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울산광역시청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울산광역시청은 울산광역시의 행정 사무를 총괄하는 기관이다. 시장을 중심으로 소방본부, 자치경찰위원회, 감사관실, 기획조정실 등 다양한 실·국 및 부서로 구성되어 있다. 2022년 총예산은 약 4조 4103억 원으로, 일반공공행정, 사회복지, 환경 등 다양한 분야에 걸쳐 사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울산광역시청 - 울산도서관
    울산도서관은 2018년 개관한 울산광역시 시립도서관으로, 전국 최대 규모의 시설과 우수한 건축 디자인을 자랑하며 다양한 자료와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복합문화공간이지만, 주차 공간 부족, 악취, 시설 하자 등의 문제점 개선이 필요한 곳이다.
  • 울산광역시청 - 울산암각화박물관
    울산암각화박물관은 울주군에 위치한 반구대암각화와 천전리각석을 중심으로 국내 암각화 연구를 선도하는 전문박물관으로, 고래 형상 건물에 암각화 모형과 입체 영상 전시, 선사시대 생활상 자료, 어린이 전시관, 체험 시설, 교육 및 문화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 울산 남구 소재의 관공서 - 울산광역시의회
    울산광역시의회는 울산광역시의 입법 및 행정을 감시하고 견제하는 지방 의회이며, 1997년 울산광역시 승격에 따라 초대 울산광역시의회가 출범하여 현재 22명의 의원으로 구성되어 의장단, 상임위원회, 특별위원회, 사무처를 운영한다.
  • 울산 남구 소재의 관공서 - 울산박물관
    울산박물관은 2011년 6월 22일에 개관하여 다양한 유물을 소장하고 있으며, 정기 휴관일과 임시 휴관일을 제외하고 매일 09시부터 18시까지 관람 가능하다.
  • 대한민국의 시도교육청 - 서울특별시교육청
    서울특별시교육청은 서울특별시의 교육 행정을 담당하는 기관으로, 교육감과 부교육감을 중심으로 실·국과 직속기관 및 교육지원청으로 구성되어 교육 연구, 정보 제공, 학생 지원 등 다양한 사업을 수행하며 교원 평가 및 학생 관리 문제 해결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 대한민국의 시도교육청 - 부산광역시의회
    부산광역시의회는 의장, 부의장, 상임위원회, 특별위원회 등을 통해 부산 시정을 심의하고 감독하는 자치입법기관으로, 의회사무처의 지원을 받아 운영되며, 역대 의장들은 다양한 정당 소속으로 구성되어 왔다.
울산광역시청 - [정부기관]에 관한 문서
지도 정보
기본 정보
울산광역시청사
울산광역시청사
이름울산광역시청
영어명Ulsan Metropolitan City Hall
설립일1997년 7월 15일
전신울산시청
모토Ulsan The Rising City
소재지울산광역시 남구 중앙로 201
직원1,423명
재정 정보
예산4조 4103억 9164만 원
주요 인물
기관장 성명김두겸
기관장 직책시장
기관장2 성명서정욱
기관장2 직책행정부시장
기관장3 성명안효대
기관장3 직책경제부시장
조직
산하기관#조직
기타 정보
웹사이트울산광역시청

