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월간 소년 간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월간 소년 간간은 1991년 에닉스(현 스퀘어 에닉스)에서 창간된 일본의 월간 소년 만화 잡지이다. 드래곤 퀘스트 시리즈의 성공을 기반으로 출판 부문의 수익 안정을 위해 창간되었으며, 초등학교 고학년부터 중학생을 주요 독자층으로 삼았다. 한때 1000페이지가 넘는 두께로 유명했으며, '강철의 연금술사'의 연재 종료 이후 판매량이 감소했으나, 현재도 다양한 작품을 연재하며, 간간 코믹스라는 단행본 레이블을 통해 작품을 출판하고 있다. 이 잡지에서 연재된 많은 작품들이 TV 애니메이션, 극장판 애니메이션, 드라마, 실사 영화 등으로 제작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스퀘어 에닉스의 만화 잡지 - 월간 G 판타지
    스퀘어 에닉스에서 발행하는 월간 만화 잡지 월간 G 판타지는 1993년 월간 강강 판타지로 창간하여 1994년 현재의 이름으로 변경되었으며, G 판타지 코믹스 레이블로 단행본이 간행되고 다양한 미디어 믹스 작품을 배출했다.
  • 스퀘어 에닉스의 만화 잡지 - 영 간간
    영 간간은 2004년 창간된 일본의 격주간 만화 잡지로, 자매지 출신 작가들의 판타지, 코미디 작품과 그라비아 아이돌 화보를 싣는 특징이 있으며, 연재작 중 상당수가 영상화되었다.
  • 1991년 창간 - 중부일보
    중부일보는 1991년 창간된 경기지역 기반 일간신문으로, 디지털 전환, 지역밀착 보도, 사회공헌 활동, JTBC와의 제휴, 탐사보도 및 팩트체크 분야에서 활동하고 있다.
  • 1991년 창간 - 얼루어
    얼루어는 콩데 나스트가 1991년 창간한 미국의 미용 잡지로, 건강 문제 보도와 다양한 미용 브랜드 소개로 사회적 영향력을 확대하고 다양성과 포용성을 증진하며 높은 평가를 받았으나, 2022년 디지털 전환을 발표하고 윤리적 문제에 대한 비판도 받고 있다.
  • 월간 잡지 - 플레이보이
    플레이보이는 휴 헤프너가 1953년 창간한 미국의 남성 잡지로, 마릴린 먼로 누드 사진 게재로 성공을 거두고 '플레이보이 철학' 칼럼으로 사회 담론을 형성했으나, 경쟁 심화, 사회 변화, 여성 혐오 논란 등으로 부침을 겪으며 디지털 시대에 적응하려 노력하고 있다.
  • 월간 잡지 - 월간 코로코로 코믹
    《월간 코로코로 코믹》은 쇼가쿠칸에서 1977년 창간되어 『도라에몽』 연재를 시작으로 남자 초등학생을 주요 독자층으로 확보하며 성장한 일본의 소년 만화 잡지이다.
월간 소년 간간
잡지 정보
잡지 이름월간 소년 간간
잡지 약칭간간
장르만화 잡지
독자 대상중학생 남녀
간행 빈도월간 → 월 2회간 (제2・제4 금요일) → 월간 (매월 12일 발매)
언어일본어
출판사스퀘어 에닉스 (구 에닉스)
편집부 이름소년 간간 편집부
발행인마쓰우라 가쓰요시
편집인 1 직책편집인
편집인 1 이름시모무라 유이치
잡지 이름 코드487
간행 기간1991년 3월 12일 (1991년 4월호) -
발행 부수추정 3만
발행 부수 조사 년월2014년
발행 부수 조사 기관전국출판협회・출판과학연구소
레이블간간 코믹스 (GC)
자매지월간 G 판타지
월간 간간 JOKER
영 간간
간간 ONLINE ※웹 코믹 전달 사이트
웹사이트월간 소년 간간
월간 소년 간간 로고

2. 역사

1991년 3월 12일, 초등학생 고학년부터 중학생을 대상으로 '월간 소년 간간'이 창간되었다.[3][10][11] 창간 당시에는 발매 전이었던 드래곤 퀘스트 V 천공의 신부의 최신 정보를 매 호마다 게재하고,[10] 해당 게임 카세트의 독자 선물 기획을 통해 게임 유저들의 관심을 끌었다.[11] 창간 반년 후 발행 부수는 약 30만 부였다.[11]

창간 초기에는 드래곤 퀘스트 열전 로토의 문장, 남국 소년 파푸와 군이 큰 인기를 얻었다. 하멜른의 바이올린 연주자, 돌격! 팟파라대, 마법진 구루구루 등 장기간 '월간 소년 간간'을 대표할 작품들도 등장하기 시작했다.

