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원죄 없이 잉태되신 성모 국립 대성당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원죄 없이 잉태되신 성모 국립 대성당은 미국 워싱턴 D.C.에 위치한 비잔틴-로마네스크 양식의 가톨릭 대성당이다. 1792년 미국을 원죄 없이 잉태되신 복되신 동정 마리아의 보호 아래 봉헌한 것을 기념하여 건립되었으며, 1913년 제안을 시작으로 1959년 상층부 봉헌, 2017년 삼위일체 돔 완공을 통해 건축이 마무리되었다. 대성당은 다양한 예술 작품과 모자이크로 장식되어 있으며, 미국 가톨릭 대학교와 미국 가톨릭 주교회의를 지원하며, 미국 전역의 가톨릭 단체를 위한 미사를 주최하는 등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공식 웹사이트에 알 수 없는 변수를 사용한 문서 - 브루클린 미술관
    브루클린 미술관은 1823년 브루클린 견습생 도서관으로 시작하여 현재 약 50만 점의 소장품을 보유한 뉴욕 브루클린 소재의 미술관으로, 다양한 분야의 예술 작품을 전시하며 특히 아프리카 미술과 여성주의 미술에 대한 기여가 크다.
  • 공식 웹사이트에 알 수 없는 변수를 사용한 문서 - 광주지방기상청
    광주지방기상청은 광주광역시와 전라남도 지역의 기상 예보, 특보, 관측, 기후 정보 제공 등의 업무를 수행하는 기상청 소속 기관으로, 1949년 광주측후소로 설치되어 1992년 광주지방기상청으로 개편되었으며, 기획운영과, 예보과, 관측과, 기후서비스과와 전주기상지청, 목포기상대를 두고 있다.
원죄 없이 잉태되신 성모 국립 대성당 - [지명]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2010년 남쪽에서 바라본 모습. 정문, 장미 창문, 돔, 종탑이 보인다.
2010년 남쪽에서 바라본 모습. 정문, 장미 창문, 돔, 종탑이 보인다.
다른 이름미국의 국립 및 수호 성당
위치미국 워싱턴 D.C. 북동 미시간 애비뉴 400번지
좌표38° 56′ 0″ N, 77° 0′ 02″ W
종파가톨릭교회
전례로마 전례
다양한 동방 가톨릭 전례
웹사이트nationalshrine.org
지위소 바실리카
국립 성지
봉헌 대상원죄 없이 잉태되신 성모 마리아
축성일1920년 9월 23일
봉헌일1959년 11월 20일
건축가Maginnis & Walsh
건축 양식비잔틴 리바이벌 건축
로마네스크 리바이벌 건축
기공일1920년 5월 16일
완공일2017년 12월 8일
수용 인원10,000명
(9,000명: 대성전)
(1,000명: 지하 성당)
길이140m
너비73m
본당 너비48m
최대 높이100m
돔 외부 높이72m
돔 내부 높이48m
돔 외부 지름33m
돔 내부 지름27m
관구워싱턴 대교구
대주교윌턴 다니엘 그레고리
주임 사제월터 R. 로시
사제월터 R. 로시
비토 A. 부오난노
이스마엘 N. 아얄라
레이먼드 A. 르브룬
오르간 연주자피터 J. 라토나
벤자민 라프리에
앤드루 부
로버트 그로건 (카리용 연주자)
음악 감독피터 J. 라토나
벤자민 라프리에 (부감독)
원죄 없이 잉태되신 성모 국립 대성당 문장
원죄 없이 잉태되신 성모 국립 대성당 문장

2. 역사

1792년 미국 최초의 가톨릭 주교인 존 캐롤 볼티모어 주교는 신생국 미국을 원죄 없이 잉태되신 복되신 동정 마리아의 보호 아래 봉헌했다.[26] 1846년 제6차 볼티모어 지방 공의회는 "죄 없이 잉태되신 동정 마리아"를 미국의 주요 수호 성녀로 재확인했고, 교황 비오 9세는 1847년 2월 7일 이를 공식 승인, 그해 7월 2일에 공표하였다.[26] 이후 수년간 미국에서는 성모 마리아를 기리기 위해 대성당을 건립하자는 논의가 이루어졌다.[26]

