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옥황상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옥황상제는 중국 도교에서 숭배되는 최고신으로, 인간의 선행을 통해 천상계의 왕이 되었다는 믿음을 받는다. 6세기 무렵에 등장하여 중국, 타이완, 동남아시아 화교, 한국, 일본 등지에서 신앙의 대상이 되었으며, 한국의 증산교, 대순진리회 등 신흥 종교에서도 숭배된다. 옥황상제는 천상의 통치자이자 만물의 최선 상태를 상징하며, 옥황상제의 탄신일인 음력 1월 9일에는 다양한 축제가 열린다. 중국 신화에서는 견우와 직녀 이야기, 십이지, 네 마리 용 등과 관련된 인물로 등장하며, 대중문화에서도 여러 작품의 소재로 활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천국 - 아르카디아 (이상향)
    아르카디아는 펠로폰네소스반도 중부에 위치한 고대 지역으로, 목축을 기반으로 하는 폴리스들과 아르카디아 동맹이 있었으며, 이상향, 목가적 낙원, 이상적 전원을 의미하는 유토피아의 대명사로 여겨진다.
  • 천국 - 아스가르드
    아스가르드는 북유럽 신화에서 아스 신족의 거처이자 요새로, 문헌에서 다양하게 묘사되며 무지개 다리 비프로스트를 통해 접근 가능한 신들의 회의 장소와 여러 궁전이 있는 곳으로 묘사되지만, 아시아 지역의 실제 국가로 해석되기도 하며 현대 대중문화에서도 널리 알려져 있다.
  • 천공의 남신 - 유피테르
    유피테르는 로마 신화에서 천둥, 번개, 하늘 등을 관장하는 최고의 신으로, 로마 국가의 수호신이자 정치 및 종교 체제와 밀접하게 관련된 존재였다.
  • 천공의 남신 - 환인
    환인은 단군신화에 나오는 환국의 임금이자 환웅의 아버지로, 삼국유사에서는 제석으로도 불리며 아들에게 천부인 세 개를 주어 인간 세계를 다스리게 했다는 이야기가 전해진다.
  • 서유기의 등장인물 - 당 태종
    당 태종은 당나라의 제2대 황제로서, 뛰어난 군사적 재능과 정관의 치로 불리는 치세를 통해 당나라의 전성기를 이끌었으며, 균전제 등 제도를 정비하고 영토를 확장하는 등 긍정적, 부정적 평가를 함께 받는 인물이다.
  • 서유기의 등장인물 - 현장
    현장은 당나라의 승려이자 불경 번역가, 여행가로서, 17년간 인도를 여행하며 불경을 가져와 중국어로 번역하여 동아시아 불교 사상 발전에 기여했고, 그의 여행기는 『대당서역기』로 남아 소설 『서유기』의 모티브가 되었다.
옥황상제
지도
기본 정보
다른 이름천공
옥황대제
옥황상제
로마자 표기Yù Huáng
천공Tiāngōng
옥황상제Yu Huang Shangdi
옥황대제Yu Huang Dadi
천공 (한자)天公
천공 (민남어)Thiⁿ-kong
옥황 (한자)玉皇
옥황 (민남어)Gio̍k-hông
옥황대제 (한자)玉皇大帝
옥황대제 (민남어)Gio̍k-hông-tāi-tè
옥황 (베트남어)Ngọc Hoàng
옥황대제 (베트남어)Ngọc Hoàng Đại Đế
천공 (베트남어)Thiên Công (ông Trời)
천공 (한자 베트남어)天公 (翁𡗶)
옥황 (한자 베트남어)玉皇
옥황대제 (한자 베트남어)玉皇大帝
신화 분류천공신
거주지천계
불교 동등신제석천
힌두교 동등신인드라
한국 동등신환인
호칭
풀 네임태상개천집부어력함진례도호천옥황상제
기타
설명원래 공작이었다.

2. 유래

옥황상제는 중국에서 유래되었으며, 그 기원은 6세기경 원시천존이 최고신으로 숭배되던 시기로 거슬러 올라간다. 송나라 진종(968~1022) 시대에 옥황상제 신앙이 크게 융성했는데, 진종은 옥황상제의 열렬한 신자로서 신하와 백성들에게 옥황상제를 최고신으로 숭배하도록 강요했다. 이로 인해 오늘날 중국에서 전파된 도교의 도사는 원시천존을, 일반 백성은 옥황상제를 최고신으로 믿게 되었다.[34]

"옥황"이라는 명칭은 육조시대 도사 도홍경의 『진령위업도』에 처음 등장하지만, 당시에는 그 지위가 높지 않았다. 당나라 시대에 들어서 옥황이라는 명칭이 널리 퍼졌고, 시문에서 천제를 칭하는 용어로 옥황 또는 옥제와 같은 표현이 사용되기 시작했다. 옥황상제가 본격적으로 최고신으로 여겨지게 된 것은 북송 시대로, 진종이 1015년에 "태상개천집부어력함진체도옥황대천존"이라는 존호를 내리고 국가적인 제사 대상으로 삼았다. 이후 휘종이 1116년에 "태상개천집부어력함진체도호천옥황상제"라는 존호를 추증하면서 호천상제와 동일시되었다.[27][28]