당시에는 20년 정도 월간 만화 잡지 창간의 성공 사례가 없었기 때문에, 출판 관계자들은 '월간 소년 간간'의 성공에 놀라움을 표했다.[12] 오오츠카 에이지는 1994년경부터 게임 계열 만화 잡지가 잇달아 창간된 것이 에닉스의 성공에 영향을 받았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13] 창간 이후의 성공 요인으로는 드래곤 퀘스트의 요소를 전면에 내세워 게임 유저를 공략한 점과, 드래곤 퀘스트 신작 정보를 다룬 점이 주로 꼽힌다.[14][15]

1998년 4월에는 다시 월간으로 돌아왔고, 편집장이 호사카 요시히로에서 이이다 요시히로로 바뀌었다. 재월간화 이후에는 『지켜줘 수호월천!』, 『시간의 대지』, 『정글은 언제나 하레와 구우』, 『스타 오션 세컨드 스토리』 등 여성 만화가들의 작품이 인기를 얻었다.

2001년 편집부 내의 갈등으로 호사카 요시히로가 퇴사하고, 신회사 매그 가든을 설립하면서 가문 내 분쟁이 발생한다.[3]

2003년 4월 1일, 에닉스와 스퀘어가 합병하여 스퀘어 에닉스가 되었다.

2010년 7월호는 『강철의 연금술사』 최종회 게재로 전국 서점에서 『월간 소년 간간』이 품절되는 사태가 벌어졌다. 이에 대한 대응으로 같은 해 9월호에도 최종회를 재수록했다.[24]

2016년 5월호에서 창간 25주년을 맞아 로고와 종이를 변경하여 리뉴얼을 진행했고, 2017년 3월호부터 전자판 배포를 시작했다.[1]

2021년 창간 30주년을 맞았다.[1] 2021년 12월 10일, 아라카와 히로무가 『요미의 츠가이』 연재를 2022년 1월호부터 시작했다.[1]

2. 1. 창간 이전

게임 제작사 에닉스는 드래곤 퀘스트 등 게임 판매에 의존한 수익 구조를 바꾸고 수입을 안정시키기 위해 출판 부문에 진출했다.[5][6]。 장차 게임 소프트 사업 다음의 주력 부문을 목표로 했다.[7]

초기에는 공략본 등 『드래곤 퀘스트』를 중심으로 한 서적을 간행했다. 1990년경에는 이미 만화 잡지 발행 기획이 진행되었으며,[8] 1990년에 출판한 만화 앤솔로지 『드래곤 퀘스트 4컷 만화 극장』은 호평을 받아 시리즈화되었다. 1991년 말까지 판매된 시리즈 누계는 500만 부에 육박하는 등 상당한 인기를 얻었다.[9]。 그와 동시에 신인상 상금 총액 1000만을 걸고 '에닉스 판타지 코믹 대상'을 개최했다. 이 상을 수상한 와타나베 미치아키, 니시카와 히데아키, 시바타 아미 등의 만화가들이 훗날 간간에서 집필하게 된다. 수상 작품은 후에 '코믹 판타지 월드'로 단행본화되었다.

2. 2. 창간과 인기

1991년 3월 12일, 초등학생 고학년부터 중학생을 대상으로 '월간 소년 간간'이 창간되었다.[3][10][11] 창간 당시에는 발매 전이었던 드래곤 퀘스트 V 천공의 신부의 최신 정보를 매 호마다 게재하고,[10] 해당 게임 카세트의 독자 선물 기획을 통해 게임 유저들의 관심을 끌었다.[11] 창간 반년 후 발행 부수는 약 30만 부였다.[11]

창간 초기에는 드래곤 퀘스트 열전 로토의 문장, 남국 소년 파푸와 군이 큰 인기를 얻었다. 또한 하멜른의 바이올린 연주자, 돌격! 팟파라대, 마법진 구루구루 등 장기간 '월간 소년 간간'을 대표할 작품들도 등장하기 시작했다.

당시에는 20년 정도 월간 만화 잡지 창간의 성공 사례가 없었기 때문에, 출판 관계자들은 '월간 소년 간간'의 성공에 놀라움을 표했다.[12] 평론가이자 편집자인 오오츠카 에이지는 1994년경부터 게임 계열 만화 잡지가 잇달아 창간된 것이 에닉스의 성공에 영향을 받았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13] 창간 이후의 성공 요인으로는 드래곤 퀘스트의 요소를 전면에 내세워 게임 유저를 공략한 점과, 드래곤 퀘스트 신작 정보를 다룬 점이 주로 꼽힌다.[14][15]

에닉스는 '월간 소년 간간'의 성공에 힘입어, 1995년에는 월 2회 간행되는 프레시 간간(이후 월간 간간 WING으로 변경), 간간 판타지(이후 월간 G판타지로 변경), 월간 소년 개그왕과 같은 자매지를 창간하며 출판 부문을 확장했다. 만화 잡지 사업은 회사의 안정적인 수입 기반이 되었고, 드래곤 퀘스트 시리즈가 발매되지 않는 시기에도 실적을 뒷받침하는 역할을 했다.[16][17]