대성당 내부


1913년 미국 가톨릭 대학교의 총장이었던 토머스 조셉 샤한 주교는 워싱턴 D.C.에 국립 대성당 건립을 제안했고, 교황 비오 10세는 이 제안을 지지하며 개인적으로 400달러를 기부했다.[26] 샤한 주교는 미국 가톨릭 대학교 소유의 땅 서남쪽을 대성당 부지로 기부해줄 것을 이사회에 요청하였다. 1914년 1월 샤한 주교는 대성당 건립 계획을 널리 알리기 위해 소식지 《살베 레지나(Salve Regina)》를 창간하여 미국 전역의 교구에 배포하였고, 이를 통해 대성당 건립을 위한 기부금이 워싱턴 D.C.로 쏟아져 들어왔다.

1915년 대성당의 주임사제로 필라델피아 교구의 버나드 맥케나 신부가 임명되면서 샤한 주교의 꿈은 한걸음 더 나아가게 되었다. 1919년 샤한 주교와 맥케나 신부는 마기니스 앤 월시 건축회사에 대성당 건축 설계를 위탁하였다. 처음에는 전통적인 고딕 건축 양식으로 대성당을 지으려고 하였다. 하지만 대성당이 보다 웅장하고 화려하기를 원했던 샤한 주교는 고딕 양식 대신에 하기아 소피아 대성당과 비슷한 비잔틴-로마네스크 양식으로 짓기로 하였다.[27] 제임스 기번스 추기경은 1920년 9월 23일 대성당의 주춧돌을 축복하였다. 이날 거행된 미사에는 미국 정부 관료들과 군 장교들, 외국 대사들 그리고 그 밖의 여러 저명인사들을 포함하여 약 만 명이 넘는 인파가 참석하였다.

1929년 대공황의 여파로 지하실 상층부 건설이 중단되었다. 또한 미국이 제2차 세계대전에 참전하게 되면서 대성당 공사는 더욱 불투명해지게 되었다. 세계대전이 종결된 후 1953년에 포트웨인 대교구장 존 놀 대주교와 워싱턴 D.C. 대교구장 패트릭 오보일의 지휘 아래 미국의 주교들은 대성당의 짓지 못한 남은 부분을 완공하는데 필요한 모금을 모으기로 결의하였다. 1959년 11월 20일 수천 명의 가톨릭 신자들이 주교들이 집전하는 대성당 상층 부분 봉헌식 자리에 참석하였다.

대성당 지하실에는 1968년 이래 교황 바오로 6세의 삼중관이 보관되어 있다. 1990년에 교황 요한 바오로 2세는 원죄 없이 잉태되신 성모 국립 대성당을 미국의 36번째 바실리카 성당으로 명명하였다.[28]

성모 국립 대성당의 설립자인 토마스 조셉 셰이언 주교의 무덤


2006년 8월 수년간에 걸친 작업 끝에 대성당 상층부 돔의 모자이크 작업이 완료되었다. 2007년 여름 공사를 마친 돔은 같은 해 11월 17일에 축성을 받았으며[29], 미국 가톨릭 대학교는 삼위일체 돔을 덮을 모자이크 그림 설계 공모전을 열었다. 2006년 대성당 지하실에 라방의 성모를 기념하는 작은 경당이 완공되었다.[30]

2008년 미국을 사목 방문한 교황 베네딕토 16세는 원죄 없이 잉태되신 성모 국립 대성당을 찾아 황금 장미장을 하사하였다.[31]

