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부산광역시의회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부산광역시의회는 부산광역시의 입법 기관으로, 의장 1명과 부의장 2명으로 구성된 의장단을 중심으로 운영된다. 상임위원회, 특별위원회, 사무처를 두고 있으며, 사무처는 사무총장, 담당관실, 전문위원으로 구성된다. 역대 부산광역시의회 의원 선거 결과를 통해 정당별 의석 변화를 확인할 수 있으며, 현재는 국민의힘이 다수 의석을, 더불어민주당이 소수 의석을 차지하고 있다. 국민의힘과 더불어민주당이 교섭 단체를 구성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부산광역시의 정치 -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부산광역시의회
    2014년 6월 4일에 실시된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부산광역시의회 선거에서는 총 51명의 시의원을 선출한 결과, 새누리당이 압승하고 더불어민주당이 일부 의석을 확보했다.
  • 부산광역시의 정치 -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부산광역시의회
    2018년 6월 13일에 실시된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부산광역시의회에서는 더불어민주당이 압승하여 총 51석을 차지하며 부산 지역의 정치 지형에 큰 변화를 가져왔다.
  • 부산 연제구 소재의 관공서 - 부산지방검찰청
    부산지방검찰청은 1948년 개청하여 부산광역시 12개 구를 관할하는 검찰청으로, 동부지청과 서부지청을 소속기관으로 두고 연제구 거제동에 위치한다.
  • 부산 연제구 소재의 관공서 - 부산지방법원
    부산지방법원은 1896년 부산재판소를 전신으로 하는 대한민국의 지방법원으로, 일제강점기 일본인 거류민 재판을 위해 설치되었으나 해방 후 현재의 명칭으로 개칭되었으며, 부산광역시의 일부 구와 군을 관할하는 본원, 동부지원, 서부지원으로 구성되어 다양한 재판부와 사무국을 두고 있다.
  • 대한민국의 시도교육청 - 서울특별시교육청
    서울특별시교육청은 서울특별시의 교육 행정을 담당하는 기관으로, 교육감과 부교육감을 중심으로 실·국과 직속기관 및 교육지원청으로 구성되어 교육 연구, 정보 제공, 학생 지원 등 다양한 사업을 수행하며 교원 평가 및 학생 관리 문제 해결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 대한민국의 시도교육청 - 경기도청
    경기도청은 경기남부와 경기북부를 관할하는 기관으로, 수원시에 본청, 의정부시에 북부청사를 두고 있으며, 도지사 직속 부서와 31개 시·군을 산하에 두고 2018년 기준 21조 원이 넘는 예산으로 운영된다.
부산광역시의회 - [의회]에 관한 문서
지도 정보
기본 정보
이름부산광역시의회
로마자 표기Busan Gwang-yeoksi Uihoe
한자 표기釜山廣域市議會
설립일1991년 7월 8일
의회 종류단원제
관할 구역부산광역시
웹사이트부산광역시의회 (한국어)
부산광역시의회 (영어)
위치부산광역시 연제구 연산동
의회 구성
의회제9대 부산광역시의회
의장안성민
의장 소속 정당국민의힘
부의장박정묵
부의장 소속 정당국민의힘
부의장이대석
부의장 소속 정당국민의힘
총 의석수47석
임기4년
의석 분포
정당별 의석국민의힘 (45석)
더불어민주당 (2석)
선거 정보
선거 제도병립형 선거제
선거 방식소선거구제 (42석)
비례대표제 (5석)
최근 선거2022년 6월 1일
기타
지방의회 휘장
부산광역시의회 휘장
부산시의회 9대 의석 분포도
부산시의회 9대 의석 분포

2. 조직

부산광역시의회는 의장 1명, 부의장 2명, 그리고 여러 상임위원회와 특별위원회로 구성된다.[1]

'''상임위원회'''[1]


  • 운영위원회
  • 기획행정위원회
  • 경제문화위원회
  • 복지환경위원회
  • 해양교통위원회
  • 도시안전위원회
  • 교육위원회


'''특별위원회'''[1]

  • 예산결산특별위원회
  • 윤리특별위원회
  • 분권특별위원회
  • 지역경제특별위원회


의회 사무를 처리하기 위해 사무처를 두고 있으며, 사무처에는 총무담당관실, 의사담당관실, 홍보담당관실, 입법정책담당관실, 전문위원이 있다.[3][4]

2. 1. 의장단

부산광역시의회는 의장 1명과 부의장 2명으로 의장단을 구성한다.