2. 3. 변화

월 2회 간행을 전후하여 『소년 간간』에는 변화가 나타났다. 만화 평론가 이토 고는 1990년대 중반부터 이전과는 다른 작품들이 『소년 간간』 및 자매지에서 나타나기 시작했다고 느꼈다[19]. 이후 편집장을 맡은 마쓰자키 다케시는 1995년경부터 독자 연령층이 높아져 "특정 층의 취향으로 기울어졌다"고 말했다[3]. 점차 지면은 소년 만화·소녀 만화의 구분이 없어지고, 다양한 장르가 혼재된 독특한 분위기를 띄게 되었다. 어느덧 연재 작품들은 "'''간간 계'''", "'''에닉스 계 (스퀘어·에닉스 계)'''"라고 불리게 되었고, 주변 잡지를 포함하여 연재되는 작품들도 그렇게 불리게 되었다[19].

초대 편집장 호사카 요시히로는 초기에는 게임에 치우치지 않은 일반 소년 만화 잡지를 목표로 했으나[11], 시간이 지나면서 생각이 바뀐 듯하다. 1996년에는 "만화 잡지에 게임 요소를 넣을 생각은 없었고, 지금도 없다"고 말했지만[6], 1997년 인터뷰에서는 "게임 유저에게 게임 감각의 만화를 제공하려는 컨셉"이라고 밝혔다[20]. 실제로 1997년 이후 『포켓몬스터』, 『아크 더 래드 II』, 『스타 오션』, 『몬스터 팜』 등 『드래곤 퀘스트 시리즈』 외의 게임을 소재로 한 만화가 게재되기 시작했다.

1998년 4월에는 다시 월간으로 돌아왔고, 편집장이 호사카 요시히로에서 이이다 요시히로로 바뀌었다. 재월간화 이후에는 『지켜줘 수호월천!』, 『시간의 대지』, 『정글은 언제나 하레와 구우』, 『스타 오션 세컨드 스토리』 등 여성 만화가들의 작품이 인기를 얻었다.

2. 4. 에닉스 분쟁

2001년 편집부 내의 갈등으로 『월간 소년 간간』 및 자매지의 편집장을 맡았던 호사카 요시히로가 퇴사하고, 신회사 매그 가든을 설립한다. 이후 에닉스의 만화 잡지에서 편집자와 만화가, 작품이 대거 이탈하는 가문 내 분쟁이 발생한다.[3] 주변 잡지에서는 연재 중단 작품이 잇따랐고, 『월간 소년 간간』에서도 많은 만화의 연재가 종료되었다. 인기가 있었던 『수호월천!』, 『신선조 이문 PEACE MAKER』, 『마탐정 로키』는 신잡지로 옮겨갔고, 편집장이었던 이다 요시히로도 이적하게 된다.[3]

이 혼란 시기를 지탱한 것은 『정글은 언제나 맑음 뒤 흐림』, 『도쿄 언더그라운드』, 『스파이럴 ~추리의 끈~』 등 기존 연재작과 연재 종료 및 교체된 신연재작들이었다.[3]강철의 연금술사』도 이때 시작된 신연재 중 하나로, 훗날 『월간 소년 간간』의 중심 작품이 된다.[3] 2001년 9월, 가문 내 분쟁 중에 편집장으로 취임한 마츠자키 타케시는 소년 만화를 중심으로 한 방향 전환을 목표로 했다고 밝혔다.[3]

2. 5. 스퀘어 에닉스 합병 이후

2003년 4월 1일, 에닉스와 스퀘어가 합병하여 스퀘어 에닉스가 되었다. 이에 따라 『파이널 판타지』, 『킹덤 하츠』 등 구 스퀘어의 게임을 소재로 한 만화도 게재되기 시작했다. 같은 해 10월, 신규 연재작 중 하나였던 『강철의 연금술사』가 TV 애니메이션화되면서 『월간 소년 간간』의 부수가 크게 늘었다.[3] 출판 업계에서 만화 잡지 전체의 판매 부수가 정체되는 상황 속에서 거둔 성과였다.[21]

스퀘어 에닉스는 『강철의 연금술사』 이후 인기 작품을 자체 스폰서로 애니메이션화하여 인지도를 높이고, 단행본 수익을 증가시키는 방식을 채택했다.[22][23] 이후 『떠내려가서 란란 섬』, 『시체공주』, 『소울 이터』와 외부 제휴 작품인 『쓰르라미 울 적에』, 『어떤 마술의 금서목록』 등의 작품이 미디어 믹스화되었다.

