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자가 껍질 전자쌍 반발 이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원자가 껍질 전자쌍 반발 이론(VSEPR 이론)은 분자 내 원자 주변의 전자쌍(결합 및 비결합) 간의 반발을 최소화하려는 경향을 바탕으로 분자 구조를 예측하는 데 사용되는 화학 모델이다. 이 이론은 1939년 쓰치다 류타로에 의해 처음 제안되었고, 1940년 네빌 시지윅과 허버트 마커스 파월에 의해 독립적으로 발표되었으며, 로널드 길레스피와 로널드 시드니 니홀름에 의해 발전되었다. VSEPR 이론은 분자 내 중심 원자의 입체수를 기반으로 분자 모양을 예측하며, AXE 표기법을 사용하여 분자 구조를 분류한다. 이 이론은 메탄(CH₄)과 암모니아(NH₃)와 같은 간단한 분자의 구조를 설명하는 데 유용하지만, 무거운 14족 원소의 알킨 유사체, 산화 리튬, 전이 금속 화합물, 그리고 상대론적 효과가 중요한 초중원소 화합물과 같은 특정 분자에서는 한계와 예외가 존재한다. VSEPR 이론은 과학적 정확성과 교육적 가치 측면에서 비판을 받아왔으며, 벤트의 규칙과 같은 대체 이론이 제안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화학 이론 - 질량 보존 법칙
질량 보존 법칙은 닫힌 계 내에서 화학 반응이나 물리적 변화가 일어나도 물질의 총 질량이 변하지 않는다는 법칙이며, 앙투안 라부아지에의 실험을 통해 확립되었고, 상대성 이론에 따라 질량과 에너지의 총량이 보존된다. - 화학 이론 - 분자궤도함수 이론
분자 궤도 함수 이론은 분자를 구성하는 원자 궤도 함수들의 선형 결합으로 분자 궤도 함수를 생성하여 분자의 전자 구조를 다루는 양자 화학 이론으로, 화학 결합, 분자 구조, 스펙트럼 해석 등 다양한 화학적 현상 설명에 활용되며 경험적, 반경험적, 비경험적 방법으로 나뉜다. - 분자기하 - 삼각쌍뿔
삼각쌍뿔은 6개의 정삼각형 면, 5개의 꼭짓점, 9개의 모서리를 가진 존슨 다면체이자 델타다면체로, 두 정사면체를 밑면끼리 결합한 형태이며, 분자 기하학, 색채 이론 등 다양한 분야에 응용된다. - 분자기하 - 배위수
배위수는 중심 원자에 직접 결합한 이웃 원자의 총 개수를 의미하는 개념으로, 배위 화합물의 성질과 원자 배열을 이해하는 데 중요하며, 결정 구조나 리간드 종류에 따라 다양한 값을 가지고 실험적 방법이나 계산 화학을 통해 결정될 수 있다. - 양자화학 - 태양광 발전
태양광 발전은 태양빛을 직류 전기로 변환 후 교류 전기로 변환하여 사용하는 기술로, 다양한 종류의 태양전지 개발과 활용이 증가하고 있으나 초기 투자비용, 간헐성, 환경적 영향 등의 과제를 안고 있다. - 양자화학 - 양공
양공은 반도체 내에서 전자가 빠져나간 자리를 의미하며, 마치 양의 전하를 띠는 입자처럼 행동하여 전기 전도에 기여하고, P형 반도체의 특성을 나타낸다.
원자가 껍질 전자쌍 반발 이론 | |
---|---|
개요 | |
명칭 | 원자가 껍질 전자쌍 반발 이론 |
로마자 표기 | Wonjaga Kkeopjil Jeonja 쌍 Banbal 이론 |
약칭 | VSEPR 이론 |
영어 명칭 | Valence Shell Electron Pair Repulsion theory |
역사 및 배경 | |
개발자 | 로널드 ギレスピー ロナルド・シドニー・ナイホルム |
발표 연도 | 1957년 |
주요 개념 | 원자가 껍질의 전자쌍 반발 최소화 분자 구조 예측 |
작동 원리 | |
기본 가정 | 중심 원자 주위의 전자쌍들은 서로 반발하며, 반발력을 최소화하는 방향으로 배열된다. |
전자쌍의 종류 | 결합 전자쌍 비공유 전자쌍 |
반발력의 크기 순서 | 비공유 전자쌍-비공유 전자쌍 > 비공유 전자쌍-결합 전자쌍 > 결합 전자쌍-결합 전자쌍 |
분자 구조 예측 | |
전자쌍 수 | 중심 원자에 결합된 원자 수 + 비공유 전자쌍 수 |
기본 분자 모양 | 전자쌍 수에 따라 결정 (선형, 삼각 평면, 사면체, 삼각 쌍뿔, 팔면체) |
실제 분자 모양 | 비공유 전자쌍의 영향으로 기본 분자 모양에서 변형될 수 있음 |
예시 | |
이산화탄소 (CO2) | 선형 구조 |
삼불화붕소 (BF3) | 삼각 평면 구조 |
메탄 (CH4) | 사면체 구조 |
암모니아 (NH3) | 삼각뿔 구조 (사면체에서 변형) |
