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우스티오르딘스키부랴트 자치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우스티오르딘스키부랴트 자치구는 1937년에 설치되어 1993년부터 러시아의 연방 주체이자 이르쿠츠크주의 일부였으며, 2008년 1월 1일에 이르쿠츠크주에 통합되었다. 이 지역은 16세기 말까지 몽골의 지배를 받았으며, 현재 이르쿠츠크 시간대를 사용한다. 6개의 군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2002년 기준 135,327명이 거주하며 러시아인이 가장 많다. 주요 산업은 임업과 제지업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이르쿠츠크주 - 부랴트인
    부랴트인은 러시아 부랴티야 공화국에 주로 거주하며 몽골 제국의 일원이었던 몽골계 민족으로, 바이칼호 주변에서 반유목 생활을 하며 샤머니즘과 티베트 불교를 믿고 독특한 문화와 언어를 가지고 있으며,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에서 높은 사상자 비율로 논란이 되었다.
  • 이르쿠츠크주 - 토파인
    러시아 이르쿠츠크주에 거주하는 소수 민족인 토파인은 "사슴의 사람들"을 의미하는 투르크어에서 유래했으며, 동 사얀 산맥에 정착한 사모예드족 수렵 채집인에서 기원하여 튀르크화 과정을 거쳐 현재의 언어와 문화를 형성했고, 순록 사육, 덫 사냥, 사냥을 통해 유목 생활을 유지해 왔으나 러시아 제국 확장과 소련 집단화 시기를 거치면서 큰 변화를 겪으며 조상의 땅에 대한 권리 회복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 러시아의 폐지된 연방주체 - 예벤키 자치구
    예벤키 자치구는 17세기에 러시아의 지배를 받아 1930년에 에벤키 민족 관구로 형성되어 1977년 자치구로 승격되었으나 2007년 크라스노야르스크 지방에 통합되었고, 중앙 시베리아 고원에 위치하며, 러시아인을 포함한 다양한 민족이 거주했다.
  • 러시아의 폐지된 연방주체 - 캄차카주
    캄차카주는 러시아 극동에 위치하며 2007년 코랴크 자치구와 통합되어 캄차카 변경주가 되었고, 알레우츠키 군 등 7개의 군과 페트로파블롭스크 캄차츠키 등 59개의 집락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1995년부터 2007년까지 지방 자치와 주민 참여를 위해 노력한 캄차카주 의회 의장들이 있었다.
우스티오르딘스키부랴트 자치구
기본 정보
러시아 우스티오르다 부랴트 자치구 2007-07
지도
우스티오르다 문장
문장
우스티오르다 부랴트 자치구의 기
공식 명칭우스티오르다 부랴트 자치구
러시아어 명칭Усть-Орды́нский Буря́тский автоно́мный о́круг (УОБАО)
부랴트어 명칭Усть-Ордын (Усть-Ордагай) Буряадай автономито тойрог
수도우스티오르딘스키
존속 기간1993년 - 2008년 1월 1일
면적 (2010년 기준)22,138.1km²
인구 (2010년 기준)125,177명
연방 관구시베리아 연방관구
경제 지구동시베리아 경제 지구
현재 소속이르쿠츠크 주
google_map우스티오르다 부랴트 자치구
행정 구역
자치 округ러시아
기타 정보
소멸 시점2008년 1월 1일, 러시아 연방의 독립적인 주체로서 존재를 멈춤.

2. 역사

이 지역은 16세기 말까지 몽골의 지배하에 있었지만, 이후 러시아에 정복되었다. 1937년에 자치 관구가 설치되었다.

2. 1. 러시아 이전

이 지역은 16세기 말까지 몽골의 지배를 받았으나, 이후 러시아에 정복되었다.

2. 2. 러시아 제국 시기

이 지역은 16세기 말까지 몽골의 지배하에 있었지만, 러시아에 정복되었다.[1]

2. 3. 소비에트 연방 시기

16세기 말까지 이 지역은 몽골의 지배를 받았지만, 이후 러시아에 정복되었다. 1937년에 자치 관구가 설치되었다.

