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울라 (여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울라(Ula)는 여진족의 부족으로, 15세기 중반부터 17세기 초까지 존재했다. 초기에는 키르사 강 유역에서 시작하여 쑹화강 유역으로 이동하여 세력을 확장했다. 1561년 부얀이 우라제부를 통합하고 우라성을 건설하며 버이러를 자칭했다. 이후 하다에 종속되기도 했으나, 예허 등과 연합하여 세력을 키웠다. 17세기 초 부잔타이 시대에 누르하치와 대립하다가 1613년 멸망했다. 울라나라는 만주족 씨족으로, 신해혁명 이후 조씨 등으로 성을 바꾸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해서여진 - 멍거불루
    멍거불루는 1360년경 건국된 하대의 국주로, 명나라 개입과 건주 여진과의 갈등, 내부 분열을 겪으며 누르하치에게 멸망당했다.
  • 해서여진 - 여허
    여허는 16세기 후반 여허강 유역에 존재했던 해서여진 부족으로, 투메드 몽골 출신 싱건 다르한을 시조로 하여 명나라와 건주여진 사이에서 외교 관계를 유지했으나 누르하치에게 멸망당한 후 팔기에 편입되었고, 여허나라 할라 씨족은 성씨 변화를 겪었다.
  • 금나라 - 여진
    여진은 동북아시아의 투구스계 민족을 지칭하는 명칭으로, 금나라를 건국하여 북송을 정복했으나 멸망 후 여러 부족으로 분열, 누르하치에 의해 만주족으로 재통합되어 청나라를 건국했다.
  • 금나라 - 정강의 변
    정강의 변은 1125년부터 1127년까지 금나라의 침입으로 북송이 멸망한 사건으로, 휘종과 흠종을 포함한 황족들이 포로로 잡혀가고 사회 전반에 큰 충격을 주어 중국 역사에 깊은 상처를 남겼다.
  • 만주 - 광개토대왕릉비
    광개토대왕릉비는 414년에 고구려 장수왕이 아버지 광개토대왕의 업적을 기리기 위해 세운 비석으로, 고구려 역사와 광개토대왕의 업적을 기록하여 고구려사 연구에 중요한 사료로 평가받는다.
  • 만주 - 외만주
    외만주는 19세기 청나라 동북 지역으로, 러시아가 아무르 강 유역을 병합한 후 러시아 만주라고도 불렸으나, 아이훈 조약과 베이징 조약으로 러시아에 할양되어 현재 러시아 영토가 되었으며, 중국은 불평등 조약을 근거로 영토 반환을 주장하지만 러시아는 이를 부정하며 영토 분쟁과 역사 논쟁이 지속되고 있다.
울라 (여진)
지리
위치쑹화강 유역
역사
별칭후룬, 울라
주요 부족후룬 부족
주요 도시울라
멸망 시기1613년
멸망 원인누르하치의 공격으로 멸망
주요 지도자부잔타이
정치
정치 체제부족 연맹
언어
사용 언어만주어

2. 역사

ᠰᡳᡵᠠᠨ|Suwayan Siran}})에서 피살되었다.[13]

만타이의 동생 부잔타이(ᠪᡠᠵᠠᠨᡨᠠᡳ|Bujantaimnc)는 누르하치의 지원을 받아 한으로 즉위하여 예허 등과 연합하여 누르하치에 대항하였고, 한때 조선과 충돌하기도 하였다. 그러나 결국 1613년 누르하치의 공격으로 우라는 멸망하고 부잔타이는 예허로 망명하였다.[25][26]

2. 1. 건국과 초기 발전 (15세기 중반 ~ 16세기 후반)

후룬 구룬(우라)의 시조 나치부루(ᠨᠠᠴᡳᠪᡠᠯᡠ|Nacibulumnc)는 본래 호이파와 우라 지역 사이의 키르사 강( ᡴᡳᡵᠰᠠ
ᠪᡳᡵᠠ|Kirsa Biramnc) 상류 유역에서 성씨 없이 홀로 살다가 쑹화강(숭아리강) 유역으로 이주하여 우라 부족의 수장이 되었다.[1]

나치부루의 아들 샹갼 도르호치(ᡧᠠᠩᡤᡳᠶᠠᠨ
ᡩᠣᡵᡥᠣᠴᡳ|Šanggiyan Dorhocimnc)는 1,000여 리에 달하는 광대한 영역을 지배하며 후룬 구룬을 경영했다고 전해진다. 도르호치의 아들 갸마카 쇼주구(ᡤᡳᠶᠠᠮᠠᡴᠠ
ᡧᠣᠵᡠᡤᡡ|Giyamaka Šojugūmnc)는 1443년 명나라로부터 올자전위(兀者前衛) 지휘(指揮)에 임명되었다.[3]

