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추바시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추바시인은 주로 추바시 공화국과 인접 지역에 거주하는 튀르크 민족이다. 추바시어는 튀르크어족의 오구르어파에 속하는 유일한 현존 언어이며, 언어 기원에 대한 여러 설이 존재한다. 추바시인은 볼가 불가르인의 후손으로 여겨지며, 러시아 제국과 소련 시대에 문화적, 언어적으로 러시아화되는 과정을 겪었다. 현재는 러시아 정교회를 믿는 경우가 많지만, 기독교 이전의 샤머니즘 전통도 일부 유지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몰도바의 민족 - 몰도바인
    몰도바인은 몰다비아 공국 주민을 지칭하던 용어에서 러시아 제국 시기 민족적 의미를 갖게 되었으며, 다양한 정치적 요인에 의해 정체성이 변화되어 왔고, 현재 몰도바 공화국에서는 루마니아와의 관계 및 민족적 일체성 여부에 대한 논쟁이 주요 정치적 쟁점이다.
  • 몰도바의 민족 - 루마니아인
    루마니아인은 동유럽에 거주하며 루마니아어를 사용하고 루마니아의 주된 민족이며, 다키아인과 로마인의 혼혈에서 기원하여 루마니아 정교회를 믿는 것이 특징이다.
  • 투르크메니스탄의 민족 - 우즈베크인
    우즈베크인은 중앙아시아의 튀르크계 민족으로, 기원전 2천년기부터 역사가 시작되었으며, 이슬람 문화를 받아들이고 러시아 제국과 소련을 거쳐 1991년 우즈베키스탄 공화국을 수립했으며, 농업, 목축, 수공업, 상업에 종사하며 튀르크어족의 우즈베크어를 사용하고 수니파 이슬람교를 믿는다.
  • 투르크메니스탄의 민족 - 투르크멘인
    투르크멘인은 투르크메니스탄을 중심으로 인접 국가에 거주하는 튀르크계 민족으로, 오구즈 투르크를 조상으로 하며 유목 생활, 여러 제국 지배,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을 거쳐 투르크메니스탄으로 독립했고, 투르크멘어를 사용하며 수니파 이슬람교를 믿고 독특한 민속 공예와 음악 전통을 지닌다.
  • 아제르바이잔의 민족 - 쿠르드족
    쿠르드족은 이란 고원 북서부에서 기원하여 터키, 이란, 이라크, 시리아 등지에 흩어져 거주하며 독자적인 언어와 문화를 유지하고, 자치와 독립을 추구하는 민족이다.
  • 아제르바이잔의 민족 - 아르메니아인
    아르메니아인은 아르메니아 공화국을 중심으로 전 세계에 흩어져 거주하며, 기독교를 국교로 채택하고 아르메니아 사도교회를 중심으로 독자적인 문화를 발전시켜 온 민족이다.
추바시인
기본 정보
20세기 초의 늙은 추바시인
언어추바시어, 러시아어
종교대다수: 정교 기독교
소수: 바티센 얄리(민족 종교), 수니 이슬람교
관련 민족볼가 타타르인, 바시키르인, 우드무르트인
인구
전체약 110만 명
러시아1,067,139명
러시아 (추바시 공화국)684,930명
카자흐스탄22,305명
우크라이나10,593명
우즈베키스탄10,074명
타지키스탄3,904명
투르크메니스탄2,281명
벨라루스2,242명
몰도바1,204명

2. 어원

추바시어의 어원에 대해서는 보편적으로 받아들여지는 설명이 없지만, 크게 두 가지 설이 있다. 하나는 추바시어가 공통 투르크어의 *jăvaş*('친근한', '평화로운')에서 유래했다는 설이고, 다른 하나는 이 단어가 초기 중세 시대 선비족의 일파이자 중국 북위의 건국자였던 탑가(Tabghach)에서 유래했다는 설이다.

2. 1. *jăvaş* 기원설

추바시어의 어원에 대해서는 보편적으로 받아들여지는 설명이 없지만, 두 가지 설이 있다. 하나는 추바시어가 공통 투르크어의 *jăvaş*('친근한', '평화로운')에서 유래되었다는 설로, 체레미스어의 *şarmăs*('호전적인')와 대조된다.

2. 2. 탑가(Tabghach) 기원설

추바시어의 어원에 대해서는 보편적으로 받아들여지는 설명이 없지만, 두 가지 설이 있다. 다른 하나는 이 단어가 초기 중세 시대 선비족의 일파이자 중국 북위의 건국자였던 탑가(Tabghach)에서 유래되었다는 설이다. 옛 투르크어 명칭인 탑가(만다린어로는 투바(Tuoba))는 이 왕조가 멸망한 후에도 일부 내아시아 민족들이 중국을 가리키는 데 사용되었다. 제라드 클라우슨(Gerard Clauson)은 규칙적인 음운 변화를 통해 탑가(Tabghach) 씨족의 이름이 추바시(Chuvash)라는 민족명으로 변형되었을 수 있다는 것을 보였다.[11]

3. 언어

추바시어는 추바시 공화국과 인접 지역에서 사용되는 튀르크어족 언어이다. 튀르크어족의 두 주요 가지 중 하나인 오구르어파의 유일하게 살아남은 구성원이다.[12][13]

