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곡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화곡역은 서울 지하철 5호선에 있는 지하철역이다. 1996년 3월 20일 5호선 방화~까치산 구간 개통과 함께 영업을 시작했으며, 2017년 서울교통공사 출범으로 서울 지하철 5호선 역이 되었다. 1면 2선의 곡선 섬식 승강장과 8개의 출구를 갖추고 있으며, 주변은 주거 지역으로 강서구청, 강서경찰서 등 공공기관과 학교, 시장 등이 위치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서울 강서구의 전철역 - 개화역
개화역은 2009년 개통된 서울 지하철 9호선 지상역으로, 섬식 승강장과 반밀폐형 스크린도어를 갖추고 김포공항역 방향으로 선로가 연결되어 있으며, 개화산역, 강서공영차고지, 개화역광역환승센터와 인접하여 대중교통 이용이 편리하다. - 서울 강서구의 전철역 - 발산역
발산역은 1996년 5호선 개통과 함께 영업을 시작했으며, 상대식 승강장과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고 9개의 출구가 있으며, 인접한 역으로는 마곡역과 우장산역이 있다. - 수도권 전철 5호선의 역 - 신길역
신길역은 서울 영등포구에 있는 수도권 전철 1호선과 5호선의 환승역으로, 각 노선은 지상/지하에, 쌍상대식/상대식 승강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역 주변에는 여러 교육기관과 공공시설이 자리 잡고 있다. - 수도권 전철 5호선의 역 - 공덕역
공덕역은 서울특별시 마포구에 위치한 지하철역으로, 5호선, 6호선, 인천국제공항철도, 경의·중앙선 등 4개 노선이 지나가는 환승역이며,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 1996년 개업한 철도역 - 행신역
행신역은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행신동에 있는 경의·중앙선과 KTX가 정차하는 지상역으로, 수도권 서부 지역의 중요한 KTX 환승 거점 역할을 수행하며 이용객 수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 1996년 개업한 철도역 - 신길역
신길역은 서울 영등포구에 있는 수도권 전철 1호선과 5호선의 환승역으로, 각 노선은 지상/지하에, 쌍상대식/상대식 승강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역 주변에는 여러 교육기관과 공공시설이 자리 잡고 있다.
| 화곡역 - [지명]에 관한 문서 | |
|---|---|
| 역 정보 | |
![]() | |
| 역 이름 (한국어) | 화곡역 |
| 역 이름 (한자) | 禾谷驛 |
| 역 이름 (로마자 표기) | Hwagok-yeok |
| 주소 | 서울특별시 강서구 화곡로 지하 168 (화곡7동 1089-54) |
| 운영 기관 | 서울교통공사 |
| 노선 | 서울 지하철 5호선 |
| 역 번호 | 517 |
| 구조 | 지하역 |
| 승강장 | 1면 2선 (섬식 승강장) |
| 개업일 | 1996년 3월 20일 |
| 출구 번호 | 8개 |
| 버스 환승 | 가능 |
| 인접 역 | 5호선 우장산역: 1.0km 까치산역: 1.2km |
| 통계 | |
| 2016년 승차 인원 | 29,384명 |
| 2016년 승하차 인원 | 56,475명 |
2. 역사
1996년 3월 20일 서울 지하철 5호선 방화역~까치산역 구간 개통과 함께 마곡역을 제외하고 영업을 시작했다.[1] 2017년 5월 31일 서울교통공사 출범으로 서울 지하철 5호선 역이 되었다.[2]
2. 1. 연혁
3. 역 구조
화곡역은 1면 2선의 섬식 승강장을 갖춘 지하역이며,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출구는 8개로, 1·2번 출구는 우장산동에, 3~8번 출구는 화곡동에 있다.
| 층 | 시설 |
|---|---|
| G | 출구 |
| L1 | 로비, 고객 서비스, 상점, 자동 판매기, 현금 자동 인출기 |
| L2 | 승강장 |
3. 1. 승강장
1면 2선의 곡선 섬식 승강장을 갖춘 지하역이며,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전동차와 승강장 사이가 넓으므로 승·하차 시 주의해야 한다.
3. 2. 대합실 (L1)
로비에는 고객 서비스 센터, 상점, 자동 판매기, 현금 자동 인출기 등이 있다.[1]3. 3. 지상층 (G)
출구는 8개가 있다. 1·2번 출구는 우장산동에 있고, 3~8번 출구는 화곡동에 있다. 이 역은 전동차와 승강장 사이가 넓으므로 승·하차시 발이 빠지지 않도록 주의하여야 한다.4. 역 주변
화곡역 주변은 주거 지역으로, 강서구청, 강서경찰서, 화곡우체국 등 공공기관과 여러 학교, 시장 등이 위치하고 있다. 특히, 서울의 서쪽 위성도시인 부천시 방면으로 가는 버스가 운행하므로 지하철과 버스의 환승 지점 역할을 한다.
- 강서대학교
- 서울특별시강서양천교육지원청
- 화곡시장
- 화곡주공아파트
- 화곡중앙교회
- 화원중학교 (서울)
4. 1. 우장산동 방면 (1, 2번 출구)
| 1번 출구 | |
|---|---|
| 2번 출구 |
4. 2. 화곡동 방면 (3~8번 출구)
| 3번 출구 | |
|---|---|
| 4번 출구 | |
| 5번 출구 | |
| 6번 출구 | |
| 7번 출구 | |
| 8번 출구 |
주변은 주택가이며, 서울의 서쪽 위성도시인 부천시 방면으로 가는 버스가 운행하므로 이 역은 지하철과 버스의 환승 지점이다.
5. 이용객 변동
5호선 화곡역의 연도별 이용객 변동은 다음과 같다.[3]
| 연도 | 승차 (명/일) | 하차 (명/일) | 승·하차 (명/일) |
|---|---|---|---|
| 2000년 | 24,246 | 20,958 | 45,204 |
| 2001년 | 26,168 | 22,708 | 48,876 |
| 2002년 | 27,662 | 24,333 | 51,995 |
| 2003년 | 29,018 | 24,701 | 53,719 |
| 2004년 | 29,341 | 24,870 | 54,210 |
| 2005년 | 29,981 | 26,528 | 56,508 |
| 2006년 | 30,080 | 26,481 | 56,561 |
| 2007년 | 30,373 | 26,563 | 56,936 |
| 2008년 | 30,535 | 27,041 | 57,576 |
| 2009년 | 29,976 | 26,624 | 56,601 |
| 2010년 | 29,756 | 26,477 | 56,233 |
| 2011년 | 30,181 | 26,981 | 57,161 |
| 2012년 | 30,333 | 27,385 | 57,718 |
| 2013년 | 30,279 | 27,207 | 57,486 |
| 2014년 | 29,564 | 26,887 | 56,451 |
| 2015년 | 29,245 | 26,880 | 56,125 |
| 2016년 | 29,383 | 27,091 | 56,474 |
| 2017년 | 29,603 | 27,316 | 56,919 |
| 2018년 | 29,744 | 27,438 | 57,182 |
5호선 화곡역의 일평균 승·하차 인원은 2000년대 초반 4만 명대에서 꾸준히 증가하여, 2010년대에는 5만 명대 중후반을 유지하고 있다.
6. 인접한 역
참조
[1]
웹사이트
화곡역
http://terms.naver.c[...]
Doopedia
2018-03-24
[2]
웹사이트
서울도시철도공사 > 알림정보 > 자료실
http://smrt.co.kr/pr[...]
[3]
웹사이트
서울교통공사 > 알림마당 > 자료실
http://www.seoulmet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