2010년 7월호는 『강철의 연금술사』 최종회 게재로 전국 서점에서 『월간 소년 간간』이 품절되는 사태가 벌어졌다. 이에 대한 대응으로 같은 해 9월호에도 최종회를 재수록했다.[24]

2. 6. 강철의 연금술사 연재 종료 이후

2010년, 『강철의 연금술사』 연재가 종료되면서 『월간 소년 간간』의 판매량이 감소하기 시작했다. 영 간간에서 연재 중인 『사키 -Saki-』의 스핀오프 작품 『사키 -Saki- 아치가 편 episode of side-A』, 『스파이럴 ~추리의 끈~』의 시로다이라 쿄가 원작인 『절원의 템페스트』, 『소울 이터』의 외전 작품 『소울 이터 NOT!』, 『어떤 마술의 금서목록』 관련 작품 등을 연재했지만, 전국출판협회의 추정치에 따르면 2004년 37만 부, 2010년 15만 부였던 발행 부수는 2015년 2만 부까지 감소했다.[1]

2016년 5월호에서 창간 25주년을 맞아 로고와 종이를 변경하여 리뉴얼을 진행했고, 2017년 3월호부터 전자판 배포를 시작했다.[1]

2021년 창간 30주년을 맞았다.[1] 12월 10일, 아라카와 히로무가 『요미의 츠가이』 연재를 2022년 1월호부터 시작했다.[1]

3. 특징

2011년 기준 독자 대상은 게임 세대의 중학생 남녀이다.[1] 그러나 실제 독자는 고등학생이 14%, 대학생 이상이 30%를 차지한다.[1] 잡지 이름은 드래곤 퀘스트 IV 인도받은 자들의 작전 커맨드 '간간 가자'에서 유래했다.

3. 1. 잡지 두께

은 소년 만화 잡지 중에서도 두꺼운 편으로[3], 한때 1000페이지를 넘기도 했다. 창간 당시에는 일반적인 두께였으며, 격주 발행 시기(1996년~1998년)에는 500~600페이지 정도였다. 격주 발행에서 월간으로 전환된 후 두께가 증가하여 1999년에는 800페이지까지 늘어났다.[4] 광고에서는 "'간간'을 사람 몸에 떨어뜨리면 위험하다"는 농담을 사용하기도 했다. 특대호는 1000페이지를 초과한다. 다만, 연재작 확보를 위한 공모작 게재 코너가 생기면서 작품 수가 늘어나 각 작품의 페이지 수는 안정되었다. 은 제3종 우편물 인가를 받았지만, 실제로는 중량 제한(1kg)을 초과하여 발송할 수 없다.

3. 2. 가격

月刊少年ガンガン|월간 소년 간간일본어의 2021년 현재 정가는 550엔 또는 600엔(세금 포함)이다. 창간 당시 정가는 390엔(세금 포함)이었으며, 격주 발행 시에는 280엔-300엔(세금 포함)이었다.[4]

4. 주요 연재 작품

작품명작가연재 시작비고
나가사레 란란 섬후지시로 켄2002년 6월호
어떤 마술의 금서목록원작: 카마치 카즈마, 작화: 키네노 나카야, 캐릭터 원안: 하이무라 키요타카2007년 5월호
무능한 나나원작: 루스보이, 작화: 후루야 안2016년 6월호『간간 ONLINE』에 재게재
영웅교실원작: 아라키 신, 작화: 키시다 코아라, 캐릭터 원안: 모리사와 하루유키2016년 10월호『간간 ONLINE』에 재게재
부덕의 길드카와조에 타이치2017년 7월호
FINAL FANTASY LOST STRANGER원작: 미나세 하즈키, 작화: 카메야 이츠키2017년 8월호
뒷 세계 피크닉원작: 미야자와 이오리, 작화: 미즈노 에이다, 캐릭터 원안: shirakaba2018년 3월호『간간 ONLINE』에 재게재
금장의 베르메이유 ~절벽 끝 마술사는 최강의 재앙과 마법 세계를 질주한다~원작: 아마나 코우타, 작화: 우메즈 요코2018년 9월호2017년 10월호 단편
아저씨와 고양이사쿠라이 우미2019년 4월호
사축 씨는 어린 소녀 유령에게 치유받고 싶어.아리타 이마리2019년 9월호
원룸, 햇볕 보통, 천사 딸림.matoba2020년 10월호[27]
전대 레드 이세계에서 모험가가 된다나카요시 토라키치2020년 11월호
올 나이트타카츠 카리노2021년 6월호[28]
나의 저주의 흡혈희카나이 치사키2021년 8월호[29]
황천의 츠가이아라카와 히로무2022년 1월호
천만사 이세계 통상부고쿠라쿠인 사쿠라코2023년 8월호[30]
비뚤어진 기사와 보송보송 공주님 고성 생활과 작은 집아오이 우메타로2023년 12월호[31]
용신의 딸코시다 우메2024년 1월호[32]
귀신을 베는 나의 재연원작: 아즈미 케이, 만화: 유키야마 시메지2024년 2월호[33]
아나스타샤의 살아있는 9일간아사쿠라 료스케2024년 3월호[34]
VTuber의 엔딩, 사들입니다.원작: 아사이 시루토, 만화: 유우키 니코, 캐릭터 원안: Tiv2024년 4월호[35]
키리사키 카린은 죽게 하지 않아원작: 츠치히 코노미, 만화: 아메모토 아키유키2024년 5월호[36]
원격 수업이 되자 반에서 제일 예쁜 미소녀와 동거하게 되었다원작: 미하기 센야, 만화: jaguchi, 캐릭터 원안: 사토 포테2024년 6월호[37]
아다시의 기상관와자와키리2024년 8월호[38]



