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춘추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춘추관은 고려 시대부터 조선 시대를 거쳐 현대에 이르기까지 역사 기록과 관련된 기관 또는 시설을 지칭하는 명칭이다. 고려 시대에는 시정 기록을 담당했으며, 조선 시대에는 논의, 교명, 국사 등의 업무를 수행했다. 조선 시대에는 사초를 작성하여 《조선왕조실록》 편찬의 기반을 마련하는 역할을 했다. 현대에는 대한민국 대통령의 청와대를 취재하는 기자들이 사용하는 건물 이름으로 사용되며, 공정성과 객관성을 강조하는 의미를 담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예조 - 잠실
    잠실은 조선 시대 왕실과 관부에서 운영한 양잠 시설로, 뽕나무 재배와 누에치기를 통해 고치를 생산하여 상납하던 곳이며, 현재 잠실동과 잠원동의 지명은 이와 관련이 있다.
  • 예조 - 예문관
    예문관은 칙령, 교명 관장, 사초 작성, 시정기 편찬을 통해 실록 편찬 자료를 만들었던 관청이며, 고려 시대에 처음 등장하여 조선 시대에 춘추관과 통합되기도 했고 갑오개혁 때 경연청에 병합되었다.
  • 고려의 행정기관 - 사헌부
    사헌부는 고려 공민왕 때 명칭이 정해져 조선 시대에 관리 감찰, 규찰, 정치 참여 등을 수행했으며, 홍문관, 사간원과 함께 대간 또는 삼사로 불리며 국가의 중추적인 역할을 담당했다.
  • 고려의 행정기관 - 한림원
    한림원은 중국 역사 속 저명한 인사들이 모여 학문 연구, 인재 양성, 과거 시험 관리, 외국어 번역 및 외교 지원 등의 역할을 수행한 황실 학술 기관이었으나, 의화단 운동으로 자료가 소실되고 신해혁명으로 폐지되었다.
  • 조선의 행정기관 - 포도청
    포도청은 조선시대에 도적을 잡고 치안을 유지하던 관청으로, 성종 때 임시직으로 시작하여 좌·우 포도청으로 나뉘어 운영되다가 갑오경장 때 경무청으로 개편되며 폐지되었으며, 천주교 박해에도 관여하였다.
  • 조선의 행정기관 - 승정원
    승정원은 조선시대에 왕명 출납을 담당한 국왕 직속 비서 기관으로, 중추원에서 시작하여 승추부로 확대 후 다시 승정원으로 개편되어 육조 업무 분담, 국정 자문, 정보 기관 역할 등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다 갑오개혁 이후 승선원을 거쳐 궁내부 시종원으로 업무가 이관되었다.
춘추관
개요
유형조선의 관청
위치한성
상세 정보
주요 기능역사 기록 및 편찬
관련 기록실록
승정원일기
책임 관원영사
소속예문관 관할 하였으나, 독립적인 기능 수행

2. 고려의 춘추관

고려 춘추관은 시정(時政)의 기록을 맡아보던 관청으로, 국초에는 사관(史館)이라 불렸다.[1]

1308년(충렬왕 34) 문한서(文翰署)에 병합되어 예문춘추관(藝文春秋館)이라 불렸다가, 1325년(충숙왕 12) 예문관과 춘추관으로 분리되어 독립되었다. 1356년(공민왕 5) 다시 사관으로 불렸다가, 1362년(공민왕 11) 춘추관으로 바뀌었다. 1389년(공양왕 1) 예문관과 합쳐 예문춘추관이 되었다.[1]

많은 사람들이 춘추관을 조선 시대로 한정 짓지만, 사실 춘추관은 고려 시대부터 존재했다. 춘추관이 역사적인 인정을 받기 시작한 것은 조선 시대부터이며, 태종 때부터 춘추관으로 불리기 시작했다.[1]

2. 1. 관원 구성

고려 시대 춘추관의 관원은 다음과 같이 구성되었다.[1]

  • 감수국사(監修國史): 시중이 겸임
  • 수국사(修國史)와 동수국사(同修國史): 2품 이상이 겸임
  • 수찬관: 한림원(瀚林院)의 3품 이하가 겸임
  • 직사관(直史館, 후에 직관(直館)으로 변경): 4인, 그 중 2인은 임시직


1308년(충렬왕 34) 문한서(文翰署)에 병합되어 예문춘추관(藝文春秋館)으로 변경되었다가, 1325년(충숙왕 12) 예문관과 춘추관으로 분리 독립되면서 수찬(修撰)·주부(注簿) 각 1인, 검열(檢閱) 2인을 두었다. 이후 공봉(供奉, 정7품)·수찬(修撰, 정8품)·검열(정9품)로 변경되었다. 영관사(領館事)· 감관사(監館事)는 수상(首相)이, 지관사(知館事)·동지관사(同知館事)는 2품 이상, 극수찬관(克修撰官)·극편수관(克編修官)·겸편수관(兼編修官)은 3품 이하로 하였다.

1356년(공민왕 5) 다시 사관(史館)으로 변경하고 편수관(정7품) 1인, 검열(檢閱, 정8품) 1인, 직간(直館, 정9품) 2인을 두었다. 1362년(공민왕 11) 다시 춘추관으로 변경하고 공봉·수찬·검열을 두었다. 1389년(공양왕 1) 예문관을 합쳐 예문춘추관으로 변경하였다. 이속(吏屬)으로는 서예(書藝) 4인, 기관(記官) 1인이 있었다.

조선시대의 관원은 다음과 같다.