2. 1. 미국의 수호성인

1792년, 미국 최초의 가톨릭 주교인 존 캐롤 볼티모어 주교는 신생국 미국을 원죄 없이 잉태되신 복되신 동정 마리아의 보호 아래 봉헌했다.[26] 1846년, 제6차 볼티모어 지방 공의회는 "죄 없이 잉태되신 동정 마리아"를 미국의 주요 수호 성녀로 재확인했고, 교황 비오 9세는 1847년 2월 7일 이를 공식 승인, 그해 7월 2일에 공표하였다.[26] 이후 수년간 미국에서는 성모 마리아를 기리기 위해 대성당을 건립하자는 논의가 이루어졌다.[26]

2. 2. 건립 과정 (20세기)



1913년, 미국 가톨릭 대학교의 총장이었던 토머스 조셉 샤한 주교는 워싱턴 D.C.에 국립 대성당 건립을 제안했고, 교황 비오 10세는 이 제안을 지지하며 개인적으로 400달러를 기부했다.[26] 샤한 주교는 미국 가톨릭 대학교 소유의 땅 서남쪽을 대성당 부지로 기부해줄 것을 이사회에 요청하였다. 1914년 1월, 샤한 주교는 대성당 건립 계획을 널리 알리기 위해 소식지 《살베 레지나(Salve Regina)》를 창간하여 미국 전역의 교구에 배포하였고, 이를 통해 대성당 건립을 위한 기부금이 워싱턴 D.C.로 쏟아져 들어왔다.[10]

1919년, 샤한 주교와 버나드 맥케나 신부는 마기니스 앤 월시 건축회사에 대성당 건축 설계를 위탁하였다. 처음에는 고딕 건축 양식으로 대성당을 지으려고 하였으나, 샤한 주교는 하기아 소피아 대성당과 비슷한 비잔틴-로마네스크 양식으로 변경하였다.[27] 제임스 기번스 추기경은 1920년 9월 23일 대성당의 주춧돌을 축복하였고, 이날 미사에는 미국 정부 관료들과 군 장교들, 외국 대사들 그리고 여러 저명인사들을 포함하여 약 만 명이 넘는 인파가 참석하였다. 1924년 4월 20일에는 성지에서 최초의 공개 미사가 미완성 지하 교회에서 열렸다.

1929년 대공황과 제2차 세계 대전의 발발은 건설을 중단시켰다. 1953년, 존 놀 대주교와 패트릭 오보일 대주교의 지휘 아래 미국의 주교들은 대성당 완공에 필요한 모금을 모으기로 결의하였고, 1954년 11월 15일, 성지 건설이 재개되었다. 마침내 1959년 11월 20일, 대성당 상층 부분이 완공되어 봉헌식이 거행되었다.

1968년, 교황 바오로 6세의 삼중관이 대성당 지하실에 보관되었다.[12] 1990년, 교황 요한 바오로 2세는 대성당을 바실리카로 격상시켰다.[28]

2. 3. 완공 (21세기)

2006년, 상층부 돔의 모자이크 작업이 완료되었고, 라방의 성모를 기념하는 경당이 완공되었다.[14] 2008년, 교황 베네딕토 16세는 미국 방문 중 대성당에 황금 장미장을 수여했다.[15] 2011년에는 레바논의 성모에게 헌정된 새로운 예배당이 건립되었으며, 마론파 교회의 신자들을 기념하기 위해 성 마론과 십자가형의 모자이크는 추기경 도널드 워얼이 기증했다. 이 예배당은 2011년 9월 23일 마론파 주교 그레고리 존 만수르에 의해 정식으로 축성되었다.[16] 2013년, 성녀 카테리 테카위타와 성녀 마리안 코프의 1급 유물 2점이 봉안되었다.[17] 2015년, 교황 프란치스코는 대성당에서 성 후니페로 세라의 시성 미사를 집전했다.[18] 2017년 12월 8일, 원죄 없이 잉태되신 복되신 동정 마리아 대축일에, 24톤의 베네치아 유리로 만들어져 세계에서 가장 큰 종류의 모자이크 중 하나인 중앙 ''삼위일체 돔''이 도널드 워얼 추기경에 의해 봉헌되고 엄숙하게 축복되며 대성당 건축이 최종적으로 마무리되었다.[20] 2016년 2월 20일에는 미국 대법원 판사 안토닌 스칼리아의 장례 미사가 거행되었으며, 그의 아들인 폴 스칼리아 신부가 집전했다.[19]

3. 건축

대성당은 비잔틴-로마네스크 양식의 웅장한 건축물로, 다양한 예술 작품들을 소장하고 있다.

