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공산당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중국공산당(중국 공산당, CCP)은 1921년 마르크스주의의 영향을 받아 창당된 중화인민공화국의 집권 여당이다. 1920년대 국민당과의 제1차 국공합작, 내전, 중일 전쟁, 제2차 국공합작을 거쳐 1949년 중화인민공화국을 건국했다. 마오쩌둥 사상, 덩샤오핑 이론, 세 가지 대표, 과학적 발전관, 시진핑 신시대 중국 특색 사회주의 사상을 핵심 이념으로 하며, 1978년 덩샤오핑의 개혁개방 이후 경제 성장을 이뤘다. 현재 시진핑이 당 총서기를 맡고 있으며, 중국 국내외에서 다양한 비판을 받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중화인민공화국의 공산주의 정당 - 중국 마오주의 공산당
중국 마오주의 공산당은 2008년 마오쩌둥의 생일에 설립되어 중국 공산당의 개혁 개방 정책을 비판하고 프롤레타리아 독재 재건을 위한 공산주의 혁명을 목표로 한다. - 국수주의 - 나치즘
나치즘은 국가사회주의 독일 노동자당의 극우 전체주의 이념 및 정치 운동으로, 반유대주의, 극단적 민족주의, 생물학적 인종 차별에 기반하여 아리아 인종의 우월성을 주장하며 제2차 세계 대전과 홀로코스트를 초래했고, 경제적 실용주의와 폭력적인 전체주의 통치를 특징으로 한다. - 중국의 공산주의 정당 - 중국 마오주의 공산당
중국 마오주의 공산당은 2008년 마오쩌둥의 생일에 설립되어 중국 공산당의 개혁 개방 정책을 비판하고 프롤레타리아 독재 재건을 위한 공산주의 혁명을 목표로 한다.
중국공산당 - [정당]에 관한 문서 | |
---|---|
지도 | |
기본 정보 | |
![]() | |
공식 명칭 | 중국공산당 |
로마자 표기 | Zhōngguó Gòngchǎndǎng |
약칭 | CCP (일반적으로 사용), CPC (공식적으로 사용) |
창립자 | 천두슈 리다자오 |
창립일 | 1921년 7월 23일 (제1차 전국대표대회)}} |
본부 | 중난하이, 베이징시 시청 구 |
기관지 | 인민일보 |
청년 조직 | 중국공산주의청년단 |
아동 조직 | 중국소년선봉대 |
군사 조직 | 중국 인민해방군 중국 인민무장경찰부대 중국 민병대 |
연구 기관 | 중앙정책연구실 |
당원 수 | 99,185,000명 (2023년) |
슬로건 | 인민을 위해 복무한다 |
색상 | |border=silver}} 빨강 |
웹사이트 | 중국공산당 공식 웹사이트 |
지도부 | |
총서기 | 시진핑 |
중앙정치국 상무위원 | 시진핑 리창 자오러지 왕후닝 차이치 딩쉐샹 리시 |
이념 | |
주요 이념 | 중국 특색 사회주의 공산주의 마르크스-레닌주의 마오쩌둥 사상 덩샤오핑 이론 3개 대표 과학적 발전관 시진핑 사상 |
국제 관계 | |
국제 조직 | 공산당·노동자당 국제회의 |
전국인민대표대회 | |
전국인민대표대회 (13기) | }} |
전국인민대표대회 상무위원회 (14기) | }} |
2. 역사
5·4 운동과 마르크스주의의 영향으로, 1921년 천두슈, 리다자오 등 초기 지도자들이 코민테른의 지원을 받아 중국공산당을 창당했다.[11][12] 제1차 전국대표대회는 1921년 7월 23일부터 31일까지 열렸는데, 원래 상하이의 프랑스 조계에서 개최되었으나, 7월 30일 프랑스 경찰의 탄압으로 인해 저장성 난호의 배 위에서 진행되었다.[14] 이 회의에서 천두슈가 대표로 선출되었다.
1920년 8월 상하이에서 코민테른의 지도 아래 중국공산당 창당 조직이 설립되었다. 1920년 10월에는 베이징에서, 1920년 10-11월에는 후난성에서, 그리고 1921년 3월에는 광둥성에서 공산당 조직이 설립되었다. 1921년 7월 1일에는 제1차 공산당 당대회가 개최되어 공식적으로 창당되었다. 이후 중국공산당은 코민테른의 지시에 따라 쑨원이 이끌던 국민당에 가입하여 제1차 국공합작(1924년 ~ 1927년)을 맺었다. 1922년 7월, 레닌의 코민테른(공산주의 제3인터내셔널)에 정식 가입하였다. 그러나 쑨원 사후 장제스가 국민당의 지도자가 되면서 상황이 바뀌었다. 장제스는 1927년 4·12 사건을 일으켜 상하이에서 공산당원들을 학살했다.[29] 이 사건으로 인해 제1차 국공합작은 결렬되었고, 중국공산당은 큰 타격을 입었다.
1927년 7월 15일, 우한 국민당 정부는 모든 공산주의자들을 국민당에서 축출했다.[63] 이에 중국공산당은 중국 공농 홍군(중국 홍군)을 창설하여 맞섰다. 주더가 이끄는 부대는 1927년 8월 1일 난창 봉기를 일으켰지만, 5일 만에 퇴각하여 푸젠성의 황야로 밀려났다.[63] 마오쩌둥은 홍군 사령관으로 임명되어 추수 봉기를 일으켜 후난성 전역에서 농민 봉기를 촉발하려 했으나, 1927년 9월 15일 패배를 인정하고 1,000명의 생존자들과 함께 장시성 경강산맥으로 이동했다.[64]
중국공산당은 민주집중제를 채택하고 정치국을 설립하여 권력을 중앙에 집중시켰다. 천두슈가 실각한 후, 1929년 리리싼이 일시적으로 최고지도자가 되었으나, 리더십 부족으로 실패하고 1930년 코민테른의 개입으로 해임되었다. 이후 마오쩌둥이 정치국 위원 겸 비공식적 지도자가 되었고, 저우언라이와 장원톈이 보좌했다. 홍군은 마오쩌둥에게 절대 복종하는 군대로 재편되었다.
1929년 구천 회의는 당의 군대에 대한 통제 원칙을 확립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31]
1931년 마오쩌둥 일파는 장시성 루이진에 중화소비에트공화국 임시정부를 수립했다. 하지만 국민당의 5차 공산당 토벌로 인해 대장정을 시작, 1년 후 산시성에서 독립적인 형태로 재등장한다. 1935년 쭌이 회의에서 마오쩌둥은 당의 비공식적 군 지도자가 되었고, 저우언라이와 장원톈(당의 공식 수장)이 그의 비공식 부관 역할을 했다.[72]
1936년 시안 사건을 계기로 일본 제국의 침략에 맞서기 위해 국민당과 공산당 사이에 제2차 국공합작이 성립되었다.[164] 장제스의 중화민국과 마오쩌둥의 공산당은 공동으로 항일 투쟁을 전개했다. 제2차 국공합작은 1945년까지 공식적으로 지속되었으나, 실제로는 1940년에 이미 협력이 중단되었다. 이는 국민당과 공산당 간의 뿌리 깊은 불신 때문이었다. 공산당은 중일 전쟁을 당세를 확장하고 훗날 국민당에 대항할 세력을 키울 기회로 여겼다. 1939년부터 국민당은 공산당의 확장을 견제하기 시작했고, 양측 군대 간 충돌이 발생하기도 했지만, 일본이라는 공동의 적 때문에 충돌은 소규모로 끝났다. 1943년부터 공산당은 국민당의 반발에도 불구하고 세력을 확장했다.
1933년 5월, 소련의 트로츠키스트와 연관이 있다고 여겨지는 전 독일 참모 한스 폰 제크트[165]가 중화민국의 군사 고문이 되었다. 1934년 12월, 일본인을 중심으로 운영되던 만주국은 전 백군 사령관 그리골리 세묘노프가 참여하는 반소 조직 백계 러인 사무국을 설립하고, 1935년 3월 소련으로부터 중동철도와 그 부속지를 매입했다(북만철도 양도협정).
1935년 5월 2일, 제크트의 제안에 따라 중화민국 비밀 경찰 람의사가 친일 요인에 대한 테러 사건을 일으켰기 때문에 일본은 항의했고, 1935년 6월 27일 일본과 중화민국은 매진・하응친 협정을 맺었으며, 그 협정에서 소련의 정찰소였던 장가구의 덕화양행 방해 공작을 기획했다[163]. 이에 대해 소련은 1935년 7월부터 8월에 걸쳐 모스크바에서 제7차 코민테른 세계대회를 열고, 코민테른은 일본과 독일 등을 공산화의 주요 공격 목표로 삼았다.[164]
중일전쟁 당시 팔로군 등을 편성하여 화북을 중심으로 해방구를 거점으로 일본군과의 정면 충돌은 피하고 힘을 비축했다. 또 장제스를 통해 소련과의 불가침 조약 체결 등으로 반공에서 용공으로 바뀌게 했다.
1942년부터 마오쩌둥은 정풍운동을 실시하여 파벨 미프를 중심으로 한 코민테른의 영향을 배제했다.[168] 전시 중인 1943년, 코민테른이 해산되었다.
1945년 제7차 당대회에서 마오쩌둥 사상이 당규약에 지도 이념으로 추가되었고, 6월 19일 제7기 1중전회에서 마오쩌둥은 당의 최고 직책인 중앙위원회 주석에 취임했다. 제2차 세계 대전 종전과 함께 국공 내전이 재개되었다.
2차 중일 전쟁은 국민당과 공산당이 다시 손잡게 하는 계기가 되었다. 일본 제국의 침략을 막기 위하여 2차 국공합작이 만들어졌고, 장제스의 중화민국과 마오쩌둥의 공산당은 함께 침략군을 상대로 맞서 싸우는 처지가 된 것이다. 2차 국공합작은 공식적으로는 1945년까지 지속되었으나, 실질적인 협력은 이미 1940년에 끝났다. 이는 국민당과 공산당 사이의 뿌리깊은 불화 때문이었기에 서로를 믿지 못했던 까닭이었다. 공산당은 전쟁을 당세를 늘리고 나중에 국민당에 대항할 세력을 모을 수 있는 기회로 여겼다. 국민당도 공산당의 의도를 모르는 바가 아니었고, 1939년부터는 점차 공산당의 팽창에 제동을 걸기 시작하였다. 이때문에 종종 국민당군과 공산당군 사이에서 충돌이 벌어지기도 하였는데, 공공의 적인 일본이 존재하였던 탓에 이 충돌들은 크게 번지지 않고 작은 규모에서 일단락되었다. 1943년부터는 국민당의 반발에도 불구하고 공산당이 지속적으로 확장 정책을 펴기 시작하였다.[31]
마오쩌둥은 1945년 중국공산당의 공식적인 최고 지도자로 선출되었다. 이후 일본이 패망하자 전쟁은 본격적인 국공 내전상태로 접어들었다. 중국 내전은 크게 네 단계로 나누어지는데, 첫 단계는 일본이 망한 1945년 8월에서 국민당과 공산당 사이의 평화 협상이 종결된 1946년 6월까지이다. 1945년에 제 2차 세계대전이 끝났을 당시에는 국민당의 중화민국 군대가 공산당보다 3배나 많은 군인들을 거느리고 있었으며, 훨씬 더 압도적인 세력을 자랑하고 있었다. 미국과 일본의 협조 하에 중화민국은 대부분의 지역들을 큰 저항없이 장악할 수 있었으나, 이 점령지들에서 중화민국은 부패한 관료들과 무력 행사로 인하여 주민들의 지지를 얻어내는 데에 실패하고 만다. 국민당은 수적 우세에도 불구하고 공산당이 장악한 시골 지역들을 탈환하는데에 처참히 실패하였고, 공산당은 점차 소련의 원조를 받아 만주 지역을 공격하기 시작하였다. 두 번째 단계는 1946년 7월에서 1947년 6월까지이다. 이 시기에 국민당은 중국 대륙 대부분의 도시를 장악하였으며 거의 대부분의 지역들에 영향력을 행사하였다. 허나 이는 빈껍데기일 뿐이었는데, 이는 국민당 내부의 고질적인 불화와 장제스의 독재적인 면모로 인하여 국민당은 점차 내부에서부터 무너져가고 있었기 때문이었다. 세 번째 단계는 1947년 7월에서부터 1948년 8월까지로, 이 시기에 공산당이 점차 우세를 점하기 시작하였으며 중원을 장악하고 북부 지역을 평정하였으며 북동부 지역도 거의 공산당의 손아귀에 들어갔다. 한편 국민당은 크게 약화되었고 대략 3백만명에 달하는 군사들을 잃으며 큰 타격을 입었을 뿐더러, 부패와 무능으로 사람들의 지지도 얻는데 실패하며 멸망의 길을 걸어가고 있었다. 마지막 단계는 1948년 9월에서 1949년 12월까지로, 이 시기에 중국 본토가 완전히 공산당의 통치 하에 들어갔으며 국민당 주도의 중화민국은 대만으로 국부천대하며 세력이 크게 쪼그라들었다.[31]
1945년, 일본이 제2차 세계 대전에서 패배하고 일본군이 전면 항복하자, 그동안 국민당과의 타협적인 태도에서 벗어나 소련의 지원을 받아 국민정부 타도와 공산당 정권 수립을 추진했다. 내전을 피하고자 하는 미국 등의 의향도 있어 마오쩌둥과 장제스의 회담을 통한 쌍십협정 등에서 타협이 시도되었지만, 결국 국공내전에 돌입했다.
