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B국민은행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KB국민은행은 1963년 설립된 대한민국의 시중은행으로, 2001년 한국주택은행과의 합병을 통해 현재의 모습을 갖추었다. 2001년 뉴욕증권거래소와 한국증권거래소에 상장되었으며, 2002년 KB국민은행으로 브랜드 명칭을 변경했다. 2008년 KB금융지주 출범 이후 지주회사의 자회사로 운영되고 있으며, 2024년 펀드 사업부문을 분할했다. 캄보디아, 미얀마 등 해외에도 진출하여 지점을 운영하고 있으며, 일본 지점의 부적절한 대출, 여성 임원 비율과 관련된 비판을 받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KB금융그룹의 자회사 - KB손해보험
KB손해보험은 1959년 설립되어 사명 변경을 거쳐 현재 KB금융그룹의 계열사로 손해보험 사업을 영위하는 대한민국의 보험 회사이다. - KB금융그룹의 자회사 - KB국민카드
KB국민카드는 1980년 국민은행에서 시작하여 분사한 대한민국의 신용카드 회사이며, 다양한 브랜드의 카드를 발급하고 K-WORLD 브랜드와 후불교통카드 기능도 제공한다. - KB금융그룹 - 의정부 KB손해보험 스타즈
의정부 KB손해보험 스타즈는 1976년 금성통신 배구단으로 창단되어 구단명과 모기업 변경을 거쳐 현재에 이르렀으며, 2005년 V리그에 참가하여 2021-2022 시즌 준우승과 2012년 KOVO컵 우승을 기록하고, 2017년 의정부시로 연고지를 이전했다. - KB금융그룹 - 청주 KB 스타즈
1963년 국민은행 여자농구단으로 창단된 청주 KB 스타즈는 한국여자프로농구의 강팀으로, 2011년 청주로 연고지를 이전했으며, 2018-2019 시즌에는 통합 우승을 달성했다. - 대한민국의 다국적 기업 - HMM (기업)
HMM은 1976년 아시아상선으로 설립되어 현대그룹에 편입된 후 컨테이너선, 벌크선 등을 운영하는 대한민국의 해운 회사로, 세계 3대 해운 동맹 '디 얼라이언스'의 정회원이며, 현대그룹에서 분리되어 한국산업은행이 최대 주주가 되었고, 2023년 매각 시도가 무산되었다. - 대한민국의 다국적 기업 - 한국타이어앤테크놀로지
한국타이어앤테크놀로지는 1941년 조선타이어공업주식회사로 설립되어 1968년 한국타이어제조주식회사로 사명을 변경하고 2019년 현재의 사명으로 변경된 대한민국의 타이어 제조 기업이며, 전 세계에 생산 거점과 기술 센터를 운영하고 닛산, BMW 등 글로벌 자동차 제조사에 타이어를 공급하며 모터스포츠와 스포츠 구단 후원, 디자인 어워드 수상 등 다양한 활동을 펼치고 있다.