물 (H2O) | 굽은형 구조 (사면체에서 변형) |
한계점 | |
적용 불가 | 전이 금속 착물, 일부 예외적인 분자 |
결합 길이 예측 불가 | 분자 모양만 예측 가능 |
활용 | |
분자 구조 예측 | 화학 반응 예측, 분자 간 상호 작용 이해 |
교육 | 화학 교육에서 분자 구조 개념 설명 |
2. 역사
분자 구조와 원자가 전자쌍(공유 전자쌍과 비공유 전자쌍 모두) 수 사이의 상관관계에 대한 아이디어는 1939년 일본의 쓰치다 류타로(Ryutaro Tsuchida)에 의해 처음 제안되었고,[5] 1940년 옥스퍼드 대학교의 네빌 시지윅(Nevil Sidgwick)과 허버트 마커스 파월(Herbert Marcus Powell)에 의해 베이커 강연(Bakerian Lecture)에서 독립적으로 발표되었다.[6]
VSEPR 이론은 분자 내 중심 원자 주변의 전자쌍 배열을 예측하는 데 사용되며, 특히 단순하고 대칭적인 분자에 유용하다. 이 이론에서 중심 원자는 두 개 이상의 다른 원자와 결합된 원자이고, 말단 원자는 다른 원자와 단 하나만 결합된 원자이다.[9] 예를 들어, 메틸 아이소시아네이트(H3C-N=C=O) 분자에서 두 개의 탄소와 하나의 질소가 중심 원자이고, 세 개의 수소와 하나의 산소가 말단 원자이다.[9] 중심 원자의 기하학적 구조와 비결합 전자쌍은 전체 분자의 기하학적 구조를 결정한다.
1940년 분자기하학과 원자가전자 사이의 관계에 대한 첫번째 모델이 제기되었으며,[52] 1957년 유니버시티 칼리지 런던의 로널드 길레스피(Ronald Gillespie)와 로널드 시드니 니홀름(Ronald Sydney Nyholm)은 이 개념을 다양한 대체 구조 중에서 선택할 수 있는 보다 상세한 이론으로 다듬었다.[7][8][53][54]
최근 VSEPR 이론은 과학적 정확성과 교육적 가치 모두의 관점에서 구식 모델로 비판받아 왔다.[48] 구체적으로, VSEPR 이론에서 물과 카보닐 화합물의 등가 고립 전자쌍은 분자 궤도와 자연 결합 궤도의 대칭성(σ vs. π)에서 근본적인 차이를 무시하고 있다. 또한, 고립 전자쌍이 결합성 전자쌍 "보다 크다"는 것을 시사하는 계산적 또는 실험적 증거는 거의 없다. 분자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단순한 모델로서 벤트의 규칙이 VSEPR 이론을 대체할 수 있다고 제안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VSEPR 이론은 단순한 분자의 구조와 전자 분포의 본질적인 요소의 많은 부분을 포착하고 있으며, 대부분의 학부 일반 화학 강의에서 계속 가르치고 있다.
3. VSEPR 이론의 기본 원리
중심 원자의 원자가 껍질에 있는 전자쌍의 수는 분자의 루이스 구조를 그린 후, 모든 결합 그룹과 비공유 전자쌍을 표시하여 결정된다.[9] VSEPR 이론에서 이중 결합 또는 삼중 결합은 단일 결합 그룹으로 취급된다.[9] 중심 원자에 결합된 원자 수와 비결합 원자가 전자로 형성된 비공유 전자쌍의 수의 합을 중심 원자의 입체수라고 한다.
전자쌍(또는 다중 결합이 있는 경우 그룹)은 중심 원자를 중심으로 하는 구의 표면에 존재하며, 서로 간의 반발력을 최소화하기 위해, 즉 그 사이의 거리를 최대화하여 위치를 차지하는 경향이 있다고 가정한다.[9][10] 따라서 전자쌍(또는 그룹)의 수는 전반적인 기하학적 구조를 결정한다. 예를 들어, 중심 원자를 둘러싼 두 개의 전자쌍이 있을 때, 서로 간의 반발력은 구의 반대쪽에 위치할 때 최소화된다. 따라서 중심 원자는 '선형' 기하학적 구조를 취할 것으로 예측된다. 만약 중심 원자를 둘러싼 3개의 전자쌍이 있다면, 반발력은 원자를 중심으로 하는 정삼각형의 꼭짓점에 배치함으로써 최소화된다. 따라서 예측된 기하학적 구조는 '평면 삼각형'이다. 마찬가지로, 4개의 전자쌍의 경우, 최적의 배열은 '사면체'이다.[9]
주어진 수의 전자쌍으로 채택된 기하학적 구조를 예측하는 도구로, 최소 전자쌍 반발 원리를 보여주는 물리적 시연으로 풍선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풍선을 다루면 풍선 표면에 약간의 정전기적 전하가 생겨, 줄기로 묶었을 때 해당 전자쌍의 수와 거의 동일한 기하학적 구조를 취하게 된다. 예를 들어, 5개의 풍선을 묶으면 PCl5 분자의 5개 결합쌍과 마찬가지로 '삼각 이중 피라미드' 기하학적 구조를 취한다.