만주를 점령한 소련의 지원을 받아 동북에서 남하하여 국민당군을 압도하고, 최종적으로 국민정부를 타도하여 1949년 10월 1일에 중화인민공화국을 건국하였다. 국민정부는 근거지를 타이완(중화민국 정부)으로 이동했다.
1949년 10월 1일, 중화인민공화국(中華人民共和国)의 건국이 베이징(北京市)에서 선포되었다.
1949년 10월 1일, 마오쩌둥은 베이징 천안문 광장에서 중화인민공화국의 수립을 정식 선포했다.[5] 그해 말이 되자 중국공산당은 중화인민공화국의 집권 정당으로서의 지위를 확실히 굳혔다.[32] 1950년 10월, 한국 전쟁에 개입했다.(中国人民志愿军) 1950년부터 1951년까지는 신민주주의론에 기반한 인민민주독재를 개시하고 반혁명분자에 대한 인민재판을 실시했다. 1951년부터 1952년까지는 마오이즘 사상개조운동과 삼반오반운동을 전개했다. 1955년부터 1957년까지는 반우파투쟁을 벌였다. 1957년 중국 공산당은 정치 반체제 인사들과 소수 정당의 저명한 인물들을 대상으로 반우파 운동을 벌였는데, 이로 인해 최소 55만 명이 정치적 박해를 받았다.[36][37]
1958년, 대약진 운동을 실시하였다. 1960년대와 1970년대에 중국공산당은 흐루쇼프 체제 하에서 "탈스탈린화"를 거치고 있던 소비에트 연방 공산당과 상당한 이념적 분열을 경험했다. 1963년에는 사청운동을 전개했다.
1966년부터 1976년까지 마오쩌둥은 문화 대혁명을 일으켰다. 1976년에 마오쩌둥이 사망하자 문화대혁명 추진 세력은 힘을 잃었고, 마오쩌둥의 부인인 장칭 등 문혁파 4인방이 체포되면서 화궈펑 체제가 성립되었고, 1977년에 문혁의 종결이 선언되었다.
1978년, 덩샤오핑은 개혁개방과 사대현대화를 추진하였다. 1989년에는 톈안먼 사건이 발발했다. 1992년에는 남순강화와 중국 특색 사회주의 정책을 추진했다. 1997년에는 덩샤오핑이 사망하고, 홍콩이 반환되었다.
2002년에는 자본가들의 입당을 허용했다. 2005년에는 반분열국가법을 통과시켰다. 2008년에는 베이징 올림픽을 개최했다. 2010년에는 중국의 총 GDP가 2위로 상승하며 일본을 추월했다.
2013년에는 시진핑이 집권했다. 2015년에는 국공 내전 이후 최초의 중대 정상회담이 열렸다. 2018년에는 시진핑이 집권 연장에 성공하며 3연임 제한 조항을 폐지했다. 2019년에는 범죄인 인도 법안 개정안이 무산되었다. 2020년에는 홍콩 국가 안보법(中華人民共和国香港特別行政区国家安全維持法)이 통과되었다. 2021년에는 창당 100주년을 맞이했다.
1978년 12월 제11기 3중전회에서 덩샤오핑의 지도 체제가 확립되면서, 개혁개방·현대화 노선으로 전환되었다. 1981년에는 문화대혁명을 완전히 부정하고, 마오쩌둥의 잘못을 일부 인정하였다(「건국 이래 당의 몇 가지 역사 문제에 관한 결의」).[44] 덩샤오핑은 후야오방, 자오쯔양과 함께 "개혁과 개방" 정책을 주도하고, 중국 특색 사회주의라는 이념을 도입하여 중국을 세계 시장에 개방했다.[68] 덩샤오핑은 사회주의 국가가 시장경제를 이용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68] 이러한 정책 변화는 "실천이 진리의 유일한 기준이다"라는 원칙을 바탕으로 정당화되었으며, 이 원칙은 독단주의에 맞서고 "두 가지 무엇이든" 정책을 비판하는 1978년 기사를 통해 강화되었다.[43] 그러나 이러한 개혁은 보수세력과 자유주의 지식인 양쪽 모두의 불만을 샀고, 결국 1989년 천안문 사건으로 이어졌다.[25] 시위가 진압되고 개혁파 당 서기장 자오쯔양이 가택 연금되자 덩샤오핑의 경제 정책이 재개되었고, 1990년대 초에는 사회주의 시장 경제 개념이 도입되었다.[69] 1992년 겨울, 덩샤오핑은 남순강화에서 “개혁개방을 가속화하라”고 지시하였고, 같은 해 10월 제14차 당 대회에서는 사회주의 시장 경제가 제시되었다. 1997년에는 덩샤오핑 이론이 중국공산당 헌장에 포함되었다.
1990년대에 장쩌민 주석은 덩샤오핑의 뒤를 이어 최고 지도자가 되었고, 그의 정책 대부분을 계승하였다.[100] 덩샤오핑 이전의 공산당 지도자들과는 달리, 장쩌민과 함께 새로운 세대의 공산당 지도부가 등장했는데 이들은 안정된 사회 속에서 엘리트 교육을 받은 유능한 정치인들이었다.[32] 중화인민공화국과 중국공산당은 점차 규칙과 법에 기반한 체제를 이룩하기 시작했고, 문화대혁명 시기의 악습에서 벗어나 능력, 실무, 학력 등에 기반하여 간부들을 양성하고 채용하는 등 제대로 된 조직의 모습을 갖추었다.[32]
2002년 11월 제16차 당대회에서는 장쩌민이 제창한 사영기업가의 입당도 인정하는 “세 가지 대표” 사상이 당규약에 명기되었다. 2003년 장쩌민의 삼개대표사상을 헌법에 명문화했다. 삼개 대표사상의 내용은 아래와 같다.
# 항상 중국의 선진 사회 생산력의 발전 요구를 대표한다. (始终代表中国先进社会生产力的发展要求;)
# 항상 중국의 선진 문화의 전진 방향을 대표한다. (始终代表中国先进文化的前进方向;)
# 항상 중국 대부분의 인민의 근본 이익을 대표한다. (始终代表中国最广大人民的根本利益.)
장쩌민에서 후진타오 체제로 이행하여, 제3세대에서 제4세대로의 세대교체가 처음으로 평화적으로 실현되었다. 후진타오는 집단 지도체제를 강조하고 일인 독재를 반대했다. 2000년대 중국은 경제 성장을 이룩했으나, 빈부격차 등 사회 문제가 발생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후진타오는 "과학적 발전관"과 "조화로운 사회"라는 두 가지 주요 이념을 도입했다. 2008년 중국공산당 제17기 중앙위원회 3차 전체회의에서는 농촌경제 성장을 위한 토지 경작권의 매매허용(토지유동화정책)등의 변화가 있었다.[226] 2012년 제18차 당 대회에서 후진타오는 중국 공산당 총서기 및 중앙군사위원회 주석직에서 물러났고, 시진핑이 두 자리를 모두 계승했다.[45][46]
집권 이후 시진핑은 반부패 운동을 시작했으며, 집단 지도 체제를 약화시키고 권력을 집중시켰다.[47] 시진핑의 지도부 하에 중국 공산당의 역할 또한 증가했다.[49] 2017년 시진핑 사상을 중국 공산당 헌법에 추가했다.[50] 2017년 10월 제19차 전국대표대회에서는 “시진핑 신시대 중국 특색 사회주의 사상(시진핑 사상)”이 당의 “지도사상(행동 지침)”으로 당규약에 담겼다.[177][178] 또한 시진핑이 주창해 온 일대일로, 중국몽, 인류 운명 공동체 등의 구절도 당규약에 명기되었다.[178][179]
2021년 중국 공산당 창당 100주년 기념식이 거행되었다.[57]
지도부에는 단파(団派), 상하이(上海) 방(幇), 태자당(太子党), 산시(陝西) 방(幇) 등의 파벌이 있다.[191]
2. 1. 중화민국 시기 (1920년 ~ 1949년)
5·4 운동과 마르크스주의의 영향으로, 1921년 천두슈, 리다자오 등 초기 지도자들이 코민테른의 지원을 받아 중국공산당을 창당했다.[11][12] 제1차 전국대표대회는 1921년 7월 23일부터 31일까지 열렸는데, 원래 상하이의 프랑스 조계에서 개최되었으나, 7월 30일 프랑스 경찰의 탄압으로 인해 저장성 난호의 배 위에서 진행되었다.[14] 이 회의에서 천두슈가 대표로 선출되었다.1920년 8월 상하이에서 코민테른의 지도 아래 중국공산당 창당 조직이 설립되었다. 1920년 10월에는 베이징에서, 1920년 10-11월에는 후난성에서, 그리고 1921년 3월에는 광둥성에서 공산당 조직이 설립되었다. 1921년 7월 1일에는 제1차 공산당 당대회가 개최되어 공식적으로 창당되었다. 이후 중국공산당은 코민테른의 지시에 따라 쑨원이 이끌던 국민당에 가입하여 제1차 국공합작(1924년 ~ 1927년)을 맺었다. 1922년 7월, 레닌의 코민테른(공산주의 제3인터내셔널)에 정식 가입하였다. 그러나 쑨원 사후 장제스가 국민당의 지도자가 되면서 상황이 바뀌었다. 장제스는 1927년 4·12 사건을 일으켜 상하이에서 공산당원들을 학살했다.[29] 이 사건으로 인해 제1차 국공합작은 결렬되었고, 중국공산당은 큰 타격을 입었다.