== 외관 ==

대성당의 외관은 길이 140미터, 폭 73미터이며, 돔 꼭대기에 있는 십자가까지 포함한 높이는 72미터에 달한다.[23] 대성당의 중앙 돔 직경은 미국 국회의사당 돔보다 2.1미터 작다. 대성당은 중세 성당 양식으로 지어졌으며, 철근과 강화 콘크리트 대신 석조물로 쌓아올린 벽과 기둥을 사용했다.[24] 2천명 이상을 수용할 수 있는 회중석, 지하 식당, 내장형 공중 스피커 시스템, 에어컨, 그리고 1959년 당시 세계에서 가장 큰 라디에이터 온열기 등 편의시설도 설치되었다.[24]

대성당 북쪽에 있는 마리아 정원에서 바라본 대성당의 외관.


== 내부 ==

대성당 내부는 그리스 양식을 따르며, 이탈리아 베네치아산마르코 대성당과 유사하지만 더 많은 모자이크화로 장식되어 있다.[5] 모자이크는 전통적인 가톨릭 이미지를 미국식으로 표현한 것이다.[5] 대성당 북쪽 애프스의 대형 모자이크화를 포함한 장식의 대부분은 대성당의 성화상 전담 위원회장을 맡은 예술가 얀 헨리크 드 로젠의 작품이다.[5]

아치에는 보는 방향에 따라 색깔이 변하는 타일로 장식되었으며 천장에는 거대한 원형 메달들이 설치되어 있다.[25] 무지개 빛깔의 페와빅 도자기 타일로 윤곽을 그린 아치, 천장에 설치된 대형 세라믹 메달, 지하 성당의 14개의 십자가의 길이 있다.[9] 또한, 대성당 지하실에는 그리스도의 수난을 나타내는 십자가의 길 14처 조각상이 설치되어 있다.[25]

대성당은 위대한 상부 성당과 지하 성당의 측면에 위치한 82개의 마리아 경당 (아프리카의 어머니 경당 포함)과 기타 성스러운 이미지를 소장하고 있다.[5]

== 트리니티 돔 ==

대성당의 중앙 돔은 미국 국회의사당의 돔보다 직경이 2.1미터 작다.[23] 돔의 외부는 루도비치 루프 타일로 덮여 있으며, 파란색(성모 마리아를 상징), 노란색(히브리 교회 건축물), 빨간색(그리스도의 피를 상징), 회색 타일을 사용하여 성경 패턴을 형상화했다.

3. 1. 외관

대성당의 외관은 길이 140미터, 폭 73미터이며, 돔 꼭대기에 있는 십자가까지 포함한 높이는 72미터에 달한다.[23] 대성당의 중앙 돔 직경은 미국 국회의사당 돔보다 2.1미터 작다. 대성당은 중세 성당 양식으로 지어졌으며, 철근과 강화 콘크리트 대신 석조물로 쌓아올린 벽과 기둥을 사용했다.[24] 2천명 이상을 수용할 수 있는 회중석, 지하 식당, 내장형 공중 스피커 시스템, 에어컨, 그리고 1959년 당시 세계에서 가장 큰 라디에이터 온열기 등 편의시설도 설치되었다.[24]

