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배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월배역은 1997년 11월 26일 대구 도시철도 1호선 개통과 함께 영업을 시작한 지하철역이다. 대구광역시 달서구에 위치하며, 상대식 승강장과 스크린도어를 갖추고 있다. 과거 부역명은 마이스터치과병원이었으나 계약 만료로 삭제되었으며, 주변에 주택지구 개발로 이용객이 증가하는 추세이다. 대구 도시철도 1호선 역 중 심도가 가장 낮은 역(13.7m)이며, 인근에는 대구월배초등학교, 월배시장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구 달서구의 전철역 - 대곡역 (대구)
대곡역은 대구광역시 달서구 대곡동과 달성군 화원읍 구라리 경계에 있는 대구 도시철도 1호선의 지하역으로,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을 갖추고 있으며, 월배차량사업소와 여러 시설이 인근에 위치한다. - 대구 달서구의 전철역 - 송현역
송현역은 1997년 개통된 대구 도시철도 1호선의 지하역으로, 솔고개에서 유래된 역명과 참조은병원 부역명을 가지며,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과 인근의 송현시장, 앞산 등산로가 특징이다. - 대구 도시철도 1호선의 역 - 하양역
하양역은 1917년 개업한 경부선(대구선) 철도역으로, 대구 도시철도 1호선 연장 개통으로 환승이 가능해졌으며, 대구선 복선 전철화 공사 완료 후 ITX-마음 등 다양한 열차가 정차하는 동대구역과 영천역을 연결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대구가톨릭대학교 효성캠퍼스 인근에 위치한다. - 대구 도시철도 1호선의 역 - 대구역
대구역은 1905년에 영업을 시작하여 여러 번의 변화를 거쳤으며, 경부선과 대구 도시철도 1호선이 운행하고 2024년 대경선 1단계 구간 개통과 함께 환승역이 될 예정이다. - 대구 도시철도 1호선 - 하양역
하양역은 1917년 개업한 경부선(대구선) 철도역으로, 대구 도시철도 1호선 연장 개통으로 환승이 가능해졌으며, 대구선 복선 전철화 공사 완료 후 ITX-마음 등 다양한 열차가 정차하는 동대구역과 영천역을 연결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대구가톨릭대학교 효성캠퍼스 인근에 위치한다. - 대구 도시철도 1호선 - 대구 지하철 화재 참사
2003년 대구 도시철도 1호선 중앙로역에서 발생한 방화로 인해 192명이 사망하고 151명이 부상당한 대구 지하철 화재 참사는 방화범의 범행, 안전 불감증, 부실한 시설 관리, 미흡한 초기 대응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대한민국 역사상 최악의 지하철 참사로 기록되며 사회 안전망의 취약성을 드러냈다.
월배역 - [지명]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모국어 표기 | 월배역 |
한자 표기 | 月背驛 |
로마자 표기 | Wolbaeyeok |
주소 | 대구광역시 달서구 진천동 |
운영 정보 | |
노선 | 대구 도시철도 1호선 |
역 구조 | 지하역 |
승강장 | 2면 2선 (상대식 승강장) |
개업일 | 1997년 11월 26일 |
역 번호 | 119 |
운영 기관 | 대구교통공사 |
이전 역 | 진천역 |
다음 역 | 상인역 |
역간 거리 (진천역) | 0.8km |
역간 거리 (상인역) | 0.7km |
2. 역사
3. 역명의 유래
이 지역의 옛 지명인 '월배'에서 역명을 가져왔으며, 현재도 이 주변 지역을 월배라고 부른다. '월배'라는 지명은 대덕산 남쪽에 임휴사가 있는 계곡, 즉 '달(月)배골'의 뒷쪽에 위치한다는 데서 유래되었다.
4. 역 구조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을 갖춘 지하역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