|thumb|150px|중국공산당당장(2017년판)
2. 1. 1. 창당과 초기 활동 (1920년 ~ 1927년)
5·4 운동과 마르크스주의의 영향으로, 1921년 천두슈, 리다자오 등 초기 지도자들이 코민테른의 지원을 받아 중국공산당을 창당했다.[11][12] 제1차 전국대표대회는 1921년 7월 23일부터 31일까지 열렸는데, 원래 상하이의 프랑스 조계에서 개최되었으나, 7월 30일 프랑스 경찰의 탄압으로 인해 저장성 난호의 배 위에서 진행되었다.[14] 이 회의에서 천두슈가 대표로 선출되었다.이후 중국공산당은 코민테른의 지시에 따라 쑨원이 이끌던 국민당에 가입하여 제1차 국공합작(1924년 ~ 1927년)을 맺었다. 그러나 쑨원 사후 장제스가 국민당의 지도자가 되면서 상황이 바뀌었다. 장제스는 1927년 4·12 사건을 일으켜 상하이에서 공산당원들을 학살했다.[29] 이 사건으로 인해 제1차 국공합작은 결렬되었고, 중국공산당은 큰 타격을 입었다.
|thumb|150px|중국공산당당장(2017년판)
2. 1. 2. 국공내전과 중화소비에트공화국 (1927년 ~ 1937년)
1927년 7월 15일, 우한 국민당 정부는 모든 공산주의자들을 국민당에서 축출했다.[63] 이에 중국공산당은 중국 공농 홍군(중국 홍군)을 창설하여 맞섰다. 주더가 이끄는 부대는 1927년 8월 1일 난창 봉기를 일으켰지만, 5일 만에 퇴각하여 푸젠성의 황야로 밀려났다.[63] 마오쩌둥은 홍군 사령관으로 임명되어 추수 봉기를 일으켜 후난성 전역에서 농민 봉기를 촉발하려 했으나, 1927년 9월 15일 패배를 인정하고 1,000명의 생존자들과 함께 장시성 경강산맥으로 이동했다.[64]중국공산당은 민주집중제를 채택하고 정치국을 설립하여 권력을 중앙에 집중시켰다. 천두슈가 실각한 후, 1929년 리리싼이 일시적으로 최고지도자가 되었으나, 리더십 부족으로 실패하고 1930년 코민테른의 개입으로 해임되었다. 이후 마오쩌둥이 정치국 위원 겸 비공식적 지도자가 되었고, 저우언라이와 장원톈이 보좌했다. 홍군은 마오쩌둥에게 절대 복종하는 군대로 재편되었다.
1929년 구천 회의는 당의 군대에 대한 통제 원칙을 확립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31]
1931년 마오쩌둥 일파는 장시성 루이진에 중화소비에트공화국 임시정부를 수립했다. 하지만 국민당의 5차 공산당 토벌로 인해 대장정을 시작, 1년 후 산시성에서 독립적인 형태로 재등장한다. 1935년 쭌이 회의에서 마오쩌둥은 당의 비공식적 군 지도자가 되었고, 저우언라이와 장원톈(당의 공식 수장)이 그의 비공식 부관 역할을 했다.[72]
2. 1. 3. 중일전쟁과 제2차 국공합작 (1937년 ~ 1945년)
1936년 시안 사건을 계기로 일본 제국의 침략에 맞서기 위해 국민당과 공산당 사이에 제2차 국공합작이 성립되었다.[164] 장제스의 중화민국과 마오쩌둥의 공산당은 공동으로 항일 투쟁을 전개했다. 제2차 국공합작은 1945년까지 공식적으로 지속되었으나, 실제로는 1940년에 이미 협력이 중단되었다. 이는 국민당과 공산당 간의 뿌리 깊은 불신 때문이었다. 공산당은 중일 전쟁을 당세를 확장하고 훗날 국민당에 대항할 세력을 키울 기회로 여겼다. 1939년부터 국민당은 공산당의 확장을 견제하기 시작했고, 양측 군대 간 충돌이 발생하기도 했지만, 일본이라는 공동의 적 때문에 충돌은 소규모로 끝났다. 1943년부터 공산당은 국민당의 반발에도 불구하고 세력을 확장했다.1933년 5월, 소련의 트로츠키스트와 연관이 있다고 여겨지는 전 독일 참모 한스 폰 제크트[165]가 중화민국의 군사 고문이 되었다. 1934년 12월, 일본인을 중심으로 운영되던 만주국은 전 백군 사령관 그리골리 세묘노프가 참여하는 반소 조직 백계 러인 사무국을 설립하고, 1935년 3월 소련으로부터 중동철도와 그 부속지를 매입했다(북만철도 양도협정).
1935년 5월 2일, 제크트의 제안에 따라 중화민국 비밀 경찰 람의사가 친일 요인에 대한 테러 사건을 일으켰기 때문에 일본은 항의했고, 1935년 6월 27일 일본과 중화민국은 매진・하응친 협정을 맺었으며, 그 협정에서 소련의 정찰소였던 장가구의 덕화양행 방해 공작을 기획했다[163]. 이에 대해 소련은 1935년 7월부터 8월에 걸쳐 모스크바에서 제7차 코민테른 세계대회를 열고, 코민테른은 일본과 독일 등을 공산화의 주요 공격 목표로 삼았다.[164]
중일전쟁 당시 팔로군 등을 편성하여 화북을 중심으로 해방구를 거점으로 일본군과의 정면 충돌은 피하고 힘을 비축했다. 또 장제스를 통해 소련과의 불가침 조약 체결 등으로 반공에서 용공으로 바뀌게 했다.
1942년부터 마오쩌둥은 정풍운동을 실시하여 파벨 미프를 중심으로 한 코민테른의 영향을 배제했다.[168] 전시 중인 1943년, 코민테른이 해산되었다.
1945년 제7차 당대회에서 마오쩌둥 사상이 당규약에 지도 이념으로 추가되었고, 6월 19일 제7기 1중전회에서 마오쩌둥은 당의 최고 직책인 중앙위원회 주석에 취임했다. 제2차 세계 대전 종전과 함께 국공 내전이 재개되었다.
2. 1. 4. 국공내전 승리와 중화인민공화국 수립 (1945년 ~ 1949년)
2차 중일 전쟁은 국민당과 공산당이 다시 손잡게 하는 계기가 되었다. 일본 제국의 침략을 막기 위하여 2차 국공합작이 만들어졌고, 장제스의 중화민국과 마오쩌둥의 공산당은 함께 침략군을 상대로 맞서 싸우는 처지가 된 것이다. 2차 국공합작은 공식적으로는 1945년까지 지속되었으나, 실질적인 협력은 이미 1940년에 끝났다. 이는 국민당과 공산당 사이의 뿌리깊은 불화 때문이었기에 서로를 믿지 못했던 까닭이었다. 공산당은 전쟁을 당세를 늘리고 나중에 국민당에 대항할 세력을 모을 수 있는 기회로 여겼다. 국민당도 공산당의 의도를 모르는 바가 아니었고, 1939년부터는 점차 공산당의 팽창에 제동을 걸기 시작하였다. 이때문에 종종 국민당군과 공산당군 사이에서 충돌이 벌어지기도 하였는데, 공공의 적인 일본이 존재하였던 탓에 이 충돌들은 크게 번지지 않고 작은 규모에서 일단락되었다. 1943년부터는 국민당의 반발에도 불구하고 공산당이 지속적으로 확장 정책을 펴기 시작하였다.[31]마오쩌둥은 1945년 중국공산당의 공식적인 최고 지도자로 선출되었다. 이후 일본이 패망하자 전쟁은 본격적인 국공 내전상태로 접어들었다. 중국 내전은 크게 네 단계로 나누어지는데, 첫 단계는 일본이 망한 1945년 8월에서 국민당과 공산당 사이의 평화 협상이 종결된 1946년 6월까지이다. 1945년에 제 2차 세계대전이 끝났을 당시에는 국민당의 중화민국 군대가 공산당보다 3배나 많은 군인들을 거느리고 있었으며, 훨씬 더 압도적인 세력을 자랑하고 있었다. 미국과 일본의 협조 하에 중화민국은 대부분의 지역들을 큰 저항없이 장악할 수 있었으나, 이 점령지들에서 중화민국은 부패한 관료들과 무력 행사로 인하여 주민들의 지지를 얻어내는 데에 실패하고 만다. 국민당은 수적 우세에도 불구하고 공산당이 장악한 시골 지역들을 탈환하는데에 처참히 실패하였고, 공산당은 점차 소련의 원조를 받아 만주 지역을 공격하기 시작하였다. 두 번째 단계는 1946년 7월에서 1947년 6월까지이다. 이 시기에 국민당은 중국 대륙 대부분의 도시를 장악하였으며 거의 대부분의 지역들에 영향력을 행사하였다. 허나 이는 빈껍데기일 뿐이었는데, 이는 국민당 내부의 고질적인 불화와 장제스의 독재적인 면모로 인하여 국민당은 점차 내부에서부터 무너져가고 있었기 때문이었다. 세 번째 단계는 1947년 7월에서부터 1948년 8월까지로, 이 시기에 공산당이 점차 우세를 점하기 시작하였으며 중원을 장악하고 북부 지역을 평정하였으며 북동부 지역도 거의 공산당의 손아귀에 들어갔다. 한편 국민당은 크게 약화되었고 대략 3백만명에 달하는 군사들을 잃으며 큰 타격을 입었을 뿐더러, 부패와 무능으로 사람들의 지지도 얻는데 실패하며 멸망의 길을 걸어가고 있었다. 마지막 단계는 1948년 9월에서 1949년 12월까지로, 이 시기에 중국 본토가 완전히 공산당의 통치 하에 들어갔으며 국민당 주도의 중화민국은 대만으로 국부천대하며 세력이 크게 쪼그라들었다.[31]
1945년, 일본이 제2차 세계 대전에서 패배하고 일본군이 전면 항복하자, 그동안 국민당과의 타협적인 태도에서 벗어나 소련의 지원을 받아 국민정부 타도와 공산당 정권 수립을 추진했다. 내전을 피하고자 하는 미국 등의 의향도 있어 마오쩌둥과 장제스의 회담을 통한 쌍십협정 등에서 타협이 시도되었지만, 결국 국공내전에 돌입했다.
만주를 점령한 소련의 지원을 받아 동북에서 남하하여 국민당군을 압도하고, 최종적으로 국민정부를 타도하여 1949년 10월 1일에 중화인민공화국을 건국하였다. 국민정부는 근거지를 타이완(중화민국 정부)으로 이동했다.
1949년 10월 1일, 중화인민공화국(中華人民共和国)의 건국이 베이징(北京市)에서 선포되었다.
2. 2. 중화인민공화국 시기 (1949년 ~ 현재)
1949년 10월 1일, 마오쩌둥은 베이징 천안문 광장에서 중화인민공화국의 수립을 정식 선포했다.[5] 그해 말이 되자 중국공산당은 중화인민공화국의 집권 정당으로서의 지위를 확실히 굳혔다.[32] 1950년 10월, 한국 전쟁에 개입했다.(中国人民志愿军) 1950년부터 1951년까지는 신민주주의론에 기반한 인민민주독재를 개시하고 반혁명분자에 대한 인민재판을 실시했다. 1951년부터 1952년까지는 마오이즘 사상개조운동과 삼반오반운동을 전개했다. 1955년부터 1957년까지는 반우파투쟁을 벌였다. 1957년 중국 공산당은 정치 반체제 인사들과 소수 정당의 저명한 인물들을 대상으로 반우파 운동을 벌였는데, 이로 인해 최소 55만 명이 정치적 박해를 받았다.[36][37]1958년, 대약진 운동을 실시하였다. 1960년대와 1970년대에 중국공산당은 흐루쇼프 체제 하에서 "탈스탈린화"를 거치고 있던 소비에트 연방 공산당과 상당한 이념적 분열을 경험했다. 1963년에는 사청운동을 전개했다.
1966년부터 1976년까지 마오쩌둥은 문화 대혁명을 일으켰다. 1976년에 마오쩌둥이 사망하자 문화대혁명 추진 세력은 힘을 잃었고, 마오쩌둥의 부인인 장칭 등 문혁파 4인방이 체포되면서 화궈펑 체제가 성립되었고, 1977년에 문혁의 종결이 선언되었다.