옥황상제는 삼청을 보좌하며 천계의 정무를 담당하는 "'''사어'''"(옥황상제, 북극자미대제, 구진천황대제, 후토황지지) 중 한 명으로 여겨지며, 삼청과 함께 "삼청사어"라고 불리기도 한다.[29]

중국의 가정에서는 조왕신(竈王神)이라는 부뚜막신을 모시는 풍습이 있는데, 한국에도 전래되었다. 조왕신은 집에 사는 사람들의 생활을 관찰하여 연말에 상세한 보고서를 작성해 상급신에게 제출하며, 이 보고서를 최종적으로 받아보는 신이 옥황상제이다. 옥황상제는 보고서를 바탕으로 선행과 악행을 평가하여 행운과 벌을 내리는데, 이를 도교에서는 '공과격(功過格)'이라고 부른다.[34]

음력 1월 9일은 옥황상제의 탄생일인 "옥황탄"으로 여겨져 제사를 지낸다.

3. 종교

중국에서 옥황상제가 등장한 것은 원시천존이 최고신이던 6세기 무렵으로, (진종, 968~1022) 시대부터로 알려져 있다. 진종은 옥황상제의 열렬한 신자였으며, 신하와 백성들에게 옥황상제를 최고신으로 숭배하도록 강요하였다. 이로 인해 오늘날에도 중국에서 전파된 도교의 도사는 원시천존을, 서민은 옥황상제를 최고신으로 믿게 되었다.[34]

중국인 가정에서는 조왕신(竈王神)이라는 부뚜막신을 모시는 풍습이 있다. 한국에도 전래된 조왕신은 그 집에 사는 식구들의 생활을 자세히 관찰하여 연말에 개인별 상세 보고서를 작성해 상급신에게 제출한다. 옥황상제는 이 보고서를 보고 평가하여 개개인의 행위에 따라 상벌을 내린다. 이러한 선악에 따른 공과를 따지는 것을 도교에서는 '공과격(功過格)'이라고 부른다.[34]

중국 도교의 옥황상제 신앙은 타이완이나 동남아시아화교는 물론 한국일본에도 영향을 주었다. 중국 사람들은 제사가 있으면 현관 입구에 매달린 난로와 천공로(天公爐)에 절을 하는 관습이 있는데, 이는 천공로가 옥황상제를 상징하기 때문이다. 음력 1월 9일 옥황상제 탄신일에는 전국 각지에서 천공묘(天公廟)에 참배하고, 각 가정에서는 등좌(燈座)라는 종이 신상 대롱을 장식한다.[34]

한국에서는 증산교, 대순진리회를 비롯하여 무당들이 옥황상제에게 제를 올린다. 중국 도교에서는 옥황상제가 처음부터 신이 아니라 인간으로서 선행을 거듭 쌓아 천상계의 왕이 되었다고 믿는다. 이는 불교의 성불 사상과 유사하게, 누구나 신이 될 수 있다는 믿음을 보여준다.[34]

상제(昊天上帝, 천제)는 예로부터 하늘의 주재자로 숭배되었다. 도교에서는 원시천존, 영보천존(태상도군), 도덕천존(태상노군)을 더한 '''삼청'''을 최고신으로 여겼다.[26] “옥황”이라는 명칭은 육조시대 도사 도홍경의 『진령위업도』에 나타나지만, 그 지위는 높지 않았다. 시대에는 옥황, 옥제와 같은 명칭이 천제의 칭호로 사용되었다.

옥황상제가 본격적으로 최고신으로 여겨진 것은 북송 때이다. 진종은 대중상부 8년(1015년) “태상개천집부어력함진체도옥황대천존”이라는 존호를 내리고 국가적인 제사 대상이 되었다. 휘종은 정화 6년(1116년) “태상개천집부어력함진체도호천옥황상제”라는 존호를 추증하여 호천상제와 동일시되게 하였다.[27][28]

옥황상제는 삼청을 보좌하고 천계의 정무를 담당하는 '''사어'''(옥황상제, 북극자미대제, 구진천황대제, 후토황지지)의 일원으로, 삼청과 함께 “삼청사어”라고 부르기도 한다.[29] 신들과 선인들은 옥황상제로부터 벼슬을 받는 등, 천정(天庭, 천제의 궁정[30])은 현실의 관료 체제와 같은 조직으로 여겨졌다. 『서유기』에서도 손오공에게 제천대성(齐天大圣)의 벼슬을 내리고 있다.[25] 서왕모를 신격화한 왕모낭낭은 옥황상제의 부인으로 여겨지기도 한다.[31]

옥황상제를 모시는 는 “옥황묘”, “옥황각”, “옥황관”, “옥황궁” 등으로 불린다. 다른 신을 주신으로 하는 묘에도 “옥황전”이나 “영소보전” 등 옥황상제를 모시는 전각이 존재하기도 한다. 음력 1월 9일은 “옥황탄”으로 옥황상제의 탄생일로 제사를 지낸다.

