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우공이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우공이산은 중국의 설화로, 90세의 노인 우공이 산을 옮기려 하자 옥황상제가 감동하여 산을 옮겨주었다는 이야기이다. 이 이야기는 끈기와 인내를 통해 불가능해 보이는 목표를 달성할 수 있다는 교훈을 담고 있다. 《열자》에 수록되었으며, 마오쩌둥은 중국 공산당의 혁명적 의지를 고취하기 위해 이 고사를 인용했다. 또한, 노무현 전 대통령은 자서전에서 끈기와 인내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우공이산'을 언급했다. 현대에는 중국 쓰촨성의 터널 공사, 인도 다슈라트 만지의 사례 등 우공이산 정신을 실천한 사례가 있으며, 절토 공사로 인한 환경 문제와 노력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운칠기삼'과의 비교를 통해 현대 사회에 시사하는 바를 되돌아보게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한자성어 - 청화
    "세이와"는 일본어로 다양한 의미를 지닌 다의어이며, 세이와 천황, 세이와 겐지, 세이와정책연구회, 세이와 대학 등 여러 인물, 집단, 지명 등에 사용되므로 문맥을 고려하여 의미를 파악해야 한다.
  • 한자성어 - 와신상담
    와신상담은 오나라와 월나라의 대립에서 유래하여 복수를 위해 고난을 감내하며 노력하는 것을 비유하는 고사성어이다.
우공이산
개요
유형우화
문화적 중요성중국 문화
정신
결단력
인내
불굴의 정신
마오쩌둥 사상의 상징
등장인물
주요 인물우공 (Yú Gōng)
기타 인물지수 (Zhì Sǒu)

2. 이야기

중국의 태행과 왕옥 두 산은 원래 북산(北山)에 있었는데, 지금과는 다른 곳에 있었다.[1] 북산에 살던 우공(愚公)은 산 때문에 왕래가 불편하여 산을 옮기기로 했다.

우공은 흙을 퍼서 발해만까지 운반했는데, 1년이나 걸리는 고된 작업이었다. 친구 지수(智叟)는 그만두라고 했지만, 우공은 자손 대대로 이 일을 이어갈 것이며, 산은 불어나지 않으니 언젠가는 평평해질 것이라고 했다.

옥황상제는 우공의 믿음에 감동하여 두 산을 멀리 옮겨주었다.[1]

2. 1. 원전

우공이산 이야기는 도가 사상서인 《열자》 탕문편에 실려 있다. 우공(愚公)과 지수(智叟)라는 두 인물의 이름을 통해 세상이 말하는 지혜로움과 어리석음의 기준은 절대적 진리가 아니라는 것을 말하고자 한다. 우공은 '어리석은 노인'이라는 뜻이 아니라, 역설적인 의미로 이해하는 것이 옳다.[1]

그 설화는 두 개의 산 근처에 살았던 90세의 노인에 관한 이야기이다. 어떤 이야기에서는 태항산과 왕옥산으로 묘사되며, 유주에 위치해 있다. 그는 산 때문에 겪는 불편함에 짜증이 나서 삽과 바구니로 산을 파내려고 했다. 산을 옮기기 위해 그는 일 년에 한 번 산과 집을 왕복할 수 있었다. 이 힘든 시간을 견디기 위해 길에서 가져간 음식은 초기였다. 불가능해 보이는 그의 과업에 대한 질문에 우공은 자신이 평생 이 일을 마치지 못할 수도 있지만, 자신과 자녀, 그리고 그들의 자녀들이 대를 이어 끈기 있게 노력한다면 언젠가는 산을 제거할 수 있을 것이라고 대답했다. 중국 신들은 그의 끈기와 헌신에 감동하여 산을 분리하도록 명령했다.[1]

3. 역사적 배경 및 해석

우공이산 고사는 단순한 우화를 넘어 시대와 상황에 따라 다양하게 해석되어 왔다. 특히 도가적 해석과 정치적 인용이 주목할 만하다.

마오쩌둥은 1945년 중국공산당 제7차 전국대표대회 폐회사에서 우공이산 고사를 인용하여, 중국 인민을 억압하는 제국주의와 봉건주의를 타파하겠다는 의지를 천명했다. 그는 인민 대중이 단결하여 끊임없이 노력하면 두 산을 제거할 수 있다고 역설했다.[9][3] 이 이야기는 혁명적 의지를 고취하고 인민 대중의 힘을 강조하는 데 활용되었다.[4] 문화 대혁명 기간 동안 마오쩌둥의 연설은 널리 읽혔다.[6]

마오의 연설 인용구를 포함한 1954년 양쯔강 홍수에 대한 우한 기념비


노무현 전 대통령은 끈기와 인내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우공이산 고사를 인용했다.[10]

3. 1. 도가적 해석

도가 사상서인 《열자》에서 우공(愚公)과 지수(智叟)라는 두 인물의 이름을 통해 말하고자 하는 바는, 세상이 말하는 지혜로움과 어리석음의 기준은 절대적 진리가 아니라는 것이다. 우공(愚公)은 '어리석은 노인'이란 뜻이 아니라, 역설적인 의미로 이해하는 것이 옳을 것이다.

