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웅촌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웅촌면은 울산광역시 울주군에 속하는 면으로, 고대 우시산국의 중심지였으며 신라 시대에는 우화현으로 불렸다. 조선 시대에는 울산군 서면 웅촌리에 속했으며, 일제강점기에는 웅상면과 웅하면으로 분면되었다가 웅촌면으로 개칭되었다. 1952년 지방 선거를 통해 웅촌면의회가 구성되었으나 1961년 해산되었으며, 1997년 울산광역시 승격과 함께 울주군 웅촌면이 되었다. 현재 9개의 법정리와 여러 행정리로 구성되어 있으며, 춘해보건대학교, 울산미용예술고등학교, 울산예술고등학교 등의 교육 기관과 국도 제7호선이 지나간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894년 폐지 - 선혜청
    선혜청은 조선 후기 대동법 시행으로 설립되어 점차 규모가 커진 국가 재정 기관으로, 세금 징수 외에 물가 조절, 구휼 사업, 군량미 관리 등 다양한 기능을 수행했으나 갑오개혁으로 폐지되어 그 영향에 대한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
  • 1894년 폐지 - 수어청
    수어청은 인조 반정 이후 후금과의 전쟁에 대비하여 남한산성을 축조하고 군무를 관리하기 위해 설립된 군영이며, 왕실 방어 사령부 역할을 수행하다가 3영 2부 체제로 개편되었으나 장용영 설치 이후 쇠퇴하여 폐지되었다.
  • 울주군의 행정 구역 - 언양읍
    언양읍은 울산광역시 울주군에 속하며, 1996년 읍으로 승격되었고, 15개 법정리와 39개 행정리로 구성되어 경부고속도로 등 교통 요지이며, 울산과학기술원, 언양읍성 등 교육 및 관광 시설을 갖추고 있다.
  • 울주군의 행정 구역 - 청량읍
    청량읍은 울산광역시 울주군에 속하며 2018년 읍으로 승격되었고, 9개의 법정리와 26개의 행정리로 구성되어 있으며, 동해고속도로 등 교통 시설과 세인고등학교 등 교육 기관을 갖추고 있다.
  • 울산광역시의 읍·면 - 언양읍
    언양읍은 울산광역시 울주군에 속하며, 1996년 읍으로 승격되었고, 15개 법정리와 39개 행정리로 구성되어 경부고속도로 등 교통 요지이며, 울산과학기술원, 언양읍성 등 교육 및 관광 시설을 갖추고 있다.
  • 울산광역시의 읍·면 - 청량읍
    청량읍은 울산광역시 울주군에 속하며 2018년 읍으로 승격되었고, 9개의 법정리와 26개의 행정리로 구성되어 있으며, 동해고속도로 등 교통 시설과 세인고등학교 등 교육 기관을 갖추고 있다.
웅촌면 - [지명]에 관한 문서
웅촌면 기본 정보
울주군 지도
울주군 지도
면적52.0
세대3,785
세대 조사일2014년 11월 30일
인구7701
인구 조사일2022년 3월
법정리초천리, 석천리, 곡천리, 검단리, 은현리, 고연리, 대대리, 통천리, 대복리
행정리26
85
면사무소울산광역시 울주군 웅촌면 새초천길 12
홈페이지울주군 웅촌면 행정복지센터

2. 역사

웅촌면은 울산광역시 울주군에 속한 행정 구역으로, 오랜 역사를 지니고 있다.


  • 1894년 웅촌면을 웅상면, 웅하면으로 분면하였다.


이후 일제강점기와 현대를 거치면서 행정 구역 변화를 겪었다.