볼가 불가르어의 방언에서 유래했다는 주장과[14], 독립적인 오구르 튀르크어라는 주장이[15] 공존한다. 훈족어와 연관성을 제시하는 학자들도 있지만,[16] 언어학적 증거는 부족하다.[19][20][21][22]

이고르 드 라체빌츠는 추바시어가 다른 튀르크어와 상당한 차이를 보인다고 지적하며, 일부 학자들은 추바시어를 튀르크어, 몽골어와 독립된 가지로 간주한다고 설명했다.[23][24]

원튀르크어가 아닌 다른 원언어에서 유래했다는 주장도 존재한다.[25] 러시아어, 마리어, 볼가 타타르어,[30][31] 몽골어, 아랍어, 페르시아어[32][33]의 영향을 받았다.

3. 1. 특징

전통 의상을 입은 추바시 여성


추바시인은 튀르크어족에 속하는 민족으로, 주로 추바시 공화국과 그 인접 지역에 거주한다. 이들은 튀르크어족의 주요 분파 중 하나인 오구르어파에 속하는 추바시어를 사용한다.[12][13] 추바시어는 오구르어파에서 유일하게 살아남은 언어이다.

일부 학자들은 추바시어가 볼가 불가르어의 방언에서 유래했다고 보는 반면,[14] 다른 학자들은 추바시어가 독립적인 오구르 튀르크어라고 주장한다.[15] 훈족어가 불가르어 및 현대 추바시어와 관련이 있다는 주장도 있지만,[16] 증명된 단어와 인명 외에 훈족어에 대해 알려진 바가 거의 없어 언어학적 증거가 부족하다.[19][20][21][22]

이탈리아의 역사학자이자 언어학자인 이고르 드 라체빌츠는 추바시어가 다른 튀르크어와 상당한 차이를 보인다고 지적했다. 그는 추바시어가 튀르크어와 공통된 특징을 공유하지 않아 일부 학자들이 튀르크어와 몽골어로부터 독립된 가지로 간주할 정도라고 설명했다.[23][24]

추바시어는 다른 튀르크어와 문법적 유사성을 보이지만, 발음 변화가 다른 튀르크어와 조화시키기 어렵기 때문에 일부 학자들은 추바시어가 원튀르크어가 아닌 다른 원언어에서 유래했다고 본다.[25] 오구르어파는 나머지 튀르크어(공통 튀르크어)와 두 가지 음운 변화로 구별되는데, 공통 튀르크어의 'z'에 해당하는 'r', 공통 튀르크어의 'š'에 해당하는 'l'이다.[26]

추바시어는 러시아어, 마리어, 볼가 타타르어의 영향을 많이 받았으며,[30][31] 몽골어, 아랍어, 페르시아어의 영향도 받았다.[32][33] 2~3개의 방언이 있으며,[34][35] 유네스코는 멸종 위기 언어로 간주한다.[36][37]

추바시족 소년들


추바시인은 언어적 특징에 따라 다음과 같이 세분된다.

  • '''비르얄''' (вирьял, тури|비르얄, 투리cv, '상류'): 북부 및 북동부 추바시야
  • '''아나트 옌치''' (анат енчи|아나트 옌치cv, '중하류'): 중부 및 남서부 추바시야
  • '''아나트리''' (анатри|아나트리cv, '하류'): 남부 추바시야 및 추바시야 이외 지역
  • '''히르티''' (хирти|히르티cv, '대초원'): 일부 연구자들이 인정하는 하위 집단


추바시인의 약 절반인 90만 명이 추바시 공화국에 거주하며, 공화국 내 다수 민족(67.69%)을 차지한다. 타타르스탄 공화국, 바시코르토스탄 공화국, 사마라주, 울리아놉스크주 등 러시아의 여러 지역과 카자흐스탄, 우크라이나 등에도 거주한다.

추바시어를 모어로 사용하지만, 러시아어타타르어를 제2언어로 사용하는 사람도 많다. 튀르크계 민족 중에서는 드물게 주민 대부분이 정교회 신자이다.

3. 2. 방언

추바시어는 2~3개의 방언으로 나뉜다.[34][35] 추바시 사람들은 다음과 같이 세분화된다.

  • '''비르얄''' (вирьял, тури|비르얄, 투리cv, '상류')
  • '''아나트 옌치''' (анат енчи|아나트 옌치cv, '중하류')
  • '''아나트리''' (анатри|아나트리cv, '하류')
  • '''히르티''' (хирти|히르티cv, '대초원') (일부 연구자들이 인정하는 하위 집단)

3. 3. 현황



추바시인의 총 인구 중 약 절반인 90만 명이 추바시 공화국에 거주하며, 공화국 내 다수(67.69%)를 차지한다.[37] 그 외에도 타타르스탄 공화국(총 인구 대비 7.7%), 바시코르토스탄 공화국(7.1%), 사마라주(6.2%), 울리아놉스크주(6.8%) 등 러시아 여러 지역과 카자흐스탄, 우크라이나 등에도 거주하고 있다.[37]