품계관직
정1품영사
정1품감사
정2품지사
종2품동지사
정3품수선관
종3품편집관
정4품편집관
종4품편집관
정5품편집관
종5품기주관
정6품기주관
종6품기사관
정7품기사관
종7품기사관
정8품기사관
종8품기사관
정9품기사관
종9품기사관


3. 조선의 춘추관

춘추관은 조선시대에 논의(論議)·교명(敎命)·국사(國史) 등의 일을 맡아 보았던 관청이다. 많은 사람들이 춘추관을 조선 시대와 연관 짓지만, 사실 춘추관은 고려 시대부터 존재해왔다. 태종 시대부터 춘추관으로 불리기 시작했다.[1] 고려 시대에는 예문관 또는 춘추관으로 불렸다.

1392년(태조 1)에 고려의 제도를 본받아 예문춘관으로 개칭하였다. 1401년(태종 1)에 분리·독립하여 2관으로 하였다가 1894년(고종 31)에 폐지되었다.

3. 1. 역할

춘추관은 조선시대에 논의(論議)·교명(敎命)·국사(國史) 등의 일을 맡아 보았던 관청이다.[2] 춘추관 관원은 8명으로 구성되었으며, 공식적인 품계는 정6품에서 정8품 사이였다. 이들은 국왕이 행차하거나, 신하들을 만나거나, 조참에 참석하는 등 국왕이 있는 곳에 머물렀다. 춘추관 관원들은 사초(史草)를 작성하여 민심과 국왕의 모든 행적을 기록하였으며, 이 기록을 바탕으로 《조선왕조실록》이 편찬되었다.[2]

3. 2. 관원 구성

1392년(태조 1) 고려의 제도를 본받아 예문춘관으로 개칭하면서 관원을 두었다. 감관사(監館沙 : 시중 이상 겸임) 1인, 대학사(정2품) 2인, 지관사(知館事 : 자헌(資憲) 이상 겸임) 2인, 학사(學士 : 종2품) 2인, 동지관사(同知館事 : 가선(嘉善) 이상 겸임) 2인, 편수관(4품 이상) 2인, 겸편수관(兼編修官 : 4품 이상) 2인, 응교(應敎 : 겸5품) 1인, 공봉관(供奉官 : 정7품) 2인, 수찬관(정8품) 2인, 직관(정9품) 4인, 서리(胥吏 : 8품 거관(去官)) 4인이 있었다.[2]

1401년(태종 1) 관제를 개편하여 학사 1인을 감하고, 녹관(祿官)을 예문관에 두고 춘추관을 겸임케 하였다. 감관사를 영사(領史 : 영의정 겸임), 대학사를 대제학으로 고치고, 제학(提學), 직제학을 두었다. 공봉을 봉공(奉供), 수찬을 대교(待敎), 직관을 검열(檢閱)로 고치고, 봉교(奉敎) 이하는 모두 춘추관의 기사관(記事官)을 겸하였다.[2]

《경국대전》에서는 영사(領事 : 영의정 겸임) 1인, 감사(監事 : 좌·우의정 겸임) 2인, 지사(知事 : 정2품)·동지사(同知事 : 종2품)·기사관(記事官 : 정6품~종4품)·기주관(記注官 : 정5품)·기사관(記事官 : 정6품~정9품)으로 고쳐서 1894년(고종 31)까지 내려오다 폐하였다.[2]

춘추관 관원들은 8명으로 구성되었다. 공식적인 품계는 정6품에서 정8품 사이로 낮지만, 국왕이 행차하거나, 신하들을 만나거나, 조참에 참석하는 등 국왕이 있는 곳에 머물렀다. 이들은 사초(史草)를 작성하여 민심과 국왕의 모든 행적을 기록하였다. 이 기록을 바탕으로 《조선왕조실록》이 편찬되었다.[3]

춘추관에는 별도의 관직이 없으며, 다른 관청의 관리가 춘추관의 직책을 겸임한다. 영의정은 춘추관의 수장인 영사를, 우의정과 좌의정은 지사를 맡고, 다른 관청의 관리가 나머지 관직을 겸한다.[3]

직함품계
영사정1품
감사정1품
지사정2품
동지사종2품
수선관정3품
편집관종3품
편집관정4품
편집관종4품
편집관정5품
기주관종5품
기주관정6품
기사관종6품
기사관정7품
기사관정7품
기사관정8품
기사관정8품
기사관정9품
기사관정9품


4. 현대의 춘추관

춘추관(春秋館)은 대한민국 대통령의 공식 거처인 청와대를 취재하는 국내외 특파원들이 사용하는 건물이다.[4] 1990년에 개관했으며, 기자회견 및 브리핑룸이 있다.

4. 1. 상징성

춘추관(春秋館)이라는 이름은 청와대를 취재하는 약 150명의 국내외 특파원들이 사용하는 건물을 가리키기도 한다. 이 건물 1층과 2층에는 각각 기자실과 브리핑룸이 있으며, 대통령 기자 회견 및 일일 브리핑은 브리핑룸에서 열린다. 1990년에 개관한 이 건물은 전통적인 한국식 박공 지붕을 얹고 있으며, 주변 경관과 조화를 이루도록 흙으로 구운 기와로 덮여 있다. 춘추관이라는 이름은 역사를 기록할 때 공정한 비판과 엄격한 객관성을 강조하기 위해 선택되었다.[4]

참조

[1] 뉴스 국역 고려사 지 '춘추관' http://www.ebn.co.kr[...] 경인 문화사 2011-12-10
[2] 뉴스 국역 고려사 지 '춘추관' http://www.ebn.co.kr[...] 경인 문화사 2011-12-10
[3] 뉴스 한국사료해설집 '춘추관' http://terms.naver.c[...] 한국사학회 1964
[4] 뉴스 청와대 영어 홈페이지 춘추관 소개 http://english1.pres[...] Blue Hous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