KB국민은행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회사 이름 | KB국민은행 |
![]() | |
회사 종류 | 자회사 |
설립일 | 1963년 11월 1일 |
위치 | 서울특별시, 대한민국 |
최고 경영자 | 허인 |
직원 수 | 26,000명 |
상품 | 금융 서비스 |
모회사 | KB금융지주 |
홈페이지 | omoney.kbstar.com |
한국어 이름 정보 | |
한글 | 국민은행 |
한자 | 國民銀行 |
로마자 표기 | Gungmin Eunhaeng |
매큔-라이샤워 표기 | Kungmin Ŭnhaeng |
추가 정보 | |
한국어 (간단) | KB국민은행 |
영어 (간단) | KB Kookmin Bank |
회사 정보 (2001년 이후) | |
회사 형태 | 주식회사 |
산업 | 은행업 |
설립일 (신) | 2001년 11월 1일 |
위치 (상세) |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국제금융로 8길 26 (여의도동) |
웹사이트 | KB국민은행 웹사이트 |
도쿄 지점 정보 | |
은행 이름 | 國民銀行 도쿄지점 |
영어 이름 | Kookmin Bank Tokyo Branch |
통일 금융 기관 코드 | 0624 |
SWIFT 코드 | CZNBJPJT |
대표자 종류 | 지점장 |
대표자 | 김인열 |
설립일 (도쿄 지점) | 1992년 11월 5일 |
우편 번호 | 105-7110 |
주소 | 도쿄도 지요다구 우치사이와이초 1-2-2 히비야 다이빌딩 14층 |
외부 링크 | KB국민은행 도쿄지점 영업점 소개 인사말 |
회사 정보 (한국어) | |
원어 | KB Kookmin Bank |
약칭 | 국민은행 |
종류 | 통화 금융 기관 |
이전 회사 | 국민은행 |
분할 | 신용카드 사업 부문: KB국민카드 (2011년 3월 2일) |
장소 |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국제금융로 8길 26 (여의도동 36-3) |
국가 | 대한민국 |
인물 | 이재근 (은행장) |
산업 | 금융 |
서비스 | 국내 은행 |
자본금 | 2,021,896,000,000원 (2017년) |
영업이익 | 2,649,191,000,000원 (2017년) |
순이익 | 2,174,705,000,000원 (2017년) |
자산 총액 | 329,765,927,000,000원 (2017년) |
주주 | KB금융지주 100% |
계열사 | KB금융그룹 |
자회사 | KB국민은행중국유한공사 KB미얀마은행 KB프라삭은행 |
종업원 | 18,279명 (2017년) |
슬로건 | 최고의 인재와 담대한 혁신으로 가장 신뢰받는 평생금융파트너 |
웹사이트 | KB국민은행 홈페이지 |
2. 연혁
1997년 아시아 외환 위기 이후, 국민은행은 1998년 대동은행과 장기신용은행을 인수했고,[5] 2001년에는 Housing & Commercial Bank|ko|한국주택은행영어을 합병했다.[6] 1999년 5월, 골드만삭스는 국민은행에 5억달러를 투자하여 최대 주주가 되었다.[7]
2001년 11월 1일, 한국주택은행 합병 및 뉴욕증권거래소 상장으로 통합 KB국민은행이 설립되었다. 2002년 10월 1일 KB국민은행으로 브랜드를 변경했고, 2003년 9월 30일 국민신용카드(주)와 합병했다. 2003년 12월 19일 정부 지분 매각으로 완전 민영화되었다.[10]
2004년 6월 2일 한일생명을 인수하여 KB생명보험㈜을 출범시켰고, 2008년 3월 11일 한누리투자증권을 인수하여 KB투자증권㈜을 출범시켰다. 2008년 9월 29일 KB금융지주 출범 후, 2008년 10월 10일 KB금융지주의 한국증권거래소 상장에 따라 KB국민은행은 상장폐지되었다.
2009년 5월 4일 캄보디아 Khmer Union Bank 지분 51%를 인수하여 KB캄보디아은행으로 명칭을 변경했고, 2013년 6월 7일 지분 100%를 인수했다. 2011년 2월 28일 신용카드 사업부문을 분할했고, 11월 21일 국내 금융기관 최초로 오픈뱅킹 서비스를 시행했다.
2015년 4월 30일 'KB스타뱅킹' 이용고객이 1000만명을 돌파했고, 2017년 1월 17일 'Liiv' 가입자가 100만명을 돌파했다. 2018년 3월 20일 본점을 옛 한국주택은행 여의도 본점 건물로 이전했고, 2024년 6월 1일 펀드 사업부문을 KB펀드파트너스로 분할했다.