2. 조직

실·국담당관실·과
시장 산하 하부조직
colspan=2 |홍보실[4]
소방본부소방행정과ㆍ예방안전과ㆍ119재난대응과ㆍ119종합상황실
울산광역시 자치경찰위원회사무국자치경찰행정과ㆍ자치경찰정책과
행정부시장 산하 하부조직
감사관실[4]
colspan=2 |권익인권담당관실
기획조정실정책기획관실예산담당관실ㆍ사회혁신담당관실ㆍ법무통계담당관실ㆍ정보화담당관실ㆍ세정담당관실
시민안전실안전총괄과ㆍ재난관리과ㆍ원자력산업안전과ㆍ민생사법경찰과
문화관광체육국문화예술과ㆍ관광진흥과ㆍ체육지원과ㆍ전국체전기획단ㆍ반구대 암각화 세계유산추진단
복지여성국복지인구정책과ㆍ어르신복지과ㆍ장애인복지과ㆍ여성가족청소년과
환경국환경정책과ㆍ환경보전과ㆍ하수관리과ㆍ자원순환과
시민건강국[5][4]시민건강과ㆍ감염병관리과ㆍ식의약안전과
건설주택국건설도로과ㆍ건축주택과ㆍ도시재생과ㆍ토지정보과ㆍ스마트도시과
녹지정원국[6][4]녹지공원과ㆍ태화강 국가정원과ㆍ생태정원과
행정지원국총무과ㆍ자치행정과ㆍ인재교육과ㆍ회계과
경제부시장 산하 하부조직
경제투자유치국일자리경제과ㆍ투자유치통상과ㆍ중소벤처기업과ㆍ노동정책과ㆍ농축산과ㆍ해양항만수산과
혁신산업국미래신산업과ㆍ에너지산업과ㆍ자동차조선산업과ㆍ화학소재산업과
도시공간개발국도시계획과ㆍ도시균형개발과ㆍ산업입지과ㆍ국가산단지원과
교통국교통기획과ㆍ버스택시과ㆍ광역교통정책과


2. 1. 시장 직속 조직

홍보실[4]

소방본부는 소방행정과, 예방안전과, 119재난대응과, 119종합상황실을 산하에 두고 있다.

울산광역시자치경찰위원회는 사무국을 두고 있으며, 사무국은 자치경찰행정과와 자치경찰정책과로 구성된다.

2. 1. 1. 홍보실

요약(summary)과 원본 소스(source)가 제공되지 않았기 때문에, '울산광역시청' 문서의 '홍보실' 섹션 내용을 작성할 수 없습니다. 요약과 원본 소스를 제공해주시면 위 지침에 따라 위키텍스트를 작성하겠습니다.

2. 1. 2. 소방본부

울산광역시청에는 소방본부가 존재하지 않는다.

2. 1. 3. 울산광역시 자치경찰위원회

울산광역시 자치경찰위원회에 대한 정보가 제공되지 않았습니다.

2. 2. 행정부시장 산하 조직

감사관실[4]
colspan=2 |권익인권담당관실
기획조정실정책기획관실예산담당관실ㆍ사회혁신담당관실ㆍ법무통계담당관실ㆍ정보화담당관실ㆍ세정담당관실
시민안전실안전총괄과ㆍ재난관리과ㆍ원자력산업안전과ㆍ민생사법경찰과
문화관광체육국문화예술과ㆍ관광진흥과ㆍ체육지원과ㆍ전국체전기획단ㆍ반구대암각화세계유산추진단
복지여성국복지인구정책과ㆍ어르신복지과ㆍ장애인복지과ㆍ여성가족청소년과
환경국환경정책과ㆍ환경보전과ㆍ하수관리과ㆍ자원순환과
시민건강국[5][4]시민건강과ㆍ감염병관리과ㆍ식의약안전과
건설주택국건설도로과ㆍ건축주택과ㆍ도시재생과ㆍ토지정보과ㆍ스마트도시과
녹지정원국[6][4]녹지공원과ㆍ태화강국가정원과ㆍ생태정원과
행정지원국총무과ㆍ자치행정과ㆍ인재교육과ㆍ회계과


2. 2. 1. 감사관실

감사관실은 울산광역시청의 한 부서로서, 시정 전반에 대한 감사를 실시하여 행정의 투명성과 효율성을 확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주요 업무는 다음과 같다.