3. 2. 정치적 인용

마오쩌둥은 1945년 6월 11일 옌안에서 열린 중국공산당 제7차 전국대표대회 폐회사에서 이 이야기를 인용했다. 그는 중국 인민을 짓누르는 제국주의와 봉건주의라는 두 개의 큰 산을 언급하며, 중국 공산당이 이를 파내기로 결심했다고 말했다. 마오쩌둥은 인민 대중이 단결하여 끊임없이 노력하면 하느님을 감동시킬 수 있고, 이 두 산을 제거할 수 있다고 역설했다.[9][3] 이 이야기는 혁명적 의지를 고취하고 인민 대중의 힘을 강조하는 데 활용되었다.[4]

이 연설은 인민을 위해 복무하라, 노먼 베쑨과 함께 ''마오 주석 어록''에 수록되어 문화 대혁명 기간 동안 학생들에게 암기될 정도로 널리 읽혔다.[6]

노무현 전 대통령은 자서전 <<성공과 좌절>>을 집필할 당시 서재에 '우공이산'을 표구해 놓고 주변의 성급함을 경계하며, 끈기와 인내의 중요성을 강조했다.[10]

4. 실천 사례

중국 쓰촨(十堰) 시의 한 공무원이 주민들과 함께 5년에 걸쳐 400m 길이의 터널을 뚫은 사례, 인도다슈라트 만지가 22년에 걸쳐 망치와 정으로 산을 깎아 길을 만든 사례, 일본 조동종의 한 스님이 아오노도몬이라는 터널을 뚫은 사례는 우공이산의 교훈이 현실에서 나타난 구체적인 예시이다.

4. 1. 중국 쓰촨성 터널 공사

중국 쓰촨(十堰) 시의 한 공무원은 빈약한 재정 상황에도 불구하고, 주민들과 함께 5년간 노력하여 중장비 없이 400m 길이의 터널을 완공했다. 거듭되는 민원에도 시 재정이 빈약하여 공사를 감당할 수 없었으나, 주민 모금을 통해 노임을 마련하여 중장비 대신 폭약과 삽으로 공사를 완료했다.[11]

4. 2. 인도 다슈라트 만지

다슈라트 만지는 교통 환경이 열악하여 제때 치료를 받지 못하고 세상을 떠난 부인을 기리기 위해, 22년 동안 망치와 정만으로 산을 깎아 길을 만들었다.[12]

4. 3. 일본 아오노도몬

일본 조동종의 한 스님은 아오노도몬이라는 터널을 뚫었다.[11]

5. 현대적 의미와 비판

오늘날에는 화약과 중장비를 이용하는 토목 기술의 발달로 산을 깎아 지반을 평탄화시키는 절토 공사가 국책사업으로서 빈번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광주 태봉산처럼 흔적도 없이 사라진 산도 많이 있다. 이에 따른 환경 파괴와 재난의 발생이 사회적 이슈가 되고 있다.

5. 1. 절토 공사와 환경 문제

오늘날에는 화약과 중장비를 이용하는 토목 기술의 발달로 산을 깎아 지반을 평탄화시키는 '''절토 공사'''가 국책사업으로서 빈번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광주태봉산처럼 흔적도 없이 사라진 산도 많이 있다.

이에 따른 환경 파괴와 재난의 발생이 사회적 이슈가 되고 있다.

5. 2. 운칠기삼과의 비교

요재지이에서 유래된 운칠기삼(運七技三)은 세상 일이 사람의 노력만으로는 이루어질 수 없다는 뜻이다. 이는 노력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우공이산과 상반된 관점을 제시한다.

참조

[1] 서적 Chinese Mythology https://books.google[...] The Rosen Publishing Group
[2] 서적 Cultures of Knowledge: Technology in Chinese History https://books.google[...] BRILL
[3] 서적 China Since 1919: Revolution and Reform : a Sourcebook https://books.google[...] Psychology Press
[4] 서적 Revolution and its narratives : China's socialist literary and cultural imaginaries (1949-1966) Duke University Press 2016
[5] 서적 Mao's Third Front: The Militarization of Cold War China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20
[6] 서적 In the Lap of Tigers: The Communist Labor University of Jiangxi Province https://books.google[...] Rowman & Littlefield Publishers
[7] 웹사이트 愚公移山-国際道家学術総会 http://www.etaoist.o[...] 2014-07-07
[8] 문서 『列子』の成立時期には諸説ある。
[9] 웹인용 모택동 노삼편(3)- 우공이산(愚公移山) http://blog.ohmynews[...]
[10] 서적 노무현 평전 책보세
[11] 웹인용 현대판 우공이산, 중국에서 현실화돼 http://www.nocutnews[...]
[12] 웹인용 산을 깎아 길을 만들다…인도에서 현대판 ‘우공이산’ 화제 http://sports.khan.c[...]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