1978년, 덩샤오핑은 개혁개방과 사대현대화를 추진하였다. 1989년에는 톈안먼 사건이 발발했다. 1992년에는 남순강화와 중국 특색 사회주의 정책을 추진했다. 1997년에는 덩샤오핑이 사망하고, 홍콩이 반환되었다.
2002년에는 자본가들의 입당을 허용했다. 2005년에는 반분열국가법을 통과시켰다. 2008년에는 베이징 올림픽을 개최했다. 2010년에는 중국의 총 GDP가 2위로 상승하며 일본을 추월했다.
2013년에는 시진핑이 집권했다. 2015년에는 국공 내전 이후 최초의 중대 정상회담이 열렸다. 2018년에는 시진핑이 집권 연장에 성공하며 3연임 제한 조항을 폐지했다. 2019년에는 범죄인 인도 법안 개정안이 무산되었다. 2020년에는 홍콩 국가 안보법(中華人民共和国香港特別行政区国家安全維持法)이 통과되었다. 2021년에는 창당 100주년을 맞이했다.
2. 2. 1. 중화인민공화국 건국과 사회주의 개조 (1949년 ~ 1957년)
2002년 11월에 열린 제16대 중국공산당 전국 대표대회에서 장쩌민 총서기 겸 비서장이 대표적인 정책 변화에 관한 내용을 발표했다. 이에 따르면 중화인민공화국은 중국공산당의 통제 아래 있는 "인민의 민주 독재" 상태이지만, 기업가와 자유직업에 종사하는 인민들이 당의 의사결정에 어느 정도 목소리를 낼 수 있게 되었으며 고위 공직자의 부정부패를 막기 위해서 공산당 간부가 자본가와 개인적인 관계를 갖지 못하도록 되어 있다.1949년 10월 1일, 마오쩌둥은 천안문 광장에서 거대한 군중 앞에서 중화인민공화국(PRC) 건국을 선포했다. 중국 공산당(CCP)은 중앙인민정부를 이끌었다.[5] 이 시기부터 1980년대까지 중국 공산당의 최고 지도자들(마오쩌둥, 린뱌오, 저우언라이, 덩샤오핑 등)은 중화인민공화국 건국 이전의 주요 군 지도자들과 대부분 동일했다.[32] 그 결과, 정치 지도자와 군 지도자 간의 비공식적인 개인적 유대가 군사-민간 관계를 지배했다.[32]
1952년 류샤오치가 소비에트 연방을 방문했을 때 스탈린은 일당 체제 헌법을 제안했다.[33] 1954년 중화인민공화국 헌법은 이전의 연립 정부를 폐지하고 중국 공산당의 일당 체제를 수립했다.[34][35] 1957년 중국 공산당은 정치 반체제 인사들과 소수 정당의 저명한 인물들을 대상으로 반우파 운동을 벌였는데, 이로 인해 최소 55만 명이 정치적 박해를 받았다.[36][37] 이 운동은 사회주의 공화국의 제한적인 다원주의적 성격을 심각하게 손상시켰고, 중국을 사실상의 일당 국가로 굳히는 결과를 가져왔다.
2. 2. 2. 대약진 운동과 중소 분쟁 (1958년 ~ 1965년)
1960년대와 1970년대에 중국공산당은 흐루쇼프 체제 하에서 "탈스탈린화"를 거치고 있던 소비에트 연방 공산당과 상당한 이념적 분열을 경험했다. 당시 마오쩌둥은 사회주의 혁명이 완료된 것처럼 보였음에도 불구하고 계급 적들이 계속 존재한다는 "프롤레타리아 독재 하의 지속적인 혁명"을 주장하기 시작했고, 이는 수백만 명이 박해받고 살해된 문화 대혁명으로 이어졌다. 문화 대혁명 기간 동안 류사오치, 덩샤오핑, 펑더화이, 허룽 등의 당 지도자들은 숙청되거나 망명되었고, 마오쩌둥의 부인 장칭이 이끄는 4인방이 남겨진 권력 공백을 메우기 위해 등장했다.2. 2. 3. 문화대혁명 (1966년 ~ 1976년)
1960년대와 1970년대에 중국 공산당은 흐루쇼프 체제 하에서 "탈스탈린화"를 거치고 있던 소비에트 연방 공산당과 상당한 이념적 분열을 경험했다. 당시 마오쩌둥은 사회주의 혁명이 완료된 것처럼 보였음에도 불구하고 계급 적들이 계속 존재한다는 "프롤레타리아 독재 하의 지속적인 혁명"을 주장하기 시작했고, 이는 수백만 명이 박해받고 살해된 문화 대혁명으로 이어졌다.1950년대 후반, 마오쩌둥은 국력으로 미국과 영국을 추월하는 것을 목표로 대약진운동을 실시했으나 비참한 실패로 끝났다(중국 대기근). 마오쩌둥은 유일한 자기비판을 한 후 한때 정치 무대에서 물러났지만, 몰래 복권을 모색했다. 마오쩌둥은 홍위병을 이용하여 1966년에 문화대혁명을 발동하여 혼란은 극에 달했다.
마오쩌둥에 대한 비판만 하지 않으면 공산당조차 비판해도 된다는 분위기가 조성되면서, 그동안 정치적 발언이 제한되었던 민중의 울분이 일시에 폭발했다. 전국에 걸쳐 존재했던 기존의 당 위원회는 해체되었고, 그 대신 혁명위원회가 설립되었다.
대약진운동 실패 후 경제 조정에 힘썼던 국가주석 류샤오치는 마오쩌둥에게 타도해야 할 핵심 인물로 간주되어 실각 후 옥사했다. 덩샤오핑도 실각하여 지방에서 노역에 종사하게 되었으며 (1973년에 복귀).
또한 1971년에 마오쩌둥의 후계자로 제9차 당 대회에서 지명된 린뱌오와 그의 측근들은 마오쩌둥 암살을 모의했으나 실패하고, 소련으로 탈출하려던 도중 몽골에서 비행기 추락 사고로 사망했다(린뱌오 사건).
공산당 내부의 항쟁에서 승리한 마오쩌둥은 소련과의 적대 관계(다만스키 섬 사건 참조)를 더욱 긴급한 위협으로 인식하고 1971년에 알바니아 결의를 통해 국제연합에 가입하여 국제 사회에 참여했으며, 1972년에는 미국 대통령 리처드 닉슨의 중화인민공화국 방문과 일본과의 국교 회복을 실현하는 등 외교 정책의 대전환을 단행했다.
1976년에 마오쩌둥이 사망하자 문화대혁명 추진 세력은 힘을 잃었고, 마오쩌둥의 부인인 장칭 등 문혁파 4인방이 체포되면서 화궈펑 체제가 성립되었고, 1977년에 문혁의 종결이 선언되었다.
2. 2. 4. 개혁개방과 중국 특색 사회주의 (1978년 ~ 현재)
1978년 12월 제11기 3중전회에서 덩샤오핑의 지도 체제가 확립되면서, 개혁개방·현대화 노선으로 전환되었다. 1981년에는 문화대혁명을 완전히 부정하고, 마오쩌둥의 잘못을 일부 인정하였다(「건국 이래 당의 몇 가지 역사 문제에 관한 결의」).[44] 덩샤오핑은 후야오방, 자오쯔양과 함께 "개혁과 개방" 정책을 주도하고, 중국 특색 사회주의라는 이념을 도입하여 중국을 세계 시장에 개방했다.[68] 덩샤오핑은 사회주의 국가가 시장경제를 이용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68] 이러한 정책 변화는 "실천이 진리의 유일한 기준이다"라는 원칙을 바탕으로 정당화되었으며, 이 원칙은 독단주의에 맞서고 "두 가지 무엇이든" 정책을 비판하는 1978년 기사를 통해 강화되었다.[43] 그러나 이러한 개혁은 보수세력과 자유주의 지식인 양쪽 모두의 불만을 샀고, 결국 1989년 천안문 사건으로 이어졌다.[25] 시위가 진압되고 개혁파 당 서기장 자오쯔양이 가택 연금되자 덩샤오핑의 경제 정책이 재개되었고, 1990년대 초에는 사회주의 시장 경제 개념이 도입되었다.[69] 1992년 겨울, 덩샤오핑은 남순강화에서 “개혁개방을 가속화하라”고 지시하였고, 같은 해 10월 제14차 당 대회에서는 사회주의 시장 경제가 제시되었다. 1997년에는 덩샤오핑 이론이 중국공산당 헌장에 포함되었다.1990년대에 장쩌민 주석은 덩샤오핑의 뒤를 이어 최고 지도자가 되었고, 그의 정책 대부분을 계승하였다.[100] 덩샤오핑 이전의 공산당 지도자들과는 달리, 장쩌민과 함께 새로운 세대의 공산당 지도부가 등장했는데 이들은 안정된 사회 속에서 엘리트 교육을 받은 유능한 정치인들이었다.[32] 중화인민공화국과 중국공산당은 점차 규칙과 법에 기반한 체제를 이룩하기 시작했고, 문화대혁명 시기의 악습에서 벗어나 능력, 실무, 학력 등에 기반하여 간부들을 양성하고 채용하는 등 제대로 된 조직의 모습을 갖추었다.[32]
2002년 11월 제16차 당대회에서는 장쩌민이 제창한 사영기업가의 입당도 인정하는 “세 가지 대표” 사상이 당규약에 명기되었다. 2003년 장쩌민의 삼개대표사상을 헌법에 명문화했다. 삼개 대표사상의 내용은 아래와 같다.
# 항상 중국의 선진 사회 생산력의 발전 요구를 대표한다. (始终代表中国先进社会生产力的发展要求;)
# 항상 중국의 선진 문화의 전진 방향을 대표한다. (始终代表中国先进文化的前进方向;)
# 항상 중국 대부분의 인민의 근본 이익을 대표한다. (始终代表中国最广大人民的根本利益.)
장쩌민에서 후진타오 체제로 이행하여, 제3세대에서 제4세대로의 세대교체가 처음으로 평화적으로 실현되었다. 후진타오는 집단 지도체제를 강조하고 일인 독재를 반대했다. 2000년대 중국은 경제 성장을 이룩했으나, 빈부격차 등 사회 문제가 발생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후진타오는 "과학적 발전관"과 "조화로운 사회"라는 두 가지 주요 이념을 도입했다. 2008년 중국공산당 제17기 중앙위원회 3차 전체회의에서는 농촌경제 성장을 위한 토지 경작권의 매매허용(토지유동화정책)등의 변화가 있었다.[226] 2012년 제18차 당 대회에서 후진타오는 중국 공산당 총서기 및 중앙군사위원회 주석직에서 물러났고, 시진핑이 두 자리를 모두 계승했다.[45][46]
집권 이후 시진핑은 반부패 운동을 시작했으며, 집단 지도 체제를 약화시키고 권력을 집중시켰다.[47] 시진핑의 지도부 하에 중국 공산당의 역할 또한 증가했다.[49] 2017년 시진핑 사상을 중국 공산당 헌법에 추가했다.[50] 2017년 10월 제19차 전국대표대회에서는 “시진핑 신시대 중국 특색 사회주의 사상(시진핑 사상)”이 당의 “지도사상(행동 지침)”으로 당규약에 담겼다.[177][178] 또한 시진핑이 주창해 온 일대일로, 중국몽, 인류 운명 공동체 등의 구절도 당규약에 명기되었다.[178][179]
2021년 중국 공산당 창당 100주년 기념식이 거행되었다.[57]
지도부에는 단파(団派), 상하이(上海) 방(幇), 태자당(太子党), 산시(陝西) 방(幇) 등의 파벌이 있다.[191]
3. 핵심 요소
중국공산당의 핵심 이념은 역대 지도부와 함께 발전해 왔다. 당과 인민해방군은 연공서열에 따라 당원을 승진시키기 때문에, 지도부 세대가 뚜렷하게 구분된다.[62] 역사학자들은 이러한 "세대"를 참고하여 중화인민공화국 정부 발전의 여러 시기를 연구해 왔다.
