이 부족했다"고 언급하며) "콩고 강둑의 마타디에서" "결심을 깨닫게 되었다"고 회상했다. 밀러는 "아프리카가 제공한 모험은 너무나 보잘것없었지만, 20세기에 나의 미국을 해설해야 할 절실한 필요성에 대한 갑작스러운 깨달음...의 무대가 되었다"고 말했다. 그는 "중앙 아프리카 정글 가장자리에서 똑같이 절망에 빠진 나에게, 그 야만적인 열대 지방에서 미국에서 솟아나는 드럼통의 케이스 오일을 감독하면서, 내가 미국을 추진하는 가장 내면의 동력이라고 생각하는 것을 해설하는 임무가 부여되었다."고 덧붙였다. 이 깨달음은 그가 "시작의 시작"을 연구하도록 이끌었고, "대학원에 다시 들어가 안전해지자, 청교도 이주부터 시작해야 한다는 것이 분명해 보였다."[8]
3. 교육
4. 학문적 경력
4. 1. 하버드 대학교 교수
밀러는 1931년 하버드 대학교에서 강의를 시작했다. 1942년, 하버드에서의 직책을 사임하고 미국 육군에 입대하여 제2차 세계 대전 기간 동안 영국에 주둔하며 전략 정보국에서 근무했다. 밀러는 전략 정보국 창설에 중요한 역할을 했을 수 있으며, 확실히 전쟁 기간 동안 심리전 부서에서 일했다.[10] 1943년 미국 예술 과학 아카데미에 선출되었다.[11]
1945년 이후, 하버드에서 강의를 재개했고 하버드 연장 학교에서도 강좌를 제공했다.[12]
''더 네이션''과 ''아메리칸 스칼라''에 서평과 기사를 기고했다. 1949년에 출판된 조나단 에드워즈의 전기를 통해 밀러는 에드워즈가 18세기 미국 변방에서 그에게 유일하게 가능했던 매체, 즉 종교와 신학이라는 매체로 활동한 예술가였다고 주장했다. 퓰리처상을 받은 사후 출판된 ''미국 정신의 삶''은 계획된 10권짜리 시리즈의 첫 번째 작품이었다.[13] 구겐하임 펠로우십으로 뉴저지주 프린스턴에 있는 고등 연구소에서 1년을 보냈고, 일본에서도 1년간 가르쳤다. 1956년 미국 철학회에 선출되었다.[14]
1987년, 에드먼드 S. 모건은 밀러가 자신의 학부 튜터이자 대학원 논문 지도교수였으며, 자신과 마찬가지로 무신론자였다고 주장했다.[15]
4. 2. 제2차 세계 대전 참전
밀러는 1942년 하버드 대학교에서의 직책을 사임하고 미국 육군에 입대하여 제2차 세계 대전 기간 동안 영국에 주둔하며 전략 정보국에서 근무했다. 밀러는 전략 정보국 창설에 중요한 역할을 했을 수 있으며, 확실히 전쟁 기간 동안 심리전 부서에서 일했다.[10] 그는 1943년 미국 예술 과학 아카데미에 선출되었다.[11]
4. 3. 학문적 업적과 영향
페리 밀러는 미국 역사, 특히 지적이고 종교적인 면에 대한 글을 많이 남겼다. 하버드 대학교에서 영어를 가르치면서, 미국 문학 전통을 남긴 F.O. 매티슨과 같은 학자들과 많은 교류를 하였다. 그는 중앙 아프리카의 밀림에서의 경험을 바탕으로 미국 역사의 다양한 면을 보다 생생하게 남길 의무를 느꼈다고 고백하였다.( 광야로의 심부름, viii)
조지 마즈든은 그의 논문 '페리 밀러의 청교도의 복귀(Perry Miller's Rehabilitation of the Puritans)'에서 밀러의 '뉴잉글랜드의 지성'에 대한 비평을 남겼다.[44]
총신대학교 교수인 이상웅은 페리 밀러가 초자연적인 것을 자연적인 것으로 해석한다고 평가한다.
