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주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울주군은 울산광역시의 남부에 위치한 군으로, 선사시대부터 사람들이 거주한 유서 깊은 지역이다. 삼한 시대에는 굴아화촌으로 불렸으며, 신라 시대에는 굴아화현으로, 고려 시대에는 흥례부로 불리며 역사의 중요한 무대가 되었다. 1962년 울산시로 분리된 후 울주군으로 개칭되었으며, 1997년 울산광역시 승격으로 울산광역시 울주군이 되었다. 현재 6읍 6면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2022년 3월 기준 22만 명 이상의 인구가 거주하고 있다. 주요 교통 시설로는 고속도로, 국도, 철도 등이 있으며, 국보 제285호인 반구대 암각화, 영남알프스, 간절곶 등 다양한 문화 관광 자원을 보유하고 있다. 언양 불고기는 울주군의 대표적인 특산품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울산광역시의 행정 구역 - 남구 (울산광역시)
울산 남구는 1985년 설치된 울산광역시의 자치구로, 14개의 행정동과 19개의 법정동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장생포 고래 박물관, 태화강, 울산대공원 등의 관광지를 포함한다. - 울산광역시의 행정 구역 - 동구 (울산광역시)
울산 동구는 울산광역시 동쪽에 위치하며 동해안과 접해 조선업이 발달한 지역으로, 현대중공업과 현대미포조선이 위치한 경제 중심지이자 일산해수욕장, 대왕암공원 등의 관광 명소와 동축사 같은 문화 유적을 보유하고 9개의 동으로 이루어진 구이다. - 1962년 설치 - 여수해양경찰서
여수해양경찰서는 대한민국 해양경찰청 산하 해양경찰서로서, 여수시와 고흥군 일대 해상 치안 유지, 해난 사고 구조, 해양 오염 방제 등의 업무를 수행하며, 6개 파출소와 다수의 출장소, 그리고 다양한 함정을 운영한다. - 1962년 설치 - 신정동 (울산)
신정동은 울산광역시 남구의 동으로, 울산광역시청 등 주요 기관과 아파트 단지가 위치하며, 태화강을 경계로 중구와 접한다. - 울주군 - 언양군
언양군은 신라시대 거지화현에서 시작하여 고려시대 현양으로 개칭, 조선시대 언양현을 거쳐 언양군으로 승격되었으나 1914년 울산군에 통합되며 소멸된 경상남도의 옛 군이다. - 울주군 - 언양읍
언양읍은 울산광역시 울주군에 속하며, 1996년 읍으로 승격되었고, 15개 법정리와 39개 행정리로 구성되어 경부고속도로 등 교통 요지이며, 울산과학기술원, 언양읍성 등 교육 및 관광 시설을 갖추고 있다.
울주군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이름 | 울주군 |
원어 이름 | 울주군 |
한자 표기 | 蔚州郡 |
로마자 표기 | Ulju-gun |
맥큔-라이샤워 표기 | Ulju-kun |
국가 | 대한민국 |
지역 | 영남 |
광역시 | 울산광역시 |
하위 행정 구역 | 6읍, 6면 |
면적 | 758.14 km² |
인구 (2021년) | 222,059 명 |
인구 밀도 | 자동 계산 |
방언 | 경상도 방언 |
웹사이트 | 울주군청 |
![]() | |
![]() | |
![]() | |
행정 구역 | |
읍 | 6개 |
면 | 6개 |
정치 | |
군수 | 이순걸(국민의힘) |
국회의원 | 서범수(국민의힘, 울주군) |
군청 소재지 | 울산광역시 울주군 청량읍 군청로 1 |
상징 | |
군목 | 은행나무 |
군화 | 배꽃 |
군조 | 비둘기 |
상징 동물 | 비공개 |
2. 역사
울주군(Ulju-gun) 지역에는 선사시대부터 정착촌이 형성되어 있었음을 보여주는 많은 유물과 유적이 존재한다.[1] 정산리, 농소면(현재 울산 북구 농소2동), 이전리, 두동면, 다개리, 언양읍, 삼광리, 온양읍, 대대리, 웅촌면, 장현동(현재 울산 중구 병영2동) 등지에서 빗살무늬토기 유적이 발굴되었다.[1] 다운동 고분과 두동면 천전리 암각화, 언양읍 대곡리 반구대 암각화 등 청동기시대 유적도 발견되었다.[1]
삼한 시대에는 굴아화촌(Gulahwachon)이라 불렸으며, 신라 파사왕이 이곳을 차지하여 굴아화현을 설치하였다.[1] 757년(경덕왕 16년)에는 하곡(Hagok)으로 개칭되었고, 월성군 모화 지역의 임관군의 속현이 되었다.[1] 『고려사』 지리지에 따르면, “태조 때, 향민 박윤웅(Park Yun-ung)의 공로가 커서 하곡현(Hagok-hyeon), 동진현(Dongjin-hyeon, 강동면 일대), 웅촌면(Ugchon-myeon), 웅상면(Ungsang-myeon, 양산군)을 합쳐 흥례부(Heungnyebu)를 설치하였다.”고 기록되어 있다.