마르크스-레닌주의는 중국공산당의 첫 번째 공식 이념이었다.[63] 중국공산당은 "마르크스-레닌주의"가 인류 사회 역사 발전의 보편적 법칙을 밝혀낸다고 보았다.[63] 인민일보에 따르면, 마오쩌둥 사상은 "중국에서 적용되고 발전된 마르크스-레닌주의"이다.[63] 신화통신은 마오쩌둥 사상이 마오쩌둥뿐만 아니라 주요 당 간부들에 의해 구상되었다고 설명한다.[64]
덩샤오핑 이론은 1992년 제14차 전국대표대회에서 당 헌법에 추가되었다. 이 이론은 "중국 특색 사회주의"와 "사회주의 초기 단계" 개념을 제시했다. 덩샤오핑 이론은 국가 사회주의와 국가 계획이 공산주의가 아니며, 시장 메커니즘은 계급 중립적이라는 믿음으로 정의될 수 있다. 당은 변화하는 상황에 역동적으로 대응해야 하며, "실사구시"하고 "실천이 진리의 유일한 기준"이라는 슬로건을 따라야 했다.
장쩌민의 "세 가지 대표" 사상은 제16차 전국대표대회에서 채택되었다. 이 사상은 중국 공산당의 역할을 정의하며, 당은 항상 중국의 선진 생산력 발전 요구, 중국의 선진 문화 방향 및 중국 인민 대다수의 근본적 이익을 대표해야 한다고 강조한다.[65] 일부에서는 이를 비판했지만, 지지자들은 중국 특색 사회주의의 추가 발전으로 보았다. 장쩌민은 생산 양식의 변화를 강제하는 것은 쓸모없으며, "역사의 경제 법칙"을 따라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 이론은 자본가들이 당에 가입할 수 있도록 허용했다.
후진타오의 과학적 발전관은 2003년 제16기 중앙위원회 제3차 전체회의에서 공식화되었다. 이는 과학적 사회주의, 지속 가능한 발전, 사회 복지, 인본주의적 사회, 증대된 민주주의, 그리고 사회주의 조화 사회의 창출을 통합한다. 중국 공산당은 이 개념이 "마르크스주의를 현대 중국의 현실과 우리 시대의 기저 특징과 통합하고, 발전에 대한 마르크스주의 세계관과 방법론을 완전히 구현한다"고 밝혔다.[66]
시진핑의 시진핑 신시대 중국 특색 사회주의 사상(시진핑 사상)은 2017년 제19차 전국대표대회에서 당 헌법에 추가되었다.[50]
중국 공산당은 사회주의 애국주의와 중국 민족주의의 요소를 결합한다. 당은 궁극적인 목표를 "공산주의 실현"으로 하고 있다.[180] 중화인민공화국은 현재 사회주의를 실시하고 있으며, 이는 공산주의 실현을 위한 초기 단계이다. 당은 국방, 과학, 공업, 농업 기술의 현대화를 통해 부유하고 강하며, 민주적이고 문명적인 국가를 건설하여 공산주의 실현을 목표로 한다.
2017년 10월 현재 지도 이념은 마르크스-레닌주의(마르크스주의), 마오쩌둥 사상, 덩샤오핑 이론, 세 가지 대표, 과학적 발전관, 시진핑 사상이다.[181]
종교는 부정적으로 간주되며, 당원은 종교를 믿거나 종교 활동에 참여할 수 없다.[182] 문화대혁명 당시 홍위병은 성직자를 탄압하고 종교 시설을 파괴했다. 혁명 이후 종교 정책이 수정되어 일정 수준의 종교 활동이 보장되었지만, 파룬궁 비판, 달라이 라마 사진 게시 금지, 메카 순례 제한, 기독교 박해 등 종교 탄압은 여전히 남아 있다. 2016년 국무원은 간부 당원의 은퇴 후 종교 활동을 금지하는 규정을 발표했다.[183]
3. 1. 실천과 의지
3. 2. 계속 혁명
3. 3. 군중 노선
3. 4. 모순론
마르크스-레닌주의(마르크스주의)와 마오쩌둥 사상 등 변증법적 유물론에 기반하여 모순의 보편성과 특수성, 주요 모순과 비주요 모순 등을 분석한다.[181] 종교는 부정적이며, 당원은 종교를 믿거나 종교 활동에 참여할 수 없다.[182] 문화대혁명 당시에는 마르크스의 "종교는 아편이다"라는 말에 따라 홍위병이 성직자들을 탄압하고 종교 시설을 파괴했다. 혁명 종료 후 종교 정책이 수정되어 일정 수준의 종교 활동이 보장되고 시설 복구가 이루어졌지만, 파룬궁 비판, 달라이 라마 사진 게시 금지, 메카 순례 제한, 기독교 탄압 등 종교에 대한 탄압은 여전히 남아있다. 2016년 2월 4일 국무원은 간부 당원의 은퇴 후 종교 활동을 금지하는 새로운 규정을 발표했다.[183]3. 5. 반제국주의와 반수정주의
마르크스-레닌주의(마르크스주의)와 마오쩌둥 사상을 지도 이념으로 삼는 중국공산당은 서구 제국주의와 소련 수정주의를 비판한다.[181] 종교에 대해서는 부정적이며, 당원은 종교를 믿거나 종교 활동에 참여할 수 없다.[182] 문화대혁명 시기에는 마르크스의 "종교는 아편이다"라는 말에 따라 홍위병이 성직자를 탄압하고 종교 시설을 파괴하기도 했다.[182] 혁명 종료 후 종교 정책이 수정되어 일정 수준의 종교 활동이 보장되고 종교 시설이 복구되었지만, 파룬궁과 같이 사교로 간주되는 종교나 달라이 라마 관련 활동은 여전히 탄압받고 있다.[182] 종교 활동은 당국의 관리 하에서만 가능하다.[182] 2016년 2월 4일 국무원은 간부 당원이 은퇴 후에도 종교를 믿어서는 안 된다는 새로운 규정을 발표했다.[183]3. 6. 인민 내부 모순
3. 7. 인민전쟁론
3. 8. 제3세계론
4. 관련 문헌
4. 1. 마오쩌둥 저작
4. 2. 기타 자료
5. 영향
5. 1. 중국 국내
5. 2. 국제적 영향
5. 3. 대한민국에의 영향
6. 관련 조직
6. 1. 국제 조직
6. 2. 각국 정당 및 단체
6. 3. 기타
7. 주요 인물
천두슈는 중국공산당 중앙국 서기(1921년 7월 1일 ~ 1922년 7월 16일), 중앙집행위원회 위원장(1922년 7월 16일 ~ 1927년 4월 27일), 중앙위원회 총서기(1927년 4월 27일 ~ 1927년 8월 7일)를 역임했다. 4.12 사건과 난창 폭동 실패로 실각했다. 취추바이는 임시 중앙위원회 총서기(1927년 8월 7일 ~ 1928년 6월 18일)를 역임했다. 샹중파는 중앙위원회 총서기(1928년 6월 18일 ~ 1934년 1월 15일)였으나, 실권은 리리산과 왕밍 등에게 있었다. 왕밍은 중앙위원회 총서기 대리(1931년 6월 ~ 1931년 9월)를 역임했다. 보구는 중앙위원회 총서기(1934년 1월 15일~ 1935년 1월 15일)였다. 장원톈은 중앙위원회 총서기(1935년 1월 15일 ~ 1945년 4월 23일)였으나, 실권자는 마오쩌둥이었다.
마오쩌둥은 중앙위원회 주석(1945년 6월 19일 ~ 1976년 9월 9일)을 역임하다 사망했다. 화궈펑은 중앙위원회 주석(1976년 10월 7일 ~ 1981년 6월 27일)을 승계했다. 후야오방은 중앙위원회 주석(1981년 6월 27일 ~ 1982년 9월 11일) 및 중앙위원회 총서기(1982년 9월 12일 ~ 1987년 1월 15일)였으나, 다당제 주장으로 실각했다. 실권자는 덩샤오핑이었다. 자오쯔양은 중앙위원회 총서기(1987년 1월 16일 ~ 1989년 6월 23일)였으나, 천안문 항쟁 동조로 실각했다. 실권자는 덩샤오핑이었다.
장쩌민은 중앙위원회 총서기(1989년 6월 23일 ~ 2002년 11월 15일)를 역임했다. 초기에는 실권자가 덩샤오핑이었다. 후진타오는 중앙위원회 총서기(2002년 11월 15일 ~ 2012년 11월 15일)를 역임했다. 시진핑은 중앙위원회 총서기(2012년 11월 15일 ~ )를 역임하고 있다.
7. 1. 운동가
7. 2. 이론가
7. 3. 정치인
중국공산당의 정치인으로는 린뱌오(1907년 ~ 1971년), 쯔엉찐(1907년 ~ 1988년), 장칭(1914년 ~ 1991년), 장춘차오(1917년 ~ 2005년), 폴 포트(1925년 ~ 1998년), 야오원위안(1931년 ~ 2005년), 프라찬다(1954년 ~ ) 등이 있다.역대 공식 지도자는 다음과 같다.
대수 | 역대 공식 지도자 | 직함 | 임기 | 비고 |
---|---|---|---|---|
1 | 천두슈 | 중앙국 서기 | 1921년 7월 1일 ~ 1922년 7월 16일 | |
2 | 중앙집행위원회 위원장 | 1922년 7월 16일 ~ 1923년 6월 12일 | ||
3 | 1923년 6월 12일 ~ 1925년 1월 11일 | |||
4 | 1925년 1월 11일 ~ 1927년 4월 27일 | |||
5 | 중앙위원회 총서기 | 1927년 4월 27일 ~ 1927년 8월 7일 | 4.12 사건과 난창 폭동 실패로 실각 | |
임시 | 취추바이 | 임시 중앙위원회 총서기 | 1927년 8월 7일 ~ 1928년 6월 18일 | |
6 | 샹중파 | 중앙위원회 총서기 | 1928년 6월 18일 ~ 1934년 1월 15일 | 실권은 리리산→왕밍 등에게 |
임시 | 왕밍 | 중앙위원회 총서기 대리 | 1931년 6월 ~ 1931년 9월 | |
7 | 보구 | 중앙위원회 총서기 | 1934년 1월 15일~ 1935년 1월 15일 | |
8 | 장원톈 | 1935년 1월 15일 ~ 1945년 4월 23일 | 실권자는 마오쩌둥 | |
9 | 마오쩌둥 | 중앙위원회 주석 | 1945년 6월 19일 ~ 1956년 9월 28일 | |
10 | 1956년 9월 28일 ~ 1969년 4월 28일 | |||
11 | 1969년 4월 28일 ~ 1973년 8월 30일 | |||
12 | 1973년 8월 30일 ~ 1976년 9월 9일 | 사망 | ||
임시 | 화궈펑 | 1976년 10월 7일 ~ 1977년 7월 16일 | 승계 | |
13 | 1977년 7월 16일 ~ 1977년 8월 19일 | |||
14 | 1977년 8월 19일 ~ 1981년 6월 27일 | |||
15 | 후야오방 | 1981년 6월 27일 ~ 1982년 9월 11일 | 실권자는 덩샤오핑 | |
16 | 중앙위원회 총서기 | 1982년 9월 12일 ~ 1987년 1월 15일 | 다당제 주장으로 실각 | |
임시 | 자오쯔양 | 1987년 1월 16일 ~ 1987년 11월 2일 | 실권자는 덩샤오핑 | |
17 | 1987년 11월 2일 ~ 1989년 6월 23일 | 천안문 항쟁 동조로 실각 | ||
18 | 장쩌민 | 1989년 6월 23일 ~ 1992년 10월 19일 | 실권자는 덩샤오핑 | |
19 | 1992년 10월 19일 ~ 1997년 9월 19일 | |||
20 | 1997년 9월 19일 ~ 2002년 11월 15일 | |||
21 | 후진타오 | 2002년 11월 15일 ~ 2007년 10월 22일 | ||
22 | 2007년 10월 22일 ~ 2012년 11월 15일 | |||
23 | 시진핑 | 2012년 11월 15일 ~ 2017년 10월 25일 | ||
24 | 2017년 10월 25일 ~ 2022년 10월 23일 | |||
25 | 2022년 10월 23일 ~ |
8. 비판
대한민국에서는 주로 보수 진영에서 마오쩌둥을 독재자와 학살자로 비판하며, 그의 사상을 전체주의적이고 폭력적인 것으로 간주한다. 문화대혁명 시기 홍위병의 만행과 인권 탄압을 강조하며, 마오쩌둥 사상이 초래한 비극적인 결과를 지적한다.