갸마카 쇼주구의 아들 둘기(ᡩᡠᠯᡤᡳ|Dulgimnc)는 성화 연간(1464-1487)에 명나라로부터 올자전위도독(兀者前衛都督)에 임명되었다.[5]

둘기 사후, 갸마카 쇼주구의 다른 아들인 수허터(ᠰᡠᡥᡝᡨᡝ|Suhetemnc)가 명나라로부터 탑산전위도독(塔山前卫都督)으로 임명되었다. 이후 갸마카 쇼주구의 4남 수이툰의 아들 커시너(ᡴᡝᠰᡳᠨᡝ|Kesinemnc)가 도독으로 임명되었으나, 커시너와 그의 아들 처처무(ᠴᡝᠴᡝᠮᡠ|Cecemumnc)는 바다이 다르한(ᠪᠠᡩᠠᡳ
ᡩᠠᡵᡥᠠᠨ|Badai Darhanmnc)에게 살해당했다.

커시너 피살 이후, 그의 손자 왕타이는 시버부의 수하이성(ᠰᡠᡳᡥᠠ
ᡥᠣᡨᠣᠨ|Suiha Hotonmnc)으로 도주했고, 차남 왕주 와이란(ᠸᠠᠩᠵᡠ
ᠸᠠᡳᠯᠠᠨ|Wangju Wailanmnc)과 그 아들 볼콘 셔진(ᠪᠣᠯᡴᠣᠨ
ᡧᡝᠵᡳᠨ|Bolkon Šejinmnc) 등은 하다( ᡥᠠᡩᠠ|Hadamnc)를 건립했다.[6]

2. 2. 부얀과 부간 시대 (16세기 후반 ~ 17세기 초)

1561년, 부얀(ᠪᡠᠶᠠᠨ|Buyanmnc)은 우라제부를 통합하고, 쑹화강(송화강) 연안에 있는 홍니(ᡥᠣᠩᠨᡳ|Hongnimnc)에 우라성과 궁궐을 축조한 뒤 버이러를 자칭했다.[7] 부얀의 시대에 우라는 하다(Hada)에 종속되었으나, 하다의 왕타이 사후 혼란을 틈타 독립하고 예허(Yehe) 등과 세력을 확장했다.[9]

부얀의 사후 아들 부간(ᠪᡠᡤᠠᠨ|Buganmnc)이 수장을 계승했다.[10] 이 무렵 부얀의 종형제인 하다의 완 한 왕타이의 세력이 강성하여 여진 각 부의 패주가 되었으며, 우라도 하다에 종속되었다. 우라는 하다에 협력하여 공동의 이익을 취함으로써 왕타이의 패권을 지키려고 노력했고, 명나라와도 하다를 거쳐 교류하였다.[8]

하다의 왕타이가 죽은 뒤 후계자인 후르간(ᡥᡡᡵᡤᠠᠨ|Hūrganmnc)이 즉위한 지 1년 만에 병사하여 후계자 분쟁이 벌어져 하다가 혼란에 빠지자, 우라는 여세를 몰아 하다의 통제에서 벗어나 예허와 수완, 시버 2부를 분할하고, 원래 우라의 지배를 받았던 수이하성을 탈환했다.[11]

부간의 사후 아들 만타이(ᠮᠠᠨᡨᠠᡳ|Mantaimnc)가 후계자가 되었는데,[12] 만타이 부자 두 사람이 변경에 있는 마을인 솨얀 시란(ᠰᡠᠸᠠᠶᠠᠨ
ᠰᡳᡵᠠᠨ|Suwayan Siranmnc)이란 곳으로 가서 그곳을 수선하고 해자를 파도록 했는데, 이때 부자가 마을의 부녀자 두 명을 탐하여 결국 밤에 그들의 남편에게 살해당했다.[13]

2. 3. 부잔타이 시대와 멸망 (17세기 초)

부잔타이(ᠪᡠᠵᠠᠨᡨᠠᡳ|Bujantaimnc)는 만타이의 동생으로, 누르하치의 지원을 받아 우라의 한(汗)으로 즉위했다.[13] 그는 숙부 힝냐(ᡥᡳᠩᠨᡳᠶᠠ|Hingniyamnc)의 암살 시도를 피해 누르하치가 보낸 병력의 보호를 받으며 즉위했다.[13]