밀러는 조나단 에드워즈의 전기를 통해 에드워즈가 18세기 미국 변방에서 그에게 유일하게 가능했던 매체, 즉 종교와 신학이라는 매체로 활동한 예술가였다고 주장했다. 그가 퓰리처상을 받은 사후 출판된 ''미국 정신의 삶''은 계획된 10권짜리 시리즈의 첫 번째 작품이었다.[13]
밀러의 식민지 시대 미국의 종교적 태도와 사상을 분석하려는 시도는 이후 지적 역사학의 새로운 기준을 세웠다.[16] 역사가들은 밀러의 연구가 청교도 연구에서 서사 이론 논의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주제에 대한 후대 역사가들의 연구에 영향을 미쳤다고 평가한다. 그의 가장 유명한 저서인 《뉴잉글랜드 정신: 17세기》(1939)에서 밀러는 그들의 믿음과 행동에 대한 심리적, 경제적 설명을 사용했던 이전의 역사가들과는 달리 청교도의 세계관을 조명하기 위해 문화적 접근 방식을 채택했다.[17]
4. 4. 수상 및 학회 활동
1943년 미국 예술 과학 아카데미에 선출되었고,[11] 1956년 미국 철학회에 선출되었다.[14] 구겐하임 펠로우십으로 뉴저지주 프린스턴에 있는 고등 연구소에서 1년을 보냈고, 일본에서도 1년간 가르쳤다.
5. 콩고 경험과 논란
페리 밀러의 콩고 경험, 특히 콩고강에서의 "계시"는 그의 사후 학자들과 언론 매체에 의해 진위 여부를 놓고 많은 논란이 있었다.[20][21]
1974년, 페리 밀러의 미망인 엘리자베스 밀러는 퀘이커교 신봉자 스탠퍼드 시얼 주니어에게 페리가 'Errand'에서 낭만적으로 언급한 콩고 사건에 대해 어느 정도 진실은 있지만, 작가로서 페리가 자신의 사명을 설명하기 위해 효과적인 일화를 만든 것이라고 말했다.[20][21] 5년 후, 스탠퍼드 시얼은 페리 밀러의 에세이 모음집 서문에서 엘리자베스 밀러에게 공개적으로 응답하며, "계시"가 실제로 주어졌는지 여부는 중요하지 않다고 말했다. 월터 J. 옹은 페리 밀러가 그러한 계시들을 자주 주장했다고 확인했다. 시얼은 이야기 자체의 진실성보다는 페리 밀러가 "행위자와 모험가의 역할을 사상의 세계와 결합"하려는 의도에 중요성을 부여했다.[22]
역사학자들은 페리 밀러의 콩고 사건에 대한 설명을 비판해 왔다. 이러한 비판은 콩고에서의 경험이 20세기 "미국의 제국주의 투자"를 드러내고,[23] "식민 지배 규칙서의 모든 항목을 확인"했으며,[24] "제국주의가 미국학의 기초 담론에서 동시에 형성적이고 부인되는 방식"을 부각시켰다는 점에 주목한다.[25] 또한, 페리 밀러의 설명이 의도적이든 아니든 "승승장구하는 제국을 묘사"하고, 그가 일하는 조건을 지배하며, 자신의 기록자들이 특정한 자아상을 지지할 것을 기대할 수 있는 제국을 묘사했다는 점을 지적하며, 이로 인해 일부는 밀러가 미국과 미국의 행동의 정당성을 확신하는 '안전한' 역사가라는 잘못된 믿음을 강화하게 했다고 비판한다.[26]
미국학 전문가 폴 로터는 콩고에서 페리 밀러의 "각성"에 대한 교육적 접근 방식을 수립하는 것에 대해 글을 쓰고 강의해 왔다.