튀르크어족 중에서 독특한 특징을 가진 추바시어를 모어로 사용하지만, 제2언어로 러시아어타타르어를 사용하는 사람도 많다.[37] 튀르크계 민족 중에서는 무슬림이 많은 경우와는 달리, 주민 대부분이 정교회 신자이다.[37]

언어적 특징으로 세 개의 하위 집단으로 분류된다.[34][35]

집단명추바시어 표기의미분포 지역
비르얄вирьял, туриcv'상류'북부 추바시야, 북동부 추바시야
아나트 옌치анат енчиcv'중하류'중부 추바시야, 남서부 추바시야
아나트리анатриcv'하류'남부 추바시야, 추바시야 이외 지역



히르티(хиртиcv, '대초원')는 일부 연구자들이 인정하는 하위 집단이다.[37]

4. 역사

전통 의상을 입은 추바시 소녀들


추바시족의 기원에 대해서는 사비르족과 핀우그르족의 혼혈설, 볼가 불가르족 후손설 등 두 가지 상반된 학설이 존재한다.[38]

1세기 초, 볼가르인들이 서쪽으로 이동하여 2~3세기에 북카프카스에 도달, 여러 국가를 건설했다. 7세기 후반 카자르 침략으로 볼가르가 붕괴되자, 사비르족은 볼가-카마 지역으로 이주하여 볼가 불가리아를 건설했다.[45]

수아르 공국은 카자리아의 속국이 되었다가 732~737년 아랍-카자르 전쟁에 참여했다. 10세기 초 볼가 불가리아에 이슬람교가 채택되면서 주민들이 이 종교를 받아들였다.[45]

1236년 몽골이 볼가 불가리아를 파괴한 후, 킵차크 칸국이 그 지역을 지배했다. 이후 카잔 칸국이 그 지역과 추바시의 새로운 지배권을 갖게 되었다. "추바시"라는 명칭은 16세기부터 등장하기 시작했다.[46]

1552년 러시아는 카잔 칸국과 그 영토를 정복했다. 야삭을 납부해야 했던 추바시인들은 점차 토지를 빼앗겼다. 전통적으로 농업에 종사하던 많은 추바시인들은 빈곤이 심화됨에 따라 목재 산업에서 채무 노동자가 되거나 바지선에서 일하도록 강요받았다.[47] 그 후 수세기 동안 추바시인들의 기독교화러시아화가 진행되었다. 이 기간 동안 대부분의 추바시는 정교회로 개종했지만, 차르들은 그들의 완전한 러시아화를 달성하지 못했다.[46]

1871년에는 키릴 문자를 사용한 추바시어 정서법이 제정되었고, 추바시인 지식인 계층이 형성되기 시작했다.

1920년 6월 24일, 러시아 SFSR의 볼셰비키 정부는 추바시 자치구를 설립했으며, 1925년 4월 21일 추바시 자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이 되었다. 이 무렵 추바시 민족주의가 성장했지만, 소비에트 당국은 공화국의 경계를 재조정하여 많은 추바시인이 이웃 공화국이나 러시아 지역에 거주하도록 함으로써 민족주의 운동을 억압하려 했다. 1989년, 또 다른 추바시 문화 부흥이 시작되었다.[50]

4. 1. 기원

추바시족의 기원에 대해서는 두 가지 상반된 학설이 존재한다. 하나는 사비르족과 핀우그르족의 혼혈에서 유래했다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볼가 불가르족의 후손이라는 것이다.[38] 역사적으로 추바시족은 러시아인과 다른 투르크계 민족뿐만 아니라, 수 세기 동안 지속적으로 잘못 동일시되어 온 이웃 우랄어족 부족들로부터 상당한 유입과 영향을 받아왔다.[24]

시베리아에서 온 것으로 여겨지는 사비르족은 기원전 3천년기 말 이전부터 그곳에 살았다.[39][40][41] 그들은 전쟁에 능숙했고, 공성 병기를 사용했으며,[42] 여성을 포함한 대규모 군대를 보유하고 있었고, 배를 건조하는 기술도 가지고 있었다.[43] 사비르족은 5세기 후반에서 6세기 초에 트란스코카서스로 침입했지만, 빠르게 비잔티움-사산 전쟁에서 양측의 병사와 용병으로 활동하기 시작했다. 비잔티움 제국과의 동맹은 이후 하자르-비잔티움 동맹의 기반이 되었다.[44]

추바시인의 조상은 10세기에 볼가 불가르 국가를 건국한 볼가 불가르계 수알 부족과 사빌 부족으로 여겨진다. 몽골의 볼가 지역 정복 이후, 불가르인 일부는 북방의 핀우그르계 여러 민족과 혼혈하여 15세기에서 16세기경 현재 추바시인의 원형이 형성된 것으로 보인다. 추바시인은 15세기에 카잔 칸국의 지배하에 놓였고, 이슬람교로 개종한 일부는 현재의 타타르인과 동화된 것으로 여겨진다. 그 때문에 인종은 원래 몽골로이드였으나, 현재는 혼혈이 거듭된 결과 코카소이드에 속한다.

16세기에 추바시인의 거주 지역은 러시아 제국에 정복되었고, 주민들의 정교 개종이 진행되었다. 1871년에는 키릴 문자를 사용한 추바시어 정서법이 제정되었고, 추바시인 지식인 계층이 형성되기 시작했다.