VSEPR 이론은 짝수 개의 전자를 갖지 않는 분자에 대해서도, 짝을 이루지 않은 전자를 "반쪽 전자쌍"으로 취급함으로써 확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질레스피와 니홀름[7]은 (180°), NO2 (134°), (115°) 일련의 결합각 감소는 주어진 결합 전자쌍이 한 개의 비결합 전자에 작용하는 반발력이 두 개의 비결합 전자에 작용하는 반발력보다 약하다는 것을 나타낸다고 제안했다.
메틸 라디칼 (CH3)은 메틸 음이온 ()과 같이 삼각뿔형으로 예측되지만, 삼각 평면형 메틸 양이온 ()과 같이 더 큰 결합각을 갖는다. 그러나 이 경우 VSEPR 예측은 정확하지 않으며, CH3는 실제로 평면형이지만, 뿔형 기하 구조로의 변형에는 매우 적은 에너지가 필요하다.[41]
3. 1. 전자쌍 반발
전반적인 분자 구조는 ''결합'' 전자쌍과 ''비결합'' 전자쌍을 구별함으로써 더욱 정교하게 다듬어진다. 인접한 원자와의 시그마 결합에 공유된 결합 전자쌍은 양전하를 띤 핵에 가까이 위치하는 비결합 (고립) 전자쌍보다 중심 원자로부터 더 멀리 떨어져 있다. 따라서 VSEPR 이론은 고립 전자쌍에 의한 반발력이 결합 전자쌍에 의한 반발력보다 더 크다고 본다.[9] 분자가 서로 다른 반발력의 두 가지 상호 작용을 가질 때, VSEPR 이론은 고립 전자쌍이 덜한 반발력을 받는 위치를 차지하는 구조를 예측한다. 고립 전자쌍–고립 전자쌍 (lp–lp) 반발력은 고립 전자쌍–결합 전자쌍 (lp–bp) 반발력보다 더 강하고, 이는 다시 결합 전자쌍–결합 전자쌍 (bp–bp) 반발력보다 더 강하다고 간주된다.[9][10]
예를 들어, 5개의 원자가 전자쌍이 중심 원자를 둘러싸고 있을 때, ''삼각쌍뿔형'' 분자 구조를 취한다. 이때 두 개의 동선형 ''축'' 위치와 세 개의 ''적도'' 위치가 존재한다. 축 위치의 전자쌍은 90° 떨어진 세 개의 가까운 적도 이웃과 180° 떨어진 네 번째 이웃을 가지는 반면, 적도 전자쌍은 90° 떨어진 두 개의 인접 쌍과 120° 떨어진 두 개의 쌍만 가진다. 90° 떨어진 가까운 이웃으로부터의 반발력이 더 중요하므로, 축 위치가 적도 위치보다 더 많은 반발력을 경험한다. 따라서 고립 전자쌍이 있을 때, 이들은 적도 위치를 차지하는 경향이 있다.[10]
고립 전자쌍과 결합 전자쌍의 차이는 이상적인 분자 구조로부터의 편차를 설명하는데 사용 가능하다. H2O 분자는 원자가 껍질에 두 개의 고립 전자쌍과 두 개의 결합 전자쌍을 가지고 있다. 네 개의 전자쌍은 대략 정사면체의 꼭짓점을 향하도록 퍼져 있으나, 두 개의 O–H 결합 사이의 결합각은 109.5°가 아닌 104.5°이다. 이는 두 개의 고립 전자쌍이 두 개의 결합 전자쌍보다 더 큰 상호 반발력을 나타내기 때문이다.[9][10]
결합 차수가 높은 결합은 파이 결합 전자가 기여하므로 더 큰 반발력을 나타낸다.[10] 예를 들어, 아이소부틸렌에서 H3C−C=C 각도(124°)는 H3C−C−CH3 각도(111.5°)보다 크다. 그러나, 탄산염 이온 ()에서, 세 개의 C−O 결합은 공명 때문에 120°의 각도로 동일하다.