3. 2. 내부

대성당 내부는 그리스 양식을 따르며, 이탈리아 베네치아산마르코 대성당과 유사하지만 더 많은 모자이크화로 장식되어 있다.[5] 모자이크는 전통적인 가톨릭 이미지를 미국식으로 표현한 것이다.[5] 대성당 북쪽 애프스의 대형 모자이크화를 포함한 장식의 대부분은 대성당의 성화상 전담 위원회장을 맡은 예술가 얀 헨리크 드 로젠의 작품이다.[5]

아치에는 보는 방향에 따라 색깔이 변하는 타일로 장식되었으며 천장에는 거대한 원형 메달들이 설치되어 있다.[25] 무지개 빛깔의 페와빅 도자기 타일로 윤곽을 그린 아치, 천장에 설치된 대형 세라믹 메달, 지하 성당의 14개의 십자가의 길이 있다.[9] 또한, 대성당 지하실에는 그리스도의 수난을 나타내는 십자가의 길 14처 조각상이 설치되어 있다.[25]

대성당은 위대한 상부 성당과 지하 성당의 측면에 위치한 82개의 마리아 경당 (아프리카의 어머니 경당 포함)과 기타 성스러운 이미지를 소장하고 있다.[5]

3. 3. 트리니티 돔

대성당의 중앙 돔은 미국 국회의사당의 돔보다 직경이 2.1미터 작다.[23] 돔의 외부는 루도비치 루프 타일로 덮여 있으며, 파란색(성모 마리아), 노란색(히브리 교회 건축물), 빨간색(그리스도의 피), 회색 타일을 사용하여 성경 패턴을 형상화했다.

4. 현대적 의의

4. 1. 역할

대성당은 워싱턴 대교구 내에 있지만, 교구 성당은 아니며 자체 교구 공동체를 가지고 있지 않다. 성당 관리는 지역 대주교의 직접적인 권한 하에 있지 않다. 하지만 건축 부지를 기증한 미국 가톨릭 대학교와 미국 가톨릭 주교회의를 지원한다. 또한 미국 전역의 다양한 가톨릭 단체를 위한 미사를 주최한다. 성 마태 사도 대성당이 주교좌 성당이지만, 수많은 대교구 행사가 대성당에서 열린다. 2022년 현재, 대성당의 관장은 월터 R. 로시 몬시뇰 신부이다.

4. 2. 편의 시설

4. 3. 교통

5. 주요 성직자 및 직원


  • 월터 R. 로시 주임 신부가 있다.
  • 비토 A. 부오난노 순례 담당 신부가 있다.
  • 이스마엘 N. 아얄라 전례 담당 신부가 있다.
  • 레이먼드 A. 르브룬 영적 지도 신부가 있다.
  • 다니엘 맥그리거 — 회계감사관 겸 최고재무책임자
  • 제럴딘 M. 로흘링 — 명예 기록 보관인 겸 큐레이터
  • 피터 J. 라토나 — 음악 감독
  • 벤자민 라프라리에 — 부 음악 감독
  • 앤드류 부 — 부 오르가니스트
  • 로버트 그로건 — 캐릴로니스트 겸 명예 오르가니스트
  • 디 스틸 — 방문객 서비스 담당 이사
  • 재클린 헤이즈 — 홍보 담당 이사
  • 에이미 말로니 — 국립 성당 상점 매니저
  • 발렌시아 이본 캠프 — 특별 행사 담당 이사 및 운영 매니저

5. 1. 성직자


  • 월터 R. 로시 주임 신부가 있다.
  • 비토 A. 부오난노 순례 담당 신부가 있다.
  • 이스마엘 N. 아얄라 전례 담당 신부가 있다.
  • 레이먼드 A. 르브룬 영적 지도 신부가 있다.