호천상제는 옥황상제의 원형 중 하나이며, 주나라 시대의 하늘 신이다. 그 원형은 은나라 시대의 최고신인 “帝”에 유래하며, 유교에서는 호천상제가 우주의 존재를 유지하는 “천리”이며, 우주의 본질을 상징한다고 생각했다. 당송 시대, 점차 옥황상제도 천공이 되고, 그 이후 민간 신화에서는 동일한 존재로 여겨져 왔다.

3. 1. 도교 경전

도교 경전에서는 선행을 한 번씩 쌓을 때마다 마음이 안정되고, 열 번 행하면 기력이 왕성해진다고 하였다. 3백 번 선(善)을 쌓으면 지선(地仙, 하급 신선), 1천 2백 번 선을 쌓으면 천선(天仙, 상급 신선)이 된다고 기록되어 있다.[34]

옥황상제가 되기 위해서는 1만 번의 선행을 해야한다. 선행은 부모에게 효도하고 조상을 공양하며, 모든 것에 자비심을 가지고 자기 희생을 하면 되므로 그다지 어려운 일은 아니다. 그러나 단 한 번의 악행(살생, 음란, 거짓말, 음주 등)만으로 그때까지 쌓아온 모든 선행이 물거품이 되기에 일반 사람들이 신이 되기란 극히 어렵다.[34]

도교 의례에서 널리 사용되는 『高上玉皇本行集經|고상옥황본행집경중국어』(『옥황경』)에는 다음과 같은 기록이 있다.

옛날 옛적에 광엄묘락국(光嚴妙樂國)이라는 나라가 있었는데, 국왕의 이름은 정덕왕(淨德王)이었고, 왕후는 보월광황후(寶月光皇后)였다. 국왕에게는 후계자가 없어서 나라 안의 도사들을 불러 의례를 거행했다. 어느 날 밤, 보월광황후는 태상도군(太上道君)으로부터 아이를 얻는 꿈을 꾸고 깨어나 보니 임신해 있었다. 1년 후, 병오년(丙午年) 정월 9일 오시(午時)에 태자로 태어난 이가 바로 옥황상제(玉帝)이다. 정덕왕이 죽자 태자는 나라를 계승했지만, 얼마 후 모든 것을 버리고 산중에 들어가 도를 닦으며 사람들을 구하려 했다. 억겁(億劫)의 긴 시간 동안 수행을 거듭한 끝에 마침내 옥황상제가 되었다.[28][32]

또한 『聖源覺眞經|성원각진경중국어』에는 먼 옛날에 자신을 버리고 하늘의 북쪽을 막아 대신 만민을 살렸다("捨身堵北缺、代存万衆生")고 적혀 있다.

4. 중국과 한국의 옥황상제 신앙

중국에서 옥황상제가 등장한 것은 원시천존이 최고신이던 6세기 무렵으로, 송나라 진종(968~1022) 통치 시대로 알려져 있다. 당시 진종은 옥황상제의 열렬한 신자였으며, 신하는 물론 백성들까지 옥황상제를 최고신으로 숭배하고 섬기도록 강요하였다. 이로 인해 오늘날에도 중국에서 전파된 도교의 도사는 원시천존을, 서민은 옥황상제를 최고신으로 믿게 되었다.[34]

중국인 가정에서는 조왕신(竈王神)이라는 부뚜막신을 모시는 풍습이 있는데, 이는 한국에도 전래되었다. 조왕신은 그 집에 사는 식구들의 생활을 자세히 관찰해서 연말에 개인별로 상세한 보고서를 만들어 상급신에게 제출한다고 믿어지며, 그 보고서를 최종적으로 받아보는 신은 옥황상제이다. 옥황상제는 보고서를 보고 평가하여 개개인의 행위에 선행이 많으면 이듬해에 행운을 주고, 악행이 많으면 벌을 내린다. 이러한 선악에 따른 공과를 따지는 것을 도교에서는 '공과격(功過格)'이라고 부른다.[34]

중국 도교의 옥황상제 신앙은 타이완이나 동남아시아화교들은 물론 한국이나 일본에서도 강하게 나타난다. 중국 사람들은 제사가 있으면 현관에서 응접실로 들어가는 입구에 매달은 난로와 천공로(天公爐)에 반드시 절을 하는데, 이는 천공로가 옥황상제를 상징하기 때문이다. 중국에서는 옥황상제 탄신일인 음력 1월 9일이 되면 전국 각지에서 천공묘(天公廟, 옥황상제를 모시는 사당)에 참배하고, 각 가정에서는 응접실에 등좌(燈座)라고 불리는, 종이에 신의 모습을 그린 대롱 모양의 물건을 장식한다.

한국에서는 증산교, 대순진리회를 비롯한 무당들이 옥황상제에게 제를 올려 섬기고 있다. 중국 도교에서는 옥황상제가 처음부터 신이었던 것이 아니라 인간으로서 선행을 거듭 쌓은 결과 천상계의 왕으로 군림하게 되었다고 믿는다. 이는 불교처럼 높은 경지에 진입하면 부처가 될 수 있다는 믿음과 유사하게, 누구나 신이 될 수 있는 가능성에 대한 믿음이 도교에 존재함을 보여준다.

