웹 메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웹 메일은 웹 브라우저를 통해 이메일을 주고받을 수 있는 서비스이다. 1993년 CERN에서 HTTP 프로토콜 테스트를 위해 최초로 구현되었으며, 1990년대 중반 상업화와 대중화를 거쳤다. 웹 메일은 별도의 소프트웨어 설치 없이 사용 가능하며, 필터링, 주소록, 스팸 차단 등의 기능을 제공한다. 개인 정보 보호 문제와 관련하여, 웹 메일은 암호화되지 않은 상태로 저장된 이메일은 서비스 제공업체에서 열람할 수 있으며, 보안되지 않은 네트워크 환경에서 접속 시 데이터 유출 위험이 있다. 웹 메일을 구축하기 위한 다양한 소프트웨어가 존재하며, 기업 및 공공기관에서는 정보 유출 방지를 위해 웹 메일 사용을 규제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이메일 클라이언트 - 마이크로소프트 아웃룩
마이크로소프트 아웃룩은 이메일, 일정, 연락처, 작업 관리 기능을 제공하는 개인 정보 관리 소프트웨어로, 다양한 플랫폼을 지원하며 보안 기능 강화 및 지속적인 발전을 이루어왔으나, 인터넷 표준 준수 등의 문제점도 존재한다. - 이메일 클라이언트 - 윈도우 라이브 메일
윈도우 라이브 메일은 마이크로소프트에서 개발한 윈도우용 이메일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으로, 윈도우 메일의 기능을 계승하여 핫메일, Gmail, 야후! 메일 등 웹 기반 이메일 계정 지원, 윈도우 라이브 연락처 동기화, RSS 피드 지원 등의 기능을 제공했으나, 2017년 마이크로소프트의 지원이 종료되었다. - 이메일 웹사이트 - 다음
다음은 1995년 설립되어 검색, 커뮤니티, 뉴스 등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했으며, 2014년 카카오와 합병 후 현재는 카카오의 주요 서비스 중 하나이다. - 이메일 웹사이트 - AOL 메일
AOL 메일은 미국 온라인에서 제공하는 무료 웹메일 서비스로, 무제한 용량(신규 계정은 1TB 제한 가능성 있음)의 메일함, 첨부파일 지원, 스팸 및 바이러스 필터링, 다양한 도메인 사용, IMAP/POP3 프로토콜 지원 등의 기능을 제공하지만, 광고 표시, 계정 삭제 제약, 사용자 수 감소 추세, 낮은 한국 인지도 등의 특징을 가진다. - 웹 애플리케이션 - 구글 포토
구글 포토는 사진 및 동영상 저장, 공유, 관리 기능을 제공하는 구글의 클라우드 기반 서비스로, 자동 분류, 얼굴 인식, 검색 기능을 제공하지만 2021년부터 무료 무제한 저장 용량 제공 정책이 변경되었고, 2024년에는 기술의 군사적 이용에 대한 윤리적 논란이 있었다. - 웹 애플리케이션 - 전자 상거래
전자상거래는 컴퓨터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상품이나 서비스를 사고파는 행위로, 웹, 이메일 등 다양한 전자적 매체를 통해 이루어지며, 소비자에게 편리함을, 기업에게는 시장 확장 기회를 제공하는 경제 활동이다.
웹 메일 | |
---|---|
웹 메일 | |
유형 | 웹 인터페이스를 통한 이메일 |
설명 | 웹 브라우저를 사용하여 이메일에 액세스하는 방법 |
2. 역사
웹 메일의 초기 구현은 1993년 CERN의 필립 할람-베이커에 의해 이루어졌다.[1] 이는 HTTP 프로토콜 스택 테스트를 위한 것이었으나, 더 발전하지는 못했다. 이후 2년 동안 여러 사람들이 웹 메일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했다.
유럽에서는 쇠렌 베이럼의 "WWW 메일",[2] 루카 마눈자의 "WebMail",[3][4] 레미 베첼스의 "WebMail"[5] 등이 개발되었다. 쇠렌 베이럼의 "WWW 메일"은 1995년 2월 28일에,[6] 루카 마눈자의 "WebMail"은 1995년 3월 30일에,[7] 레미 베첼스의 "WebMail"은 1995년 1월 초에 출시되었다.[8][9]
미국에서는 매트 맨킨스가 "Webex"를 개발했고,[10] 로터스 cc:Mail의 빌 피틀러는 1995년 1월 24일 로터스피어에서 웹 메일을 시연했다.[11][12][13] 매트 맨킨스는 1995년 8월 8일 "Webex" 소스 코드를 공개했다.[10] 빌 피틀러의 웹 메일은 상업 제품으로 발전하여 1995년 가을 ''cc:Mail for the World Wide Web 1.0''으로 출시되었다.[15][16][17]
2000년대에 들어 인터넷 서비스 제공업체와 웹 호스팅 서비스 업체들이 웹 메일을 서비스에 포함시키고, 기업과 대학에서도 웹 메일을 제공하기 시작했다. 또한, Hotmail과 RocketMail 같은 웹 메일 서비스 제공업체가 1996년에 등장하여 무료 웹 메일 서비스가 대중화되었다. 웹 메일 응용 프로그램 소프트웨어는 자체 개발되거나, 소프트웨어 회사에서 통합 메일 서버 패키지의 일부로 제공되기도 했다. 웹 메일 응용 프로그램 소프트웨어 시장은 2010년대까지 계속되었다.