상세한 설명에서는, 상술한 차이점을 두 가지 규칙으로 대체한다.3. 2. 입체수와 분자 모양
입체수(Steric Number, 결합수 + 비결합전자쌍의 수)와 비결합전자쌍의 수에 따른 분자의 모양은 다음과 같다.[55][56]
입체수 | 분자기하 비공유전자쌍 없음 | 분자기하 비공유전자쌍 1개 | 분자기하 비공유전자쌍 2개 | 분자기하 비공유전자쌍 3개 | 분자기하 비공유전자쌍 4개 |
---|---|---|---|---|---|
2 | ![]() | ||||
3 | ![]() | ![]() | |||
4 | ![]() | ![]() | ![]() | ||
5 | ![]() | ![]() | ![]() | ![]() | |
6 | ![]() | ![]() | |||
7 | ![]() | ![]() | ![]() | ||
8 | ![]() | ||||
9 | ![]() |
분자 내 중심 원자의 입체수는 중심 원자에 결합된 원자의 수(배위수)와 중심 원자상의 비공유 전자쌍의 수의 합이다.[11] 예를 들어 SF4 분자에서 중심 황 원자는 4개의 리간드를 갖는다. 황의 배위수는 4이다. 4개의 리간드 외에도 황은 이 분자에서 1개의 비공유 전자쌍을 가지므로, 입체수는 4 + 1 = 5이다.
3. 3. 반발력의 크기
원자가 껍질 전자쌍 반발(VSEPR) 이론에서 전반적인 분자 구조는 ''결합'' 전자쌍과 ''비결합'' 전자쌍을 구별하여 더욱 정교하게 설명된다. 시그마 결합에 공유된 결합 전자쌍은 양전하를 띤 핵에 가까이 위치하는 비결합 (고립) 전자쌍보다 중심 원자로부터 더 멀리 떨어져 있다. 따라서 VSEPR 이론은 고립 전자쌍에 의한 반발력이 결합 전자쌍에 의한 반발력보다 더 크다고 본다.[9]분자가 서로 다른 반발력의 두 가지 상호 작용을 가질 때, VSEPR 이론은 고립 전자쌍이 덜한 반발력을 받는 위치를 차지하는 구조를 예측한다. 고립 전자쌍–고립 전자쌍 (lp–lp) 반발력은 고립 전자쌍–결합 전자쌍 (lp–bp) 반발력보다 더 강하고, 이는 다시 결합 전자쌍–결합 전자쌍 (bp–bp) 반발력보다 더 강하다고 간주된다.[9] 이러한 반발력의 차이는 두 개 이상의 비등가 위치가 가능한 경우 전체 분자 구조에 대한 결정을 내리는 데 지침이 된다.[10]
예를 들어, 5개의 원자가 전자쌍이 중심 원자를 둘러싸고 있을 때, 삼각쌍뿔형 분자 구조를 취한다. 이때 두 개의 동선형 ''축'' 위치와 세 개의 ''적도'' 위치를 가지는데, 축 위치의 전자쌍은 90° 떨어진 세 개의 가까운 적도 이웃과 180° 떨어진 네 번째 이웃을 가지는 반면, 적도 전자쌍은 90° 떨어진 두 개의 인접 쌍과 120° 떨어진 두 개의 쌍만 가진다. 90° 떨어진 가까운 이웃으로부터의 반발력이 더 중요하므로, 축 위치가 적도 위치보다 더 많은 반발력을 경험한다. 따라서 고립 전자쌍이 있을 때, 이들은 적도 위치를 차지하는 경향이 있다.[10]
고립 전자쌍과 결합 전자쌍의 차이는 이상적인 분자 구조로부터의 편차를 합리화하는 데에도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H2O 분자는 원자가 껍질에 4개의 전자쌍, 즉 두 개의 고립 전자쌍과 두 개의 결합 전자쌍을 가지고 있다. 네 개의 전자쌍은 대략 정사면체의 꼭짓점을 향하도록 퍼져 있으나, 두 개의 O–H 결합 사이의 결합각은 109.5°의 정사면체가 아닌 104.5°인데, 이는 두 개의 고립 전자쌍이 두 개의 결합 전자쌍보다 더 큰 상호 반발력을 나타내기 때문이다.[9][10]
결합 차수가 높은 결합은 파이 결합 전자가 기여하므로 더 큰 반발력을 나타낸다.[10] 예를 들어, 아이소부틸렌, (H3C)2C=CH2에서 H3C−C=C 각도(124°)는 H3C−C−CH3 각도(111.5°)보다 크다. 그러나, 탄산염 이온 ()에서, 세 개의 C−O 결합은 공명 때문에 120°의 각도로 동일하다.
상세한 설명에서는, 상술한 차이점을 두 가지 규칙으로 대체한다.
- 벤트의 규칙: 더 전기적으로 양성인 배위자의 전자쌍보다 더 큰 반발을 일으킨다. 이는 왜 PClF₄ 중의 Cl이 적도 위치를 선호하며, 왜 이플루오린화 산소의 결합각(103.8°)이 물의 결합각(104.5°)보다 작은지를 설명한다. 비공유 전자쌍은 전기적으로 양성의 극단에 있는 "가상 배위자"에 의해 규칙이 지켜지고 있다고 생각할 수 있다.
- 더 높은 결합 차수는 더 큰 반발을 일으킨다. 이는 왜 포스겐에서 염소가 산소보다 전기적으로 양성임에도 불구하고, 산소–염소 결합각(124.1°)이 염소–염소 결합각(111.8°)보다 큰지를 설명한다. 탄산 이온에서는 공명 때문에 세 개의 결합각이 모두 동일하다.
