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대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울산대교는 울산광역시 남구와 동구를 연결하는 다리이다. 2009년 11월 30일에 착공하여 2015년 6월 1일에 완공되었으며, 같은 날 자동차 전용도로로 지정되었다. 울산대교는 통행료를 징수하며, 경차는 600원, 승용차는 1,200원의 요금이 부과된다. 울산대교 개통으로 남구와 동구 간 이동 시간이 단축되었으며, 울산대교 동쪽 진입로에 전망대가 설치되어 관광 명소로 활용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15년 완공된 교량 - 녓떤 대교
녓떤 대교는 일본 ODA 자금 지원으로 하노이에 건설되어 노이바이 국제공항과 하노이를 잇는 주요 교통로 역할을 하는 다리로, 양방향 6차선과 자전거 및 보행자 도로로 구성되어 있다. - 대한민국의 유료교 - 부산항대교
부산항대교는 부산 영도구와 남구를 잇는 총 3,331m 길이의 사장교로, 높이 190m의 다이아몬드 주탑과 고리형 접속도로를 갖추고 2014년 개통되었으며, 개통 초기 무료 운영 후 유료화되어 일정 기준 초과 차량의 통행이 제한된다. - 대한민국의 유료교 - 인천대교
인천대교는 송도국제도시와 영종도를 잇는 21.38km 길이의 고속도로 교량으로, 인천국제공항과 수도권을 연결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며 아름다운 야경으로도 유명하다. - 울산광역시의 교량 - 십리대밭교
십리대밭교는 울산광역시가 십리대밭에 건설한 고래와 백로를 형상화한 비대칭형 아치교로, 울산광역시와 경남은행의 투자로 2009년에 준공된 보도교이다. - 울산광역시의 교량 - 태화교
울산대교 | |
---|---|
기본 정보 | |
![]() | |
다른 이름 | 울산대교 |
위치 | 대한민국 울산 |
횡단 | 태화강 |
용도 | 4차선 도로교 |
좌표 | 35 |
구조 | |
설계 | 현수교 |
총 길이 | 2970m |
폭 | 25.6m |
높이 | 203m |
주 경간 | 1150m |
하부 간격 | 60m |
역사 | |
건설 시작 | 2009년 11월 30일 |
개통 | 2015년 6월 1일 |
통행료 | 예 |
관리 | |
기타 정보 |
2. 연혁
- 2009년 11월 30일 : 착공[3]
- 2015년 6월 1일 : 완공[4]
- 2015년 6월 1일 : 자동차 전용도로로 지정[5]
- 2015년 6월 10일 : 통행 요금 고시[6]
- 2017년 4월 1일 : 울산대교 구간 및 전 구간 이용 통행료 인상[7]
2. 1. 착공 및 완공
울산대교는 2009년 11월 30일에 착공되어[3] 2015년 6월 1일에 완공되었다.[4] 같은 날, 자동차 전용도로로 지정되었다.[5]2. 2. 운영 및 정책 변화
울산대교는 2015년 6월 1일에 완공되었으며[4], 같은 날 자동차 전용도로로 지정되었다.[5] 2015년 6월 10일에는 통행 요금이 고시되었고[6], 2017년 4월 1일에는 울산대교 구간 및 전 구간 이용 통행료가 인상되었다.[7]3. 통행료
wikitable
구분 | 울산대교 | 염포산터널 | 전 구간 |
---|---|---|---|
경차 | 600원 | 250원 | 900원 |
승용차 | 1,200원 | 500원 | 1,800원 |
17인승 승합차, 2.5~10t 화물차 | 1,800원 | 800원 | 2,700원 |
10t이상 화물차 | 2,400원 | 1,000원 | 3,600원 |
```
울산대교 통행료는 2017년 4월 1일 기준이다. 2015년 6월 1일부터 6월 10일까지 한시적으로 무료통행을 실시했다.
3. 1. 통행료 표 (2017년 4월 1일 기준)
wikitable구분 | 울산대교 | 염포산터널 | 전 구간 |
---|---|---|---|
경차 | 600 | 250 | 900 |
승용차 | 1,200 | 500 | 1,800 |
17인승 승합차, 2.5~10t 화물차 | 1,800 | 800 | 2,700 |
10t이상 화물차 | 2,400 | 1,000 | 3,600 |
울산대교 통행료는 2017년 4월 1일 기준이다. 2015년 6월 1일부터 6월 10일까지 한시적으로 무료통행을 실시했다.
4. 자동차 전용도로
울산대교는 개통과 동시에 자동차 전용도로로 지정되었다. 따라서 보행자, 자전거 등은 통행할 수 없다. 이륜 자동차(모터사이클 혹은 오토바이)는 긴급자동차(싸이카 및 소방용 모터사이클 등)에 한해 통행이 가능하며, 그 밖의 이륜 자동차는 통행할 수 없다.