'''과거 연재작'''

B-one, 너와 나, 마법진 구루구루, 벨제붑 아가씨의 뜻대로, 악마 사냥, 악마 사전, 얼티밋 돌즈, UNKNOWN, EBE, Im ~임~, 뱀파이어 세이버 ~영혼의 미아~, 발키리 프로파일, 뱀파이어 십자계, 괭이갈매기 울 적에 산 EP7:Requiem of the golden witch, 매의 의상당 히요와 부군님의 야망, 위성 토끼 텔레비전, 18 에이틴, 1/N의 흔들림, 임금님 귀는 당나귀 귀, 오니기리 님의 상자 딸, 내 여자친구에게 뭔가 요괴, 전×사랑, 절원의 템페스트, 강철의 연금술사, ARTIFACT;RED, 열심히 해! 니오카 선생님 등.

4. 1. 현재 연재작


  • 나가사레 란란 섬 (후지시로 켄): 2002년 6월호 ~
  • 어떤 마술의 금서목록(원작: 카마치 카즈마, 작화: 키네노 나카야, 캐릭터 원안: 하이무라 키요타카): 2007년 5월호 ~
  • 무능한 나나(원작: 루스보이, 작화: 후루야 안): 2016년 6월호 ~, 『간간 ONLINE』에 재게재
  • 영웅교실(원작: 아라키 신, 작화: 키시다 코아라, 캐릭터 원안: 모리사와 하루유키): 2016년 10월호 ~, 『간간 ONLINE』에 재게재
  • 부덕의 길드 (카와조에 타이치): 2017년 7월호 ~
  • FINAL FANTASY LOST STRANGER(원작: 미나세 하즈키, 작화: 카메야 이츠키): 2017년 8월호 ~
  • 뒷 세계 피크닉(원작: 미야자와 이오리, 작화: 미즈노 에이다, 캐릭터 원안: shirakaba): 2018년 3월호 ~, 『간간 ONLINE』에 재게재
  • 금장의 베르메이유 ~절벽 끝 마술사는 최강의 재앙과 마법 세계를 질주한다~(원작: 아마나 코우타, 작화: 우메즈 요코): 2017년 10월호 단편, 2018년 9월호 ~
  • 아저씨와 고양이 (사쿠라이 우미): 2019년 4월호 ~
  • 사축 씨는 어린 소녀 유령에게 치유받고 싶어. (아리타 이마리): 2019년 9월호 ~
  • 원룸, 햇볕 보통, 천사 딸림. (matoba): 2020년 10월호[27] ~
  • 전대 레드 이세계에서 모험가가 된다 (나카요시 토라키치): 2020년 11월호 ~
  • 올 나이트 (타카츠 카리노): 2021년 6월호[28] ~
  • 나의 저주의 흡혈희 (카나이 치사키): 2021년 8월호[29] ~
  • 황천의 츠가이 (아라카와 히로무): 2022년 1월호 ~
  • 천만사 이세계 통상부 (고쿠라쿠인 사쿠라코): 2023년 8월호[30] ~
  • 비뚤어진 기사와 보송보송 공주님 고성 생활과 작은 집 (아오이 우메타로): 2023년 12월호[31] ~
  • 용신의 딸 (코시다 우메): 2024년 1월호[32] ~
  • 귀신을 베는 나의 재연 (원작: 아즈미 케이, 만화: 유키야마 시메지): 2024년 2월호[33] ~
  • 아나스타샤의 살아있는 9일간 (아사쿠라 료스케): 2024년 3월호[34] ~
  • VTuber의 엔딩, 사들입니다. (원작: 아사이 시루토, 만화: 유우키 니코, 캐릭터 원안: Tiv): 2024년 4월호[35] ~
  • 키리사키 카린은 죽게 하지 않아 (원작: 츠치히 코노미, 만화: 아메모토 아키유키): 2024년 5월호[36] ~
  • 원격 수업이 되자 반에서 제일 예쁜 미소녀와 동거하게 되었다 (원작: 미하기 센야, 만화: jaguchi, 캐릭터 원안: 사토 포테): 2024년 6월호[37] ~
  • 아다시의 기상관 (와자와키리): 2024년 8월호[38] ~