  • 종합감사: 시 본청, 직속기관, 사업소, 지방공기업, 출자·출연기관 등을 대상으로 정기적인 종합감사를 실시한다.
  • 특정감사: 특정 사안에 대한 심층적인 감사가 필요할 때 실시한다.
  • 일상감사: 주요 사업의 시행 전에 절차와 내용을 검토하여 문제점을 예방한다.
  • 조사: 비위 사실에 대한 제보나 민원을 조사하고 처리한다.
  • 공직기강 확립: 공무원의 부패 방지 및 청렴 의식 고취를 위한 활동을 수행한다.
  • 계약심사: 공사, 용역, 물품 구매 등 계약의 적법성과 타당성을 심사한다.
  • 민원 처리: 시민의 불편사항을 접수하고 해결한다.


감사관실은 독립적인 지위를 가지고 감사를 수행하며, 감사 결과는 시장에게 보고되고, 필요한 경우 시의회에 제출된다. 감사 결과에 따라 위법·부당한 사항에 대해서는 시정, 징계, 개선 등의 조치가 이루어진다.

최근 감사관실은 적극적인 감사를 통해 예산 낭비를 방지하고, 불합리한 제도를 개선하는 등 시정 발전에 기여하고 있다. 특히, 시민의 눈높이에서 불합리한 관행을 개선하고, 공직사회의 청렴 문화를 확산하는 데 주력하고 있다.

2. 2. 2. 기획조정실

기획조정실은 울산광역시청의 하부 조직으로, 정책 기획, 예산, 법무, 통계, 정보화, 소통 등의 업무를 담당한다.

2. 2. 3. 시민안전실

(내용 없음)

2. 2. 4. 문화관광체육국

아무것도 출력할 내용이 없습니다. 요약(`summary`)과 원본 소스(`source`)가 모두 비어있기 때문에, '문화관광체육국' 섹션에 대한 내용을 생성할 수 없습니다.

2. 2. 5. 복지여성국

복지여성국에 대한 자료가 제공되지 않았습니다.

2. 2. 6. 환경국

환경국에 대한 자료가 제공되지 않았습니다. `summary` 또는 `source`에 관련 정보가 없으므로, 해당 섹션 내용은 작성할 수 없습니다.

2. 2. 7. 시민건강국

2. 2. 8. 건설주택국

건설주택국에 대한 자료가 충분하지 않아 내용을 작성할 수 없습니다.

2. 2. 9. 녹지정원국

2. 2. 10. 행정지원국

2. 3. 경제부시장 산하 조직

wikitext

경제투자유치국일자리경제과ㆍ투자유치통상과ㆍ중소벤처기업과ㆍ노동정책과ㆍ농축산과ㆍ해양항만수산과
혁신산업국미래신산업과ㆍ에너지산업과ㆍ자동차조선산업과ㆍ화학소재산업과
도시공간개발국도시계획과ㆍ도시균형개발과ㆍ산업입지과ㆍ국가산단지원과
교통국교통기획과ㆍ버스택시과ㆍ광역교통정책과


2. 3. 1. 경제투자유치국

(내용 없음)

2. 3. 2. 혁신산업국

(빈칸)

2. 3. 3. 도시공간개발국

도시공간개발국에 대한 정보가 제공되지 않았습니다.

2. 3. 4. 교통국

교통국 관련 내용을 찾을 수 없습니다.

2. 4. 직속기관

울산광역시보건환경연구원

울산광역시농업기술센터
울산안전체험관

2. 4. 1. 울산광역시 보건환경연구원

울산광역시보건환경연구원

2. 4. 2. 울산광역시 농업기술센터

울산광역시 농업기술센터

2. 4. 3. 소방서

2. 4. 4. 울산안전체험관

울산안전체험관

2. 5. 사업소

울산광역시상수도사업본부

울산광역시종합건설본부

울산광역시문화예술회관

울산박물관

울산도서관

울산시립미술관

울산광역시서울본부

울산광역시차량등록사업소

울산광역시수질개선사업소

울산광역시용연수질개선사업소

울산광역시온산수질개선사업소

울산광역시농수산물도매시장관리사업소

울산광역시 수목원관리사무소

2. 5. 1. 울산광역시 상수도사업본부

울산광역시 상수도사업본부

2. 5. 2. 울산광역시 종합건설본부

울산광역시청 직속 기관이다.