19세기 후반 러시아 동양학의 발전에 따라 고대 불가르어가 추바시어와 근연어임이 밝혀지면서, 추바시인 지식인 사이에서 자신의 민족 기원을 볼가 불가르 국가에 두려는 의식이 높아졌다.

한편, 1940년대 소련 민족학에서는 불가르인의 후손을 타타르인으로 동정하고, 추바시인의 민족 기원을 핀우그르계 토착민족으로 위치시키는 학설이 주류가 되었다. 이러한 학설의 배경에는 볼가 불가르 국가를 소련 영토 내에서 "자생적으로" 발전한 민족 집단으로 위치시키고, 정복자인 몽골 제국의 계보를 소련 연방 내 여러 민족의 민족 기원설에서 배제하려는 정치적 의도가 있었다. 이에 반발한 추바시인 지식인은 불가르 기원설을 발전시켜 1970년대에는 타타르인 지식인과 불가르의 계승 민족을 둘러싼 민족 기원 논쟁을 벌였다.[63]

4. 2. 초기 역사

추바시족의 기원에 대해서는 두 가지 학설이 있다. 하나는 사비르족과 핀우그르족의 혼혈에서 유래했다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볼가 불가르족의 후손이라는 것이다.[38] 역사적으로 추바시족은 러시아인과 다른 투르크계 민족뿐만 아니라, 수 세기 동안 지속적으로 잘못 동일시되어 온 이웃 우랄어족 부족들로부터 상당한 유입과 영향을 받아왔다.[24]

시베리아에서 온 것으로 여겨지는 사비르족은 기원전 3천년기 말 이전부터 그곳에 살았다.[39][40][41] 그들은 전쟁에 능숙했고, 공성 병기를 사용했으며,[42] 여성을 포함한 대규모 군대를 보유하고 있었고, 배를 건조하는 기술도 가지고 있었다.[43]

1세기 초, 추바시와 관련이 있을 가능성이 있는 볼가르인들이 제티수와 오늘날 카자흐스탄의 초원을 지나 서쪽으로 이동하기 시작하여 2세기에서 3세기 사이에 북카프카스에 도달했다. 그곳에서 그들은 여러 국가를 건설했는데, 흑해 연안의 볼가르와 오늘날 다게스탄의 수아르 공국이 그것이다. 볼가르는 7세기 후반, 일련의 성공적인 카자르 침략 이후 붕괴되었다. 카자르 칸국 내의 부족이었던 사비르족은 다른 오노구르족과 함께 볼가-카마 지역으로 이주하여 결국 엄청난 부를 축적한 볼가 불가리아를 건설했다. 당시 수도는 세계에서 네 번째로 큰 도시였다.

그 직후, 카프카스에 사비르족이 건설한 또 다른 국가인 수아르 공국은 카자리아의 속국이 되도록 강요받았다. 약 반세기 후, 수아르족은 732년에서 737년 사이의 아랍-카자르 전쟁에 참여했다. 10세기 초 볼가 불가리아에서 이슬람교가 채택됨에 따라 대부분의 주민들이 이 종교를 받아들였다.[45]

1236년 몽골이 볼가 불가리아를 파괴한 후, 킵차크 칸국은 약 1438년까지 서서히 해체될 때까지 그 지역을 지배했다. 그 후 카잔 칸국이 그 지역과 추바시의 새로운 지배권을 갖게 되었다. 현대적인 명칭인 "추바시"는 16세기부터 러시아와 다른 외국 자료에 등장하기 시작했다.[46]

1552년 러시아는 카잔 칸국과 그 영토를 정복했다. 야삭을 납부해야 했던 추바시는 점차 토지를 빼앗겼다. 전통적으로 농업에 종사하던 많은 추바시는 빈곤이 심화됨에 따라 목재 산업에서 채무 노동자가 되거나 바지선에서 일하도록 강요받았다.[47] 그 후 수세기 동안 추바시의 기독교화러시아화가 진행되었다. 이 기간 동안 대부분의 추바시는 정교회로 개종했지만, 차르들은 그들의 완전한 러시아화를 달성하지 못했다.

개종 후, 러시아 역사가 바실리 니키티치 타티셰프는 볼가 불가리아의 땅을 직접 방문하여 1768년에 볼가르인들이 바시코르토스탄과 카잔 북쪽(즉, 오늘날의 추바시야)으로 이주했다고 기록했다.

19세기 후반 러시아 동양학의 발전에 따라 고대 불가르어가 추바시어와 근연어임이 밝혀지면서, 추바시인 지식인 사이에서 자신의 민족 기원을 볼가 불가르 국가에 두려는 의식이 높아졌다.