4. AXE 표기법
원자가 껍질 전자쌍 반발(VSEPR) 이론에서 전자 개수를 세는 데는 일반적으로 "AXE 방법"이 사용된다. 이 표기법에서 A는 중심 원자를 나타내며, X는 중심 원자에 결합된 리간드를, E는 중심 원자의 고립 전자쌍을 나타낸다.[9] X와 E의 총합은 입체수라고 불린다.[49]
예를 들어, C2H4과 같은 알켄의 이중 결합 탄소는 AX3E0이지만, 결합 각도는 모두 정확히 120°는 아니다. 마찬가지로, SOCl2는 AX3E1이지만, X 치환체가 동일하지 않기 때문에 X–A–X 각도가 모두 같지는 않다.
입체수와 X 및 E의 분포에 따라 VSEPR 이론은 분자 구조와 전자 배치를 예측할 수 있다. 다음은 이에 대한 표이다.
분자 구조 | 분자 형태 | 전자 배치 (노란색은 비공유 전자쌍) | 분자의 모양 | 결합각 | 예시 |
---|---|---|---|---|---|
AX1En | 이원자 분자 | ![]() | 90° | HF、O2 | |
AX2E0 | 선형 분자 | ![]() | ![]() | 90° | BeCl2 |
AX2E3 | ![]() | 동등 | XeF2、I3- | ||
AX2E1 | 굽은형 분자 | ![]() | ![]() | 109.45° | NO2−、SO2、O3 |
AX2E2 | ![]() | 동등 | H2O、OF2 | ||
AX3E0 | 평면 삼각형 | ![]() | ![]() | 120° | BCl3 |
AX3E1 | 삼각뿔형 | ![]() | ![]() | 107° | NH3 |
AX3E2 | T자형 | ![]() | ![]() | ClF3 | |
AX4E0 | 사면체형 | ![]() | ![]() | CH4 | |
AX4E1 | 시소형 | ![]() | ![]() | SF4 | |
AX4E2 | 정사각형 평면 | ![]() | ![]() | XeF4 | |
AX5E0 | 삼각 이중뿔형 | ![]() | PCl5 | ||
AX5E1 | 사각뿔형 | ![]() | ![]() | ClF5、BrF5 | |
AX5E2 | 정오각형 평면 | ![]() | ![]() | XeF5- | |
AX6E0 | 팔면체형 | ![]() | ![]() | SF6 | |
AX6E1 | 오각뿔형 | ![]() | ![]() | XeF6 | |
AX7E0 | 오각 이중뿔형 | ![]() | ![]() | IF7 |
5. 분자 구조 예측
메테인 분자(CH4)는 네 쌍의 전자가 존재하기 때문에 정사면체 구조를 갖는다. 네 개의 수소 원자는 정사면체의 꼭짓점에 위치하며, 결합각은 cos−1(−) ≈ 109° 28′이다.[15][16] 이것은 AX4 유형의 분자로 지칭된다. A는 중심 원자를 나타내고 X는 외부 원자를 나타낸다.[9]
암모니아 분자(NH3)는 결합에 관여하는 세 쌍의 전자를 가지고 있지만, 질소 원자에는 비공유 전자쌍이 있다.[9] 이 비공유 전자쌍은 다른 원자와 결합하지 않지만, 반발력을 통해 전체적인 모양에 영향을 미친다. 메테인과 마찬가지로 네 개의 전자 밀도 영역이 있다. 따라서, 전자 밀도 영역의 전체적인 배향은 정사면체이다. 반면에, 외부 원자는 세 개뿐이다. 이것은 비공유 전자쌍을 E로 나타내기 때문에 AX3E 유형의 분자로 지칭된다.[9] 정의에 따르면, 분자 모양 또는 기하학은 원자핵의 기하학적 배열만을 설명하며, NH3의 경우 삼각뿔형이다.[9]
입체수 7 이상도 가능하지만, 흔하지 않다. 입체수 7은 아이오딘 헵타플루오라이드 (IF7)에서 나타나며, 입체수 7의 기본 기하학은 오각 이중뿔형이다.[10] 입체수 8의 가장 흔한 기하학은 정사각형 반각기둥 기하학이다.[17] 이의 예로는 팔시아노몰리브덴산염() 및 팔플루오르지르코늄산염() 음이온이 있다.[17] 논히드리도레늄산 칼륨의 논히드리도레늄 이온 ()은 입체수 9를 갖는 드문 화합물의 예로, 삼각 프리즘을 3개 덮은 형태의 기하학을 갖는다.[18][17]
입체수 9를 초과하는 경우는 매우 드물며, 일반적으로 어떤 기하학이 선호되는지 불분명하다.[19] 입체수 10, 11, 12 또는 14에 대한 가능한 기하학은 각각 자이로 연장 사각 이중뿔 (또는 2개의 덮개가 있는 십이각델타 면체), 십팔면체, 이코사헤드론, 그리고 2개의 덮개가 있는 육각 반각기둥이다. 단좌 배위자가 관련된 이러한 높은 입체수를 가진 화합물은 존재하지 않으며, 다좌 배위자가 관련된 화합물은 일부 다좌 배위자를 단위로 취급할 때 더 낮은 입체수를 가진 착물로 더 간단하게 분석할 수 있다.[17]
VSEPR 이론은 짝수 개의 전자를 갖지 않는 분자에 대해서도, 짝을 이루지 않은 전자를 "반쪽 전자쌍"으로 취급함으로써 확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질레스피와 니홀름[7]은 (180°), NO2 (134°), (115°) 일련의 결합각 감소는 주어진 결합 전자쌍이 한 개의 비결합 전자에 작용하는 반발력이 두 개의 비결합 전자에 작용하는 반발력보다 약하다는 것을 나타낸다고 제안했다. 사실, 그들은 이산화 질소를 AX2E0.5 분자로 간주했으며, 이는 와 사이의 중간 기하 구조를 갖는다. 마찬가지로, 이산화 염소 (ClO2)는 AX2E1.5 분자이며, 과 사이의 중간 기하 구조를 갖는다.