4. 2. 과거 연재작


  • B-one
  • 너와 나
  • 마법진 구루구루
  • 벨제붑 아가씨의 뜻대로
  • 악마 사냥
  • 악마 사전
  • 얼티밋 돌즈
  • UNKNOWN
  • EBE
  • Im ~임~
  • 뱀파이어 세이버 ~영혼의 미아~
  • 발키리 프로파일
  • 뱀파이어 십자계
  • 괭이갈매기 울 적에 산 EP7:Requiem of the golden witch
  • 매의 의상당 히요와 부군님의 야망
  • 위성 토끼 텔레비전
  • 18 에이틴
  • 1/N의 흔들림
  • 임금님 귀는 당나귀 귀
  • 오니기리 님의 상자 딸
  • 내 여자친구에게 뭔가 요괴
  • 전×사랑
  • 절원의 템페스트
  • 강철의 연금술사
  • ARTIFACT;RED
  • 열심히 해! 니오카 선생님

5. 영상화 작품

《월간 소년 간간》에 연재된 작품들은 다양한 형태로 영상화되었다.

TV 애니메이션으로는 일본 애니메이션이 제작한 《남국소년 파푸와군》(1992년~1993년)을 시작으로, 《마법진 구루구루》 시리즈, 스튜디오 딘이 제작한 《하멜른의 바이올린 연주자》(1996년~1997년), 신에이 동화가 제작한 《닌자 펜 만마루》(1997년~1998년) 등이 있다. 2000년대에는 본즈가 제작한 《강철의 연금술사》 시리즈가 큰 인기를 얻었으며, 《소울 이터》(2008년~2009년)와 그 외전인 《소울 이터 NOT!》(2014년)도 애니메이션으로 제작되었다.

극장 애니메이션으로는 드래곤 퀘스트 열전 로토의 문장 등이 제작되었다.[42] OVA로는 오오시미즈 사치의 TWIN SIGNAL 등이 제작되었다.[48]

TV 드라마로는 《아저씨와 고양이》(2021년), 《바라카몬》(2023년)이 제작되었다. 실사 영화로는 《JUDGE》(2013년), 《강철의 연금술사》(2017년)가 있다.

5. 1. TV 애니메이션

feel.미방송 1화 있음절원의 템페스트2012년-2013년본즈소울 이터 NOT!2014년본즈『소울 이터』의 외전바라카몬2014년키네마 시트러스한다 군2016년디오미디어바라카몬』의 스핀오프벨제바브 아가씨의 마음에 드는 대로.2018년라이덴 필름전×사랑2019년후즈 엔터테인먼트무능한 나나2020년브릿지사축 씨는 로리 유령에게 치유받고 싶어.2022년project No.9[49]금장의 베르메이유 ~벼랑 끝 마술사는 최강의 재앙과 마법 세계를 질주한다~2022년Staple Entertainment[50]부덕의 길드2022년TNK[51]원룸, 햇볕 보통, 천사 동거.2024년오클트노볼[52]전대 레드 이세계에서 모험가가 된다2025년새틀라이트[53]



이 외에도 『너와 나.』와 같이 다른 잡지로 이적한 후에 TV 애니메이션으로 제작된 작품도 있다.

5. 2. 극장 애니메이션

드래곤 퀘스트 열전 로토의 문장(작화: 후지와라 카무이, 원안: 카와마타 치아키, 각본: 코야나기 준지) 등이 극장판 애니메이션으로 제작되었다.[42]

5. 3. OVA

오오시미즈 사치의 TWIN SIGNAL, PON!과 키마이라, 야마 미유키의 새겨진 대지 등이 OVA로 제작되었다.[48]

5. 4. TV 드라마

작품방송 연도제작비고・출처
아저씨와 고양이2021년TV 도쿄, 소켓[54]
바라카몬2023년공동 TV, 후지 TV[55]


5. 5. 실사 영화

작품공개 연도감독주연
JUDGE2013년고바야시 요세토 코지
강철의 연금술사2017년소리 후미히코야마다 료스케


6. 관련 잡지

《월간 소년 간간》의 관련 잡지로는 증간지, 자매지, 분가 등이 있다.

6. 1. 증간지 (휴·폐간)

6. 2. 자매지

6. 3. 자매지 (휴·폐간)

월간 소년 개그왕, 월간 간간 WING, 코믹 바운드, 월간 스텐실은 모두 휴·폐간된 《월간 소년 간간》의 자매지이다.

6. 4. 분가

월간 코믹 블레이드와 월간 코믹 ZERO-SUM이 있다.[1]

7. 간간 코믹스

'''간간 코믹스'''는 『월간 소년 간간』 및 증간 『간간 파워드』에 게재된 작품을 주로 수록하는 만화 단행본 레이블이다. 1991년 9월 창간[57]되었으며, 약칭은 '''GC'''이다.

통상 신서판으로, 주로 연재 당시 페이지 수가 적은 4컷・쇼트 개그 작품 등 작품에 따라 A5판이나 B6판으로 간행되는 경우도 있다. 판형의 차이에 따라 레이블의 명칭이 바뀌는 것은 없다.