5. 1. 콩고에서의 "계시"
페리 밀러의 초기 생애에서 있었던 콩고강 "계시"는 사후 학자들과 언론 매체의 많은 조사를 받았다. 1974년, 페리 밀러의 미망인 엘리자베스 밀러는 고인의 저술을 따르던 퀘이커교 신봉자 스탠퍼드 시얼 주니어에게 다음과 같이 말했다. "'콩고 사건에 대해 말하자면... 네, 페리가 ''Errand''에서 낭만적으로 언급한 것에는 일종의 진실이 있습니다. 하지만 작가였던 페리는 사후에 자신의 사명이 왜 수행되었는지에 대한 설명을 해주는 효과적인 일화를 만들기도 했습니다.' "[20][21] 5년 후, 스탠퍼드 시얼은 페리 밀러의 에세이 모음집 서문에서 엘리자베스 밀러에게 공개적으로 다음과 같이 응답했다. "그것이 어떻게 일어났는가, 즉 실제로 '주어졌는가' 여부는 중요하지 않다." 스탠퍼드 시얼에 따르면, 월터 J. 옹은 페리 밀러가 그러한 계시들을 자주 주장했는데, 그 이유는 "'그는 기억하기 좋아하는 종류의 것이었기 때문이다.'"라고 확인했다. 시얼은 그 이야기 자체의 진실성보다는 페리 밀러가 "행위자와 모험가의 역할을 사상의 세계와 결합"하려는 의도에 중요성을 부여했다.[22]5. 2. 진위 여부 및 비판
페리 밀러의 초기 생애에서 있었던 콩고강 "계시"는 학자들과 언론에 의해 사후에 많은 조사를 받았다. 1974년, 페리 밀러의 미망인 엘리자베스 밀러는 퀘이커교 신봉자 스탠퍼드 시얼 주니어에게 다음과 같이 말했다. "'콩고 사건에 대해 말하자면... 네, 페리가 ''Errand''에서 낭만적으로 언급한 것에는 일종의 진실이 있습니다. 하지만 작가였던 페리는 사후에 자신의 사명이 왜 수행되었는지에 대한 설명을 해주는 효과적인 일화를 만들기도 했습니다.'"[20][21] 5년 후, 스탠퍼드 시얼은 페리 밀러의 에세이 모음집 서문에서 엘리자베스 밀러에게 공개적으로 다음과 같이 응답했다. "그것이 어떻게 일어났는가, 즉 실제로 '주어졌는가' 여부는 중요하지 않다." 월터 J. 옹은 페리 밀러가 그러한 계시들을 자주 주장했는데, 그 이유는 "'그는 기억하기 좋아하는 종류의 것이었기 때문이다.'"라고 확인했다. 시얼은 그 이야기 자체의 진실성보다는 페리 밀러가 "행위자와 모험가의 역할을 사상의 세계와 결합"하려는 의도에 중요성을 부여했다.[22]역사학자들은 이후 페리 밀러의 콩고 사건에 대한 설명을 비판해 왔다. 자전적 구절은 사실 여부를 떠나, 20세기 "미국의 제국주의 투자"를 드러냈고,[23] "식민 지배 규칙서의 모든 항목을 확인"했으며,[24] "제국주의가 미국학의 기초 담론에서 동시에 형성적이고 부인되는 방식"을 부각시켰으며,[25] 의도적이든 아니든 "승승장구하는 제국을 묘사했으며, 더욱이 그가 일하는 조건을 지배하고 자신의 기록자들이 특정한 자아상을 지지할 것을 기대할 수 있는 제국... 이로 인해 일부는 밀러가 미국과 미국의 행동의 정당성을 확신하는 '안전한' 역사가라는 잘못된 믿음을 강화하게 했다."[26]
미국학 전문가 폴 로터는 콩고에서 페리 밀러의 "각성"에 대한 교육적 접근 방식을 수립하는 것에 대해 글을 쓰고 강의해 왔다. 로터에 따르면, 그의 학생들은 "...밀러의 미국학 출발점에 대한 카플란의 계시의 의미에 대해 의심을 품었다... '그녀가 정말 그가 인종차별주의자라고 말하는 것 아닌가요?' 한 학생이 기억에 남을 만하게 항의했다. 나는 밀러의 심리학에서 관심을 돌려 미국학 초기의 모습에 대한 내러티브의 의미에 집중하려고 노력했다... 토론을 통해 우리는 제임슨의 규칙---'항상 역사화하라'---를 적용하게 되었고... 이러한 방식으로 밀러를 검토함으로써 우리는 '미국학'이라고 지정한 것이 역사에 의해 특정한 프로파일로 고정된 것이 아니라 다른 현상과 마찬가지로 특정 상황에서 특정 시점에 특정 학자들이 다르게 인식할 수 있는 출발점에 역사적으로 뿌리내리고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게 되었다."[27]
6. 평가
조지 마즈든은 논문 '페리 밀러의 청교도의 복귀(Perry Miller's Rehabilitation of the Puritans)'에서 밀러의 '뉴잉글랜드의 지성'에 대해 비평하며 다음과 같은 점을 지적했다.[44]
- 밀러는 뉴잉글랜드 청교도의 '오직 성경'과 '칼빈주의 5대 강령' 같은 특성에 대한 구체적 언급 없이, 피에르 드 라뮈의 수사학이나 논리학 등 지적인 영향만 강조하여 균형을 잃었다.