성종 때는 恭化縣(Gonghwa-hyeon)으로 강등되었고, 별칭은 학성(Hakseong)으로 바뀌었다. 1014년(현종 9년)에는 恭化縣(Gonghwa-hyeon), 현양현(Heonyang-hyeon), 기장현(Gijang-hyeon), 동래현(Dongnae-hyeon)을 병합하여 울주(Ulju)를 설치하고 방어사(Bangeosa)를 두었다. 1143년(인종 21년)에는 현양현(Heonyang-hyeon)이 분할되어 감무(Gammu)가 설치되었다.[1]
1397년(조선(Joseon) 태조 6년) 울주에 처음으로 진영(camp)이 설치되고 병마사(byeongmasa)와 지주사(Jijusa)를 겸임하는 군사가 배치되었으나, 1413년 지군사(jigunsa)로 통합되었다. 1426년(세종 8년)에는 울산 거마곡(Geomagok)의 경상도 병마절도사영(Gyeongsangjwa-do Byeongmajeoldosayeong)이 혁파되고 병마첨절제사(Byeongmacheomjeoljesa)가 그 역할을 대신하였으며, 1437년 다시 설치되었다. 같은 해 1월 울산군(Ulsan-gun)이 蔚山都護府(Ulsandohobu, 울산도호부)로 승격되었다가 8월 다시 군으로 강등되었다.[1]
1598년(선조 31년) 울산이 다시 도호부로 승격되었고, 좌병관(officials of soldiers on the left)이 이곳의 관리로 임명되었다.[1]
1895년 지방제도 개정으로 동래부 울산군·언양군이 되었다가,[1] 1896년 13도제에 의해 경상북도 울산군·언양군으로 개편되었다. 1906년 웅상면·외남면을 양산군에 편입하고, 경주군 외남면을 편입하여 두북면으로 개칭하고, 웅하면을 웅촌면으로 개칭하였다. 1910년 10월 1일 두북면이 두동면과 두서면으로 분면되었다.
1914년 3월 1일 군면병합에 따라 울산군·언양군 지역을 가지고 다시 '''울산군'''이 발족하였다.(25면) 4월 1일 면의 통합을 실시하여, 부내면·하방면·강동면·동면·농소면·대현한국어면·범서면·청량면·온산면·온양면·서생면·웅촌면·두동면·두서면·언양면·하북면·상남면·중남면·삼동면을 관할하였다.(19면) 1917년 10월 1일 부내면이 울산면으로 개칭되었고, 1928년 4월 1일 상남면·하북면이 합쳐져 상북면이 발족하였다.(18면) 1931년 4월 1일 동면이 방어진면으로 개칭되었고, 11월 1일 울산면이 울산읍으로 승격되었다.(1읍 17면) 1933년 1월 1일 삼동면·중남면이 합쳐져 삼남면이 발족하였고,(1읍 16면) 1936년 7월 1일 방어진면이 방어진읍으로 승격되었다.(2읍 15면) 1945년 4월 1일 대현면이 울산읍에 편입되었다가, 1946년 6월 1일 울산읍 중, 구 대현면의 부분을 분리·복원하였다.(2읍 15면)
1962년 6월 1일 울산읍·방어진읍·대현면·하방면 및 청량면 두왕리·범서면의 일부(무거리·차운리)·농소면의 일부(화봉리·송정리)를 '''울산시'''로 승격·분리하고, 기존의 울산군은 '''울주군'''으로 개칭하였다.(13면)[3] 1963년 1월 1일 서생면이 동래군에 편입되었다가(12면),[4] 1983년 2월 15일 양산군에서 다시 울주군으로 환원되었다.(13면) 1989년 4월 1일 삼남면의 일부를 삼동면으로 분리하였고,(14면) 1991년 1월 1일 울주군을 '''울산군'''으로 환원하였다.(14면)