탄허는 김지견 동국대 교수와의 대담에서 불교의 말법시대를 논하며 유교에도 비슷한 것이 있다고 하였다. 소강절은 황(皇), 제(帝), 왕(王), 패(覇), 이적(夷狄), 금수(禽獸)로 구분하여 기록하였는데, '이적'은 중국 청나라 3백년을 말한 것이고 그 이후는 '금수'가 온다고 하였다. 청나라 이후라면 국공내전과 중화인민공화국 시기를 말한다. 요순(堯舜)이 다스리는 태평성대에서 점점 시대가 타락하여 이적운이 닥치고 마침내는 금수운이 도래한다는 것이다.
소강절은 사람들이 선을 행하지 않고 점점 악에 몰두하고 이기심과 욕망만을 추구하니 점점 살기가 힘들어지고 서로가 서로를 해치고, 싸우고, 잡아먹는 금수운이 도래한다고 예견하였다. 2024년 현재, 중공은 댓글부대를 활용하여 한국에 여론전을 펼치고 있으며, 초한전이라는 개념을 통해 목적을 위해서 수단을 가리지 않고 악한 짓을 서슴없이 자행하고 있다.
공자와 맹자, 노자와 장자, 혜능대사(慧能大師)와 법장(法藏) 등 인류 정신문명에 크나큰 공헌을 한 '중화'가 타락하고 무너져버린것에 대해 개탄하기도 한다.
8. 1. 대한민국에서의 비판
대한민국에서는 주로 보수 진영에서 마오쩌둥을 독재자와 학살자로 비판하며, 그의 사상을 전체주의적이고 폭력적인 것으로 간주한다. 문화대혁명 시기 홍위병의 만행과 인권 탄압을 강조하며, 마오쩌둥 사상이 초래한 비극적인 결과를 지적한다.탄허는 김지견 동국대 교수와의 대담에서 불교의 말법시대를 논하며 유교에도 비슷한 것이 있다고 하였다. 소강절은 황(皇), 제(帝), 왕(王), 패(覇), 이적(夷狄), 금수(禽獸)로 구분하여 기록하였는데, '이적'은 중국 청나라 3백년을 말한 것이고 그 이후는 '금수'가 온다고 하였다. 청나라 이후라면 국공내전과 중화인민공화국 시기를 말한다. 요순(堯舜)이 다스리는 태평성대에서 점점 시대가 타락하여 이적운이 닥치고 마침내는 금수운이 도래한다는 것이다.
소강절은 사람들이 선을 행하지 않고 점점 악에 몰두하고 이기심과 욕망만을 추구하니 점점 살기가 힘들어지고 서로가 서로를 해치고, 싸우고, 잡아먹는 금수운이 도래한다고 예견하였다. 2024년 현재, 중공은 댓글부대를 활용하여 한국에 여론전을 펼치고 있으며, 초한전이라는 개념을 통해 목적을 위해서 수단을 가리지 않고 악한 짓을 서슴없이 자행하고 있다.
공자와 맹자, 노자와 장자, 혜능대사(慧能大師)와 법장(法藏) 등 인류 정신문명에 크나큰 공헌을 한 '중화'가 타락하고 무너져버린것에 대해 개탄하기도 한다.
8. 2. 중국 내에서의 비판
탄허 스님은 불교의 말법시대와 유교의 소강절 선생의 황(皇), 제(帝), 왕(王), 패(覇), 이적(夷狄), 금수(禽獸) 구분을 통해 현 시대를 금수운(禽獸運)으로 보았다. 이는 중화인민공화국 시기를 포함하며, 사람들이 악에 몰두하고 이기심과 욕망만을 추구하여 서로 해치는 시대라고 진단했다. 2024년 현재 중국공산당은 초한전 개념을 통해 목적을 위해 수단을 가리지 않는 행태를 보이고 있다. 이는 공자와 맹자, 노자와 장자, 혜능대사와 법장스님 등 인류 정신문명에 기여한 중화의 타락을 보여주는 것이라며 개탄했다.외국 분석가들은 중국 공산당이 마르크스-레닌주의와 마오쩌둥 사상을 배격했다고 보지만, 중국 공산당은 이를 부정한다. 비판가들은 장쩌민의 '세 가지 대표' 이론이 마르크스-레닌주의와의 결별을 의미한다고 주장하지만, 당 이론가 렁롱은 이를 통해 당을 강화했다고 반박한다. 중국 공산당은 여전히 '공산주의' 달성을 궁극적인 목표로 삼고, 현재 중국이 사회주의 초기 단계에 있다고 주장하지만, 일부 당 이론가들은 현재 발전 단계가 자본주의와 유사하다고 본다. 로버트 로렌스 쿤은 사회주의 초기 단계 개념이 100년의 시간표를 가진 진지한 정치 이론이라고 말했다.
데이비드 셱보는 덩샤오핑 집권 이후 이념과 의사결정의 관계가 역전되어 의사결정이 이념을 정당화하게 되었다고 주장한다. 중국 정책 입안자들은 소련의 이념을 경직된 것으로 평가하고, 당의 통치를 위해 이념이 역동적이어야 한다고 믿는다.
케리 브라운은 중국 공산당에 이념이 없으며 실용주의적이라고 주장하지만, 후진타오는 2012년 서구 문화의 위협을 언급하며 이념적, 문화적 영역이 주요 목표라고 말했다.
8. 3. 국제 사회의 비판
서구 자유주의 진영에서는 마오쩌둥 사상의 전체주의적 성격과 인권 탄압을 비판하며, 표현의 자유와 민주주의의 가치를 옹호한다. 일부 마르크스주의자들은 마오쩌둥 사상이 마르크스-레닌주의에서 벗어난 수정주의라고 비판한다.송나라의 학자인 소강절은 상수역학(象數易學)을 통해 금수운(禽獸運)을 예견했다. 금수운은 인간이 선을 행하지 않고 악에 몰두하며, 이기심과 욕망만을 추구하여 서로 해치고 싸우는 시대를 의미한다.
탄허 스님은 현시대가 금수운에 해당한다고 보았다. 그는 유교의 소강절 선생이 말한 황(皇), 제(帝), 왕(王), 패(覇), 이적(夷狄), 금수(禽獸) 구분을 언급하며, 청나라 이후 국공내전과 중화인민공화국 시기가 금수운에 해당한다고 주장했다.
이는 공자와 맹자, 노자와 장자와 같은 성현을 배출하고, 혜능대사와 법장스님, 화엄학과 선종 등을 통해 인류 정신문명에 기여한 중화(中華) 문명이 타락했음을 보여준다.
외국 분석가들은 중국 공산당이 정통 마르크스-레닌주의와 마오쩌둥 사상을 배격했다고 평가하지만, 중국 공산당은 이를 부정한다. 중국 공산당은 사회주의 초기 단계에 있다고 주장하며, 일부 당 이론가들은 현재 발전 단계가 "자본주의와 매우 유사하다"고 주장한다.
데이비드 셱보는 덩샤오핑 지도하에 정책 결정이 이념을 정당화하는 방식으로 관계가 변화했다고 주장한다. 케리 브라운은 중국 공산당에는 이념이 없으며, 실용적인 것에만 관심이 있다고 주장하지만, 후진타오는 서구의 위협에 맞서 이념적, 문화적 영역을 강화해야 한다고 말했다.
9. 같이 보기
참조
[1]
뉴스
共产主义小组的建立与中国共产党的成立
http://news.xinhuane[...]
2021-12-03
[2]
백과사전
Chinese Communist Party
https://www.britanni[...]
2020-08-13
[3]
웹사이트
Style Guide: PRC, China, CCP or Chinese?
https://www.asiamedi[...]
Asia New Zealand Foundation
2022-06-19
[4]
서적
The Party: The Secret World of China's Communist Rulers
Harper Perennial
[5]
서적
The World Transformed: 1945 to the Present
https://archive.org/[...]
Oxford University Press
[6]
서적
China's Revolution and the Quest for a Socialist Future
1804 Books
2023
[7]
학술지
May 4th and June 4th compared: A sociological study of Chinese social movements
1997-03
[8]
서적
An Ideological History of the Communist Party of China
Royal Collins Publishing Group
2020
[9]
서적
Contemporary China: a New Superpower?
Routledge
[10]
서적
Mao Zedong and China in the Twentieth-Century World: a Concise History
Duke University Press
2010
[11]
뉴스
Xiǎn wéi rénzhī de zhōnggòng yī dà cānjiāzhě: Éguórén Níkē'ěrsījī
http://cpc.people.co[...]
2020-12-07
[12]
서적
Beijing Library Press
1997
[13]
뉴스
On Party Anniversary, China Rewrites History
https://www.nytimes.[...]
2021-06-02
[14]
웹사이트
1st. National Congress of The Communist Party of China (CPC).
http://www.chinatoda[...]
2015-10-08
[15]
웹사이트
Three Chinese Leaders: Mao Zedong, Zhou Enlai, and Deng Xiaoping
http://afe.easia.col[...]
Columbia University
2022-03-21
[16]
뉴스
News of the Soviets of People's Deputies
1920-10-09
[17]
뉴스
News of the Soviets of People's Deputies
1921-11-16
[18]
서적
中共中央文件選集1
中共中央黨校出版社
1989
[19]
서적
中共中央、共青團中央和共產國際代表聯席會議記錄
1924-12
[20]
서적
共產國際有關中國資料選輯 Collection of the Communist International's Materials on China
Institute of Modern History, Chinese Academy of Social Sciences
1981
[21]
서적
中間地帶的革命
山西人民出版社
2010-04-00
[22]
뉴스
The Chinese Communist Party Is Still Afraid of Sun Yat-Sen's Shadow
https://foreignpolic[...]
2021-03-01
[23]
뉴스
Tug of war over China's founding father Sun Yat-sen as Communist Party celebrates his legacy
https://www.scmp.com[...]
2016-11-10
[24]
논문
Socialism with Chinese Characteristics: Sun Yatsen and the International Development of China
[25]
논문
中國革命勢力統一政策與廣州事變
1926-04-03
[26]
서적
Soviet Russia in China: a Summing Up at Seventy
https://archive.org/[...]
Farrar, Straus and Cudahy
1957
[27]
서적
中共中央文件選集2
中共中央黨校出版社
1989
[28]
논문
蔣介石從三二零到四一二的心路歷程
[29]
서적
上海工人三次武裝起義
Shanghai People's Press
1983
[30]
서적
China Rising: The Revolutionary Experience
History Teachers' Association of Victoria
2016
[31]
서적
China under Xi Jinping: A New Assessment
Leiden University Press
[32]
웹사이트
The 19th Central Committee Politburo
https://www.hoover.o[...]