5. 2. 직원


  • 다니엘 맥그리거 — 회계감사관 겸 최고재무책임자
  • 제럴딘 M. 로흘링 — 명예 기록 보관인 겸 큐레이터
  • 피터 J. 라토나 — 음악 감독
  • 벤자민 라프라리에 — 부 음악 감독
  • 앤드류 부 — 부 오르가니스트
  • 로버트 그로건 — 캐릴로니스트 겸 명예 오르가니스트
  • 디 스틸 — 방문객 서비스 담당 이사
  • 재클린 헤이즈 — 홍보 담당 이사
  • 에이미 말로니 — 국립 성당 상점 매니저
  • 발렌시아 이본 캠프 — 특별 행사 담당 이사 및 운영 매니저

참조

[1] 웹사이트 Architectural Details of the Basilica https://www.national[...] 2019-03-15
[2] 웹사이트 20 Largest Churches in the World https://vocal.media/[...] 2020-07-28
[3] 웹사이트 Basilica of the National Shrine of the Immaculate Conception http://www.nationals[...]
[4] 웹사이트 The National Shrine 2011-07-23
[5] 뉴스 National Shrine of the Immaculate Conception https://www.washingt[...] 2005-04
[6] 웹사이트 Architectural Style 2009-03-24
[7] 뉴스 About the cover https://archive.org/[...] Cahners 1960-07
[8] 뉴스 National Catholic Shrine Will be Dedicated Nov. 20 https://news.google.[...] 1959-11-08
[9] 뉴스 Historian, Print Specialist Begin Museum Duties https://news.google.[...] 1977-07-05
[10] 서적 The Visual Culture of American Religions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020-11-24
[11] 문서 Morgan (2001), p. 79.
[12] 뉴스 Spellman's Surprise: Pope's Tiara Is Here https://www.nytimes.[...] 1964-12-01
[13] 뉴스 A Work of Art in Many Pieces https://www.washingt[...] 2007-06-23
[14] 뉴스 Vietnamese Catholics Gather at National Shrine to celebrate their faith http://www.vietcatho[...] 2008-06-27
[15] 뉴스 Pope, US bishops exchange gifts http://www.catholicc[...] CatholicCulture.org 2008-04-17
[16] 뉴스 New chapel dedicated to Our Lady of Lebanon at national shrine https://www.archbalt[...] 2011-09-26
[17] 뉴스 Native Americans celebrate faith, spirituality at Tekakwitha gathering http://www.catholics[...] 2013-07-23
[18] 뉴스 An altar for Pope Francis: CUA students' design to enliven DC Mass https://www.catholic[...] 2015-06-08
[19] 뉴스 At funeral Mass, Justice Scalia eulogized as a man of faith as well as law https://www.usatoday[...] 2016-02-20
[20] 뉴스 After a century, the largest Catholic church in North America is finally complete https://www.usatoday[...] 2017-12-09
[21] 웹인용 Basilica of the National Shrine of the Immaculate Conception http://www.nationals[...] National Shrine 2011-07-23
[22] 웹인용 The National Shrine http://skyscraperpag[...] SkyscraperPage.com 2011-07-23
[23] 웹인용 Architectural Style http://www.nationals[...] 2009-03-24
[24] 뉴스 National Catholic Shrine Will be Dedicated Nov. 20 http://news.google.c[...] 리딩 이글 1959-11-08
[25] 뉴스 Historian, Print Specialist Begin Museum Duties http://news.google.c[...] 톨레도 블레이드 1977-07-05
[26] 서적 The Visual Culture of American Religions http://books.googl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001
[27] 문서 Morgan (2001), p. 79.
[28] 뉴스 Lady Bird Johnson, former first lady, dies at 94, Catholic priest at her bedside http://www.catholic.[...] 가톨릭 뉴스 서비스 2007-07-12
[29] 뉴스 A Work of Art in Many Pieces http://www.washingto[...] 워싱턴 포스트 2007-06-23
[30] 뉴스 Vietnamese Catholics Gather at National Shrine to celebrate their faith http://www.vietcatho[...] 가톨릭 스탠다드 2008-06-27
[31] 뉴스 Pope, US bishops exchange gifts http://www.catholicc[...] CatholicCulture.org 2008-04-1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