도교 경전에서는 선행을 한 번씩 쌓을 때마다 마음이 안정되고, 선행을 열 번 행하면 기력이 왕성해진다고 하며, 최고의 경지인 신선이 되는 길도 제시한다. 3백 번 선(善)을 쌓으면 지선(地仙, 하급 신선), 1천 2백 번 선을 쌓으면 천선(天仙, 상급 신선)이 된다고 기록되어 있다. 옥황상제가 되기 위해서는 1만 번의 선을 행하면 된다고 하며, 선행은 부모에게 효도하고 조상을 공양하며, 모든 것에 자비심을 가지고 자기 희생을 하면 되므로 그다지 어려운 일은 아니라고 한다. 그러나 단 한 번의 악행(살생, 음란, 거짓말, 음주 등)만으로 그때까지 쌓아온 모든 선행이 물거품이 되기에 일반 사람들이 신이 되기란 극히 어려운 일이다.[34]

중국에서 옥황상제는 중국의 4대 기서(奇書) 중 하나인 『서유기(西遊記)』에 등장하며, 중국이나 한국에서 소설에도 흔히 표현된다. 도참사상으로 한때 혹세무민하는 존재로 인식되기도 하였으며, 진수(233∼297)의 삼국지에 나오는 한나라황건적(태평도)의 두목 장각의 사례처럼, 전제 왕권이 몰락하는 정권 말기에 봉기한 황건적의 난, 황소의 난, 태평천국의 난도가(道家)사상의 폐해가 많았다.

한국에서는 삼신할머니, 칠성신, 하느님, 천주, 미륵불, 옥황상제 같은 신성한 존재들이 자연, 천지의 섭리, 도(道) 같은 근원적 존재라는 믿음이 존재한다. 반면 현실을 중시하는 중국인들은 복을 불러올 수 있는 일이라면 하느님이든 부처님이든 옥황상제든 가리지 않는다고 한다. 즉, 중국인들의 강한 현세중심적 사고는 하늘에 살던 신마저 지상으로, 인간 쪽으로 끌어내렸다는 것이다. 상제는 기독교적인 유일한 실체로서의 신이 아니라, 만물 가운데 최선의 상태에 있는 존재라는 것이다.[35]

5. 한국 신흥 종교에서의 옥황상제

1919년 무극대도(정읍 태인)를 거쳐 1948년에 생겨난 태극도(부산 감천)에서는 강증산을 구천상제로, 옥황상제를 신앙의 대상으로 삼았는데, 2009년은 도기(道紀) 100주년과 태극도 창도(創道) 61주년을 맞는 해였다.[36] 무극주(강증산, 1871~1909) 구천상제와 태극주(조정산, 1895~1958) 옥황상제를 신앙의 대상으로 하는 종교가 많다. 옥황상제로부터 유명으로 종통을 승계받은 충북 괴산 출신의 도전이 태극도에서 새로 세운 대순진리회의 전경(典經)이나 증산도의 도전에서 신앙의 대상은 옥황상제(증산도) 또는 구천상제(태극도 및 대순진리회)로서의 강증산이다. 태극도에는 무극진경과 태극진경으로 이뤄진 진경(眞經)이 있다.[36]

'한국종교사상사'에 따르면 갑신년(1824)에 최수운으로, 다시 신미년(1871)에 강증산으로 태어났다고 한다. 즉, 이들의 주장은 하늘의 옥황상제이자 미륵불이 예수로 태어났다가 다시 최수운, 강증산으로 환생하여 태어났다는 것이다.[37] 그러나 이런 내용은 잘못된 정보이다. 동학의 창시자인 수운 최제우는 한울님께 계시로 가르침과 주문(시천주)을 받았는데, 그때의 한울님이 바로 금산사 미륵금불에 임시로 영(靈)으로 거하던 중이었다. 최수운이 유교의 오래된 벽을 넘어 대도를 펼치는 것이 어려워 보이므로 천명과 신교를 거두고 직접 인세에 하강키로 결정하고, 최수운 순교 후 8년 만인 1871년에 강증산이 내려왔다. 강씨 성을 택한 이유는 인류의 성씨로는 풍씨가 최초이나 대가 끊기어 부득불 다음 원시 성인 강씨 성을 택했기 때문이라고 전한다.

6. 중국 신화

명나라 시대(16세기)의 옥황상제 초상화 (보스턴 미술관)


중국에서는 도교와 민간 신앙에서 옥황상제에 대한 다양한 이야기가 전해져 내려온다.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 역사적 인식: 옥황상제는 혹세무민하는 존재로 인식되기도 하였으며, 진수삼국지에 나오는 황건적의 난과 같이 도가 사상의 폐해가 많았다.
  • 현세 중심적 사고: 현실을 중시하는 중국인들은 복을 불러올 수 있는 일이라면 옥황상제든 누구든 가리지 않는다고 하며, 이러한 현세 중심적인 사고는 하늘에 살던 신마저 지상으로 끌어내렸다고 한다.[35]
  • 신의 성격: 상제는 기독교적인 유일신이 아니라, 만물 가운데 최선의 상태에 있는 존재라는 것이다.[35]
  • 천상의 관료 체제: 옥황상제 밑에는 천정(천제의 궁정[30])이 존재하며, 모든 신들과 선인들은 옥황상제로부터 벼슬을 받아 그 신분이 정해졌다. 손오공도 옥황상제에게 제천대성(齐天大圣)이라는 벼슬을 받았다.[25]
  • 사당: 옥황상제를 모시는 는 “옥황묘”, “옥황각”, “옥황관”, “옥황궁” 등으로 불린다.
  • 탄생일: 음력 1월 9일은 “옥황탄”으로 여겨지며, 옥황상제의 탄생일로 제사를 지낸다.
  • 호천상제와의 관계: 호천상제는 옥황상제의 원형 중 하나이며, 주나라 시대의 하늘 신으로, 유교에서는 우주의 본질을 상징한다고 생각되어 왔다. , 시대에 점차 옥황상제도 천공이 되고, 그 이후 민간 신화에서는 동일한 존재로 여겨져 왔다.

