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예벤키 자치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예벤키 자치구는 17세기에 러시아의 지배를 받기 시작하여, 1930년 12월 10일에 에벤키 민족 관구로 형성되었고, 1977년 자치구로 승격되었다. 2007년 1월 1일 크라스노야르스크 지방에 통합되어 에벤키스키 군이 되었다. 중앙 시베리아 고원에 위치했으며, 니즈냐야퉁구스카강과 포드카멘나야퉁구스카강이 주요 하천이다. 2002년 인구 조사에 따르면 러시아인이 다수를 차지하며, 에벤키족, 야쿠트족 등 다양한 민족이 거주했다. 예벤키 자치구는 크라스노야르스크 시간대를 사용했으며, 자체적인 기와 문장을 가지고 있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예벤키족 - 에벤크어
    에벤크어는 퉁구스어족에 속하는 언어로, 러시아, 중국, 몽골 일부 지역에서 사용되며 다양한 방언이 존재하고 음운론적 특징에 따라 세 그룹으로 나뉘며 교착어적 특징을 가지며 러시아와 중국에서는 각각 키릴 문자와 몽골 문자를 사용하여 표기한다.
  • 예벤키족 - 갈리나 바를라모바
    갈리나 바를라모바는 에벤키 문화와 언어 연구 및 저술 활동을 한 작가로, 에벤키 민족과 문화를 다룬 소설과 단편집을 출판하고 에벤키어와 문학 연구에도 기여했다.
  • 러시아의 폐지된 연방주체 - 캄차카주
    캄차카주는 러시아 극동에 위치하며 2007년 코랴크 자치구와 통합되어 캄차카 변경주가 되었고, 알레우츠키 군 등 7개의 군과 페트로파블롭스크 캄차츠키 등 59개의 집락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1995년부터 2007년까지 지방 자치와 주민 참여를 위해 노력한 캄차카주 의회 의장들이 있었다.
  • 러시아의 폐지된 연방주체 - 코랴크 자치구
    캄차카 반도 북쪽 절반에 위치했던 코랴크 자치구는 1930년 민족 관구로 설치되었다가 2007년 캄차카주에 통합되었으며, 러시아인과 코랴크족을 비롯한 소수민족이 거주하는 지역으로 2006년에는 지진이 발생하기도 했다.
  • 크라스노야르스크 변경주 - 카라해
    카라해는 러시아 시베리아 북쪽 해안과 노바야 제믈랴 제도 사이에 있는 북극해의 일부로, 1년 중 대부분 해빙으로 덮여 있고, 오비 강, 예니세이 강 등에서 유입되는 담수의 영향을 받으며, 해빙 감소는 기후 변화와 관련 있고, 과거 핵 폐기물 투기로 인한 방사능 오염 우려가 있다.
  • 크라스노야르스크 변경주 - 돌간인
    돌간인은 러시아의 소수 민족으로, 에벤키, 야쿠트인 등의 영향으로 민족 정체성이 형성되었으며, 전통적으로 순록을 치는 유목 생활을 하다가 소련 시대에는 집단 농장에서 다양한 산업에 종사했다.
예벤키 자치구
지도
기본 정보
원어 이름에벤키 자치 오크루크 (Эвенки́йский Aвтоно́мный Округ, 러시아어)
현지 이름에웨디 아우토모디 오크루그 (Эведы Автомоды Округ, 에벤키어)
정치적 지위자치 오크루크
연방 округ시베리아
경제 지역동시베리아
행정 중심지투라
공식 언어인정된 소수 민족 언어: 에벤키어
상징
예벤키 자치구 문장
문장
예벤키 자치구 깃발
깃발
통계
2002년 인구 조사17,697명
인구 순위 (2002년)89위
최근 인구16,979명 (2007년)
면적763,197km²
면적 순위7위
역사
설립일1930년 12월 10일
정치
마지막 주지사보리스 졸로타료프
입법부입법 의회
기타
ISO알 수 없음
웹사이트알 수 없음

2. 역사

17세기에 러시아 제국에 편입되었다. 1930년12월 10일 소비에트 연방의 소수민족 자치 정책에 따라 '''에벤키 민족 관구'''가 설치되었고, 1977년 자치 관구로 승격되었다.[1] 1908년에는 퉁구스카 대폭발이 일어났다. 2007년1월 1일 크라스노야르스크 지방과 통합되어 크라스노야르스크 지방 예벤키스키 군이 되었다.

2. 1. 러시아 제국 편입

17세기에 러시아의 지배하에 들어갔다.