한편, 1940년대 소련 민족학에서는 불가르인의 후손을 타타르인으로 동정하고, 추바시인의 민족 기원을 핀우그르계 토착민족으로 위치시키는 학설이 주류가 되었다. 이러한 학설의 배경에는 볼가 불가르 국가를 소련 영토 내에서 "자생적으로" 발전한 민족 집단으로 위치시키고, 정복자인 몽골 제국의 계보를 소련 연방 내 여러 민족의 민족 기원설에서 배제하려는 정치적 의도가 있었다. 이에 반발한 추바시인 지식인은 불가르 기원설을 발전시켜 1970년대에는 타타르인 지식인과 불가르의 계승 민족을 둘러싼 민족 기원 논쟁을 벌였다.[63]

4. 3. 중세 시대



1세기 초, 볼가르인들이 서쪽으로 이동하기 시작하여 2~3세기 사이에 북카프카스에 도달, 여러 국가를 건설했다. 7세기 후반 카자르 침략으로 볼가르가 붕괴되자, 사비르족은 볼가-카마 지역으로 이주하여 볼가 불가리아를 건설했다.[45]

수아르 공국은 카자리아의 속국이 되었다가 732~737년 아랍-카자르 전쟁에 참여했다. 10세기 초 볼가 불가리아에 이슬람교가 채택되면서 주민들이 이 종교를 받아들였다.[45]

1236년 몽골이 볼가 불가리아를 파괴한 후, 킵차크 칸국이 그 지역을 지배했다. 이후 카잔 칸국이 그 지역과 추바시의 새로운 지배권을 갖게 되었다. "추바시"라는 명칭은 16세기부터 등장하기 시작했다.[46]

추바시인의 조상은 10세기에 볼가 불가르 국가를 건국한 볼가 불가르계 수알 부족과 사빌 부족으로 여겨진다. 몽골의 볼가 지역 정복 이후, 불가르인 일부는 북방의 핀우그르계 여러 민족과 혼혈하여 15~16세기경 현재 추바시인의 원형이 형성된 것으로 보인다.

4. 4. 러시아 제국 시대

1552년 러시아는 카잔 칸국과 그 영토를 정복했다. 야삭을 납부해야 했던 추바시인들은 점차 토지를 빼앗겼다. 전통적으로 농업에 종사하던 많은 추바시인들은 빈곤이 심화됨에 따라 목재 산업에서 채무 노동자가 되거나 바지선에서 일하도록 강요받았다.[47] 그 후 수세기 동안 추바시인들의 기독교화러시아화가 진행되었다. 이 기간 동안 대부분의 추바시인은 정교회로 개종했지만, 차르들은 그들의 완전한 러시아화를 달성하지 못했다.[46]

개종 후, 러시아 역사가 바실리 니키티치 타티셰프는 볼가 불가리아의 땅을 직접 방문하여 1768년에 볼가르인들이 바시코르토스탄과 카잔 북쪽(오늘날의 추바시야)으로 이주했다고 기록했다.

1871년에는 키릴 문자를 사용한 추바시어 정서법이 제정되었고, 추바시인 지식인 계층이 형성되기 시작했다. 19세기 후반 러시아 동양학의 발전에 따라 고대 불가르어가 추바시어와 근연어임이 밝혀지면서, 추바시인 지식인 사이에서 자신의 민족 기원을 볼가 불가르 국가에 두려는 의식이 높아졌다.

4. 5. 소비에트 연방 시대

1920년 6월 24일, 러시아 SFSR의 볼셰비키 정부는 추바시 자치구를 설립했으며, 1925년 4월 21일 추바시 자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이 되었다.[49] 이 무렵 추바시 민족주의가 성장했지만, 소비에트 당국은 공화국의 경계를 재조정하여 많은 추바시인이 이웃 공화국이나 러시아 지역에 거주하도록 함으로써 민족주의 운동을 억압하려 했다.[49] 1917년부터 1991년까지 대부분의 소비에트 시대 동안 추바시인들은 러시아화 정책을 받았다.[49] 추바시어는 교육 및 공공 분야에서 사라졌다. 1989년, 또 다른 추바시 문화 부흥이 시작되었다.[50]

4. 6. 현대

18세기와 19세기에는 추바시 문화가 부흥하여 교육, 문학, 언어 관련 작품이 많이 출판되었고, 학교와 기타 프로그램이 설립되었다. 추바시어는 지역 학교에서 사용되기 시작했고, 1871년에는 추바시어를 위한 특별한 문자가 만들어졌다.[46]

볼가 연방관구의 추바시 디아스포라


1920년 6월 24일, 러시아 SFSR의 볼셰비키 정부는 추바시 자치구를 설립했으며, 1925년 4월 21일 추바시 자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이 되었다. 이 무렵 추바시 민족주의가 성장했지만, 소비에트 당국은 공화국의 경계를 재조정하여 많은 추바시인이 이웃 공화국이나 러시아 지역에 거주하도록 함으로써 민족주의 운동을 억압하려 했다. 1917년부터 1991년까지 대부분의 소비에트 시대 동안 추바시인들은 러시아화 정책을 받았다.[49]

추바시어는 교육 및 공공 분야에서 사라졌다. 1989년, 또 다른 추바시 문화 부흥이 시작되었다.[50] 곧 추바시어는 교육, 공공 및 정치 생활에서 다시 사용되기 시작했다.[46] 2005년 기준으로, 추바시 공화국과 추바시 인구가 많은 지역의 학교에서는 추바시어와 문화를 가르친다. 러시아 전역의 추바시인들은 또한 지역 사회에서 사용할 수 있는 매체를 보유하고 있다.[46]