2. 1. 1. 역대 의장단

대수이름정당임기부의장/정당
초대우병택민주자유당1991년 7월 8일 - 1995년 6월 30일김화섭/민주자유당도종이/민주자유당
2대전반기도종이민주자유당1995년 7월 10일 - 1997년 4월 7일배상도/민주자유당권영적/민주자유당
후반기이종만신한국당1997년 4월 8일 - 1998년 6월 30일
3대전반기권영적한나라당1998년 7월 9일 - 2000년 7월 8일황수택/한나라당김옥수/한나라당
후반기2000년 7월 9일 - 2002년 6월 30일조길우/한나라당이영/한나라당
4대전반기이영2002년 7월 9일 - 2004년 2월 14일배학철/한나라당김영주/한나라당
조길우2004년 2월 20일 - 2004년 7월 8일제종모/한나라당
후반기2004년 7월 9일 - 2006년 6월 30일김영주/한나라당
5대전반기2006년 7월 5일 - 2008년 7월 4일박삼석/한나라당조양환/한나라당
김유환/한나라당
후반기제종모2008년 7월 5일 - 2010년 6월 30일홍성률/한나라당김석조/한나라당
6대전반기제종모2010년 7월 6일 - 2012년 6월 30일백종헌/한나라당
후반기김석조새누리당2012년 7월 3일 - 2014년 6월 30일이해동/새누리당
7대전반기이해동2014년 7월 8일 - 2016년 7월 7일권칠우/새누리당손상용/새누리당
후반기백종헌2016년 7월 8일 - 2018년 6월 30일김영욱/새누리당
권칠우/자유한국당
강성태/새누리당
전봉민/자유한국당
8대전반기박인영더불어민주당2018년 7월 10일 - 2020년 6월 30일이성숙/더불어민주당김진홍/자유한국당
후반기신상해더불어민주당2020년 7월 1일 - 2022년 6월 30일이동호/더불어민주당최도석/미래통합당
9대전반기안성민국민의힘2022년 7월 5일 - 2024년 6월 30일박중묵/국민의힘이대석/국민의힘
후반기2024년 7월 1일 -이대석/국민의힘이종환/국민의힘


2. 2. 위원회

부산광역시의회는 상임위원회와 특별위원회로 구성된다.[1]

'''상임위원회'''

  • 운영위원회
  • 기획행정위원회
  • 경제문화위원회
  • 복지환경위원회
  • 해양교통위원회
  • 도시안전위원회
  • 교육위원회


'''특별위원회'''

  • 예산결산특별위원회
  • 윤리특별위원회
  • 분권특별위원회
  • 지역경제특별위원회

2. 2. 1. 상임위원회


  • 운영위원회
  • 기획행정위원회
  • 경제문화위원회
  • 복지환경위원회
  • 해양교통위원회
  • 도시안전위원회
  • 교육위원회[1]

2. 2. 2. 특별위원회


  • 예산결산특별위원회[1]
  • 윤리특별위원회[1]
  • 분권특별위원회[1]
  • 지역경제특별위원회[1]

2. 3. 사무기구

부산광역시의회 사무처는 의회 사무를 처리하기 위해 설치된 기관이다.[3] 사무처에는 총무담당관실, 의사담당관실, 홍보담당관실, 입법정책담당관실, 전문위원이 있다.[4]

3. 역대 부산광역시의회의원 선거 결과

1991년 대한민국 지방 선거,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부터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까지 역대 부산광역시의회 의원 선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역대 부산광역시의회 의원 선거 결과
선거명정당별 의석수
1991년 대한민국 지방 선거민주자유당 50석, 민주당 1석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민주자유당 54석, 민주당 2석, 무소속 5석
제2회 전국동시지방선거한나라당 46석, 새정치국민회의 2석, 자유민주연합 1석
제3회 전국동시지방선거한나라당 42석, 새천년민주당 1석, 민주노동당 1석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한나라당 45석, 열린우리당 1석, 민주노동당 1석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한나라당 40석, 민주당 2석, 무소속 5석, 교육의원 6석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새누리당 45석, 새정치민주연합 2석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더불어민주당 41석, 자유한국당 6석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국민의힘 45석, 더불어민주당 2석


3. 1. 제1대 부산직할시의회 (1991년)

1991년 대한민국 지방 선거를 통해 51명의 제1대 부산직할시의원이 선출되었다.

정당별 의석
정당합계
민주자유당50
민주당1


3. 2. 제2대 부산광역시의회 (1995년)

1995년 6월 27일에 실시된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를 통해 61명의 제2대 부산광역시의원이 선출되었다. 본 선거를 통해 지역구 의원 55명과 비례대표 의원 6명이 선출되었다.

정당별 의석
정당지역구비례대표합계
민주자유당50454
민주당022
무소속5-5



정당별 득표
정당득표수득표율당선자수
민주자유당714,88255.7%4
민주당170,26313.3%2
자유민주연합2,4140.2%0
무소속397,01530.9%-


3. 3. 제3대 부산광역시의회 (1998년)

1998년 6월 4일에 실시된 제2회 전국동시지방선거를 통해 49명의 제3대 부산광역시의원이 선출되었다. 본 선거를 통해 지역구 의원 44명과 비례대표 의원 5명이 선출되었다.

