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장산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우장산역은 1996년 3월 20일 서울 지하철 5호선 방화역~까치산역 구간 개통과 함께 영업을 시작했다. 상대식 승강장, 스크린도어가 설치된 지하역으로, 4개의 출구가 있다. 우장산공원, 학교, 주민센터 등 다양한 시설이 역 주변에 위치해 있으며, 5호선 발산역과 화곡역 사이에 위치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서울 강서구의 전철역 - 개화역
개화역은 2009년 개통된 서울 지하철 9호선 지상역으로, 섬식 승강장과 반밀폐형 스크린도어를 갖추고 김포공항역 방향으로 선로가 연결되어 있으며, 개화산역, 강서공영차고지, 개화역광역환승센터와 인접하여 대중교통 이용이 편리하다. - 서울 강서구의 전철역 - 발산역
발산역은 1996년 5호선 개통과 함께 영업을 시작했으며, 상대식 승강장과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고 9개의 출구가 있으며, 인접한 역으로는 마곡역과 우장산역이 있다. - 수도권 전철 5호선의 역 - 신길역
신길역은 서울 영등포구에 있는 수도권 전철 1호선과 5호선의 환승역으로, 각 노선은 지상/지하에, 쌍상대식/상대식 승강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역 주변에는 여러 교육기관과 공공시설이 자리 잡고 있다. - 수도권 전철 5호선의 역 - 공덕역
공덕역은 서울특별시 마포구에 위치한 지하철역으로, 5호선, 6호선, 인천국제공항철도, 경의·중앙선 등 4개 노선이 지나가는 환승역이며,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 1996년 개업한 철도역 - 행신역
행신역은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행신동에 있는 경의·중앙선과 KTX가 정차하는 지상역으로, 수도권 서부 지역의 중요한 KTX 환승 거점 역할을 수행하며 이용객 수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 1996년 개업한 철도역 - 신길역
신길역은 서울 영등포구에 있는 수도권 전철 1호선과 5호선의 환승역으로, 각 노선은 지상/지하에, 쌍상대식/상대식 승강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역 주변에는 여러 교육기관과 공공시설이 자리 잡고 있다.
우장산역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역 정보 | |
역 이름 | 우장산역 |
한자 표기 | 雨 |
로마자 표기 | Ujangsan-yeok |
주소 | 서울특별시 강서구 강서로 지하 262 (내발산동 723) |
좌표 | 위키좌표2단도분초|37|32|55.9|N|126|50|10.7|E|region:KR (미지원으로 출력 생략) |
역 번호 | 516 |
운영 정보 | |
운영 기관 | 서울교통공사 |
노선 | 서울 지하철 5호선 |
역 구조 | 지하역 |
승강장 | 2면 2선 (상대식 승강장) |
개업일 | 1996년 3월 20일 |
이용 정보 | |
승차 인원 (2018년) | 15,614명 |
승강 인원 (2018년) | 31,035명 |
노선 정보 | |
이전 역 | 515 발산 |
역간 거리 | 1.1km (발산 방면), 1.0km (화곡 방면) |
다음 역 | 화곡 517 |
기점 역 | 방화 |
영업 거리 | 방화 기점 6.7km |
이미지 정보 | |
![]() | |
![]() | |
![]() |
2. 역사
(내용 없음 - 하위 섹션 '연혁'에서 상세 내용을 다루므로 생략)
2. 1. 연혁
- 1996년 3월 20일 : 서울 지하철 5호선 방화역~까치산역 구간 개통(마곡역 제외)과 함께 영업 개시.
- 2013년 8월 21일 : 3번 출구 에스컬레이터 개통.
- 2017년 5월 31일 : 서울특별시도시철도공사와 서울메트로가 통합되어 서울교통공사의 역이 됨.
3. 역 구조
지하역으로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3] 설치된 스크린도어는 노후화로 인해 2019년 6월부터 7월까지 교체공사를 진행하였다. 출구는 4개가 있으며, 1·2번 출구는 우장산동에, 3·4번 출구는 발산동에 위치한다.
층별 | 구역 | 내용 |
---|---|---|
G | 지상층 | 출구 |
L1 | 대합실 (로비) | 고객 서비스, 상점, 자동 판매기, 현금 자동 입출금기(ATM) |
L2 | 승강장 | ← 서울 지하철 5호선 방화 방면 (발산) |
승강장 | → 서울 지하철 5호선 하남검단산·마천 방면 (화곡) |
3. 1. 승강장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을 갖춘 지하역이다. 안내상의 승강장 번호는 설정되어 있지 않다. 이 역은 양방향 모두 오른쪽 문으로 승하차한다.
4. 역 주변
인근에 송화시장이 있다.
5. 이용객 변동
노선 | 일평균 인원수 (명/일) | 각주 | ||||||||||
---|---|---|---|---|---|---|---|---|---|---|---|---|
2000년 | 2001년 | 2002년 | 2003년 | 2004년 | 2005년 | 2006년 | 2007년 | 2008년 | 2009년 | |||
5호선 | 승차 | 10,343 | 10,828 | 10,994 | 12,406 | 11,782 | 11,412 | 11,669 | 11,709 | 14,863 | 15,339 | [4] |
하차 | 9,489 | 9,819 | 10,075 | 11,395 | 10,907 | 10,917 | 11,256 | 11,191 | 14,169 | 14,716 | ||
승·하차 | 19,833 | 20,647 | 21,069 | 23,802 | 22,689 | 22,329 | 22,925 | 22,901 | 29,031 | 30,054 | ||
노선 | 2010년 | 2011년 | 2012년 | 2013년 | 2014년 | 2015년 | 2016년 | 2017년 | 2018년 | |||
5호선 | 승차 | 15,007 | 15,360 | 15,279 | 15,250 | 15,704 | 16,350 | 15,991 | 15,688 | 15,614 | ||
하차 | 14,407 | 14,635 | 14,671 | 14,731 | 15,182 | 15,908 | 15,764 | 15,449 | 15,421 | |||
승·하차 | 29,414 | 29,995 | 29,951 | 29,981 | 30,886 | 32,258 | 31,755 | 31,137 | 31,035 |
6. 인접한 역
발산 (515)
화곡 (5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