마지막으로, 메틸 라디칼 (CH3)은 메틸 음이온 ()과 같이 삼각뿔형으로 예측되지만, 삼각 평면형 메틸 양이온 ()과 같이 더 큰 결합각을 갖는다. 그러나 이 경우 VSEPR 예측은 정확하지 않으며, CH3는 실제로 평면형이지만, 뿔형 기하 구조로의 변형에는 매우 적은 에너지가 필요하다.[41]
5. 1. 주족 원소 화합물
주족 원소의 화합물은 0개에서 3개까지 변동할 수 있는 입체 화학적으로 활성인 비공유 전자쌍 ''E''를 가진다. 기하 구조는 전자 배열이 아닌 원자 위치에 따라 명명된다. 예를 들어, AX2E1을 구부러진 분자로 묘사하는 것은 비공유 전자쌍이 기하 구조를 결정하는 데 도움이 되지만 세 개의 원자 AX2가 한 직선상에 있지 않다는 것을 의미한다.[12][9]입체 수 | 분자 기하 구조[12] 비공유 전자쌍 0개 | 분자 기하 구조[9] 비공유 전자쌍 1개 | 분자 기하 구조[9] 비공유 전자쌍 2개 | 분자 기하 구조[9] 비공유 전자쌍 3개 |
---|---|---|---|---|
2 | ||||
3 | ||||
4 | ||||
5 | ||||
6 | ||||
7 | ||||
8 |
다음은 분자 유형에 따른 분자 모양, 전자 배열, 기하 구조 및 예시를 나타낸 표이다.
분자 유형 | 분자 모양[9] | 전자 배열[9] 비공유 전자쌍 포함, 노란색으로 표시 | 기하 구조[9] 비공유 전자쌍 제외 | 예시 |
---|---|---|---|---|
AX2E0 | 선형 | BeCl2,[2] CO2[10] | ||
AX2E1 | 굽은형 | ,[13] [13] | ||
AX7E0 | 오각 쌍뿔형[10] | IF7[10] | ||
AX8E0 | 사각 반각기둥형[10] | ![]() | , XeF82- in (NO)2XeF8 |
5. 2. 전이 금속 화합물
전이 금속 원자상의 고립 전자쌍은 보통 입체 화학적으로 비활성이어서, 고립 전자쌍의 존재가 분자 기하 구조를 변화시키지 않는다. 예를 들어, 헥사아쿠오 착물 M(H2O)6는 M = V3+, Mn3+, Co3+, Ni2+ 및 Zn2+에 대해 모두 팔면체 구조를 가지는데, 이는 중심 금속 이온의 전자 배치가 각각 d2, d4, d6, d8 및 d10이라는 사실에도 불구하고 나타나는 현상이다.[18] 케퍼트 모델은 전이 금속 원자상의 모든 고립 전자쌍을 무시하므로, 이러한 모든 원자 주변의 기하 구조는 고립 전자쌍 E가 없는 AXn에 대한 VSEPR 기하 구조에 해당한다.[14][18] 이는 종종 MLn으로 표기되며, 여기서 M = 금속이고 L = 리간드이다.케퍼트 모델은 2에서 9까지의 배위수에 대해 다음 기하 구조를 예측한다.