1995년 1월 1일 울산군이 울산시와 합병하여 다시 '''울산시'''가 발족하면서 울산군이 소멸되고, 구 군역은 울산시 울주구가 되었다.[5] 이 통합은 울산의 광역시 승격을 전제로 추진되었으나, 당시 울산시와 울산군의 통합은 한번 유보되었다가 급작스럽게 추진되었다. 통합 과정에서 구의 관할 구역 조정은 논의 기회조차 갖지 못하고, 울산시와 울산군의 합병으로 통합 울산시가 설치되면서 울산군의 관할 구역에 그대로 구가 설치되었다. 이로 인해 형식상 대등한 통합이었으나, 울산군이 시에 흡수합병되어 구청으로 격하되는 형태가 되었다.[12] 울산시 측에서는 “울산군청을 독립된 구청으로 하여 울산군의 기능을 그대로 존치시켜 농어업 정책에 아무런 변화가 없도록 하겠다”고 했으나, 울산군에서는 “그럼 울주구청장이 울산시장의 영역을 떠나 군수의 권한 행위를 해도 되는건가” 등 일부 반발여론이 있었다.[12]
1995년 3월 2일 농서면이 농소읍으로 승격하였다.(1읍 13면) 1996년 2월 1일 온산면과 언양면을 각각 읍으로 승격하였다.(3읍 11면) 통합 울산시는 이후 광역시 승격을 위한 절차를 밟았으나, 자치구와 군의 관할 구역에 관해서는 심도있는 논의가 이루어지지 않았다. 1996년 4월 20일 통합 울산시의회에서 광역시승격 건의서를 가결하여 울산시장을 경유, 5월 15일에 경상남도청에 접수되었으나, 이틀 뒤인 5월 17일 경상남도지사는 구·군 설치 문제가 포함되지 않았다는 이유로 보완을 지시했다. 울산시는 광주와 대전의 선례에 따라 자치구·군의 개수를 5개로 정하고 6월 11일에 공청회를 열어 자치구·군의 관할 구역을 획정했다. 즉, 구·군 관할 구역 획정이라는 미래를 결정할 중요한 사항이 공청회 한번으로 결정된 것이다.
1997년 7월 15일 경상남도 울산시가 울산광역시로 승격되어 '''울산광역시 울주군'''이 되었고, 농소읍, 강동면을 울산광역시 북구에 편입하였다.(2읍 10면) 이렇게 하여 중구 일부와 울주구 농소읍·강동면을 관할로 북구를 신설하고 울주구를 울주군으로 한다는 최소한의 구역 조정만 이루어졌다. 울산광역시는 생활권과 행정 구역을 일치 시킬 중요한 기회를 2번이나 놓치고, 울주군은 읍과 면을 포괄할 뿐인 생활권과는 무관계한 행정 구역이 되었다. 또한 이는 1991년 1월 1일부터 1994년 12월 31일까지 울산군이었던 역사가 잊히고 울주군이 1962년에 설치된 경상남도 울주군이 현재까지 존속하고 있다는 잘못된 인식이 퍼진 원인이 되었다.[13]
2001년 3월 1일 온양면과 범서면을 각각 읍으로 승격하였다.(4읍 8면) 2002년 8월 30일 남구 무거동의 굴화2택지개발사업지구 내 아파트 지역[15]이 울주군 범서읍 굴화리로 편입되고 울주군 범서읍 굴화리의 공공시설용지 지역[16]이 남구 무거동으로 편입되었다.[17] 2017년 12월 26일 군청사를 남구 옥동에서 청량읍 율리로 이전하였다. 2018년 4월 1일 청량면이 청량읍으로 승격하였고,(5읍 7면) 2020년 11월 1일 삼남면이 삼남읍으로 승격하였다.(6읍 6면)
2. 1. 선사시대 ~ 통일신라
울주군 지역에는 선사시대부터 정착촌이 형성되어 있었음을 보여주는 많은 유물과 유적이 존재한다.[1] 정산리, 농소면(현재 울산 북구 농소2동), 이전리, 두동면, 다개리, 언양읍, 삼광리, 온양읍, 대대리, 웅촌면, 장현동(현재 울산 중구 병영2동) 등지에서 빗살무늬토기 유적이 발굴되었다.[1] 다운동 고분과 두동면 천전리 암각화, 언양읍 대곡리 반구대 암각화 등 청동기시대 유적도 발견되었다.[1]삼한 시대에는 굴아화촌이라 불렸으며, 신라 파사왕이 이곳을 차지하여 굴아화현을 설치하였다.[1] 757년(경덕왕 16년)에는 하곡으로 개칭되었고, 월성군 모화 지역의 임관군의 속현이 되었다.[1]