5. 유전학



20세기 초 체질 인류학자들은 추바시인을 핀우그리아계와 투르크계가 혼합된 민족으로 보았다.[52][24] 2015년 상염색체 분석 결과, 현대 추바시인에게 오구르족, 그리고 아마 불가르족의 조상 유전자가 있다는 흔적이 발견되었다. 이러한 오구르 부족이 추바시어를 가지고 왔다.[53] 다른 연구에서는 추바시인에게 핀우그리아계 구성 요소가 일부 존재함을 발견했다.[54]

표현형적으로는 추바시인들 사이에 특별한 차이가 없으며, 모든 아그룹에서 서유라시아 또는 동유라시아 표현형이 모두 발견될 수 있다.[55][56] 2017년 전 게놈 연구에 따르면 추바시인은 바시키르인타타르인과 공통적으로 작은 투르크계 구성 요소를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대부분 핀우그리아계 유전적 구성 요소를 보여준다. 이 연구는 추바시 인구 집단의 언어 변화 가설을 뒷받침한다.[57]

6. 문화

전통 의상을 입은 추바시 어린이들 (아나트 옌치 - 중부 저지대 추바시)


추바시인들은 추바시어를 사용하며 기독교 이전의 전통을 일부 가지고 있다. 이들은 전통 의복에 사용되는 특유의 자수 패턴을 가지고 있다.[58] 많은 추바시인들은 추바시 공화국과 볼가강 중류 지역, 러시아 유럽 지역 중부에 있는 인근 지역에서 사용되는 러시아어타타르어도 사용한다.

6. 1. 언어 및 문자

추바시어는 주로 추바시 공화국과 인접 지역에서 사용되는 튀르크어족 언어이다. 튀르크어족의 두 주요 가지 중 하나인 오구르어파의 유일하게 살아남은 언어이다.[12][13]

일부 학자들은 추바시어가 볼가 불가르어의 방언에서 유래했을 것이라고 믿지만,[14] 다른 학자들은 추바시어가 또 다른 독립적인 오구르 튀르크어라고 주장한다.[15] 불가르어와 카자르어일 가능성이 있는 언어를 포함하여 오구르어파에 속하는 추바시어가 아닌 다른 언어들에 대한 기록이 부족하기 때문에, 추바시어가 오구르어파 내에서 정확히 어떤 위치를 차지하는지는 알 수 없다.

일부 학자들은 훈족어가 불가르어와 현대 추바시어와 강한 연관성이 있다고 제시하며,[16] 이러한 확장된 그룹을 별개의 훈-불가르어로 지칭한다.[17][18] 그러나 훈족어는 몇몇 증명된 단어와 인명을 제외하고는 거의 알려지지 않았기 때문에, 이러한 추측은 적절한 언어학적 증거에 기반하지 않는다. 학자들은 일반적으로 훈족어를 분류할 수 없는 언어로 간주한다.[19][20][21][22]

이탈리아 역사학자이자 언어학자인 이고르 드 라체빌츠는 다른 튀르크어와 추바시어의 상당한 차이점을 지적했다. 그는 추바시어가 일부 학자들이 추바시어를 튀르크어와 몽골어로부터 독립된 가지로 간주할 정도로 튀르크어와 공통된 특징을 공유하지 않는다고 하였다. 추바시어의 튀르크어 분류는 분류 목적을 위한 절충안으로 여겨졌다.[23][24]

나머지 튀르크어족과의 문법적 유사성에도 불구하고, 추바시어 발음의 변화(다른 튀르크어족 구성원과 조화시키기 어려운 변화)가 존재한다. 때문에 일부 학자들은 추바시어가 원튀르크어가 아니라 원튀르크어 시대에 사용되었던 다른 원언어에서 유래했다고 본다 (이 경우 추바시어와 나머지 모든 튀르크어는 더 큰 언어 가족의 일부가 될 것이다).[25]

오구르어파는 나머지 튀르크어족 (공통 튀르크어)과 두 가지의 음운 변화로 구별된다. 공통 튀르크어의 'z'에 해당하는 'r'과 공통 튀르크어의 'š'에 해당하는 'l'이다.[26] 1856년 아우구스트 아흘크비스트의 추바시어에 대한 최초의 과학적 현장 조사는 연구자들이 추바시어의 적절한 소속을 확립할 수 있게 해주었다.[27]

추바시어는 튀르크어의 주요 부분과 너무 다르기 때문에 처음에는 튀르키스화된 우랄어족 언어 또는 튀르크어족몽골어족 사이의 중간 가지로 여겨졌다.[28][29] 러시아어, 인접한 마리어 및 볼가 타타르어는 추바시어에 큰 영향을 미쳤다.[30][31]

몽골어, 아랍어페르시아어도 추바시어에 영향을 미쳤다.[32][33] 추바시어는 2개에서 3개의 방언이 있다.[34][35] 추바시어는 학교에서 가르치고 때때로 언론에서 사용되지만, 유네스코는 대부분의 삶의 영역에서 러시아어가 지배적이고 언어를 배우는 아이들 중 적극적인 사용자가 될 가능성이 적기 때문에 멸종 위기 언어로 간주한다.[36][37]

추바시 사람들은 다음과 같이 세분화된다.