분자 유형 | 모양 | 기하 구조 | 예시 |
---|---|---|---|
ML2 | 선형 | HgCl2[2] | |
ML3 | 삼각 평면 | ||
ML4 | 사면체 | ||
캡핑된 팔면체 | ![]() | ||
캡핑된 삼각 프리즘 | ![]() | ||
ML8 | 사각 반각기둥[10] | ||
십이면체 | ![]() | ||
두 캡핑된 삼각 프리즘 | ![]() | ||
ML9 | 세 캡핑된 삼각 프리즘 | |110px]] | {{chem[18] |
캡핑된 사각 반각기둥 | ![]() |
6. VSEPR 이론의 한계와 예외
VSEPR 이론은 분자 구조를 예측하는 데 유용하지만, 몇 가지 한계와 예외가 존재한다.[20][21][22]
무거운 14족 원소의 알킨 유사체(RM≡MR, 여기서 M = Si, Ge, Sn 또는 Pb)는 굽은 형태로 계산된다.[20][21][22] AX2E2 구조의 예시인 산화 리튬(Li2O) 분자는 굽은 구조가 아닌 선형 구조를 가지는데, 이는 이온 결합성과 리튬-리튬 반발력 때문이다.[23] O(SiH3)2는 Si–O–Si 각도가 144.1°로, Cl2O (110.9°), (CH3)2O (111.7°), N(CH3)3 (110.9°)와 비교된다. 이는 중심 원자가 더 전기 음성적이고 비공유 전자쌍이 덜 국소화되어 반발력이 약하기 때문이다.[24] 또한, -SiH3 리간드의 크기로 인한 리간드-리간드 반발력도 영향을 미친다. Cl3Al–O–PCl3는 선형 Al–O–P 결합각을 가지므로 VSEPR 분자가 아니다.[25]
몇몇 AX6E1 분자(예: 육플루오린화 제논(XeF6), Te(IV) 및 Bi(III) 음이온)는 팔면체 구조를 가지며, 비공유 전자쌍이 VSEPR 이론의 예측만큼 구조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26] 옥타플루오린산 질소늄(VI)의 팔플루오린산 제논 이온([XeF8]2-)은 비공유 전자쌍이 있음에도 불구, 최소한의 변형을 가진 사각 반각기둥 구조이다.[18][27][28] 이는 리간드의 입체 혼잡으로 비공유 전자쌍이 들어갈 공간이 없거나[4] 비활성 전자쌍 효과 때문이다.[18]
케퍼트 모형은 ML₄ 전이 금속 분자가 사면체 형태라고 예측하지만, 사각형 평면 착물(예: 테트라클로로백금산 칼륨([PtCl4]2-)과 같은 d8 배치)의 형성은 설명할 수 없다.[18] 이는 결정장 이론을 이용해 전자 효과를 고려해야 설명 가능하다.[18]
낮은 d 전자수를 가진 일부 전이 금속 착물은 d 부껍질 결합 상호 작용으로 인해 특이한 기하 구조를 가진다.[29] 길레스피는 이러한 상호 작용이 구의 대극점을 차지하는 결합 쌍을 생성한다고 보았다.[30][3] 이는 sdx 혼성 궤도의 이중엽 형태에서 발생하는 전자 효과이다.[31][32]
분자 유형 | 모양 | 기하 구조 | 예시 |
---|---|---|---|
ML2 | 굽은형 | 이산화 티타늄(TiO2)[29] | |
ML3 | 삼각뿔형 | 산화 크롬(CrO3)[33] | |
ML4 | 사면체형 | 사염화 티타늄(TiCl4)[18] | |
ML5 | 사각뿔형 | 펜타메틸탄탈륨(Ta(CH3)5)[34] | |
ML6 | C3v 삼각 프리즘형 | ![]() | 헥사메틸텅스텐(W(CH3)6)[35] |
2족의 무거운 원소 할로겐화물(MX2)은 선형이 아닌 굽은 형태이다(예: CaF2, 145°; SrF2, 120°; BaF2, 108°).[36] 길레스피는 이를 금속 원자의 d 부껍질과의 결합 상호 작용으로 설명했다.[4][37]
상대론적 효과는 초중원소의 전자 궤도에 영향을 미쳐 분자 구조에 영향을 줄 수 있다. 니호늄의 NhF3는 T자형, 테네신의 TsF3는 삼각 평면 구조, 오가네손의 OgF4는 사면체 구조를 가질 것으로 예측된다.[38][39][40]
7. VSEPR 이론의 비판과 대체 이론
참조
[1]
서적
General, Organic, and Biological Chemistry
Cengage Learning
[2]
서적
Modern Inorganic Chemistry
https://archive.org/[...]
McGraw-Hill
[3]
간행물
Fifty years of the VSEPR model
[4]
간행물
A physical basis for the VSEPR model of molecular geometry
[5]
간행물
A New Simple Theory of Valency
[6]
간행물
Bakerian Lecture. Stereochemical Types and Valency Groups
[7]
간행물
Inorganic stereochemistry
[8]
간행물
The electron-pair repulsion model for molecular geometry
[9]
서적
General Chemistry: Principles and Modern Applications
Prentice-Hall
[10]
서적
Inorganic Chemistry
Prentice-Hall
[11]
서적
Inorganic Chemistry
Prentice-Hall
[12]
서적
General Chemistry: Principles and Modern Applications
Prentice-Hall
[13]
간행물
Mean amplitudes of vibration of the pentagonal pyramidal {{chem|XeOF|5|-}} and {{chem|IOF|5|2-}} anions
[14]
간행물
Book reviews: Inorganic Stereochemistry (by David L. Kepert)
https://journals.iuc[...]