2. 2. 고려시대 ~ 조선시대
삼한 시대에는 굴아화촌(Gulahwachon)이라 불렸으며, 파사왕이 이곳을 차지하여 굴아화현(Gulahwahyeon)을 설치하였다. 757년(경덕왕 16년)에는 하곡(Hagok)으로 개칭되었고, 월성군(Wolseong-gun) 모화 지역의 임관군(Imgwan-gun)의 속현(subdomain)이 되었다.[1] 『고려사』 지리지에 따르면, “태조 때, 향민 박윤웅(Park Yun-ung)의 공로가 커서 하곡현(Hagok-hyeon), 동진현(Dongjin-hyeon, 강동면 일대), 웅촌면(Ugchon-myeon), 웅상면(Ungsang-myeon, 양산군)을 합쳐 흥례부(Heungnyebu)를 설치하였다.”고 기록되어 있다.성종 때는 恭化縣(Gonghwa-hyeon)으로 강등되었고, 별칭은 학성(Hakseong)으로 바뀌었다. 1014년(현종 9년)에는 恭化縣(Gonghwa-hyeon), 현양현(Heonyang-hyeon), 기장현(Gijang-hyeon), 동래현(Dongnae-hyeon)을 병합하여 울주(Ulju)를 설치하고 방어사(Bangeosa)를 두었다. 1143년(인종 21년)에는 현양현(Heonyang-hyeon)이 분할되어 감무(Gammu)가 설치되었다.[1]
1397년(조선(Joseon) 태조 6년) 울주에 처음으로 진영(camp)이 설치되고 병마사(byeongmasa)와 지주사(Jijusa)를 겸임하는 군사가 배치되었으나, 1413년 지군사(jigunsa)로 통합되었다. 1426년(세종 8년)에는 울산 거마곡(Geomagok)의 경상도 병마절도사영(Gyeongsangjwa-do Byeongmajeoldosayeong)이 혁파되고 병마첨절제사(Byeongmacheomjeoljesa)가 그 역할을 대신하였으며, 1437년 다시 설치되었다. 같은 해 1월 울산군(Ulsan-gun)이 蔚山都護府(Ulsandohobu, 울산도호부)로 승격되었다가 8월 다시 군으로 강등되었다.[1]
1598년(선조 31년) 울산이 다시 도호부로 승격되었고, 좌병관(officials of soldiers on the left)이 이곳의 관리로 임명되었다.[1]
2. 3. 일제강점기 ~ 광복 이후
1895년 지방제도 개정으로 동래부 울산군·언양군이 되었다가,[1] 1896년 13도제에 의해 경상북도 울산군·언양군으로 개편되었다. 1906년 웅상면·외남면을 양산군에 편입하고, 경주군 외남면을 편입하여 두북면으로 개칭하고, 웅하면을 웅촌면으로 개칭하였다. 1910년 10월 1일 두북면이 두동면과 두서면으로 분면되었다.1914년 3월 1일 군면병합에 따라 울산군·언양군 지역을 가지고 다시 '''울산군'''이 발족하였다.(25면) 4월 1일 면의 통합을 실시하여, 부내면·하방면·강동면·동면·농소면·대면·범서면·청량면·온산면·온양면·서생면·웅촌면·두동면·두서면·언양면·하북면·상남면·중남면·삼동면을 관할하였다.(19면) 1917년 10월 1일 부내면이 울산면으로 개칭되었고, 1928년 4월 1일 상남면·하북면이 합쳐져 상북면이 발족하였다.(18면) 1931년 4월 1일 동면이 방어진면으로 개칭되었고, 11월 1일 울산면이 울산읍으로 승격되었다.(1읍 17면) 1933년 1월 1일 삼동면·중남면이 합쳐져 삼남면이 발족하였고,(1읍 16면) 1936년 7월 1일 방어진면이 방어진읍으로 승격되었다.(2읍 15면) 1945년 4월 1일 대현면이 울산읍에 편입되었다가, 1946년 6월 1일 울산읍 중, 구 대현면의 부분을 분리·복원하였다.(2읍 15면)