부잔타이는 예허와 몽골 제부와의 관계를 강화하고,[14] 1597년에는 예허와의 혼인동맹을 이용하여 동해여진 와르카의 안추라쿠 일대 세 부족을 신속시켰다.[15] 1603년~1605년 무렵에는 조선 함경도 종성의 동관진과 온성의 유원진을 공격하여 조선군과 충돌하기도 했다.[16][17][18] 또한 건퇴에 병력을 유둔시켜 인근 조선의 번호였던 동해여진 부족들을 신속시켰다.[19][20] 1605년, 부잔타이는 조선 조정으로부터 당상(堂上)의 직첩을 받았다.[21]

1607년 2월, 부잔타이의 우라는 누르하치의 세력과 조선 함경도 종성 오갈암(烏碣巖)에서 충돌했고, 우라군은 대패했다.[22] 그해 4월에도 누르하치 군대와 충돌하여 많은 물자를 노획당했다.[23]

부잔타이는 예허와 협력하여 누르하치에 대항했지만, 1613년, 누르하치는 우라를 친정하여 멸망시켰고,[25] 부잔타이는 예허로 망명했다.[26]

3. 씨족

우라나라(ᡠᠯᠠ ᠨᠠᡵᠠ|Ula Naramnc)는 우라 지역의 대표적인 씨족이다.[27][28] 신해혁명 이후 대부분 한성(漢姓)인 조(趙)씨로 바꾸었고, 일부는 동(桐), 강(相) 등의 성씨를 사용했다.[29]

3. 1. 울라나라 할라

'''울라나라'''(烏拉那拉, ᡠᠯᠠ ᠨᠠᡵᠠ|Ula Naramnc)는 '''오라씨'''(烏喇氏)라고도 한다.[27][28] 울라나라는 무쿤(穆昆, Mukūn)과 할라(哈拉, Hala)의 연칭으로, 울라(烏拉, Ula)는 종족을 뜻하는 무쿤이고, 나라(那拉, Nara)는 성씨를 뜻하는 할라이다. 만주족의 씨족 중 하나로 16세기 후반 후룬이 울라기야(烏拉街, ᡠᠯᠠ ᡤᡳᠶᠠᡳ|Ula Giyamnc) 일대로 이동하면서 형성되었다. 이들은 명말에 여진족 울라부 수장을 배출했다.

신해혁명 이후 중화민국이 건립되자 대부분의 우라나라씨는 한성(漢姓)인 조(趙)씨로 가장했고, 일부는 동(桐), 강(相) 성을 사용했다.[29]

참조

[1] 서적 [[팔기만주씨족통보|팔기씨족통보]]
[2] 서적 [[팔기만주씨족통보|팔기씨족통보]]
[3] 서적 《英宗睿皇帝實錄》
[4] 서적 《滿洲實錄》
[5] 서적 《憲宗純皇帝實錄》
[6] 서적 《滿洲實錄》
[7] 서적 《滿洲實錄》
[8] 서적 《乌拉国简史》 中共永吉县委史办公室
[9] 서적 《乌拉国简史》 中共永吉县委史办公室
[10] 서적 《乌拉国简史》 中共永吉县委史办公室
[11] 서적 《乌拉国简史》 中共永吉县委史办公室
[12] 서적 [[팔기만주씨족통보|팔기씨족통보]]
[13] 서적 太祖武皇帝實錄
[14] 서적 努尔哈赤传·正说清朝第一帝 北京出版社.
[15] 서적 太祖武皇帝實錄
[16] 서적 《[[선조실록]]》
[17] 서적 《[[선조실록]]》
[18] 서적 《[[선조실록]]》
[19] 서적 《[[선조실록]]》
[20] 서적 《[[선조실록]]》
[21] 서적 《[[선조실록]]》
[22] 웹인용 건주위의 호추 노을가적이 홀라온과 종성 오갈암에서 싸워 대패시키다 http://sillok.histor[...] 2019-07-20
[23] 서적 太祖武皇帝實錄
[24] 서적 太祖武皇帝實錄
[25] 서적 [[만문로당|満文老檔]]
[26] 서적 太祖武皇帝實錄
[27] 서적 《辽海丛书·沈故》 辽沈书社
[28] 서적 啸亭杂录 中华书局
[29] 서적 满族姓氏寻根词典 辽宁民族出版社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