2020-09-14
[15]
간행물
Valence Angle of the Tetrahedral Carbon Atom
[16]
Webarchive
"Angle Between 2 Legs of a Tetrahedron"
http://maze5.net/?pa[...]
2018-10-03
[17]
서적
Inorganic Chemistry
Academic Press
[18]
서적
Inorganic Chemistry
Pearson
2005
[19]
서적
Inorganic Chemistry
null
University Science Books
2000
[20]
간행물
Silicon, germanium, tin and lead analogues of acetylenes
2003-09
[21]
간행물
Triple bonds between heavier Group 14 elements. A theoretical approach
2000-10-06
[22]
간행물
A Stable Compound Containing a Silicon–Silicon Triple Bond
http://people.ok.ubc[...]
2004-09
[23]
간행물
A spectroscopic determination of the bond length of the LiOLi molecule: Strong ionic bonding
[24]
간행물
Models of molecular geometry
[25]
간행물
Isolation and comprehensive solid state characterization of Cl3Al–O–PCl3
https://doi.org/10.1[...]
2024-04-03
[26]
서적
Structural Inorganic Chemistry
Oxford Science Publications
1984
[27]
간행물
Antiprismatic Coordination about Xenon: the Structure of Nitrosonium Octafluoroxenate(VI)
1971-09
[28]
서적
Molecular origami: precision scale models from paper
University Science Books
[29]
간행물
"Non-VSEPR" Structures and Bonding in d0 Systems
http://www.chimdocet[...]
[30]
간행물
An Electron Localization Function Study of the Geometry of d0 Molecules of the Period 4 Metals Ca to Mn
[31]
간행물
Making sense of the shapes of simple metal hydrides
[32]
간행물
Structure of W(CH3)6
[33]
간행물
Probing the Electronic and Structural Properties of Chromium Oxide Clusters {{chem|(CrO|3|)|''n''|-}} and (CrO3)''n'' (''n'' = 1–5): Photoelectron Spectroscopy and Density Functional Calculations
[34]
간행물
Atomic orbitals, symmetry, and coordination polyhedra
[35]
간행물
The coordination geometry of gaseous hexamethyltungsten is not octahedral
[36]
문서
"#REDIRECT"
[37]
논문
Ab initio model potential study of the equilibrium geometry of alkaline earth dihalides: MX2 (M=Mg, Ca, Sr, Ba; X=F, Cl, Br, I)
https://repositorio.[...]
[38]
논문
The chemistry of superheavy elements. III. Theoretical studies on element 113 compounds
1999
[39]
논문
Spin−Orbit and Relativistic Effects on Structures and Stabilities of Group 17 Fluorides EF3 (E = I, At, and Element 117): Relativity Induced Stability for the ''D3h'' Structure of (117)F3
2003-01-18
[40]
논문
Structures of RgFn (Rg = Xe, Rn, and Element 118. n = 2, 4.) Calculated by Two-component Spin-Orbit Methods. A Spin-Orbit Induced Isomer of (118)F4
1999
[41]
서적
Modern Physical Organic Chemistry
University Science Books
2006
[42]
서적
Modern Inorganic Chemistry
McGraw-Hill
[43]
서적
General, Organic, and Biological Chemistry
Cengage Learning
[44]
논문
新簡易原子價論
[45]
논문
Bakerian Lecture. Stereochemical Types and Valency Groups
http://rspa.royalsoc[...]
[46]
논문
Inorganic stereochemistry
[47]
논문
The electron-pair repulsion model for molecular geometry
[48]
논문
Rabbit-ears hybrids, VSEPR sterics, and other orbital anachronisms
http://xlink.rsc.org[...]
2014-10-08
[49]
서적
General Chemistry: Principles and Modern Applications
Prentice-Hall
[50]
서적
Inorganic Chemistry
Prentice-Hall
[51]
서적
Modern Inorganic Chemistry
https://archive.org/[...]
McGraw-Hill
[52]
논문
Bakerian Lecture. Stereochemical Types and Valency Groups
http://rspa.royalsoc[...]
[53]
논문
Inorganic stereochemistry
[54]
논문
The electron-pair repulsion model for molecular geometry
[55]
서적
General Chemistry: Principles and Modern Applications
https://archive.org/[...]
Prentice-Hall
[56]
서적
General Chemistry: Principles and Modern Applications
https://archive.org/[...]
Prentice-Hall
[57]
서적
Inorganic Chemistry
https://archive.org/[...]
Prentice-Hall
[58]
논문
Mean amplitudes of vibration of the pentagonal pyramidal {{chem|XeOF|5|-}} and {{chem|IOF|5|2-}} anions
[59]
서적
Inorganic Chemistry
Pearson
200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