1962년 6월 1일 울산읍·방어진읍·대현면·하방면 및 청량면 두왕리·범서면의 일부(무거리·차운리)·농소면의 일부(화봉리·송정리)를 '''울산시'''로 승격·분리하고, 기존의 울산군은 '''울주군'''으로 개칭하였다.(13면)[3] 1963년 1월 1일 서생면이 동래군에 편입되었다가(12면),[4] 1983년 2월 15일 양산군에서 다시 울주군으로 환원되었다.(13면) 1989년 4월 1일 삼남면의 일부를 삼동면으로 분리하였고,(14면) 1991년 1월 1일 울주군을 '''울산군'''으로 환원하였다.(14면)
1995년 1월 1일 울산군이 울산시와 합병하여 다시 '''울산시'''가 발족하면서 울산군이 소멸되고, 구 군역은 울산시 울주구가 되었다.[5] 이 통합은 울산의 광역시 승격을 전제로 추진되었으나, 당시 울산시와 울산군의 통합은 한번 유보되었다가 급작스럽게 추진되었다. 통합 과정에서 구의 관할 구역 조정은 논의 기회조차 갖지 못하고, 울산시와 울산군의 합병으로 통합 울산시가 설치되면서 울산군의 관할 구역에 그대로 구가 설치되었다. 이로 인해 형식상 대등한 통합이었으나, 울산군이 시에 흡수합병되어 구청으로 격하되는 형태가 되었다.[12] 울산시 측에서는 “울산군청을 독립된 구청으로 하여 울산군의 기능을 그대로 존치시켜 농어업 정책에 아무런 변화가 없도록 하겠다”고 했으나, 울산군에서는 “그럼 울주구청장이 울산시장의 영역을 떠나 군수의 권한 행위를 해도 되는건가” 등 일부 반발여론이 있었다.[12]
1995년 3월 2일 농서면이 농소읍으로 승격하였다.(1읍 13면) 1996년 2월 1일 온산면과 언양면을 각각 읍으로 승격하였다.(3읍 11면) 통합 울산시는 이후 광역시 승격을 위한 절차를 밟았으나, 자치구와 군의 관할 구역에 관해서는 심도있는 논의가 이루어지지 않았다. 1996년 4월 20일 통합 울산시의회에서 광역시승격 건의서를 가결하여 울산시장을 경유, 5월 15일에 경상남도청에 접수되었으나, 이틀 뒤인 5월 17일 경상남도지사는 구·군 설치 문제가 포함되지 않았다는 이유로 보완을 지시했다. 울산시는 광주와 대전의 선례에 따라 자치구·군의 개수를 5개로 정하고 6월 11일에 공청회를 열어 자치구·군의 관할 구역을 획정했다. 즉, 구·군 관할 구역 획정이라는 미래를 결정할 중요한 사항이 공청회 한번으로 결정된 것이다.
1997년 7월 15일 경상남도 울산시가 울산광역시로 승격되어 '''울산광역시 울주군'''이 되었고, 농소읍, 강동면을 울산광역시 북구에 편입하였다.(2읍 10면) 이렇게 하여 중구 일부와 울주구 농소읍·강동면을 관할로 북구를 신설하고 울주구를 울주군으로 한다는 최소한의 구역 조정만 이루어졌다. 울산광역시는 생활권과 행정 구역을 일치 시킬 중요한 기회를 2번이나 놓치고, 울주군은 읍과 면을 포괄할 뿐인 생활권과는 무관계한 행정 구역이 되었다. 또한 이는 1991년 1월 1일부터 1994년 12월 31일까지 울산군이었던 역사가 잊히고 울주군이 1962년에 설치된 경상남도 울주군이 현재까지 존속하고 있다는 잘못된 인식이 퍼진 원인이 되었다.[13]