2. 1. 고대 - 조선 시대

울산이라는 지명의 유래가 된 우시산국(于尸山國)의 중심지였다.[1] 신라는 우시산국을 정복하고 이 지역에 우화현(于火縣)을 설치하였다. 757년에 우화현을 우풍현(虞風縣)으로 개칭하고 동안군(東安郡, 현재의 서생면)의 영현이 되었다. 940년 고려시대에 하곡현, 동진현과 함께 흥례부(興禮府)로 통폐합되었다. 흥례부는 995년에 공화현으로 격하되었다가 1018년에 울주(蔚州)로 승격되었고, 1413년에 울산군(蔚山郡)으로 개칭되었다. 웅촌면 지역은 울산군 서면 웅촌리로 편제되었다가 숙종대에 방위면인 서면이 폐지되고 웅촌면으로 전환되었다.

2. 2. 일제강점기 - 현대

1906년 웅상면이 양산군에 편입되고 웅하면을 웅촌면으로 개칭하여 현재의 웅촌면이 되었다.[1]

1914년 4월 1일 신리동이 청량면에, 대양동 일부가 삼동면에 편입되고 9개리로 개편하였다.

개편 전개편 후
곡천동(谷川洞)곡천리(曲泉里)
검단동(檢丹洞), 암곡동(岩谷洞)검단리(檢丹里)
은하동(隱下洞), 덕현동(德峴洞), 덕곡동(德谷洞), 용산동(用山)은현리(隱峴里)
고야동(古也洞), 연답동(連畓洞), 와지동(臥旨洞), 갓동(冠洞), 반계동(盤溪洞)고연리(古蓮里)
상대동(上大洞), 중대동(中大洞), 하대동(下大洞), 저리동(楮里洞)대대리(大垈里)
초정동(椒井洞), 내기동(內基洞)초천리(椒泉里)
통천동(通川洞), 자천동(紫川洞), 자암동(紫岩洞)통천리(通川里)
석천동(石川洞), 석계동(石溪洞)석천리(石川里)
대양동(大陽洞), 오복동(五卜洞)대복리(大福里)



1952년 4월 25일 지방 선거가 시행되고 초대 웅촌면의원 11명이 선출되었다. 1961년 9월 1일 웅촌면의회가 해산되었다.

1962년 6월 1일 울산군 일부에 울산시가 설치되면서 울주군 웅촌면이 되었다. 1991년 1월 1일 울주군이 울산군으로 개칭하면서 울산군 웅촌면이 되었다. 1995년 1월 1일 울산시·울산군 통합으로 울산시 울주구 웅촌면이 되었다. 1997년 7월 15일 울산시가 울산광역시로 승격하면서 울산광역시 울주군 웅촌면이 되었다.

3. 행정 구역

웅촌면은 9개 법정리, 26개 행정리, 85개 반으로 구성되어 있다. 면소재지는 곡천리이다.

웅촌면의 행정구역

3. 1. 법정리 목록 및 인구 현황

웅촌면은 9개 법정리, 26개 행정리, 85개 반으로 구성되어 있다. 면소재지는 곡천리이다. 2011년 4월 30일 기준으로 웅촌면의 인구는 3,751세대 8,685명이다.

법정리한자세대인구
초천리椒泉里108245
석천리石川里121318
곡천리谷泉里6311,336
검단리檢丹里315683
은현리銀峴里331742
고연리古蓮里293585
대대리大垈里382814
통천리通川里1958
대복리大福里1,5514,904
웅촌면熊村面3,7518,685


4. 교육 기관

5. 교통 시설

국도 제7호선이 웅촌면을 남북으로 관통하며 주요 도로 역할을 한다. 이 외에도 대복리에서 삼동면을 거쳐 양산시 하북면으로 연결되는 도로와, 대대리에서 온양읍으로 이어지는 도로가 있다.

5. 1. 도로

국도 제7호선이 웅촌면을 남북으로 관통하는 주요 도로이다. 그 외 대복리에서 삼동면을 경유하여 양산시 하북면을 연결하는 도로와 대대리에서 온양읍을 연결하는 도로가 있다.

6. 웅촌면의회

1952년부터 1961년까지 존속한 대한민국의 지방의회이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