정당별 의석
정당지역구비례대표합계
한나라당43346
새정치국민회의022
자유민주연합101



정당별 득표
정당득표수득표율 (%)당선자수
한나라당702,51760.63
새정치국민회의90,2677.82
자유민주연합38,2883.30
국민신당21,9961.90
무소속306,72126.4-


3. 4. 제4대 부산광역시의회 (2002년)

2002년 6월 13일에 실시된 제3회 전국동시지방선거를 통해 44명의 제4대 부산광역시의원이 선출되었다. 본 선거를 통해 지역구 의원 40명과 비례대표 의원 4명이 선출되었다.

정당별 의석
정당지역구비례대표합계
한나라당40242
새천년민주당011
민주노동당011



비례대표 선거 결과
정당득표수득표율당선자수
한나라당814,27271.72%2
새천년민주당159,57014.05%1
민주노동당121,07210.66%1
자유민주연합24,0832.12%0
사회당16,2141.42%0



한 정당에 비례대표 2/3 이상을 배분할 수 없다는 공직선거법 조항에 따라 비례대표 4석 중 한나라당에 2석, 새천년민주당에 1석, 민주노동당에 1석이 배분되었다.

3. 5. 제5대 부산광역시의회 (2006년)

2006년 5월 31일에 실시된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를 통해 47명의 제5대 부산광역시의원이 선출되었다. 본 선거를 통해 지역구 의원 42명과 비례대표 의원 5명이 선출되었다.

정당별 의석
정당지역구비례대표합계
한나라당42345
열린우리당011
민주노동당011



비례대표 선거 결과
정당득표수득표율당선자수
한나라당891,11965.73%3
열린우리당266,73519.67%1
민주노동당170,59712.58%1
민주당27,1592.00%0


3. 6. 제6대 부산광역시의회 (2010년)

2010년 6월 2일에 실시된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를 통해 53명의 제6대 부산광역시의원이 선출되었다. 본 선거를 통해 지역구 의원 42명, 비례대표 의원 5명, 교육의원 6명이 선출되었다.

정당별 의석
정당지역구비례대표합계
한나라당37340
민주당022
무소속5-5
교육의원--6



비례대표 선거 결과
정당득표수득표율당선자 수
한나라당712,81151.73%3
민주당383,18827.81%2
민주노동당114,6928.32%0
국민참여당105,9557.69%0
진보신당53,1003.85%0
사회당7,9930.58%0


3. 7. 제7대 부산광역시의회 (2014년)

2014년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를 통해 47명의 제7대 부산광역시의원이 선출되었다. 지역구 의원 42명과 비례대표 의원 5명이 선출되었다.

정당별 의석
정당지역구비례대표합계
새누리당42345
새정치민주연합022



비례대표 선거 결과
정당득표수득표율당선자수
새누리당921,19858.14%3
새정치민주연합520,41432.84%2
통합진보당63,6464.01%0
정의당45,3512.86%0
노동당20,4621.29%0
녹색당13,3630.84%0


3. 8. 제8대 부산광역시의회 (2018년)

2018년 6월 13일에 실시된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를 통해 47명의 제8대 부산광역시의원이 선출되었다. 지역구 의원 42명과 비례대표 의원 5명이 선출되었다.

정당별 의석
정당지역구비례대표합계
더불어민주당38341
자유한국당426



비례대표 선거 결과
정당득표수득표율당선자 수
더불어민주당825,83248.81%3
자유한국당621,44636.73%2
바른미래당113,8816.73%0
정의당92,1575.44%0
녹색당11,9150.70%0
민중당11,8330.69%0
대한애국당7,5230.44%0
민주평화당7,2890.43%0


3. 9. 제9대 부산광역시의회 (2022년)

2022년 6월 1일에 실시된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를 통해 47명의 제9대 부산광역시의원이 선출되었다. 본 선거를 통해 지역구 의원 42명과 비례대표 의원 5명이 선출되었다.

정당별 의석
정당지역구비례대표합계
국민의힘42345
더불어민주당022



비례대표 선거 결과
정당득표수득표율당선자수
국민의힘887,70763.00%3
더불어민주당470,36133.38%2
정의당36,9752.62%0
진보당8,2460.58%0
기본소득당4,2170.29%0
한류연합당1,5110.10%0


4. 정당별 의석 수

정당의석 수
국민의힘45
더불어민주당2
합계47



2024년 현재, 부산광역시의회는 국민의힘 45석, 더불어민주당 2석으로 구성되어 있다.

4. 1. 교섭단체

부산광역시의회는 5석 이상을 확보한 정당, 또는 교섭단체에 속하지 않은 5명의 의원이 교섭단체를 구성할 수 있다.[5]

정당의석 수
국민의힘45
더불어민주당2
합계47


참조

[1] 웹사이트 Organization (English) http://council.busan[...]
[2] 웹사이트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선거통계시스템 http://info.nec.go.k[...] National Election Commission
[3] 텍스트
[4] 텍스트
[5] 웹인용 부산광역시의회 교섭단체 및 위원회 구성과 운영에 관한 조례 http://law.go.kr/ord[...] 대한민국 법제처 2018-07-06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