2001년 3월 1일 온양면과 범서면을 각각 읍으로 승격하였다.(4읍 8면) 2002년 8월 30일 남구 무거동의 굴화2택지개발사업지구 내 아파트 지역[15]이 울주군 범서읍 굴화리로 편입되고 울주군 범서읍 굴화리의 공공시설용지 지역[16]이 남구 무거동으로 편입되었다.[17] 2017년 12월 26일 군청사를 남구 옥동에서 청량면 율리로 이전하였다. 2018년 4월 1일 청량면이 청량읍으로 승격하였고,(5읍 7면) 2020년 11월 1일 삼남면이 삼남읍으로 승격하였다.(6읍 6면)
2. 4. 울산광역시 울주군
1995년 1월 1일 울산시와 울산군이 통합되면서 기존 울산군(읍·면) 지역을 관할하는 울주구가 설치되었다.[14] 1995년 3월 2일 농소면이 농소읍으로 승격되었고,(1읍 13면) 1996년 2월 1일에는 온산면과 언양면이 각각 읍으로 승격하였다.(3읍 11면) 1997년 7월 15일 경상남도 울산시가 울산광역시로 승격되면서 울주구는 '''울산광역시 울주군'''이 되었고, 농소읍과 강동면은 북구에 편입되었다.(2읍 10면)[13]통합 울산시는 광역시 승격을 위한 절차를 밟았으나, 자치구와 군의 관할 구역에 대한 심도 있는 논의는 부족했다. 1996년 울산시의회에서 광역시 승격 건의서를 가결하여 경상남도청에 접수했으나, 경상남도지사는 구·군 설치 문제가 포함되지 않았다는 이유로 보완을 지시했다. 울산시는 공청회를 통해 자치구·군의 관할 구역을 획정했고, 중구 일부와 울주구 농소읍·강동면을 관할로 북구를 신설하고 울주구를 울주군으로 하는 최소한의 구역 조정만 이루어졌다. 이는 생활권과 행정 구역을 일치시킬 기회를 놓친 것이며, 울주군은 읍과 면을 포괄할 뿐인 생활권과는 무관계한 행정 구역이 되었다.[13]
2001년 3월 1일 온양면과 범서면이 각각 읍으로 승격되었고,(4읍 8면) 2002년 8월 30일에는 남구 무거동의 굴화2택지개발사업지구 내 아파트 지역[15][7]이 울주군 범서읍 굴화리로 편입되고, 울주군 범서읍 굴화리의 공공시설용지 지역[16][8]이 남구 무거동으로 편입되었다.[17][9]
2017년 12월 26일, 군청사는 남구 옥동에서 청량읍 율리로 이전하였다. 이후 2018년 4월 1일 청량면이 청량읍으로 승격되었고,(5읍 7면) 2020년 11월 1일 삼남면이 삼남읍으로 승격되면서(6읍 6면) 현재에 이르고 있다.
3. 행정 구역
울주군의 행정 구역은 6읍 6면으로 구성되어 있다.[18] 면적은 756.05km2이며, 2022년 3월 말 주민등록 기준으로 인구는 22만1777명, 9만8941가구이다.[19]
읍·면 | 한자 | 면적 (km2) | 인구 | 세대 |
---|---|---|---|---|
온산읍 | 溫山邑 | 39.7 | 20,403 | 10,906 |
언양읍 | 彦陽邑 | 68.8 | 28,217 | 12,342 |
온양읍 | 溫陽邑 | 64.0 | 28,675 | 12,297 |
범서읍 | 凡西邑 | 77.1 | 69,484 | 25,217 |
청량읍 | 靑良邑 | 60.0 | 19,024 | 8,436 |
삼남읍 | 三南邑 | 31.0 | 22,728 | 11,453 |
서생면 | 西生面 | 36.9 | 8,427 | 4,529 |
웅촌면 | 熊村面 | 52.0 | 7,701 | 4,188 |
두동면 | 斗東面 | 63.5 | 4,287 | 2,410 |
두서면 | 斗西面 | 78.8 | 3,108 | 1,908 |
상북면 | 上北面 | 123.4 | 7,964 | 4,220 |
삼동면 | 三同面 | 62.4 | 1,759 | 1,035 |
울주군 | 蔚州郡 | 757.4 | 221,777 | 98,941 |
각 읍, 면의 하위 행정 구역은 법정리이다.