2. 4. 러시아 연방 시기

1993년부터 이 자치구는 러시아의 독립적인 연방 주체이자 이르쿠츠크주의 일부였으며, 2008년 1월 1일에 공식적으로 이르쿠츠크주에 통합되었다.[1] 이 지역은 16세기 말까지 몽골의 지배를 받았지만, 러시아가 정복했다.[1] 1937년에 자치 관구가 설치되었다.[1]

2. 5. 이르쿠츠크 주와의 통합

1993년부터 이 자치구는 러시아의 독립적인 연방 주체이자 이르쿠츠크주의 일부였으며, 2008년 1월 1일에 공식적으로 이르쿠츠크주에 통합되었다.[1]

2006년 4월 16일에 실시된 주민투표에서 이르쿠츠크주와 우스티오르딘스키부랴트 자치구의 다수 주민은 두 지역의 통합에 동의했다.[1] 두 지역의 선거관리위원회에 따르면 이르쿠츠크주 주민의 68.98%와 우스티오르딘스키 부랴티아 주민의 99.51%가 투표에 참여하여, 이는 2003년 러시아 총선 이후 러시아에서 가장 높은 투표율을 기록한 국민투표 중 하나가 되었다.[1] 통합은 선거구의 절대 다수(이르쿠츠크주 89.77%, 우스티오르딘스키 부랴티아 97.79%)의 지지를 받았다.[1] 확대된 이르쿠츠크주는 2008년 1월 1일에 공식적으로 출범했다.[1]

3. 시간대

우스티오르딘스키부랴트 자치구는 이르쿠츠크 시간대 (IRKT/IRKST)에 속한다. UTC와의 시차는 +0800(IRKT)/+0900(IRKST)이다.

이 지역은 표준시로 이르쿠츠크 시간대를 사용하고 있다. UTC+8 시간이며, 서머타임은 없다. (2011년 3월까지 표준시는 UTC+8, 서머타임은 UTC+9였으며, 같은 해 3월부터 2014년 10월까지는 연중 UTC+9였다.)

4. 행정구역

우스티오르딘스키부랴트 자치구는 6개의 군으로 구성되어 있다.[1]

알라르스키 군
바얀다예프스키 군
보한스키 군
에히리트-불라가츠키 군
누쿠츠키 군
오신스키 군


4. 1. 군


  • 알라르스키 군
  • 바얀다예프스키 군
  • 보한스키 군
  • 에히리트불라가츠키 군
  • 누쿠츠키 군
  • 오신스키 군

5. 주민

2002년 기준 인구는 135,327명이다.

74개의 민족이 거주하며, 주요 민족 구성은 다음과 같다.

순위민족인구비율(%)
1러시아인73,646명54.42%
2부랴트족53,649명39.64%
3타타르족4,102명3.03%
4우크라이나인1,300명0.96%
5폴란드인해당 자료 없음0.32%
6벨라루스인해당 자료 없음0.29%
7아르메니아인해당 자료 없음0.27%
8추바시인해당 자료 없음0.16%
9리투아니아인해당 자료 없음0.07%
10아제르바이잔인해당 자료 없음0.06%



주민의 다수는 러시아인(57%)이며, 몽골계 부랴트족은 36%를 차지한다.

6. 상징

이 깃발 디자인은 처음에는 녹색 바탕으로 제작되어 사용되었으나, 2007년에 바탕만 짙은 파란색으로 변경되었다. 깃발과 부족 문장의 중심에는 'argabar'(영어: auer)라고 불리는 상징이 있으며, 유럽의 문장(Coat of Arms)과 마찬가지로 대대로 이어져 내려온 것이다. 이는 "금색 원 - 완전한 평화를 상징하는 태양의 표식, 그리고 우주와 지구와 각 조상 대대로의 일족을 의미한다. ''argabar'' - 영원한 움직임. ''argabar'' 주위를 둘러싼 금색 원들은 빛의 4가지 측면을 상징한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2]

7. 산업

주요 산업은 임업, 제지업이다.

참조

[1] 웹사이트 С 1 января 2008 г. Усть-Ордынский Бурятский автономный округ прекратил свое существование как самостоятельный субъект РФ https://arigus.tv/ne[...] 2021-10-05
[2] 웹사이트 FLAGs.ru http://flags.ru/bas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