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송수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본문
원송수(元松壽)는 고려 시대의 문신으로, 두 명의 동명이인이 있습니다.
1. 고려 시대 문신 (1324년 ~ 1366년):
- 본관은 원주(原州)이며, 시호는 문정(文定)입니다.
- 1339년(충숙왕 복위 8) 국자감시와 과거에 급제하여 춘추관 수찬이 되었습니다.
- 충목왕, 충정왕, 공민왕 대에 여러 관직을 역임했습니다. 특히 공민왕의 신임을 받아 내서사인 겸 좌부대언, 지주사 등을 지냈습니다.
- 1361년 홍건적의 난 때 왕을 모시고 피난한 공로로 1등 공신에 책록되었습니다.
- 1365년 정당문학에 올랐으나, 신돈(辛旽)에 반대하여 파면되었습니다.
- 학자로서 시문에 능하고 예학(禮學)에 밝았습니다.
- 대표적인 시로는 "주면(晝眠)"이 있습니다.
- "주면(晝眠)" 시의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 窮達誠知在彼天 (궁달성지재피천): 궁하고 통달함은 진실로 저 하늘에 달린 줄을 알거니
- 不須辛若慕前賢 (불수신약모전현): 구태여 고생하면서 먼저 선현을 흠모할 것 없어라
- 心無念慮身無事 (심무념려신무사): 마음에 걱정 없고 몸에 또 일이 없나니
- 只管西䆫晝日眠 (지관서창주일면): 그저 서창 아래서 낮잠이나 자네
2. 고려 시대 문신 (1509년 출생):
- 동명이인으로, 위키백과에 따르면 1324년 출생 원송수와는 다른 인물입니다.
어떤 원송수에 대해 더 자세히 알고 싶으신가요?
원송수 | |
---|---|
기본 정보 | |
이름 | 원송수 |
본관 | 원주(原州) |
자 | 경수(景粹) |
호 | 묵재(默齋) 백운(白雲) |
시호 | 문정(文貞) |
생애 | |
출생 | 1509년 |
사망 | 1570년 |
가족 | |
아버지 | 원혼(元渾) |
어머니 | 정부인(貞夫人) 문화 류씨(文化柳氏) |
배우자 | 정부인(貞夫人) 파평 윤씨(坡平尹氏) |
아들 | 원황(元況) |
딸 | 정철에게 출가 |
학력 및 관력 | |
과거 급제 | 1534년(중종 29) 진사시 합격 1537년(중종 32) 문과 급제 |
주요 관직 | 홍문관 수찬(修撰) 사간원 정언(正言) 지평(持平) 응교(應敎) 전한(典翰) 사성(司成) 승지(承旨) 대사성(大司成) 대사헌(大司憲) 이조판서(吏曹判書) 지경연사(知經筵事) 예문관 대제학(大提學) 춘추관 지경연사 세자 이조판서 예문관대제학 지춘추관사 동지경연사 성균관 오위도총부 원상(院相) |
평가 및 업적 | |
성품 | 성품이 강직하고 청렴결백함 |
정치 활동 | 간쟁(諫諍)에 힘씀 권신(權臣)들의 횡포(橫暴)를 비판 기강(紀綱) 확립에 기여 |
기타 | 정철(鄭澈)의 장인 |
저서 | |
주요 저서 | 묵재집(默齋集) |
기타 | |
신도비 | 경기도(京畿道) 여주시(驪州市) 능서면(陵西面) 왕대리(旺垈里)에 위치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