6. 1. 기원

중국에서 옥황상제가 등장한 것은 원시천존이 최고신이던 6세기 무렵으로, 송나라 진종(968~1022)이 다스리던 시대로 알려져 있다. 당시 진종은 옥황상제의 열렬한 신자였기 때문에 신하는 물론 백성들까지 옥황상제를 최고신으로 숭배하여 섬기기를 강요하였다. 이로써 오늘날에도 중국에서 전파된 도교의 도사는 원시천존을, 서민은 옥황상제를 최고신으로 믿게 되었다.[34]

한편 중국인의 가정에서는 조왕신(竈王神)이라는 부뚜막신을 모시는 풍습이 있다. 한국에도 전래되어 조왕신이 그 집에 사는 식구들의 생활을 자세히 관찰해서 연말에 개인별로 상세한 보고서를 만들어 상급신에게 제출한다고 믿고 있다. 그 보고서를 최종적으로 받아보는 신은 옥황상제이다. 옥황상제는 보고서를 보고 평가하여 개개인의 행위에 선행이 많으면 이듬해에 행운을 주고, 악행이 많으면 벌을 내린다. 이렇게 선악에 따라 공과를 따지는 것을 도교에서는 '공과격(功過格)'이라고 부른다.[34]

중국 신화에는 옥황상제와 관련된 많은 이야기가 있다.[4]

옥황상제는 원래 청복영광천궁(Pure Felicity and Majestic Heavenly Lights and Ornaments)의 왕세자였다고 전해진다. 탄생 당시 온 나라를 가득 채울 만큼 놀라운 빛을 발했다. 어릴 적부터 자애롭고 총명하며 지혜로웠다. 그는 어린 시절을 가난하고 고통받는 자, 버려지고 홀로 된 자, 굶주리고 장애를 가진 자들을 돕는 데 헌신했다. 뿐만 아니라 사람과 모든 생명체에게 존중과 자비를 보였다.

아버지가 돌아가신 후, 그는 왕위에 올랐다. 그리고 그의 나라 모든 백성이 평화와 만족을 누리도록 했다. 그 후, 그는 신하들에게 광명향산(Bright and Fragrant Cliff)에서 도를 닦겠다고 말했다.

1,750겁(eon)이 지난 후, 각 겁은 12만 9600년(360²년)으로 계산하면, 그는 금선(Golden Immortality)을 얻었다. 그리고 1억 년의 수행 끝에 마침내 옥황상제가 되었다. (제시된 수치를 사용하면, 옥황상제가 되기 전까지의 기간은 총 약 3억 2700만 년에 달한다.)

6. 2. 악을 물리침

중국 신화에는 옥황상제와 관련된 많은 이야기가 있다.[4]

태초에 지구는 지금보다 훨씬 혹독하고, 살기 어려운 곳이었다. 사람들은 다양한 괴물들과 싸워야 했고, 그들을 보호할 신들도 많지 않았다. 게다가 많은 강력한 악마들이 천상의 신선들을 거역하고 있었다. 옥황상제는 지구를 돌아다니며 가능한 한 많은 사람들을 도왔던 평범한 신선이었다. 그는 자신의 능력으로 인간의 고통을 덜어줄 수 있을 뿐이라는 사실에 슬픔을 느꼈다. 그는 도를 닦기 위해 산 속 동굴로 들어갔다. 그는 각각 약 300만 년씩 지속되는 3,200번의 시련을 겪었다.

이때 지구에는 천상의 신선들과 신들을 정복하고 온 우주를 지배하려는 야망을 가진 강력한 악의 존재가 있었다. 이 악의 존재 또한 옥황상제보다 늦게 힘을 키우기 위해 수행과 명상에 들어갔다. 그는 각각 약 300만 년씩 지속되는 3,000번의 시련을 겪었다. 마지막 시련 후, 그는 자신을 이길 자는 없다고 확신했다. 그는 세상으로 다시 돌아와 천상을 공격할 목적으로 악마 군대를 모았다.

위협을 인지한 신선들은 스스로 모여 전쟁 준비를 했다. 신들은 강력한 악마를 막을 수 없었고, 모두 패배했다.