2. 1. 초기 구현
최초의 웹 메일 구현은 1993년 CERN에서 필립 할람-베이커에 의해 개발되었는데[1], 이는 HTTP 프로토콜 스택을 테스트하기 위한 것이었지만 더 이상 개발되지 않았다. 그러나 그 후 2년 동안 여러 사람들이 작동하는 웹 메일 애플리케이션을 제작했다.유럽에서는 쇠렌 베이럼의 "WWW 메일"[2], 루카 마눈자의 "WebMail"[3][4], 레미 베첼스의 "WebMail"[5] 등 세 가지 구현 사례가 있었다. 쇠렌 베이럼의 "WWW 메일"은 그가 덴마크의 코펜하겐 비즈니스 스쿨에서 공부하고 일하면서 작성되었으며, 1995년 2월 28일에 출시되었다.[6] 루카 마눈자의 "WebMail"은 CRS4에서 근무하면서 잔루이지 자네티의 아이디어를 바탕으로 작성되었으며, 1995년 3월 30일에 첫 번째 소스 릴리스가 이루어졌다.[7] 레미 베첼스의 "WebMail"은 네덜란드의 에인트호번 공과대학교에서 DSE를 위해 공부하면서 작성되었으며[8][9], 1995년 1월 초에 출시되었다.
미국에서는 매트 맨킨스가 "Webex"를 작성했고,[10] 로터스 cc:Mail에서 빌 피틀러는 1995년 1월 24일 로터스피어에서 공개 시연을 했다.[11][12][13] 마이애미 대학교의 버트 로젠버그 박사의 감독 하에[14], 매트 맨킨스는 1995년 8월 8일 comp.mail.misc에 "Webex" 애플리케이션 소스 코드를 게시했는데,[10] 맨킨스가 일했던 건축 학교에서는 수개월 동안 주요 이메일 애플리케이션으로 사용되었다.
빌 피틀러의 웹 메일 구현은 상업적 제품으로 더욱 발전되었고, 로터스는 1995년 가을에 이를 발표하고 출시하여 ''cc:Mail for the World Wide Web 1.0''으로 명명함으로써 cc:Mail 메시지 저장소에 접근하는 다른 수단을 제공했다(일반적인 수단은 다이얼업 또는 근거리 통신망 내에서 작동하는 cc:Mail 데스크톱 애플리케이션이었다).[15][16][17]
2. 2. 상업화 및 대중화
2000년대에 접어들면서 다음과 같은 이유로 일반 대중이 웹 메일에 접근하는 것이 더욱 일반화되었다.- 많은 인터넷 서비스 제공업체(예: EarthLink) 및 웹 호스팅 제공업체(예: Verio)가 웹 메일을 자사 서비스에 포함하기 시작했다(종종 POP/SMTP 서비스와 함께).
- 많은 다른 기업(예: 대학 및 대기업) 또한 사용자 커뮤니티가 이메일에 접근할 수 있는 방법으로 웹 메일을 제공하기 시작했다(로컬로 관리하거나 외주를 주거나).
- 웹 메일 서비스 제공업체(예: Hotmail 및 RocketMail)가 1996년에 일반 대중에게 무료 서비스로 등장하여 빠르게 인기를 얻었다.
어떤 경우에는 웹 메일 응용 프로그램 소프트웨어가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관리하는 조직에서 자체적으로 개발되었고, 어떤 경우에는 그러한 응용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판매하는 소프트웨어 회사에서 얻었는데, 보통 통합 메일 서버 패키지의 일부로 제공되었다(초기 예시로는 Netscape Messaging Server가 있다[20][21]). 웹 메일 응용 프로그램 소프트웨어 시장은 2010년대까지 계속되었다.
3. 특징
웹 브라우저 외에 별도의 소프트웨어가 필요하지 않다. 이용을 시작할 때는 관리자로부터 받은 "웹 서버 URL", "로그인 ID", "패스워드"로 로그인하면 되며, POP3나 IMAP4, SMTP 등 세부 설정을 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여러 사람이 공유하는 컴퓨터 등 설정을 변경할 수 없는 클라이언트에서도 이용 가능하다.
로컬에 메일을 저장하지 않으므로 컴퓨터를 교체하더라도 데이터 이관이 필요 없지만, 장애나 유지 보수로 인한 서버 중단, 네트워크 연결 불가능 시 등에는 수신된 메일 열람도 불가능하다. 이는 서버 측에 메일을 저장하는 IMAP4 서버와 동일한 단점이다.
3. 1. 기능
웹 메일 사용자는 POP3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웹 메일 클라이언트와 데스크톱 클라이언트를 모두 사용할 때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스크톱 클라이언트에서 다운로드되어 서버에서 제거된 이메일 메시지는 더 이상 웹 메일 클라이언트에서 사용할 수 없다. 사용자는 데스크톱 이메일 클라이언트에서 메시지를 다운로드하기 전에 웹 클라이언트를 사용하여 메시지를 미리 볼 수 있지만, 이메일을 서버에 남겨두도록 선택할 수도 있다. IMAP4 프로토콜을 사용하면 웹 메일 클라이언트와 데스크톱 클라이언트 모두에서 메일함 내용이 일관되게 표시되며, 한 인터페이스에서 수행하는 모든 작업은 다른 인터페이스를 통해 이메일에 접근할 때 반영된다.Gmail, Outlook.com, Yahoo! Mail과 같은 여러 웹 메일 서비스는 렌더링 기능에 상당한 차이가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