2. 1. 설립 초기 (1963년 ~ 1994년)
1963년 2월 박정희 정부의 금융 개혁 일환으로 정부계 금융기관인 국민은행(Citizens National Bank)[15]이 설립되었다. 초기에는 중저소득 소비자를 위한 금융 서비스 제공에 중점을 두었다.[2] 1991년 룩셈부르크에 지점을 개설했으며, 1992년 도쿄, 1994년 싱가포르에 지점을 개설하는 등 해외 진출을 확대했다.[4]2. 2. 민영화 및 성장 (1995년 ~ 2007년)
1994년, 10% 지분 매각을 통한 기업공개로 민영화 과정이 시작되었다.[3] 1995년 국민은행법이 폐지되면서 민영화되어 시중은행으로 전환되었다. 1996년 홍콩에 지점을 개설하는 등 해외 진출을 확대했다.[4]1997년 아시아 외환 위기 이후, 국민은행은 1998년 대동은행과 장기신용은행을 인수했다.[5] 1999년 5월, 골드만삭스는 KB국민은행에 5억달러를 투자하여 17%의 지분율로 최대 주주가 되었다.[7] 2002년까지 골드만삭스는 투자 지분 대부분을 매각했다.[8]
2001년 10월 1일, 뉴욕증권거래소에 한국 금융기관 중 최초로 상장되었다.[2] 같은 해 11월 1일, 한국주택은행을 합병하여 통합 KB국민은행이 출범하였고, 11월 9일 한국증권거래소(현 한국거래소)에 상장되었다. 2002년 10월 1일에는 KB국민은행으로 브랜드를 변경하였다. 2003년 9월 30일에는 국민신용카드(주)를 합병하였고, 12월 19일 정부 지분 매각이 완료되면서 완전 민영화되었다.[10]
2004년 6월 2일, 한일생명을 인수하여 KB생명보험㈜을 출범시켰다. 같은 해 9월, 국민은행은 금융감독기관이 국민은행의 세금 회피 사실을 발견한 후 2003년과 2004년 수익을 재작성한다고 밝혔다.[11]
2. 3. KB금융그룹 출범 (2008년 ~ 현재)
2008년 3월 11일, 한누리투자증권을 인수하여 KB투자증권㈜을 출범시켰다.[12] 2008년 9월 29일에는 KB금융지주가 출범하였다.[12] 이에 따라 2008년 10월 10일, KB금융지주의 한국증권거래소 상장으로 KB국민은행은 상장 폐지되었다.[12]2009년 5월 4일, 캄보디아 Khmer Union Bank 지분 51%를 인수하여 KB캄보디아은행으로 명칭을 변경하였다. 2011년 2월 28일에는 신용카드 사업부문을 분할하였고, 2011년 11월 21일에는 국내 금융기관 최초로 오픈뱅킹 서비스를 전면 시행하였다. 2013년 5월 2일에는 KB 부동산 R-easy(알리지) 전망지수를 발표하였고, 2013년 6월 7일에는 KB캄보디아은행 지분을 100% 인수 완료하였다.
2015년 4월 30일, 스마트폰 뱅킹 서비스 'KB스타뱅킹' 이용고객 수가 국내 최초로 1000만명을 돌파하였다. 2017년에는 생활금융플랫폼 'Liiv' 가입자 수가 100만명(1월 17일)을 돌파하고, 금융권 최초로 ISA 잔고 1조원(2월 3일)을 달성하였다. 2017년 3월 15일에는 KB마이크로파이낸스미얀마법인(KB Microfinance Myanmar Co., LTD.)을 설립하였다.
2018년 3월 20일, 명동영업부 건물을 매각하고 옛 한국주택은행 여의도 본점 건물로 본점을 이전하였다. 2024년 6월 1일에는 펀드 사업부문을 KB펀드파트너스로 분할하였다.
3. 해외 진출
KB국민은행은 1991년 룩셈부르크를 시작으로, 1992년 도쿄, 1994년 싱가포르, 1996년 홍콩에 지점을 개설하는 등 해외 진출을 확대했다.[4] 이후 전 세계 여러 지역으로 확장하였다.
3. 1. 개요

KB국민은행은 1963년 2월 정부계 금융기관으로 설립되었으며, 박정희 정권의 금융 개혁에 따라 한국무진주식회사를 모체로 탄생했다.[15] 1995년 민영화되어 시중은행이 되었고, 아시아 금융 위기 이후 2001년 한국주택은행과 합병하여 현재의 모습을 갖추게 되었다.