옥황상제는 이 전쟁 중에 수행을 마쳤다. 그는 인간이 살기 더 좋은 곳으로 땅을 바꾸고 다양한 괴물들을 물리치던 중, 천상에서 악의 기운이 뿜어져 나오는 것을 보고 무언가 잘못되었음을 알았다. 그는 승천하여 악의 존재가 신들이 막을 수 없을 정도로 강력하다는 것을 보았다. 그는 악의 존재에게 도전했고, 두 존재는 싸웠다. 산이 흔들리고 강과 바다가 뒤집혔다. 더욱 깊고 지혜로운 수행, 그리고 그의 힘이 아닌 자비심 덕분에 옥황상제는 전투에서 승리했다. 악의 존재가 패배한 후, 그 군대는 신들과 신선들에 의해 흩어졌다.

그의 고결하고 자비로운 행위 덕분에 신들과 신선들, 그리고 인간들은 옥황상제를 최고의 군주로 선포했다.

6. 3. 창조

중국 신화에는 옥황상제와 관련된 많은 이야기가 있다.[4]

백련교 비밀 결사의 전통적인 인물로도 여겨질 수 있다. 중국 창세 신화에 따르면 세상은 처음에 ‘무극(無極, wuji)’ 즉, 무(無)에서 시작되었다. 옥황상제는 신들의 우두머리였지만 창조 자체를 담당한 존재는 아니었다.

다른 창세 신화에서는 옥황상제가 흙으로 최초의 인간을 만들어 햇볕에 말렸다고 한다. 비에 씻겨 변형된 인간들은 질병과 신체적 기형을 갖게 되었다고 한다. (가장 흔한 다른 중국 창세 신화는 인간이 원래 판구의 몸에 있던 벼룩이었다고 전한다.)

또 다른 신화에서는 여와(Nüwa)가 황하의 진흙으로 손수 인간을 만들었다고 한다. 그녀가 만든 인간들은 지상의 부유한 사람들이 되었다. 지쳐서 더 이상 만들지 못하자, 여와는 자신의 스카프를 진흙에 적셔 휘둘렀고, 스카프에서 떨어진 흙방울들이 가난한 인간이 되었다고 한다.

6. 4. 견우와 직녀

중국 신화에는 옥황상제와 관련된 많은 이야기가 있다.[4]

아시아 전역에 다양한 버전으로 널리 퍼져 있는 이야기에서, 옥황상제에게는 '''직녀'''(織女|zhī nǚ중국어)라는 딸이 있었다. 그녀는 주로 하늘에 있는 다채로운 구름을 짜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묘사된다. 어떤 버전에서는 그녀가 옥황상제와 서왕모의 딸이자 은하수를 짜서 천지에 빛을 주는 직조의 여신이며, 또 다른 버전에서는 옥황상제를 위해 일하는 재봉사이다.

매일 직녀는 마법의 옷을 이용해 지상으로 내려와 목욕을 했다. 어느 날, '''견우'''(牛郎|niú láng중국어)라는 가난한 소치기가 시냇가에서 목욕하는 직녀를 발견했다. 견우는 그녀에게 즉시 반해 시냇가에 놓아둔 그녀의 마법의 옷을 훔쳐 그녀가 하늘로 돌아가지 못하게 했다. 직녀가 물에서 나오자 견우는 그녀를 붙잡아 자신의 집으로 데려갔다.

옥황상제는 이 일을 듣고는 격노했지만, 그 사이 그의 딸이 소치기와 사랑에 빠져 결혼했기 때문에 개입할 수 없었다. 시간이 흐르자 직녀는 향수병에 걸려 아버지를 그리워하기 시작했다. 어느 날, 그녀는 남편이 숨겨둔 상자에서 자신의 마법의 옷을 발견했다. 그녀는 하늘에 있는 아버지를 방문하기로 결정했지만, 돌아왔을 때 옥황상제는 하늘을 가로질러 강(은하수)을 흐르게 하여 직녀가 남편에게 돌아갈 수 없게 했다. 옥황상제는 젊은 연인들을 불쌍히 여겨 매년 음력 7월 7일 하루 동안 강 위의 다리에서 만날 수 있도록 허락했다.

이 이야기는 밤하늘의 별자리를 언급한다. 직녀는 은하수 동쪽의 거문고자리에 있는 별 베가이고, 견우는 은하수 서쪽의 독수리자리에 있는 별 알타이르이다. 음력 7월의 그믐달(7일)에는 하늘의 조명 상태 때문에 은하수가 어둡게 보이는데, 이 때문에 매년 특정한 하루에 두 연인이 더 이상 헤어지지 않는다는 이야기가 생겨났다.

음력 7월 7일은 중국에서 칠석절이라는 명절로, 서양발렌타인데이와 같은 젊은 연인들을 위한 날이다. 일본에서는 타나바타(별의 날)라고 부른다. 한국에서는 칠석이라고 부른다. 베트남에서는 thất tịch이라고 부르며, 그날 비가 오면 남편과 재회한 직녀가 기쁨의 눈물을 흘리는 것이라고 한다.