  • 비르얄 (вирьял, тури|비르얄, 투리cv, '상류')
  • 아나트 옌치 (анат енчи|아나트 옌치cv, '중하류')
  • 아나트리 (анатри|아나트리cv, '하류')
  • 히르티 (хирти|히르티cv, '대초원') (일부 연구자들이 인정하는 하위 집단)


그들은 추바시어를 사용하며 기독교 이전의 전통을 일부 가지고 있다. 추바시인들은 전통 의복에 사용되는 특유의 자수 패턴을 가지고 있다.[58] 많은 사람들이 추바시 공화국과 볼가 강 중류 지역, 러시아 유럽 지역 중부에 있는 인근 지역에서 사용되는 러시아어타타르어도 사용한다.

6. 2. 종교

1870년 세례받은 추바시 사람들


대부분의 추바시인은 러시아 정교회에 속한 동방 정교회 신자이며, 소수는 수니파 무슬림 또는 바티센 야리를 믿는다. 16세기 러시아의 추바시 정복 이후 기독교화가 시작되었지만, 대부분의 추바시인들은 19세기 중반까지 개종하지 않았다.[59] 추바시인들은 문화 활동에서 기독교 이전과 이슬람 이전의 샤머니즘 전통을 일부 유지하고 있다.[59][46] keremet|케레메트cv라고 불리는 신사에서 병행 기도를 하고 거위를 제물로 바친다. 주요 신사 중 하나는 빌리야르스크 마을에 있다. 바티센 야리는 추바시인들의 민족 종교가 현대에 부흥한 것이다.

소수의 추바시인들은 볼가 불가리아 시대 초기에 이슬람에 노출되었을 수도 있지만, 그 초기 추바시인들 중 대부분은 황금 호르드 시대에 개종했을 가능성이 높다.[47] 1307년에 작성된 비문은 일부 추바시인들이 이슬람으로 개종했음을 나타내며, 종교 용어는 타타르어 차용어 형태로 추바시어에 나타난다.[60] 그러나 자료들은 이 시기 추바시인들의 관습을 구체적으로 밝히지 않는다. 러시아 정복 후 기독교로 개종한 일부 추바시인들은 19세기와 20세기 초에 이슬람으로 개종했다.[47] 이 기간 동안 여러 추바시 공동체는 타타르인의 영향을 받아 무슬림이 되었다. 이로 인해 일부 무슬림 추바시인들은 자신을 타타르인으로 정의했지만, 언어와 여러 추바시 관습을 유지했다.[61][62]

7. 분포



총 인구의 약 절반에 해당하는 90만 명이 추바시 공화국에 거주하며, 공화국 내 다수파(67.69%)를 차지한다. 그 외에도 타타르스탄 공화국(총 인구 대비 7.7%, 악스바이 지역, 부아 지역, 눌라트 지역, 타테시 지역, 칠레미샨 지역, 추플라레 지역 등), 바시코르토스탄 공화국(7.1%), 사마라주(6.2%), 울리아놉스크주(6.8%), 튜멘주, 케메로보주, 오렌부르크주, 모스크바주, 크라스노야르스크 지방, 카자흐스탄, 우크라이나 등에도 거주하고 있다.[1]