5. 영향
울산광역시 남구와 동구 간 이동하는데 약 40분 걸리던 것에서 20분 수준으로 크게 단축되었으며 울산대교 동쪽 진입로에 전망대를 설치해 울산광역시의 새로운 관광명소가 되고 있다.[8] 그러나 남구에 위치한 장생포는 그동안 접근성 문제로 관광객이 많지 않았던 동구 지역으로 방문객이 몰리게 될 뿐만 아니라 장생포가 이 다리의 개통으로 혜택을 보지 못할 것이라는 의견도 나오고 있다.[9]
또한 이 다리로 인해 교통 흐름이 바뀌게 되면서 울산광역시에서는 124번 시내버스를 신설하여 운행에 들어갔다.[10]
5. 1. 교통 개선 효과
울산대교의 개통으로 울산광역시 남구와 동구 간 이동 시간이 약 40분에서 20분 수준으로 크게 단축되었다.[8] 이 다리로 인해 교통 흐름이 바뀌면서 울산광역시에서는 124번 시내버스를 신설하여 운행에 들어갔다.[10] 그러나 남구에 위치한 장생포는 접근성 문제로 인해 관광객이 많지 않았던 동구 지역으로 방문객이 몰리게 될 뿐만 아니라, 장생포가 이 다리의 개통으로 혜택을 보지 못할 것이라는 의견도 나오고 있다.[9]5. 2. 관광 활성화
울산대교의 개통으로 울산광역시 남구와 동구 간 이동 시간이 약 40분에서 20분으로 단축되었으며, 울산대교 동쪽 진입로에 설치된 전망대는 울산광역시의 새로운 관광 명소로 떠오르고 있다.[8] 그러나 남구 장생포는 접근성 문제로 관광객이 많지 않았던 동구 지역으로 방문객이 몰리면서, 장생포가 이 다리 개통으로 혜택을 보지 못할 것이라는 의견도 제기되고 있다.[9]5. 3. 주변 지역 영향
울산대교의 개통으로 울산광역시 남구와 동구 간 이동 시간이 약 40분에서 20분으로 단축되었고, 울산대교 동쪽 진입로에 설치된 전망대는 울산광역시의 새로운 관광 명소가 되고 있다.[8] 그러나 장생포는 접근성이 좋았던 동구 지역으로 관광객이 몰리면서, 다리 개통으로 인한 혜택을 받지 못할 것이라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9]5. 4. 대중교통 변화
울산대교의 개통으로 울산광역시 남구와 동구 간 이동 시간이 약 40분에서 20분으로 단축되었다.[8] 그러나 남구 장생포는 접근성 문제로 관광객이 많지 않았던 동구 지역으로 방문객이 몰리게 될 뿐만 아니라 장생포가 이 다리의 개통으로 혜택을 보지 못할 것이라는 의견도 나오고 있다.[9]이 다리로 인해 교통 흐름이 바뀌게 되면서 울산광역시에서는 124번 시내버스를 신설하여 운행에 들어갔다.[10]
6. 사건
예전에 배가 폭발하여 버섯 구름이 생겼다.
6. 1. 배 폭발 사고
예전에 배가 폭발하여 버섯 구름이 생겼다.참조
[1]
웹사이트
http://www.dasan93.c[...]
[2]
웹사이트
울산대교 Ulsan-Bridge brochure
http://www.ulsanharb[...]
[3]
뉴스
울산대교 착공..주탑간 길이 세계 3위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2009-11-30
[4]
간행물
울산광역시청공고 제2015-598호
http://210.99.24.25/[...]
2015-05-28
[5]
간행물
울산광역시청공고 제2015-599호
http://210.99.24.25/[...]
2015-05-28
[6]
간행물
울산광역시청공고 제2015-638호
http://210.99.24.25/[...]
2015-06-10
[7]
간행물
울산광역시공고 제2017-501호
http://210.99.24.25/[...]
2017-03-30
[8]
뉴스
길이 1km 넘는 울산대교 개통
http://www.ytn.co.kr[...]
YTN
2015-06-03
[9]
뉴스
'울산대교 수혜 누릴까' 장생포 기대-우려 엇갈려
http://www.yonhapnew[...]
연합뉴스
2015-06-07
[10]
뉴스
버스로 울산대교 건너세요
http://www.knnews.co[...]
경남신문
2015-06-04
[11]
문서
울산광역시고시 제2001-40호 울산광역시 도로명 제·개정 고시
[12]
문서
2015년 도로교량 및 터널현황
https://stat.kosis.k[...]
[13]
문서
원효터널외 1개 구조물 비파괴검사(터널스캐너) 조사 - 과업내용서
https://www.kalis.o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