6. 5. 십이지

중국 신화에는 옥황상제와 관련된 많은 이야기가 있다.[4]

십이지 동물이 선택된 과정에 대해서는 여러 이야기가 전해진다. 그중 하나는 옥황상제가 오랫동안 천지를 공정하고 현명하게 통치해 왔지만, 실제로 지구를 직접 방문할 시간이 없었다는 것이다. 그는 지구의 생물들이 어떻게 생겼는지 궁금해졌고, 모든 동물들에게 하늘로 오라고 요청했다. 모든 동물 중 가장 아름다운 고양이는(Cat (zodiac)), 늦잠을 자지 않도록 하늘로 가는 날 친구인 쥐(Rat (zodiac))에게 자신을 깨워달라고 부탁했다. 그러나 쥐는 고양이에 비해 자신이 못생겨 보일까 걱정되어 고양이를 깨우지 않았다. 결과적으로 고양이는 옥황상제를 만나는 것을 놓쳤고, 돼지(Pig (zodiac))로 대체되었다. 옥황상제는 동물들을 매우 기뻐하며 그들에게 해마다 순서를 나누어 주기로 결정했다. 나중에 사실을 알게 된 고양이는 쥐에게 격분했고, 그 때문에 고양이와 쥐는 오늘날까지도 원수지간이라는 이야기가 전해진다. 고양이는 길들여진 호랑이(Tiger (zodiac)) 또는 표범으로 간주될 수 있으며, 고전적인 십이지 문서에서 세 번째 동물로 등장한다.[5]

6. 6. 네 마리 용

옛날 극심한 가뭄이 땅을 덮쳤다. 바다의 네 마리 용은 백성들의 고통을 보고 하늘 궁전의 옥황상제에게 기도하여 비를 내려줄 것을 간청했다. 옥황상제는 천상, 지상, 해상을 다스리느라 매우 바빴고, 산만한 상태에서 용들이 바다로 돌아간다면 다음 날 비를 내리겠다고 무심코 약속했다. 그러나 용들이 떠난 직후 그는 자신의 약속을 잊어버렸다.[4]

십 일이 지나도 비는 내리지 않았고, 백성들은 굶주림으로 죽어가기 시작했다. 용들은 가만히 있을 수 없었기에 바다에서 엄청난 양의 물을 자신의 몸으로 끌어올려 비를 내리기로 결정했다. 백성들은 감사하며 옥황상제에게 기도했고, 곧 용들이 한 일을 알게 된 옥황상제는 그들이 자신의 허락 없이 개입한 것에 분노했다.[4]

옥황상제는 산신에게 네 마리 용을 가두라고 명령했다. 그러나 용을 가둔 각 산에서 새로운 강이 솟아났다. 황룡에게서 황하가, 청룡에게서 양쯔강이, 흑룡에게서 아무르강이, 주룡에게서 주강이 흘러나왔다. 그 후 강들은 서쪽에서 동쪽으로, 북쪽에서 남쪽으로 흘러, 용들은 중국 백성들이 다시는 물 부족에 시달리지 않도록 했다.[4]

6. 7. 전임자와 후계자

옥황상제는 원래 원시천존의 조수였다. 원시천존은 천지의 무한하고 영원한 창조주이자 최고의 시작으로 여겨지며, 옥황상제를 자신의 후계자로 선택했다고 한다.

옥황상제의 후계자는 결국 금궐옥천천존(金闕玉晨天尊|금궐옥천천존중국어)이 될 것이다.[6] 두 사람의 이름은 그의 옥좌 팔걸이 앞면에 새겨져 있다.

1925년과 1972년에 제작된 두 편의 민간 자동필기 문서에서는 관우가 1840년경 18대 옥황상제가 되었다고 한다.[7][8][9] 그러나 관우가 옥황상제를 계승했다는 주장에 동의하지 않는 사람들도 있어, 옥황상제와 관우는 종종 따로 모셔진다.[10] 천지교 교리에서는 재위 중인 옥황상제에게 55명의 전임자가 있다고 한다.[11] 하지만 이는 중국 민간 종교의 관점에서 비롯된 것이며, 많은 정통 도교도들은 이러한 주장을 사실이라고 믿지 않는다.

7. 숭배와 축제

옥황상제의 생일은 음력 1월 9일이라고 전해진다.[14] 이날 도교 사원에서는 제사장과 평신도들이 절하고 향을 피우며 음식을 공양하는 옥황상제 제의 (, 표준 중국어: ''''; 호키엔어: ''pài Thinn-kong'', 직역하면 "하늘에 대한 경배")를 거행한다.[14]

이 생일 아침에 불교, 도교 및 기타 전통 중국 종교를 실천하는 중국인, 대만인, 호키엔인, 페라나칸 중국계 말레이시아인, 싱가포르 중국인들은 3단으로 된 제단을 차린다. 윗단에는 여섯 가지 채소 (六齋중국어), 국수, 과일, 케이크, 탕위안, 채소 그릇, 덜 익은 빈랑을 올리고 등롱으로 장식하며, 아랫단 두 층에는 옥황상제 아래의 신들에게 바치는 다섯 가지 제물과 술을 올린다.[14] 그런 다음 가족들은 세 번 절하고 아홉 번 머리를 조아려 경의를 표하고 장수를 기원한다.[14]

옥황상제 생일날 대만 이란 현 산싱에 있는 옥존궁에서 거행되는 제의




말레이시아 페낭에서 옥황상제 생일 축하 행사의 중심지는 Thni Kong Tnua 사원이며, ''어메이징 레이스 16''의 주요 촬영지 중 한 곳으로 세계적인 명성을 얻었다.[15] 1869년에 지어진 이 사원은 페낭 언덕 기슭 에어 아이탐 교외, 페낭의 수도인 조지타운 근처에 위치해 있다.[16] 천공누아 외에도 조지타운 중심부에 있는 추 제티는 옥황상제 생일 축하 행사의 또 다른 중심지이다. 이 특정 장소에서의 축제는 2014년 말레이시아 영화 ''The Journey''에 담겼다.[17]

8. 대중문화

중국 신화에는 옥황상제와 관련된 많은 이야기가 있다.[4] 그는 또한 백련교 비밀 결사의 전통적인 인물로 여겨질 수 있다.