2. 5. 3. 울산광역시 문화예술회관

울산광역시문화예술회관

2. 5. 4. 울산박물관

울산박물관

2. 5. 5. 울산도서관

울산도서관

2. 5. 6. 울산시립미술관

울산시립미술관

2. 5. 7. 울산광역시 서울본부

울산광역시 서울본부

2. 5. 8. 울산광역시 차량등록사업소

울산광역시차량등록사업소

2. 5. 9. 울산광역시 수질개선사업소

2. 5. 10. 울산광역시 농수산물도매시장관리사업소

울산광역시 농수산물도매시장관리사업소

2. 5. 11. 울산광역시 수목원관리사무소

울산광역시 수목원관리사무소

3. 산하 자치단체

중구청은 울산광역시 중구의 행정 사무를 담당하는 기관이다.

남구청은 울산광역시 남구에 위치하고 있다.

울산광역시 산하 기초자치단체로 동구청이 있다.

북구청은 울산광역시 북구의 행정 사무를 담당하는 기관이다.

울산광역시청 산하 기관으로 울주군에 울주군청이 있다.

3. 1. 중구청

울산광역시 중구의 행정 사무를 담당하는 기관은 중구청이다.

3. 2. 남구청

울산광역시 남구청은 울산광역시 남구에 위치하고 있다.

3. 3. 동구청

울산광역시 산하 기초자치단체로 동구청이 있다.

3. 4. 북구청

울산광역시 북구의 행정 사무를 담당하는 기관이다.

3. 5. 울주군청

울산광역시청 산하 기관으로 울주군에 울주군청이 있다.

4. 정원

울산광역시청에 두는 지방공무원의 정원은 다음과 같다.[2]

총계1,423명
정무직 계3명
style="border-top:hidden" |시장1명
style="border-top:hidden" |위원장1명
style="border-top:hidden" |상임위원1명
colspan=3 |
일반직 계1,239명
style="border-top:hidden" |1급 이하 2급 이상1명
style="border-top:hidden" |3급 이하 5급 이상319명
style="border-top:hidden" |6급 이하913명
style="border-top:hidden" |전문경력관6명
colspan=3 |
별정직 계11명
style="border-top:hidden" |1급 상당 이하 2급 상당 이상1명
style="border-top:hidden" |3급 상당 이하 5급 상당 이상5명
style="border-top:hidden" |6급 상당 이하5명
colspan=3 |
연구직 계8명
style="border-top:hidden" |연구관2명
style="border-top:hidden" |연구사6명
colspan=3 |
소방직 계162명
style="border-top:hidden" |소방정4명
style="border-top:hidden" |소방령 이하158명


4. 1. 정원 현황

울산광역시청에 두는 지방공무원의 정원은 다음과 같다.[2]

총계1,423명
정무직 계3명
style="border-top:hidden" |시장1명
style="border-top:hidden" |위원장1명
style="border-top:hidden" |상임위원1명
colspan=3 |
일반직 계1,239명
style="border-top:hidden" |1급 이하 2급 이상1명
style="border-top:hidden" |3급 이하 5급 이상319명
style="border-top:hidden" |6급 이하913명
style="border-top:hidden" |전문경력관6명
colspan=3 |
별정직 계11명
style="border-top:hidden" |1급 상당 이하 2급 상당 이상1명
style="border-top:hidden" |3급 상당 이하 5급 상당 이상5명
style="border-top:hidden" |6급 상당 이하5명
colspan=3 |
연구직 계8명
style="border-top:hidden" |연구관2명
style="border-top:hidden" |연구사6명
colspan=3 |
소방직 계162명
style="border-top:hidden" |소방정4명
style="border-top:hidden" |소방령 이하158명


5. 재정

2022년 총예산은 전년도에 비해 8.47% 증가한 4조 4103억 9164만 원이다.[3]