참조

[1] 웹사이트 Ethnic groups of Russia in the 2021 census http://rosstat.gov.r[...]
[2] 웹사이트 Демоскоп Weekly - Приложение. Справочник статистических показателей https://web.archive.[...] 2013-03-21
[3] 웹사이트 Всеукраїнський перепис населення 2001 - English version - Results - Nationality and citizenship - The distribution of the population by nationality and mother tongue - Selection http://2001.ukrcensu[...]
[4] 웹사이트 http://ula.uzsci.net[...] 2016-05
[5] 웹사이트 Chuvash https://www.ethnolog[...] Ethnologue 2023-09-26
[6] 웹사이트 Демоскоп Weekly - Приложение. Справочник статистических показателей https://web.archive.[...] 2013-03-21
[7] 웹사이트 НАЦИОНАЛЬНЫЙ СОСТАВ НАСЕЛЕНИЯ РЕСПУБЛИКИ БЕЛАРУСЬ (ETHNIC COMPOSITION OF POPULATION OF THE REPUBLIC OF BELARUS) https://web.archive.[...] 2009-10-21
[8] 웹사이트 Демоскоп Weekly - Приложение. Справочник статистических показателей https://web.archive.[...] 2013-03-21
[9] 백과사전 Chuvash https://web.archive.[...] Oxford University Press 2020-06-12
[10] 백과사전 Chuvash https://web.archive.[...] Oxford University Press 2020-06-12
[11] 서적 Studies in Turkic and Mongolic Linguistics Routledge
[12] 서적 Studies in Turkic and Mongolic linguistics https://books.google[...] Taylor & Francis
[13] 서적 Encyclopedia of the languages of Europe https://books.google[...] Wiley-Blackwell
[14] 학술지 A Volga Bulgarian Classifier: A Historical and Areal Linguistic Study https://www.research[...]
[15] 서적 The Turkic Languages https://www.taylorfr[...] Routledge
[16] 학술지 The Hunnic Language of the Attila Clan https://www.jstor.or[...] Harvard Ukrainian Research Institute
[17] 웹사이트 Proto-Bulgarian/Danube Bulgar/Hunno-Bulgar Bekven https://www.academia[...]
[18] 학술지 The Hunnic Language of the Attila Clan https://web.archive.[...] 2023-04-23
[19] 서적 Chuvash and the Bulgharic Languages https://academic.oup[...] Oxford University Press 2024-03-30
[20] 서적 An introduction to the history of the Turkic peoples: ethnogenesis and state-formation in medieval and early modern Eurasia and the Middle East O. Harrassowitz
[21] 서적 Hungarians and Europe in the Early Middle Ages http://dx.doi.org/10[...] Central European University Press 1999-03-01
[22] 서적 Studies in medieval inner Asia Ashgate
[23] 서적 Introduction to Altaic philology: Turkic, Mongolian, Manchu http://сувары.рф/nod[...] Leiden; Boston
[24] 서적 Chuvash Manual. Introduction, Grammar, Reader, and Vocabulary
[25] 서적 Encyclopedia of Linguistics
[26] 문서 Johanson (1998); cf. Johanson (2000, 2007) and the articles pertaining to the subject in Johanson & Csató (ed., 1998).
[27] 서적 Finno-Ugrian Language Studies in Finland 1828-1918 Societas Scientiarum Fennica
[28] 웹사이트 Chuvash and the Bulgharic languages https://academic.oup[...] 2023-04-25
[29] 웹사이트 Chuvash language {{!}} Alphabet, People, & Meaning {{!}} Britannica https://www.britanni[...] 2024-04-25
[30] 서적 The Turkic Languages https://www.taylorfr[...] Routledge
[31] 서적 Negation in Uralic Languages https://books.google[...] John Benjamins Publishing Company 2015-06-24
[32] 웹사이트 Chuvash https://www.encyclop[...]
[33] 학술지 On Chuvash-Mongolian Linguistic Contacts https://www.jstor.or[...]
[34] 서적 Encyclopedia of the world's minorities https://www.worldcat[...] Routledge
[35] 서적 The Oxford Guide to the Transeurasian Languages https://academic.oup[...] 2020-06-30
[36] 웹사이트 Zheltov, Pavel. An Attribute-Sample Database System for Describing Chuvash Affixes https://web.archive.[...] 2018-03-21
[37] 웹사이트 UNESCO red book on endangered languages: Europe http://www.helsinki.[...] 1999-09-22
[38] 서적 Chuvash origins: Evidence from mtDNA Markers. (2010)
[39] 서적 The Cambridge History of Early Inner Asia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0-03
[40] 서적 An Introduction to the History of the Turkic Peoples https://www.academia[...]
[41] 서적 Studies on the Peoples and Cultures of the Eurasian Steppes https://www.academia[...]
[42] 서적 Studies on the Peoples and Cultures of the Eurasian Steppes https://www.academia[...]
[43] 서적 Studies on the Peoples and Cultures of the Eurasian Steppes https://www.academia[...]
[44] 서적 Khazar Studies https://www.academia[...]
[45] 서적 Encyclopedia of the World's Minorities Routledge
[46] 서적 Encyclopedia of the World's Minorities Routledge
[47] 서적 Islamic Peoples Of The Soviet Union (With an Appendix on the non-Muslim Turkic peoples of the Soviet Union https://books.google[...] Routledge
[48] 서적 Russian History https://librebook.me[...] АСТ
[49] 서적 Encyclopedia of the World's Minorities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21-08-13
[50] 서적 Encyclopedia of the World's Minorities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21-08-13
[51] 학술지 Genetic Heritage of the Balto-Slavic Speaking Populations: A Synthesis of Autosomal, Mitochondrial and Y-Chromosomal Data 2015
[52] 백과사전 Chuvashes
[53] 학술지 The Genetic Legacy of the Expansion of Turkic-Speaking Nomads across Eurasia 2015-04-21
[54] 학술지 HLA gene and haplotype frequencies in Russians, Bashkirs and Tatars, living in the Chelyabinsk Region (Russian South Urals) 2012-10-01
[55] 웹사이트 Chuvash people — who are they really http://xn--c1acc6aaf[...]
[56] 웹사이트 Anthropological material about the origin of Chuvash people http://xn--80ad7bbk5[...]
[57] 학술지 Between Lake Baikal and the Baltic Sea: genomic history of the gateway to Europe 2017-12-28
[58] 웹사이트 Неведомый, чудный узор https://pattern.rusn[...] 2023-12
[59] 서적 Ethnic Groups of Europe: An Encyclopedia https://books.google[...] ABC-CLIO 2011
[60] 웹사이트 Chuvash {{!}} Encyclopedia.com https://www.encyclop[...] 2023-04-21
[61] 학술지 Chuvash 'Paganism' at the Turn of the 21st Century: Traditional Rituals in the Religious Practice of Volga–Urals Chuvash Groups 2020-06-01
[62] 학술지 Islam among the Chuvashes and its Role in the Change of Chuvash Ethnicity https://doi.org/10.1[...] 2007-04-01
[63] 서적 Uyama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