  • 2022년 4월 출시된 MOBA 게임 스마이트에서 플레이 가능한 마법사로 등장한다.
  • 중국 신들을 ''던전 앤 드래곤'' 롤플레잉 게임에 각색한 내용에는 ''신들과 반신들''과 ''전설과 전승'' 책에 상제(Shang-Ti)라는 이름의 "천국의 황제"가 등장하며, 카라투르 캠페인 설정에서는 판테온의 수장인 "천상의 황제"가 등장한다.[22][23][24]
  • 밀리터리 SF 텔레비전 시리즈 스타게이트 SG-1에 유황 상제(Yu-huang Shang Ti)라는 이름의 고아울드 시스템 로드로 등장한다.
  • 드라마 "천관사복"의 준우(Jun Wu)는 옥황상제의 변형된 모습이다.
  • 서유기에서는 "고상천성대자인자옥황대천존현궁고상제(高天上聖大慈仁者玉皇大天尊玄穹高上帝)"라는 이름으로 등장하며, 령소전(靈霄殿)에 출어하여 조정을 행한다고 한다.

참조

[1] 백과사전 Yudi
[2] 서적 Mythology: A Visual Encyclopedia Barnes & Noble Books
[3] 서적 A Simple Approach To Taoism https://books.google[...]
[4] 웹사이트 Daoism Series 41: The Jade Emperor https://purplecloudi[...] 2021-08-15
[5] 서적 Heavenly Stems and Earthly Branches - TianGan DiZhi JESSICA KINGSLEY PUBLISHERS
[6] 웹사이트 道教的神 http://www.bookhome.[...]
[7] 웹사이트 洞冥寶記 http://a3838838.mywe[...]
[8] 웹사이트 關聖帝君受禪玉帝經略 http://www.cass.net.[...]
[9] 웹사이트 瑤池聖誌 http://www.boder.idv[...]
[10] 웹사이트 寫給天道道親的一封信 http://www.gotobr.or[...]
[11] 웹사이트 教源──道統衍流 天帝立教道統衍流 http://tienti.info/v[...]
[12] 웹사이트 Temple of Jade Emperor God - Community {{!}} The Star Online http://www.thestar.c[...]
[13] 서적 Discovering God: The Origins of the Great Religions and the Evolution of Belief HarperOne
[14] 백과사전 Jade Emperor http://taiwanpedia.c[...] Council for Cultural Affairs 2011
[15] 웹사이트 Amazing Race Season 16, Episode 8 http://www.visitpena[...]
[16] 웹사이트 Temple of Jade Emperor God - Community {{!}} The Star Online http://www.thestar.c[...]
[17] 뉴스 Hokkiens go all out to celebrate Jade Emperor God's birthday at jetty and temple - Community {{!}} The Star Online http://www.thestar.c[...] 2017-02-06
[18] 웹사이트 Yuk Wong Kung Din, A Kung Ngam http://www.ctc.org.h[...]
[19] 논문 Beyond the Kingly Metaphor: A Sociological Reading of the 'Scripture of the Jade Sovereign'
[20] 웹사이트 Religion in China on the Eve of the 2008 Beijing Olympics https://www.pewresea[...] 2008-05-01
[21] 서적 Religions in play: games, rituals, and virtual worlds Theologischer Verlag Zürich
[22] 서적 Deities & Demigods TSR, Inc. 1980
[23] 서적 Legends & Lore TSR, Inc. 1990
[24] 서적 Kara-Tur: The Eastern Realms (Volume I) TSR, Inc. 1988
[25] 서적 二階堂 2013
[26] 서적 二階堂 2013
[27] 서적 蜂屋 2004
[28] 서적 呂宗力 & 欒保群 1991
[29] 서적 二階堂 2002
[30] 서적 東方書店 2004
[31] 서적 三修社 1997
[32] 서적 二階堂 2001
[33] 웹사이트 徽宗政和六年九月朔,復奉玉冊、玉寶,上玉帝尊號曰太上開天執符禦曆含真體道昊天玉皇上帝 https://zh.wikisourc[...]
[34] 서적 도교의 신들 들녘
[35] 뉴스 “중국인들은 신의 하강을 원했다” http://shindonga.don[...] 신동아 2011-12-01
[36] 서적 태극도통감 태극도 출판부 2000-00-00 # 초판 발행 연도는 1956년이나, 2000년 보정판을 인용했으므로 2000년으로 설정. 정확한 날짜는 불명확하여 00-00-00으로 표기.
[37] 서적 한국종교사상사 연세대학교출판부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