대한민국 내 지점 및 출장소는 797개이며(2024년 7월 22일 기준), 해외에도 지점을 두고 있다.
국가 | 도시 | 지점명 |
---|---|---|
도쿄 | KB국민은행 동경지점 | |
오클랜드 | KB국민은행 오클랜드지점 | |
뉴욕 | KB국민은행 뉴욕지점 | |
베이징 | 국민은행(중국)유한공사 베이징분행 | |
광저우 | 국민은행(중국)유한공사 광저우분행 | |
하얼빈 | 국민은행(중국)유한공사 하얼빈분행 | |
쑤저우 | 국민은행(중국)유한공사 쑤저우분행 | |
상하이 | 국민은행(중국)유한공사 상하이분행 | |
호치민 | KB국민은행 호치민지점 | |
하노이 | KB국민은행 하노이지점 | |
홍콩 | KB국민은행 홍콩지점 | |
싱가포르 | KB국민은행 싱가포르지점 | |
런던 | KB국민은행 런던지점 | |
프놈펜 | KB프라삭은행 | |
구르가온 | KB국민은행 구루그람지점 | |
양곤 | KB미얀마은행 / KB국민은행 양곤사무소 |
씨티뱅크가 최대 주주(13.76%)이며, 외자 자본 비율은 55.76%(2009년 기준)이다. 복권 판매도 담당하며, 국내에서는 "국민"이라는 표현보다 '''KB'''라는 명칭을 주로 사용한다.
대한민국 “시중은행” 코드로는 '''04'''를 사용하며, 일본의 통일금융기관코드에서는 “외국은행”으로 0624를 사용한다. 한국거래소(종목코드:60000)와 뉴욕증권거래소(종목코드:KB)에 주식이 상장되어 있으며, 2001년 10월 1일 뉴욕증권거래소에 한국 금융기관 중 가장 먼저 상장되었다. 2005년 말 기준으로 국내 총자산 규모 1위를 기록했다.
3. 2. 국외 지점 현황
- 도쿄 : KB국민은행 동경지점[4] (2014년 부적절한 대출로 인한 일부 업무정지 명령[16][17])
- 오클랜드 : KB국민은행 오클랜드지점[4]
- 뉴욕 : KB국민은행 뉴욕지점[4]
- 베이징 : 국민은행(중국)유한공사 베이징분행[4]
- 광저우 : 국민은행(중국)유한공사 광저우분행[4]
- 하얼빈 : 국민은행(중국)유한공사 하얼빈분행[4]
- 쑤저우 : 국민은행(중국)유한공사 쑤저우분행[4]
- 상하이 : 국민은행(중국)유한공사 상하이분행[4]
- 호치민 : KB국민은행 호치민지점[4]
- 하노이 : KB국민은행 하노이지점[4]
- 홍콩 : KB국민은행 홍콩지점[4]
- 싱가포르 : KB국민은행 싱가포르지점[4]
- 런던 : KB국민은행 런던지점[4]
- 프놈펜 : KB프라삭은행[4]
- 구르가온 : KB국민은행 구루그람지점[4]
- 양곤 : KB미얀마은행 / KB국민은행 양곤사무소[4]
4. 경영 및 지배구조
KB국민은행은 1962년 정부 주도로 설립되어 중저소득층을 위한 금융 서비스를 제공하는 데 초점을 맞췄다.[2] 1994년 기업공개를 통해 민영화가 시작되었고,[3] 1995년 민영화되어 시중은행이 되었다. 1997년 아시아 외환 위기 이후, 1998년 대동은행, 장기신용은행,[5] 2001년 Housing & Commercial Bank|한국주택은행영어 등 여러 부실 은행들을 인수했다.[6] 2003년 12월 민영화 과정이 완료되었다.[10]
2004년 9월, 국민은행은 금융감독기관으로부터 2.7억달러의 세금을 회피했다는 지적을 받고 2003년과 2004년 수익을 재작성했다.[11] 이후 신용카드, 보험, 증권사 등 다양한 회사들을 인수하여 2008년 현재의 금융그룹으로 성장했다.[12]
4. 1. 경영
2021년 4월 기준, KB국민은행의 여성 임원은 김종란 상무(금융투자상품본부)가 유일하여, 유리천장 문제가 지속적으로 지적되고 있다.[19]4. 2. 역대 최대 주주
골드만삭스(Goldman Sachs)는 1999년 5월 국민은행에 5억달러를 투자하여 17%의 지분율로 최대 주주가 되었다.[7] 2002년까지 골드만삭스는 상당한 이익을 남기고 투자 대부분을 매각했다.[8] 2009년 현재 최대 주주는 Citibank, N.A.영어(씨티뱅크)로 13.76%를 보유하고 있다.5. 비판 및 논란