구분세입예산작년 대비 증감
지방세수입1조 5780억 원+9.28%
세외수입4096억 6047만 6000원+3.79%
지방교부세6340억 2973만 2000원+36.23%
보조금1조 2569억 2795만 9000원+9.06%
보전수입 등 및 내부거래5317억 7347만 3000원+10.9%

[3]

2022년 울산광역시청의 총예산은 전년도에 비해 8.47% 증가한 4조 4103억 9164만 원이다.[3]

분야별 세출 예산을 살펴보면, 일반공공행정 분야가 5838억 3466만 8000원으로, 이 중 입법및선거관리에 42억 159만 원, 지방행정·재정지원에 5211억 2832만 원, 일반행정에 585억 475만 8000원이 배정되었다.[3] 공공질서 및 안전 분야는 3576억 7440만 9000원으로, 경찰에 33억 7043만 7000원, 재난방재·민방위에 1863억 6174만 3000원, 소방에 1679억 4222만 9000원이 사용된다.[3] 교육 분야는 2831억 5616만 8000원으로 고등교육에 사용되고[3], 문화 및 관광 분야는 1885억 1673만 7000원으로 문화예술 604억 2024만 9000원, 관광 136억 9168만 8000원, 체육 910억 4194만 9000원, 문화재 233억 6285만 1000원으로 구성된다.[3]

환경 분야는 4636억 2136만 6000원으로 상하수도·수질 3354억 3099만 1000원, 폐기물 373억 7052만 3000원, 대기 538억 2564만 원, 자연 166억 8795만 9000원, 환경보호일반 203억 625만 3000원으로 나뉜다.[3] 사회복지 분야는 1조 4559억 5864만 9000원으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며, 기초생활보장 3343억 8719만 2000원, 취약계층지원 2703억 4032만 원, 보육·가족및여성 3136억 731만 7000원, 노인·청소년 4315억 6833만 1000원, 노동 313억 9897만 3000원, 보훈 106억 9151만 6000원, 주택 639억 6500만 원으로 세분화된다.[3]

보건 분야는 777억 9804만 5000원으로 보건의료 746억 199만 3000원, 식품의약안전 31억 9605만 2000원으로 구성된다.[3] 농림해양수산 분야는 668억 9517만 6000원으로 농업·농촌 277억 11만 8000원, 임업·산촌 237억 4494만 2000원, 해양수산·어촌 154억 5011만 6000원이 배정되었다.[3] 산업·중소기업및에너지 분야는 998억 2301만 1000원으로 산업금융지원 128억 7782만 4000원, 무역및투자유치 166억 9102만 1000원, 산업진흥·고도화 346억 2165만 2000원, 에너지및자원개발 43억 701만 원, 산업·중소기업일반 313억 2550만 4000원으로 구성된다.[3]

교통및물류 분야는 2720억 237만 5000원으로 도로 898만 8457만 4000원, 해운·항만 5823만 2000원, 대중교통·물류등기타 1820억 5956만 9000원으로 사용된다.[3] 국토및지역개발 분야는 1384억 4193만 3000원으로 수자원 53억 1440만 원, 지역및도시 1023억 9325만 2000원, 산업단지 307억 3428만 1000원으로 구성된다.[3] 과학기술 분야는 974억 1561만 2000원으로 과학기술연구지원 783억 23만 2000원, 과학기술일반 191억 1538만 원이 배정되었다.[3] 예비비는 269억 8800만 원, 기타 2982억 6549만 1000원이다.[3]

5. 1. 세입 예산

2022년 총예산은 전년도에 비해 8.47% 증가한 4조 4103억 9164만 원이다.[3] 세입 예산은 지방세수입, 세외수입, 지방교부세, 보조금, 보전 수입 등 및 내부거래로 구성된다.