Hoover Institution
2020-04-27
[33]
서적
在歷史巨人身邊——師哲回憶錄
中央文獻出版社
1991
[34]
서적
紅太陽的隕落:千秋功罪毛澤東
書作坊
2009
[35]
서적
毛澤東和後毛澤東時代
聯經
2012
[36]
뉴스
The Silence that Preceded China's Great Leap into Famine
https://www.smithson[...]
2019-11-28
[37]
웹사이트
"反右"运动与民主革命——纪念"反右"运动五十周年
https://www.modernch[...]
2020-07-18
[38]
학술지
Making Famine History
http://researchrepos[...]
2021-04-21
[39]
학술지
The Institutional Causes of China's Great Famine, 1959–1961
https://www0.gsb.col[...]
2020-04-22
[40]
학술지
China's great famine: 40 years later
1999-12-18
[41]
뉴스
Unnatural Disaster
https://www.nytimes.[...]
2020-04-22
[42]
웹사이트
Mao's Great Famine: Ways of Living, Ways of Dying
https://web.archive.[...]
Dartmouth College
[43]
웹사이트
An article influences Chinese history
http://www.china.org[...]
2021-08-09
[44]
서적
The Chinese Communist Party: a 100-Year Trajectory
ANU Press
2024
[45]
뉴스
Hu Jintao, Xi Jinping meet delegates to 18th CCP National Congress
https://web.archive.[...]
2014-01-04
[46]
뉴스
Stop Calling China's Xi Jinping 'President,' U.S. Panel Says
https://www.wsj.com/[...]
2023-07-08
[47]
뉴스
The Rise and Rise of Xi Jinping: Xi who must be obeyed
https://www.economis[...]
2017-10-26
[48]
웹사이트
Xi Jinping's Anti-Corruption Campaign: The Hidden Motives of a Modern-Day Mao
https://www.fpri.org[...]
2020-07-17
[49]
뉴스
Xi's China: The rise of party politics
https://www.ft.com/c[...]
2020-01-16
[50]
뉴스
Xi Jinping becomes most powerful leader since Mao with China's change to constitution
https://www.theguard[...]
2017-10-24
[51]
뉴스
The 7 Men Who Will Run China
https://thediplomat.[...]
2020-04-27
[52]
뉴스
Concentration camps and forced labor: China's repression of the Uighurs, explained
https://www.vox.com/[...]
2022-08-22
[53]
뉴스
'Cultural genocide': China separating thousands of Muslim children from parents for 'thought education'
https://www.independ[...]
2022-08-22
[54]
웹사이트
Letter to the HRC
https://www.hrw.org/[...]
2019-07-12
[55]
뉴스
Muslim nations are defending China as it cracks down on Muslims, shattering any myths of Islamic solidarity
https://www.cnn.com/[...]
2022-04-29
[56]
뉴스
North Korea, Syria and Myanmar among countries defending China's actions in Xinjiang
https://www.cnn.com/[...]
2022-04-29
[57]
뉴스
Inside the plans for the CCP's 100th anniversary
https://www.theweek.[...]
2021-05-25
[58]
뉴스
Chinese Communist party clears way for Xi to tighten grip on power
https://www.ft.com/c[...]
2022-08-11
[59]
뉴스
China's Communist Party passes resolution amplifying President Xi's authority
https://www.reuters.[...]
2021-11-12
[60]
뉴스
How Xi Jinping Is Rewriting China's History to Put Himself at the Center
https://www.wsj.com/[...]
2021-11-17
[61]
뉴스
China's Xi takes dig at U.S. in speech to political parties around world
https://www.reuters.[...]
2022-06-27
[62]
서적
The Chinese High Command: A History of Communist Military Politics, 1927-71
https://archive.org/[...]
Praeger
1973
[63]
뉴스
Ideological Foundation of the CPC
http://english.peopl[...]
2013-12-26
[64]
뉴스
Mao Zedong Thought
http://news.xinhuane[...]
2013-12-26
[65]
간행물
Selected Works of Jiang Zemin, Eng. ed.
FLP
2013
[66]
뉴스
Full text of Hu Jintao's report at 18th Party Congress
http://english.peopl[...]
2014-09-19
[67]
웹사이트
His own words: The 14 principles of 'Xi Jinping Thought'
https://monitoring.b[...]
BBC Monitoring
2017-10-28
[68]
뉴스
Building a Socialism with a specifically Chinese character
http://english.peopl[...]
Central Committee of the Chinese Communist Party
2013-01-13
[69]
뉴스
Marketization the key to economic system reform
http://www.chinadail[...]
Chinese Communist Party
2013-12-22
[70]
뉴스
Xi Touts Communist Party as Defender of Confucius's Virtues
http://sinosphere.bl[...]
2014-02-13
[71]
논문
A Strong Leader for A Time of Crisis: Xi Jinping's Strongman Politics as A Collective Response to Regime Weakness
2021-03-04
[72]
논문
The Return to Personalistic Rule
https://journalofdem[...]
2024-04-21
[73]
서적
1. Xi Jinping and the Evolution of Chinese Leadership Politics
Stanford University Press
2020-12-31
[74]
웹사이트
Democratic Centralism: The Core Mechanism in China's Political System
http://english.qsthe[...]
2013-10-01
[75]
서적
Democratic Centralism and Administration in China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8-07-05
[76]
뉴스
Accused Chinese Party Members Face Harsh Discipline
https://www.nytimes.[...]
2012-06-14
[77]
웹사이트
Magic Weapons: China's political influence activities under Xi Jinping
https://www.wilsonce[...]
Woodrow Wilson International Center for Scholars
2017-00-00
[78]
뉴스
The Chinese Influence Effort Hiding in Plain Sight
https://www.theatlan[...]
2019-07-12
[79]
웹사이트
The party speaks for you: Foreign interference and the Chinese Communist Party's united front system
https://www.aspi.org[...]
Australian Strategic Policy Institute
2020-06-09
[80]
웹사이트
The United Front in Communist China
https://www.cia.gov/[...]
Central Intelligence Agency
1957-05-00
[81]
논문
The Expansion of the United Front Under Xi Jinping
http://press-files.a[...]
ANU Press
2020-08-31
[82]
웹사이트
The CCP's Grand United Front abroad
https://sinopsis.cz/[...]
2020-08-31
[83]
뉴스
General Secretary of CPC Central Committee
http://english.cri.c[...]
China Radio International
2013-12-08
[84]
뉴스
The party organiser
http://www.ft.com/in[...]
2013-12-09
[85]
뉴스
China's Institutional Shake-Up Produces New Department to Better Handle Public's Complaints
https://www.caixingl[...]
2023-03-18
[86]
뉴스
Communist Party mouthpiece People's Daily launches English news app in soft power push
https://www.hongkong[...]
2017-10-16
[87]
웹사이트
Ownership and control of Chinese media
https://safeguarddef[...]
2022-12-10
[88]
웹사이트
Annual Report to Congress – Military and Security Developments Involving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2019
https://media.defens[...]
2019-10-27
[89]
논문
A Partocracy with Chinese Characteristics: Governance System Reform under Xi Jinping
2020-11-01
[90]
서적
The Long Game: China's Grand Strategy to Displace American Order
Oxford University Press
2021-09-30
[91]
서적
The Good Communist: Elite Training and State Building in Today's China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9
[92]
뉴스
China's Communist Party worries about its grassroots weakness
https://www.economis[...]
2020-06-14
[93]
학술지
Collective Leadership, Career Concern, and the Housing Market in China: The Role of Standing Committees: Leadership, Careers and Housing Market
2016-02-00
[94]
서적
The New China Playbook: Beyond Socialism and Capitalism
Viking
2023
[95]
학술지
Navigating Unknown Waters: The Chinese Communist Party's New Presence in the Private Sector
[96]
뉴스
China's Communist Party is tightening its grip in businesses
https://www.economis[...]
2023-07-09
[97]
웹사이트
中国共产党党内统计公报
https://www.gov.cn/y[...]
State Council of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2024-06-30
[98]
뉴스
China's Communist Party on track for 100 million members by year's end
https://www.scmp.com[...]
2024-07-01
[99]
뉴스
Here's How the BJP Surpassed China's Communists to Become the Largest Political Party in the World
https://qz.com/37246[...]
2015-03-31
[100]
웹사이트
Membership in the Communist Party of China: Who is Being Admitted and How?
https://daily.jstor.[...]
2015-12-19
[101]
웹사이트
China demands loyalty from young expats in the US
https://www.ft.com/c[...]
2024-07-03
[102]
뉴스
China's Communist Party membership tops entire population of Germany
http://www.scmp.com/[...]
SCMP Group
2015-06-30
[103]
논문
Authoritarian Ruling Parties' Recruitment Dilemma: Evidence from China
2023-12-22
[104]
논문
Gender inequality in urban China
1992-07
[105]
뉴스
Women Struggle for a Foothold in Chinese Politics
https://www.nytimes.[...]
2010-06-24
[106]
서적
The Chinese Women's Movement
Stanford University Press
2002
[107]
뉴스
In China women 'hold up half the sky' but can't touch the political glass ceiling
https://www.theguard[...]
2017-10-14
[108]
뉴스
Does it pay to be a communist in China?
https://www.economis[...]
2023-07-06
[109]
논문
The impact of Communist Party membership on wealth distribution and accumulation in urban China
2024-09
[110]
논문
Delicacies for a Privileged Class in a Risk Society: The Chinese Communist Party's Special Supplies Food System
2016-06
[111]
논문
Medical Politics and the CCP's Healthcare System for State Leaders
2018-11-02
[112]
웹사이트
Constitution of the Communist Party of China
http://english.cpc.p[...]
Chinese Communist Party
2014-01-02
[113]
서적
The Chinese Communist Youth League: Juniority and Responsiveness in a Party Youth Organization
https://muse.jhu.edu[...]
Amsterdam University Press
2023-08-15
[114]
웹사이트
Flag and emblem of Communist Party of China
http://english.cpc.p[...]
2014-01-15
[115]
논문
The Struggle for Minds and Influence: The Chinese Communist Party's Global Outreach
2020-06-09
[116]
웹사이트
15 IMCWP, List of participants
http://www.solidnet.[...]
International Meeting of Communist and Workers' Parties. Solidnet.org
2014-01-04
[117]
뉴스
Senior CPC official meets Portuguese Communist Party leader
http://english.cpc.p[...]
2014-01-04
[118]
뉴스
Senior CPC official vows to develop friendly cooperation with French Communist Party
http://english.peopl[...]
2014-01-04
[119]
뉴스
Senior CPC official meets Russian delegation
http://english.peopl[...]
2014-01-04
[120]
뉴스
CPC to institutionalize talks with European parties
http://english.peopl[...]
2014-01-04
[121]
뉴스
Senior CPC leader meets chairman of Communist Party of Brazil
http://english.peopl[...]
2005-06-05
[122]
웹사이트
The International role of China
https://inter.kke.gr[...]
2010
[123]
웹사이트
A Leadership Delegation of The Communist Party of Nepal (unified Marxist−Leninist)
http://www.celaj.gov[...]
China Executive Leadership Academy, Jinggangshan
2012-06-27
[124]
뉴스
CPC leader pledges exchanges with Communist Party of Spain
http://english.peopl[...]
2010-04-06
[125]
웹사이트
12th CPA Congress
http://www.cpa.org.a[...]
Central Committee of the Communist Party of Australia
2013-09-12
[126]
뉴스
More foreign party leaders congratulate CPC on National Congress
http://news.xinhuane[...]
2007-11-16
[127]
웹사이트
中共与日共:曾经的"兄弟"为何一度关系不睦
https://www.thepaper[...]
The Paper
2016-04-19
[128]
뉴스
Chinese Communist Party to train chavista leaders
http://english.eluni[...]
2013-05-13
[129]
기타
[130]
웹사이트
7月1日为何成为中国共产党成立纪念日?
http://www.xinhuanet[...]