- 성경 구절 언급이 없어 청교도의 '그리스도 중심' 삶을 생략하여 신앙의 요체를 무시하는 결과를 낳았다.
총신대학교 이상웅 교수는 페리 밀러가 초자연적인 것을 자연적인 것으로 해석한다고 평가했다.
6. 1. 긍정적 평가
조지 마즈든은 그의 논문 '페리 밀러의 청교도의 복귀(Perry Miller's Rehabilitation of the Puritans)'에서 밀러의 '뉴잉글랜드의 지성'에 대한 비평을 남겼다.[44]- 밀러가 그 당시 지성의 르네상스 시대에 놀림받던 청교도를 지성의 영역으로 올려놓은 시도는 높이 평가한다.
- 밀러는 '광야로의 심부름'에서 존 칼빈의 '기독교강요'를 읽지 않고 그를 잘못 평가하는 오류를 범하였다.
총신대학교 교수인 이상웅은 페리 밀러가 초자연적인 것을 자연적인 것으로 해석한다고 평가한다.
6. 2. 비판적 평가
조지 마즈든은 그의 논문 '페리 밀러의 청교도의 복귀(Perry Miller's Rehabilitation of the Puritans)'에서 밀러의 '뉴잉글랜드의 지성'에 대한 비평을 남겼다.[44]- 밀러가 그 당시 지성의 르네상스 시대에 놀림받던 청교도를 지성의 영역으로 올려놓은 시도는 높이 평가한다.
- 밀러는 뉴잉글랜드 청교도가 가진 특성, 즉 '오직 성경'과 '칼빈주의 5대 강령' 등에 대한 구체적 언급 없이 단지 피에르 드 라뮈의 수사학이나 논리학 등에 대한 지적인 영향만을 본 것은 균형적인 면에서 옳지 않다.
- 성경 구절의 언급이 없는 한, 청교도의 '그리스도 중심'의 삶에 대하여 생략함으로써 그들이 가진 신앙의 요체를 무시하는 결과를 낳았다.
- 밀러는 '광야로의 심부름'에서 존 칼빈의 '기독교 강요'를 읽지 않고 그를 잘못 평가하는 오류를 범하였다.
총신대학교 교수인 이상웅 교수는 페리 밀러가 초자연적인 것을 자연적인 것으로 해석한다고 평가한다.