2014년 8월 28일, 금융청은 KB국민은행 일본 지점에 대해 역대 도쿄 지점장 및 직원들이 자료를 위조하여 담보 가치를 부풀리고 부적절한 대출을 반복했다며 일부 업무정지 명령을 내렸다고 발표했다.[16][17] 이에 따라 같은 해 9월 4일부터 2015년 1월 3일까지 일본 지점의 신규 거래 업무는 금지되었다.[18]
2021년 4월 5일 기준, KB국민은행의 여성 임원은 금융투자상품본부 김종란 상무가 유일하다. 이 때문에 유리천장 문제에 대한 지적이 이어지고 있다.[19]
참조
[1]
뉴스
국내 1위가 세계 60위…국내은행 글로벌 경쟁력은
http://www.yonhapnew[...]
2017-09-10
[2]
논문
The Politics of Financial Control and Reform in Korea
https://jps.scholast[...]
1991
[3]
간행물
State-Owned Banks, Stability, Privatization, and Growth: Practical Policy Decisions in a World Without Empirical Proof
International Monetary Fund
2005-01-01
[4]
웹사이트
Old Kookmin Bank
https://omoney.kbsta[...]
[5]
웹사이트
Merger between the Kookmin & the Korea Long Term Credit bank
https://www.fsc.go.k[...]
1998-09-11
[6]
논문
Performance of Korean Banks and Implications for Regulatory Reforms
https://www.kdi.re.k[...]
2004-08-01
[7]
웹사이트
Kookmin, Goldman Sachs Sign Formal Agreement
https://www.wsj.com/[...]
1999-05-28
[8]
웹사이트
Goldman raises $633M in Kookmin sale
https://edition.cnn.[...]
2002-06-19
[9]
간행물
Bank Restructuring in Asia: Crisis management in the aftermath of the Asian financial crisis and prospects for crisis prevention -Korea-
https://www.rieti.go[...]
RIETI
2007-02-05
[10]
간행물
2014 KB Financial Group Sustainability Report
https://www.kbfg.com[...]
[11]
웹사이트
Kookmin Bank set to revise earnings on probe result
http://www.brecorder[...]
2014-12-03
[12]
뉴스
[인사이드 스토리]한국 금융 M&A
http://news.bizwatch[...]
2018-06-22
[13]
웹사이트
営業店紹介 - 支店案内 | KB國民銀行 東京支店
https://global.kbsta[...]
[14]
웹사이트
ご挨拶 - 支店案内 | KB國民銀行 東京支店
https://global.kbsta[...]
[15]
기타
[16]
뉴스
國民銀行在日支店に対する行政処分について
http://www.fsa.go.jp[...]
金融庁
2014-08-28
[17]
뉴스
韓国最大手の銀行を一部業務停止 金融庁、東京で不正融資
http://www.47news.jp[...]
共同通信
2014-08-28
[18]
뉴스
韓国最大手銀の在日支店に一部業務停止命令 金融庁
http://www.nikkei.co[...]
日本経済新聞
2014-08-28
[19]
웹사이트
https://cnews.fntim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