3. 1. 읍/면 목록
울주군의 행정 구역은 6읍 6면으로 구성되어 있다.[18] 면적은 756.05km2이며, 2022년 3월 말 주민등록 기준으로 인구는 22만1777명, 9만8941가구이다.[19]읍·면 | 한자 | 면적 (km2) | 인구 | 세대 |
---|---|---|---|---|
온산읍 | 溫山邑 | 39.7 | 20,403 | 10,906 |
언양읍 | 彦陽邑 | 68.8 | 28,217 | 12,342 |
온양읍 | 溫陽邑 | 64.0 | 28,675 | 12,297 |
범서읍 | 凡西邑 | 77.1 | 69,484 | 25,217 |
청량읍 | 靑良邑 | 60.0 | 19,024 | 8,436 |
삼남읍 | 三南邑 | 31.0 | 22,728 | 11,453 |
서생면 | 西生面 | 36.9 | 8,427 | 4,529 |
웅촌면 | 熊村面 | 52.0 | 7,701 | 4,188 |
두동면 | 斗東面 | 63.5 | 4,287 | 2,410 |
두서면 | 斗西面 | 78.8 | 3,108 | 1,908 |
상북면 | 上北面 | 123.4 | 7,964 | 4,220 |
삼동면 | 三同面 | 62.4 | 1,759 | 1,035 |
울주군 | 蔚州郡 | 757.4 | 221,777 | 98,941 |
각 읍, 면의 하위 행정 구역은 법정리이다.
4. 인구
wikitext
1966년 120,629명에서 1975년 115,942명까지 소폭 감소하다가 1995년 184,993명으로 증가하였다. 2000년에는 160,359명으로 다시 감소하였으나, 2015년 222,739명까지 꾸준히 증가하였다. 2021년까지 인구가 증가하는 추세였으나, 2022년 9월부터는 인구가 감소세로 들어섰다.
연도 | 총인구 | 비고 |
---|---|---|
1966년 | 120,629명 | |
1970년 | 116,016명 | |
1975년 | 115,942명 | |
1980년 | 116,891명 | |
1985년 | 118,691명 | |
1990년 | 122,938명 | |
1995년 | 184,993명 | |
2000년 | 160,359명 | |
2005년 | 164,146명 | |
2010년 | 185,811명 | |
2015년 | 222,739명 |
5. 정치·행정
역대 울주군수는 울주군수 문서를 참고하면 된다.
울주군의 현재 국회의원은 서범수이다.
경상남도 울주군에서는 경상남도의원 3명을 선출했다. 울산시가 광역시로 승격한 이후에는 울산광역시의원 2명을 선출하다가 제3회 지방 선거부터 3명을 선출하고 있다.
울주군의 치안은 울산 울주경찰서가 담당하고 있으며, 범서읍에 위치하고 있다. 화재 및 재난 대응은 온산소방서가 담당하며 온산읍에 소재하고 있다. 이 외에도 중부소방서 산하 범서119안전센터와 언양119안전센터가 울주군 내에 위치하고 있다.
5. 1. 군수
역대 울주군수는 울주군수 문서를 참고하면 된다.5. 2. 국회의원
울주군의 현재 국회의원은 서범수이다.5. 3. 광역의원
경상남도 울주군에서는 경상남도의원 3명을 선출했다. 울산시가 광역시로 승격한 이후에는 울산광역시의원 2명을 선출하다가 제3회 지방 선거부터 3명을 선출하고 있다.5. 4. 경찰 및 소방
울주군의 치안은 울산 울주경찰서가 담당하고 있으며, 범서읍에 위치하고 있다. 화재 및 재난 대응은 온산소방서가 담당하며 온산읍에 소재하고 있다. 이 외에도 중부소방서 산하 범서119안전센터와 언양119안전센터가 울주군 내에 위치하고 있다.6. 교육
울주군에는 다양한 교육기관이 위치하고 있다. 울산과학기술원은 지역 인재 양성에 기여하는 국공립대학교이다. 춘해보건대학교는 사립전문대학이다.
고등학교로는 남창고등학교, 범서고등학교, 세인고등학교, 언양고등학교, 울산경영정보고등학교, 울산경의고등학교, 울산과학고등학교, 울산미용예술고등학교, 울산산업고등학교, 울산상업고등학교, 울산예술고등학교가 있다.
7. 교통
7. 1. 도로
울주군에는 여러 고속도로와 일반 도로가 지나간다.경부고속도로는 통도사 하이패스 나들목, 통도사 나들목, 서울주 분기점, 서울산 나들목, 언양 분기점, 활천 나들목을 지난다. 함양울산고속도로는 배내골 나들목, 서울주 분기점, 울주 분기점을 지난다. 울산고속도로는 언양 분기점, 울산 분기점, 장검 나들목, 울산 나들목을 지난다. 동해고속도로는 장안 나들목, 온양 나들목, 청량 나들목, 울주 분기점, 문수 나들목, 울산 분기점, 척과구룡 나들목을 지난다.