역사학자들은 이후 페리 밀러의 콩고 사건에 대한 설명을 비판해 왔다. 자전적 구절은 사실 여부를 떠나, 20세기 "미국의 제국주의 투자"를 드러냈고,[23] "식민 지배 규칙서의 모든 항목을 확인"했으며,[24] "제국주의가 미국학의 기초 담론에서 동시에 형성적이고 부인되는 방식"을 부각시켰으며,[25] 의도적이든 아니든 "승승장구하는 제국을 묘사했으며, 더욱이 그가 일하는 조건을 지배하고 자신의 기록자들이 특정한 자아상을 지지할 것을 기대할 수 있는 제국... 이로 인해 일부는 밀러가 미국과 미국의 행동의 정당성을 확신하는 '안전한' 역사가라는 잘못된 믿음을 강화하게 했다."[26]
미국학 전문가 폴 로터는 콩고에서 페리 밀러의 "각성"에 대한 교육적 접근 방식을 수립하는 것에 대해 글을 쓰고 강의해 왔다. 로터에 따르면, 그의 학생들은 "...밀러의 미국학 출발점에 대한 [에이미] 카플란의 계시의 의미에 대해 의심을 품었다... '그녀가 정말 그가 인종차별주의자라고 말하는 것 아닌가요?' 한 학생이 기억에 남을 만하게 항의했다. 나는 밀러의 심리학에서 관심을 돌려 미국학 초기의 모습에 대한 내러티브의 의미에 집중하려고 노력했다... 토론을 통해 우리는 제임슨의 규칙---'항상 역사화하라'---를 적용하게 되었고... 이러한 방식으로 밀러를 검토함으로써 우리는 '미국학'이라고 지정한 것이 역사에 의해 특정한 프로파일로 고정된 것이 아니라 다른 현상과 마찬가지로 특정 상황에서 특정 시점에 특정 학자들이 다르게 인식할 수 있는 출발점에 역사적으로 뿌리내리고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게 되었다."[27]
7. 유산
하버드 대학교에서 그는 수많은 박사 학위 논문을 지도했다. 그의 가장 유명한 제자는 퓰리처상 수상자이기도 한 에드먼드 모건이었으며, 버나드 베일린 역시 그에게 영향을 받았다고 언급했다.
마거릿 애트우드는 《시녀 이야기》를 페리 밀러에게 헌정했다. 애트우드는 하버드 대학교에 여성이 입학하기 전, 래드클리프 칼리지에서 밀러에게서 수학했다.
8. 저서
- 1933년. 《매사추세츠주의 정통주의, 1630-1650》
- 1939년. 《뉴잉글랜드 정신: 17세기》
- 1949년. 《조나단 에드워즈》
- 1950년. 《초월주의자: 선집》
- 1953년. 《뉴잉글랜드 정신: 식민지에서 주로》
- 1953년. 《로저 윌리엄스: 미국 전통에 대한 그의 기여》
- 1954년. 《종교와 사상의 자유》
- 1954년. 《미국 사상: 남북전쟁에서 제1차 세계 대전까지》
- 1956년. 《황무지로의 사명》
- 1956년. 《미국 청교도》 (편집)
- 1957년. 《미국 초월주의자: 그들의 산문과 시》
- 1957년. 《갈까마귀와 고래: 포, 멜빌 그리고 뉴욕 문학계》
- 1958년. 《콩코드의 의식: 지금까지 "잃어버린 저널"인 소로우의 텍스트》
- 1961년. 《미국 법률 정신: 독립에서 남북 전쟁까지》
- 1965년. 《미국 정신의 삶: 혁명에서 남북 전쟁까지》
- 1967년. 《자연의 국가》
참조
[1]
논문
Perry Miller and American Studies
2001-06
[2]
서적
Exemplary Elders
Athens GA
1990
[3]
서적
Who's Who in Chicago: Volume 404
A.N. Marquis & Company
1926
[4]
서적
Journal of the Proceedings of the Protestant Episcopal Church Diocese of Western Michigan Twenty-First Annual Convention
Stanton Printing Company
1898
[5]
서적
Journal of Proceedings of the Twenty-Six Annual Convention of the Diocese of Western Michigan
Powers-Tyson Printing Company
1900
[6]
서적
Journal of the Twenty-Fourth Annual Convention of the Protestant Episcopal Church in the Diocese of Illinois
Printed for the Convention
1861
[7]
웹사이트
Happy Puritan ! News ! The Harvard Crimson
https://www.thecrims[...]