구분세입예산작년 대비 증감
지방세수입1조 5780억 원+9.28%
세외수입4096억 6047만 6000원+3.79%
지방교부세6340억 2973만 2000원+36.23%
보조금1조 2569억 2795만 9000원+9.06%
보전수입 등 및 내부거래5317억 7347만 3000원+10.9%

[3]

5. 2. 세출 예산

2022년 울산광역시의 총예산은 전년도에 비해 8.47% 증가한 4조 4103억 9164만 원이다.[3] 세입 예산은 지방세수입 1조 5780억 원, 세외수입 4096억 6047만 6000원, 지방교부세 6340억 2973만 2000원, 보조금 1조 2569억 2795만 9000원, 보전 수입 등 및 내부거래 5317억 7347만 3000원으로 구성된다.[3]

분야별 세출 예산을 살펴보면, 일반공공행정 분야가 5838억 3466만 8000원으로, 이 중 입법및선거관리에 42억 159만 원, 지방행정·재정지원에 5211억 2832만 원, 일반행정에 585억 475만 8000원이 배정되었다.[3] 공공질서 및 안전 분야는 3576억 7440만 9000원으로, 경찰에 33억 7043만 7000원, 재난방재·민방위에 1863억 6174만 3000원, 소방에 1679억 4222만 9000원이 사용된다.[3] 교육 분야는 2831억 5616만 8000원으로 고등교육에 사용되고[3], 문화 및 관광 분야는 1885억 1673만 7000원으로 문화예술 604억 2024만 9000원, 관광 136억 9168만 8000원, 체육 910억 4194만 9000원, 문화재 233억 6285만 1000원으로 구성된다.[3]

환경 분야는 4636억 2136만 6000원으로 상하수도·수질 3354억 3099만 1000원, 폐기물 373억 7052만 3000원, 대기 538억 2564만 원, 자연 166억 8795만 9000원, 환경보호일반 203억 625만 3000원으로 나뉜다.[3] 사회복지 분야는 1조 4559억 5864만 9000원으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며, 기초생활보장 3343억 8719만 2000원, 취약계층지원 2703억 4032만 원, 보육·가족및여성 3136억 731만 7000원, 노인·청소년 4315억 6833만 1000원, 노동 313억 9897만 3000원, 보훈 106억 9151만 6000원, 주택 639억 6500만 원으로 세분화된다.[3]

보건 분야는 777억 9804만 5000원으로 보건의료 746억 199만 3000원, 식품의약안전 31억 9605만 2000원으로 구성된다.[3] 농림해양수산 분야는 668억 9517만 6000원으로 농업·농촌 277억 11만 8000원, 임업·산촌 237억 4494만 2000원, 해양수산·어촌 154억 5011만 6000원이 배정되었다.[3] 산업·중소기업및에너지 분야는 998억 2301만 1000원으로 산업금융지원 128억 7782만 4000원, 무역및투자유치 166억 9102만 1000원, 산업진흥·고도화 346억 2165만 2000원, 에너지및자원개발 43억 701만 원, 산업·중소기업일반 313억 2550만 4000원으로 구성된다.[3]

교통및물류 분야는 2720억 237만 5000원으로 도로 898만 8457만 4000원, 해운·항만 5823만 2000원, 대중교통·물류등기타 1820억 5956만 9000원으로 사용된다.[3] 국토및지역개발 분야는 1384억 4193만 3000원으로 수자원 53억 1440만 원, 지역및도시 1023억 9325만 2000원, 산업단지 307억 3428만 1000원으로 구성된다.[3] 과학기술 분야는 974억 1561만 2000원으로 과학기술연구지원 783억 23만 2000원, 과학기술일반 191억 1538만 원이 배정되었다.[3] 예비비는 269억 8800만 원, 기타 2982억 6549만 1000원이다.[3]

참조

[1] 문서 국가직 제외
[2] 문서 「울산광역시 공무원 정원 규칙」 별표 1
[3] 웹인용 2022년 예산서 https://www.ulsan.go[...] 2022-12-04
[4] 문서 개방형 직위
[5] 문서 2022년 12월 31일까지 존속하는 한시조직
[6] 문서 2023년 12월 31일까지 존속하는 한시조직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