서브 레이블로 '''간간 코믹스 델럭스'''가 있으며, 이쪽은 2003년 2월에 『LUNO』(후유메 케이, B6판)의 발행으로 창간했다. 특징으로, 사각형 틀의 GC가 제목 상단에 들어간다. 게재 작품에 따라 디자인이 다르다.

참조

[1] 서적 雑誌新聞総かたろぐ 2010年版 メディア・リサーチ・センター 2010-05-25
[2] 서적 2015年 出版指標年報 全国出版協会・出版科学研究所
[3] 뉴스 編集長に聞く:月刊少年ガンガン・松崎武吏さん ファンタジーから料理まで 毎日新聞 2004-12-24
[4] 문서 雑誌新聞記事総かたろぐによる メディアリサーチセンター
[5] 뉴스 エニックス、"ドラクエ攻略"の次は…一般書籍を拡充―漫画単行本・小説など。 日経産業新聞 1991-08-03
[6] 뉴스 ゲーム界、メディア戦略加速―収益構造を安定化 日本経済新聞 1996-06-17
[7] 뉴스 出版事業に参入、エニックス、まず「ドラクエ」関連本 日経産業新聞 1988-09-01
[8] 뉴스 エニックス社長福嶋康博―「ドラクエ」すそ野広がる(インタビュー流通) 日経流通新聞 1990-05-19
[9] 뉴스 ドラクエ漫画でワハハ、4コマギャグが少年たちに人気 日経流通新聞 1991-11-19
[10] 서적 出版年鑑 1992年版 第1巻 出版ニュース社 1992-05-15
[11] 간행물 TVゲームとコミックの新たな“融合” 創出版 1991-09
[12] 뉴스 誰もやらないことに挑め(7)スク・エニ名誉会長福嶋康博氏(仕事人秘録) 日経産業新聞 2008-10-01
[13] 뉴스 まんがランダム ゲーム会社のコミック誌大当たり 読売新聞 1995-11-20
[14] 간행물 スペシャル・リポート強いのは当然、マンガ出版の効率経営 数百万部の雑誌に単行本を連動版権ビジネスも拡大の余地 日経BP社 1993-09-13
[15] 뉴스 ま・ん・がWORLD、まんが誌「少年ガンガン」、「ゲームは従」で4誌の壁を崩す 日本経済新聞 1996-02-27
[16] 뉴스 エニックス、月刊マンガ雑誌、隔週発行に転換。 日本経済新聞 1995-05-10
[17] 뉴스 店頭企業トップに聞く エニックス 福嶋康博社長-新ソフト開発に重点 出版部門、業績を下支え 日経金融新聞 1994-02-17
[18] 뉴스 エニックス社長福嶋康博氏―脱ドラクエ課題に(トップ戦略を語る) 日経金融新聞 1996-01-09
[19] 서적 テヅカ・イズ・デッド - ひらかれたマンガ表現論へ NTT出版 2005
[20] 서적 みんなのマンガ '98コミックランキング 毎日出版社 1998
[21] 서적 出版年鑑 2005年版 第1巻 出版ニュース社 2005-05-30
[22] 간행물 『少年ガンガン』『Gファンタジー』スクエニのクロスメディア戦略(変貌するマンガ市場) 創出版 2009-05
[23] 간행물 成長の研究 スクウェア・エニックス・ホールディングス ヒット連発、仕掛けあり 日経BP社 2009-08-31
[24] 간행물 最終回掲載は完売!『ハガレン』は狙い通りのブームに 日経BP社 2010-09
[25] 간행물 月刊少年ガンガン スクウェア・エニックス 2021-04-12
[26] 웹사이트 荒川弘の新作「黄泉のツガイ」が表紙&巻頭カラーで始動、もち「魔女ツノ」完結 https://natalie.mu/c[...] ナターシャ 2021-12-10
[27] 웹사이트 「ベルまま。」のmatoba、新連載が始動「ワンルーム、日当たり普通、天使つき。」 https://natalie.mu/c[...] ナターシャ 2020-09-12
[28] 웹사이트 高津カリノ新作の舞台は夜の街、「オウルナイト」少年ガンガンで開幕 https://natalie.mu/c[...] ナターシャ 2021-05-12
[29] 웹사이트 金井千咲貴のダークファンタジー「僕の呪いの吸血姫」が少年ガンガンで連載開始 https://natalie.mu/c[...] ナターシャ 2021-07-12
[30] 웹사이트 「セキレイ」極楽院櫻子の新作「千万社異世界通商部」ガンガンで連載開始 https://natalie.mu/c[...] ナターシャ 2023-07-12
[31] 웹사이트 性悪騎士とある力を持つ姫のミニチュアクラフト物語、葵梅太郎の新連載がガンガンで https://natalie.mu/c[...] ナターシャ 2023-11-10
[32] 웹사이트 「東の森の魔女の庭」越田うめの和風幻想奇譚「龍神の娘」がガンガンで開幕 https://natalie.mu/c[...] ナターシャ 2023-12-12
[33] 웹사이트 英雄が仲間を守るため長年追い求めた力とは、ガンガン新連載「鬼殺しの我道再演」 https://natalie.mu/c[...] ナターシャ 2024-01-12