[131]
text
[132]
뉴스
中国共産党の党員数、最多の9514万人に…ホワイトカラー層が増加
https://www.yomiuri.[...]
2021-06-30
[133]
웹사이트
Infographic: The Thought on Socialism with Chinese Characteristics for a New Era
http://www.xinhuanet[...]
2019-10-26
[134]
웹사이트
習近平思想とは
https://kotobank.jp/[...]
朝日新聞社
2020-10-30
[135]
웹사이트
中国共産党 総論
https://kotobank.jp/[...]
朝日新聞社
2020-10-30
[136]
웹사이트
中国共産党(チュウゴクキョウサントウ)とは? 意味や使い方
https://kotobank.jp/[...]
2024-08-28
[137]
웹사이트
中国共産党
https://kotobank.jp/[...]
[138]
웹사이트
科学的発展観とは
https://kotobank.jp/[...]
朝日新聞社
2020-10-30
[139]
웹사이트
Nationalism in China
https://www.cfr.org/[...]
2019-08-21
[140]
뉴스
中国、愛国教育を徹底 24年1月に新法施行
https://www.nikkei.c[...]
2023-12-22
[141]
웹사이트
人民日報とは
https://kotobank.jp/[...]
朝日新聞社
2020-10-30
[142]
웹사이트
中国共産党
https://kotobank.jp/[...]
[143]
웹사이트
Solidnet {{!}} CP of Greece, In Athens on 23–25 November 2018 the 20th International Meeting of Communist and Worker’s Parties, hosted by the KKE
https://www.solidnet[...]
2019-11-05
[144]
웹사이트
中共
https://kotobank.jp/[...]
2018-09-18
[145]
웹사이트
中共
https://kotobank.jp/[...]
2018-09-18
[146]
웹사이트
中華人民共和国憲法
http://www.gov.cn/go[...]
中華人民共和国国務院
[147]
웹사이트
中国の政党制度と一党・多党制との4大相違点
http://j.people.com.[...]
人民日報日本語版
2009-11-02
[148]
간행물
【中国】憲法改正と監察法の制定
https://dl.ndl.go.jp[...]
国立国会図書館
2018-05
[149]
뉴스
これぞ動かぬ証拠 ‶新疆ジェノサイド〟示した中国統計年鑑
https://wedge.ismedi[...]
ウェッジ
2021-01-25
[150]
논문
福井準造の思想的原点:日清戦後の「知識人」 とナショナリズム・社会主義・農業
慶應義塾福澤研究センター
[151]
서적
国際事情
https://books.google[...]
外務省情報部
1937
[152]
텍스트
[153]
서적
支那赤色勢力の現段階
https://dl.ndl.go.jp[...]
南満洲鉄道
1936
[154]
서적
馬林与第一次国共合作
1989
[155]
웹사이트
中国共産党“三大”確立同国民党実行“党内合作”的政策
http://cpc.people.co[...]
[156]
서적
The Black Book of Communism: Crimes, Terror, Repression
1999
[157]
서적
瞿秋白伝
自聯出版社
1962
[158]
서적
中国の指導者: 周恩来とその時代
1961
[159]
뉴스
牛蘭事件の審問 : 第三国際の東洋攪乱
{{新聞記事文庫|url|0100286[...]
満洲日報
1931-09-18
[160]
간행물
國民革命中的農民運動-以武漢政權為中心的探討 第三章:農民運動的本質-打倒土豪劣紳
http://nccur.lib.ncc[...]
國立政治大學
2006
[161]
서적
支那に於ける共産運動
https://books.google[...]
1933
[162]
서적
支那近代の政治経済: 付表
https://books.google[...]
1931
[163]
간행물
外務省
2006
[164]
뉴스
世界の戦慄・赤化の陰謀
東京日日新聞社・大阪毎日新聞社
1936
[165]
서적
反ソヴィエト「右翼トロッキー派ブロック」の公判記録
https://books.google[...]
1938-06
[166]
서적
中国共産党ノ理論的分析 : 党ノ発生ヨリ抗日救国統一戦線ノ結成ニ至ル十五年史
1941
[167]
논문
中國共産黨第二回大會について--黨史上の史實は如何に記述されてきたか
東洋史研究会
2004
[168]
웹사이트
МИФ Павел Александрович (наст. имя: Фортус Михаил; псевд.: Купер, Вильгельм, Джозеф) (1901—1938)
http://memory.pvost.[...]
[169]
서적
蘇聯邦年鑑 一九四二年版
https://books.google[...]
1942-09-15
[170]
서적
共産中国はアメリカがつくった
成甲書房
2005
[171]
뉴스
中国共産党委員会 企業の意思決定を左右
https://www.nikkei.c[...]
2017-01-11
[172]
뉴스
外資系、7割に党組織=経営関与の可能性も-中国
https://www.jiji.com[...]
2017-10-19
[173]
뉴스
カルフール、ノキア、ヒュンダイも・・・外資企業が社内に設立する「共産党組織」とは
https://gendai.media[...]
2012-11-13
[174]
뉴스
第19回共産党大会 企業統制も習カラー 国有、合併で海外進出 民間、社内にも党組織
https://mainichi.jp/[...]
2017-10-22
[175]
뉴스
習近平が私営企業に押す「共産党印」の不安
http://www.newsweekj[...]
2017-06-19
[176]
뉴스
中国企業に広がる「共産党支配」 3200社へ明文化を要求
https://www.sankei.c[...]
2017-08-18
[177]
웹사이트
習氏の政治理念、名前付きで行動指針に 中国共産党大会
http://www.asahi.com[...]
2017-10-25
[178]
웹사이트
中国共産党章程
http://politics.peop[...]
2017-10-28
[179]
뉴스
「習思想」「強国」など追加=改正党規約の全文公表-中国共産党
https://www.jiji.com[...]
2017-10-28
[180]
간행물
中国共産党規約
2007-10-21
[181]
뉴스
「習近平新時代中国特色社会主義思想」が党規約に!
http://www.newsweekj[...]
2017-10-25
[182]
뉴스
中国共産党、党員の宗教禁止徹底…民族対立が深刻化恐れ 習氏表明、全国調査へ
https://www.sankei.c[...]
2014-11-16
[183]
뉴스
中国、共産党幹部は「引退後も宗教信じてはならぬ」チベット仏教やイスラム教抑え込み
https://web.archive.[...]
2016-02-08
[184]
서적
支那に於ける共産運動
https://books.google[...]
日本外事協会
1933
[185]
뉴스
大仕掛な討伐と経済封鎖に参る : 彼等は今夏以来撤退準備 : 瑞金は斯くして陥落した
#url 정보 없음. 추가 정보 필[...]
1934-11-14
[186]
간행물
コミンテルンは挑戦する
#url 정보 없음. 추가 정보 필요[...]
1937
[187]
서적
支那赤色勢力の現段階
https://books.google[...]
南満洲鉄道株式会社経済調査会
1936
[188]
서적
中国共産党一九三五年史
https://books.google[...]
外務省情報部
1936-03
[189]
서적
支那に於ける共産運動
https://books.google[...]
1933
[190]
서적
周恩来
#url 정보 없음. 추가 정보 필요[...]
1971
[191]
간행물
新政権に対する中国の政策と背景
https://www.rieti.go[...]
経済産業研究所
2009-11-12
[192]
뉴스
中国指導者の『派閥』など関係図公開 ロイター、中国国内は閲覧規制
https://web.archive.[...]
産経新聞
2013-03-03
[193]
웹사이트
中国共産党、入党急増 5カ月で231万人 理系重視か
https://www.nikkei.c[...]
日本経済新聞
2021-07-23
[194]
웹사이트
NYT "美, 中 공산당원 가족 2억7000만명 입국 제한 검토"
https://n.news.naver[...]
2020-07-16
[195]
웹사이트
インド人民党が党員1億人キャンペーンを実施、中国共産党抜き世界最多へ―インド
https://www.recordch[...]
Record China
2014-12-03
[196]
웹사이트
BJP enrolls 11 crore members, launches ‘Mahasampark Abhiyan’
http://www.firstpost[...]
2015-07-13
[197]
뉴스
中国共産党、汚職など66万人…4年半の処分数
https://web.archive.[...]
読売新聞
2012-10-13
[198]
웹사이트
中国共産党幹部2万9,000人処分
http://www.tv-tokyo.[...]
テレビ東京
2016-01-05
[199]
웹사이트
一衣帯水ーー中日両国人民の長い交流の歴史
http://j.people.com.[...]
中国国際放送
2007-09-28
[200]
웹사이트
周斌さんの回想録「私は中国の指導者の通訳だった」日本で出版
http://j.people.com.[...]
人民網
2015-03-17
[201]
웹사이트
村山富市元首相が中国軍事パレードに出席・・・これまで3回、連続してすべてに顔出す=中国メディア
http://news.searchin[...]
サーチナ
2015-09-23
[202]
서적
日中関係 戦後から新時代へ
岩波書店
2006
[203]
웹사이트
東京で始まる 北朝鮮問題など
https://mainichi.jp/[...]
2017-08-08
[204]
웹사이트
日中(民主党・中国共産党)『交流協議機構』について
http://www1.dpj.or.j[...]
2010-01
[205]
웹사이트
中国陝西省長に日本留学組、東大博士号の胡和平氏
https://web.archive.[...]
産経新聞
2016-04-28
[206]
뉴스
二階氏ら与野党幹部、中国共産党に祝意 志位氏は批判
https://www.asahi.co[...]
朝日新聞
2021-07-01
[207]
웹사이트
党史頻道
http://dangshi.peopl[...]
[208]
웹사이트
歴次党代会(第1〜17次)
http://news.xinhuane[...]
[209]
웹사이트
年齢制限「七上八下」
https://www.nikkei.c[...]
2017-09-19
[210]
기타
[211]
웹사이트
China’s Communist Party Reports First New Member Drop in Decade
http://www.businessw[...]
Bloomberg L.P.
2014-06-30
[212]
뉴스
趙紫陽智囊曹思源病逝 曾吁廢「三個代表」
http://big5.soundofh[...]
2014-12-01
[213]
서적
Selected Works of Jiang Zemin
FLP
2013
[214]
웹사이트
Never Forget National Humiliation: Historical Memory in Chinese Politics and Foreign Relations
https://books.google[...]
[215]
웹사이트
Nationalism in China
https://www.cfr.org/[...]
[216]
서적
회사가 붙잡는 사람들의 1% 비밀
위즈덤하우스
[217]
웹인용
시진핑도 10번 떨어졌다… 출세 보증수표, 中 공산당원 ‘100년 권세’[글로벌 포커스]
https://www.donga.co[...]
2023-06-18
[218]
웹인용
thediplomat.com
https://thediplomat.[...]
2020-04-27
[219]
저널
The Communist Party of China and Ideology
https://muse.jhu.edu[...]
2012-08-02
[220]
서적
China's Communist Party : Atrophy and Adaptation
https://archive.org/[...]
University of California
2008
[221]
저널
Social Unrest and Rebellion in Jiangnan During the Six Dynasties
http://dx.doi.org/10[...]
1983-07
[222]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the Chinese Communist Party
Scarecrow Press
2011
[223]
뉴스
시진핑도 10번 재수한 중국공산당원 9000만 돌파
https://www.joongang[...]
중앙일보
2020-06-11
[224]
서적
차이나모델: 중국의 정치 지도자들은 왜 유능한가
서해문집
2017
[225]
뉴스
당원 8945만명·규율 100개 이상… 시진핑 “공산당 완벽한 정당 만들 것”
https://www.seoul.co[...]
서울신문
2020-06-11
[226]
뉴스
중국, 농민 토지경작권 매매허용
http://cynews.cyworl[...]
YTN
2008-10-12
[227]
웹사이트 # 추정. 더 자세한 정보가 필요합니다.
없음 # 추정. 더 자세한 정보가 필요합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