2. 2. 예벤키 민족 관구 성립

1930년12월 10일, 소비에트 연방의 소수민족 자치 정책에 따라 '''에벤키 민족 관구'''가 형성되었다.[1] 1977년에는 자치 관구로 승격되었다.[1]

2. 3. 퉁구스카 대폭발

1908년에 퉁구스카 대폭발이 일어났다.

2. 4. 크라스노야르스크 지방 통합

2007년 1월 1일, 크라스노야르스크 지방과 통합되어 그 한 지역(예벤키스키 군)이 되었다.

3. 지리

중앙 시베리아 고원 중부에 위치했다. 주요 하천은 예니세이강의 지류인 니즈냐야퉁구스카강과 포드카멘나야퉁구스카강이다.

4. 행정 구역

예벤키 자치구는 2007년 이전까지 3개의 군(район)으로 구성되어 있었다.[1]

군 이름
바이키츠키 군
일림피스키 군
툰구스코춘스키 군



에벤키 자치구 지도

4. 1. 군 (райо́н)



2007년 이전 에벤키 자치구는 다음 3개의 군을 포함하고 있었다.

  • 바이키츠키 군 (Байкитский)
  • 일림피스키 군 (Илимпийский)
  • 툰구스코춘스키 군 (Тунгусско-Чунский)

5. 주민

2002년 인구 조사에 따르면, 예벤키 자치구의 인구는 17,697명이었다. 러시아인이 62%로 다수를 차지했고, 원주민인 예벤키족은 21.5%였다. 그 외에도 야쿠트족 (5.6%), 우크라이나인 (3.1%), 케트족 (1.2%), 타타르족 (0.9%), 하카스족 (0.9%), 볼가 독일인 (0.7%) 등 다양한 민족이 거주했다.

에벤키인은 에벤키 자치구와 사하 공화국 및 그 외 지역의 원주민이다.


1939년부터 2002년까지의 민족 구성 변화는 다음과 같다.

민족
집단
1939년1959년1970년1979년1989년2002년
%%%%%%
에벤키인3,72139.3%3,47433.7%3,20725.3%3,23920.3%3,48014.0%3,80221.5%
야쿠트인7137.5%510.5%7816.2%8225.1%9373.8%9915.6%
케트인140.1%1421.1%1541.0%1500.6%2111.2%
러시아인4,67549.4%5,97557.9%7,73261.1%10,40065.1%16,71867.5%10,95861.9%
우크라이나인1171.2%1961.9%2542.0%4723.0%1,3035.3%5503.1%
기타2342.5%6105.9%5424.3%8815.5%2,1818.8%1,1856.7%


5. 1. 인구 통계

2002년 인구 조사에 따르면 예벤키 자치구의 인구는 17,697명이었다. 당시 67개의 민족이 거주하고 있었으며, 주요 민족 구성은 다음과 같다.

민족인구비율 (%)
러시아인10,958명62%
예벤키족3,802명21.5%
야쿠트족991명5.6%
우크라이나인550명3.1%
케트족211명1.2%
타타르족162명0.91%
하카스족152명0.86%
볼가 독일인127명0.72%



예벤키 자치구의 인구 통계는 다음과 같다.

평균 인구 (x 1000)출생사망자연 변동조출생률 (인구 1000명당)조사망률 (인구 1000명당)자연 변동 (인구 1000명당)
19701331414417024.211.113.1
1975152541599516.910.66.3
19801737316720621.99.812.1
19852252121930223.710.013.7
19902451418932521.37.813.5
19912442722120617.79.18.5
19922441424916517.510.57.0
1993232972702713.111.91.2
1994212942573713.912.11.7
1995202992148514.810.64.2
1996202692234613.511.22.3
1997202612025913.310.33.0
1998192442202412.711.41.2
1999192512034813.410.82.6
2000182422142813.311.71.5
2001182742344015.313.12.2
2002182632372614.913.41.5
2003182742155915.612.33.4
2004172672184915.412.62.8
2005172832592416.515.11.4
2006172822364616.613.92.7


6. 시간대

예벤키 자치구는 크라스노야르스크 시간(KRAT/KRAST)에 놓여 있었다. UTC와의 시차는 +0700 (KRAT)/+0800 (KRAST)이었다. 이 지역은 크라스노야르스크 시간대표준시를 사용하며, 시차는 UTC+7시간이고, 서머타임은 없다. (2011년 3월까지 표준시는 UTC+7, 서머타임은 UTC+8이었으며, 같은 해 3월부터 2014년 10월까지는 연중 UTC+8이었다)


7. 상징

예벤키 자치구는 자체적인 기와 문장을 가지고 있었다.[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