2023-08-02
[8]
서적
Errand into the Wilderness
Belknap Press of Harvard University Press
1996
[9]
웹사이트
Perry Miller
https://www.gf.org/f[...]
[10]
문서
Perry Miller
[11]
웹사이트
Perry Gilbert Eddy Miller
https://www.amacad.o[...]
2023-01-12
[12]
서적
The Gates Unbarred: A History of University Extension at Harvard, 1910–2009
Harvard University Press
[13]
서적
Encyclopedia of historians and historical writing: Volume 2
1999
[14]
웹사이트
APS Member History
https://search.amphi[...]
2023-01-12
[15]
학술지
Fifty Years of American History: An Interview with Edmund S. Morgan
https://www.jstor.or[...]
1987
[16]
논문
Perry Miller As Artist: Piety and Imagination in the New England Mind: The Seventeenth Century
1977-12
[17]
서적
Perry Miller
[18]
서적
Exemplary Elders
[19]
논문
Perry Miller: An Appreciation
1964-02
[20]
서적
Errand into the Wilderness of Mirrors: Religion and the History of the CIA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021
[21]
웹사이트
Rethinking the Origin of American Studies (with help from Perry Miller) ! Society for US Intellectual History
https://s-usih.org/2[...]
2013-11-14
[22]
서적
The Responsibility of Mind in a Civilization of Machines: Essays by Perry Miller
University of Massachusetts Press
1979
[23]
서적
Empire of the Air: Aviation and the American Ascendancy
https://books.google[...]
Harvard University Press
2013-11-01
[24]
서적
The Cambridge Companion to Transnational American Literatur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7-02-15
[25]
서적
Cultures of United States Imperialism
Duke University Press
1993
[26]
학술지
"An Instrument of National Policy": Perry Miller and the Cold War
2002
[27]
서적
Teaching American Studies: The State of the Classroom as State of the Field
University Press of Kansas
2021-08-17
[28]
서적
Errand into the wilderness
1956
[29]
뉴스
'The Handmaid's Tale' : If Puritans Ruled . . . Atwood's Story on Screen
https://www.latimes.[...]
1990-03-04
[30]
웹사이트
Book Review
https://www.nytimes.[...]
2016-03-25
[31]
서적
Orthodoxy in massachusetts 1630 1950
https://archive.org/[...]
Beacon Press
1933-01-01
[32]
웹사이트
The New England Mind: The Seventeenth Century - 1954, Page iii by Perry Miller,a
https://www.questia.[...]
[33]
서적
Jonathan Edwards
https://books.google[...]
U of Nebraska Press
2005-01-01
[34]
서적
The Transcendentalists: An Anthology
https://books.google[...]
Harvard University Press
1950-01-01
[35]
서적
The New England Mind From Colony To Province
https://archive.org/[...]
Beacon Press
1953-01-01
[36]
서적
Roger Williams: his contribution to the American tradition
https://books.google[...]
Atheneum
1970-01-01
[37]
서적
American thought: Civil War to World War I
https://books.google[...]
Rinehart
1954-01-01
[38]
웹사이트
Errand into the Wilderness — Perry Miller - Harvard University Press
http://www.hup.harva[...]
2016-03-25
[39]
웹사이트
The American Puritans: Their Prose and Poetry - 1956, Page iii
https://web.archive.[...]
2017-09-08
[40]
서적
The American transcendentalists, their prose and poetry
https://archive.org/[...]
Doubleday
1957-01-01
[41]
웹사이트
Perry Miller: The Raven and the Whale
https://prezi.com/9p[...]
2016-03-25
[42]
서적
The life of the mind in America: from the Revolution to the Civil War : books one through three
http://quod.lib.umic[...]
1965-01-01
[43]
서적
Nature's nation
https://books.google[...]
Belknap Press of Harvard University Press
1967-01-01
[44]
간행물
Perry Miller's Rehabilitation of the Puritans: A Critique
http://www.jstor.org[...]
1970
[45]
웹인용
Perry Miller and the Historians
https://www.american[...]
[46]
간행물
The Half-Way Covenant
http://www.jstor.org[...]
193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