일반 도로는 7번 국도 (웅촌로), 14번 국도 (관문로, 두산로, 남창로), 24번 국도 (울밀로), 31번 국도 (해맞이로), 35번 국도 (반구대로)가 있다. 34번 지방도 (삼동로), 69번 지방도 (운문로, 배내로), 921번 지방도 (삽재로), 1028번 지방도 (광청길), 1081번 지방도 (삼정로)도 울주군을 지난다.
7. 2. 철도
경부고속선은 경주역에서 '''울산역'''(통도사)을 거쳐 부산역으로 이어진다. 울산역은 삼남면 신화리에 있다.동해선은 개운포역에서 '''덕하역, 망양역, 남창역, 서생역'''을 거쳐 월내역으로 이어진다.
울산신항선은 '''망양역에서 용암역'''을 거쳐 울산신항역까지 연결된다.
온산선은 '''남창역에서 온산역'''까지 이어진다.
7. 3. 버스
울주군에서는 시외/시내버스 노선이 운행되고 있다. 언양읍에는 언양시외버스터미널이 있다.대중교통 이용 편의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버스 노선 확대, 환승 시스템 개선 등의 정책이 필요하다.
8. 문화·관광
울주군에는 국보 제285호인 반구대 암각화가 있다. 천전리각석계곡과 작천정계곡, 자수정동굴나라와 간절곶이 있으며, 학가산과 반구대암각화, 서산만호성과 서생포왜성이 있다. 영남알프스 또한 울주군에 위치하고 있다.
영남알프스, 반구대 암각화(국보 제285호), 천전리각석계곡, 작천정계곡, 자수정동굴나라, 간절곶, 학가산, 서산만호성, 서생포왜성 등은 울주군의 대표적인 관광 명소로, 특히 간절곶은 한반도에서 해가 가장 먼저 뜨는 곳으로 알려져 매년 많은 관광객이 찾고 있다.
언양 불고기는 울주군을 대표하는 특산품 중 하나이다. 특히 얇게 썬 소고기를 양념하여 구워 먹는 언양 불고기는 전국적으로 인기가 높다.
8. 1. 문화재
울주군에는 국보 제285호인 반구대 암각화가 있다. 천전리각석계곡과 작천정계곡, 자수정동굴나라와 간절곶이 있으며, 학가산과 반구대암각화, 서산만호성과 서생포왜성이 있다. 영남알프스 또한 울주군에 위치하고 있다.8. 2. 관광 명소
영남알프스, 반구대 암각화(국보 제285호), 천전리각석계곡, 작천정계곡, 자수정동굴나라, 간절곶, 학가산, 서산만호성, 서생포왜성 등이 울주군의 주요 관광지이다.8. 3. 특산품
언양 불고기는 울주군을 대표하는 특산품 중 하나이다.9. 자매 도시
울주군은 일본 나가사키현 쓰시마시와 자매 결연을 맺고 있다.
10. 출신 인물
울주군 출신 인물로는 박제상, 이예 등이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울주군(울산광역시) (蔚州郡(蔚山廣域市))
https://encykorea.ak[...]
[2]
웹사이트
주민등록 인구통계 - 행정안전부
https://jumin.mois.g[...]
2024-01-02
[3]
법률
시설치와군의관할구역및명칭변경에관한법률
1962-05-10
[4]
법률
시·군관할구역변경및면의폐치에관한법률
1962-11-21
[5]
법률
전라남도광양시등2개도농복합형태의시설치등에관한법률
1994-12-22
[6]
조례
울산시 구 설치 및 읍면동의 관할 구역에 관한 조례
[7]
주소
[8]
주소
[9]
대통령령
울산광역시남구와울주군의관할구역변경에관한규정
http://gwanbo.mois.g[...]
2002-07-30
[10]
웹인용
2021년 12월 주민등록 인구
https://jumin.mois.g[...]
[11]
웹인용
2021년 12월 주민등록 인구
https://jumin.mois.g[...]
[12]
회의록
1994년 12월 26일 울산군의회 본의회 회의록
[13]
기타
[14]
조례
울산시 구 설치 및 읍면동의 관할 구역에 관한 조례
[15]
주소
[16]
주소
[17]
대통령령
울산광역시남구와울주군의관할구역변경에관한규정
http://gwanbo.mois.g[...]
2002-07-30
[18]
웹사이트
울주군의 지명. 마을 리의 유래
https://www.udi.re.k[...]
[19]
웹사이트
주민등록 인구통계
http://27.101.213.4/
2020-10-2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