[34] 웹사이트 「戦×恋」朝倉亮介の新作がガンガンでスタート、光と闇の過酷な戦場描くファンタジー https://natalie.mu/c[...] ナターシャ 2024-02-09
[35] 웹사이트 推しの“最期”をプロデュースできたら…新連載「VTuberのエンディング、買い取ります。」 https://natalie.mu/c[...] ナターシャ 2024-03-12
[36] 웹사이트 元殺し屋の少年少女が普通の学生生活を目指す、ガンガン新連載「切崎花梨は殺させない」 https://natalie.mu/c[...] ナターシャ 2024-04-12
[37] 웹사이트 リモート授業がきっかけで始まるクラス1の美少女との同居ラブ、ガンガンで開幕 https://natalie.mu/c[...] ナターシャ 2024-05-11
[38] 웹사이트 呪いや心霊による災難と戦う少年描くワザワキリの新作「あだしの奇象官」が開幕 https://natalie.mu/c[...] ナターシャ 2024-07-12
[39] 웹사이트 国を守りたい王女&元勇者が異世界転生者とバトル、「異世界チートブレイカーズ」開幕 https://natalie.mu/c[...] ナターシャ 2023-01-12
[40] 간행물 異世界チートブレイカーズ 最終話「異世界チートブレイカーズ」 スクウェア・エニックス 2024-01-12
[41] 웹사이트 朝倉亮介「戦×恋」が7年余りの連載に幕、次号「ばらかもん」が期間限定でカムバック https://natalie.mu/c[...] ナターシャ 2023-03-10
[42] 웹사이트 武闘派の極道娘が異世界転生、ささきゆうちゃん新連載が少年ガンガンで開幕 https://natalie.mu/c[...] ナターシャ 2021-08-12
[43] 웹사이트 最強に飽きた魔王が農家の息子に転生、ガンガン新連載「この勇者、元魔王につき」 https://natalie.mu/c[...] ナターシャ 2022-01-12
[44] 웹사이트 お嬢様×使用人×メイドの三角関係ラブコメがガンガンで、萩原ダイスケの読み切りも https://natalie.mu/c[...] ナターシャ 2022-02-12
[45] 웹사이트 ルシファー吉岡のネタがマンガに、ガンガン新連載「女子高生はおはようって言う」 https://natalie.mu/c[...] ナターシャ 2020-12-11
[46] 웹사이트 最強だったがニートになってしまった英雄描くファンタジー、ガンガンで連載開始 https://natalie.mu/c[...] ナターシャ 2021-06-11
[47] 웹사이트 「ばらかもん」がTVドラマ化!少年ガンガンで期間限定の復活連載がスタート https://natalie.mu/c[...] ナターシャ 2023-04-12
[48] 웹사이트 職を失った傭兵と売れっ子作家の旅路描く「傭兵と小説家」少年ガンガンで連載開始 https://natalie.mu/c[...] ナターシャ 2021-09-10
[49] 웹사이트 「社畜さんは幼女幽霊に癒されたい。」初回は4月7日、ミコちゃん役で小倉唯が出演 https://natalie.mu/c[...] ナターシャ 2022-03-05
[50] 웹사이트 「金装のヴェルメイユ」1話、魔法学院に通う少年が悪魔のお姉さんを召喚 https://natalie.mu/c[...] ナターシャ 2022-07-01
[51] 웹사이트 アニメ「不徳のギルド」狩人として優秀な主人公が、新米武道家の“初陣クエスト”に同行 https://natalie.mu/c[...] ナターシャ 2022-09-29
[52] 웹사이트 「ワンルーム、日当たり普通、天使つき。」4月6日放送開始、ABEMAでは1週間先行 https://natalie.mu/c[...] ナターシャ 2024-03-12
[53] 웹사이트 「戦隊レッド 異世界で冒険者になる」2025年1月にTVアニメ化、監督は川口敬一郎 https://natalie.mu/c[...] ナターシャ 2024-08-09
[54] 웹사이트 ドラマ「おじさまと猫」猫のふくまる役に神木隆之介「とにかく、キュートな物語です」 https://natalie.mu/c[...] ナターシャ 2020-11-25
[55] 웹사이트 杉野遥亮、書道の腕前に自信あり?「どちらかというと才能はあるかも」『ばらかもん』制作発表 https://www.tvlife.j[...] ワン・パブリッシング 2023-07-05
[56] 뉴스 恋愛マンガからダークファンタジーまで、26人の編集者が回答 https://natalie.mu/c[...] ナターシャ 2022-01-31
[57] 서적 出版年鑑 1992年版 第1巻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