웹 개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웹 개발은 1989년 팀 버너스리가 월드 와이드 웹을 만들면서 시작되어, 웹 1.0, 웹 2.0, 웹 3.0 시대를 거치며 기술적으로 진화해왔다. 웹 개발은 프런트엔드, 백엔드, 풀스택, 데이터베이스 등 다양한 분야로 나뉘며, HTML, CSS, JavaScript, 다양한 프레임워크 및 데이터베이스 기술이 사용된다. 웹 개발은 분석, 계획, 디자인, 콘텐츠 제작, 개발, 테스트, 유지보수 단계를 거치며, 폭포수 모델, 애자일과 같은 다양한 방법론이 활용된다. 웹 개발 도구로는 통합 개발 환경(IDE), 버전 관리 시스템, 협업 도구가 사용되며, 웹 개발 보안은 인증, 인가, 보안 취약점 방지, 안전한 코딩 방식 등을 통해 구현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웹 개발 - Ajax
Ajax는 웹 페이지 전체를 새로고침하지 않고 비동기적으로 서버와 통신하여 웹 애플리케이션의 일부를 업데이트하는 웹 개발 기술로, XMLHttpRequest 객체의 등장으로 가능해졌으며 HTML, CSS, DOM, JavaScript, JSON 등의 기술을 통합하여 동적인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현한다. - 웹 개발 - WebXR
WebXR은 웹 브라우저에서 가상 현실 및 증강 현실 콘텐츠를 구현하기 위한 API로, 다양한 장치 및 플랫폼에서 몰입형 웹 경험을 제공하며, 구글, 메타, 모질라 등 여러 기업과 단체가 개발에 참여하여 지속적인 업데이트를 통해 기능 향상을 목표로 한다.
웹 개발 |
---|
2. 웹 개발의 역사
웹의 상용화 이래로 웹 개발은 성장하는 산업으로 발전해왔다. 특히 제품과 용역을 온라인 고객들에게 판매하려는 비즈니스가 늘어나면서 이러한 산업의 성장이 가속화되었다.[24]
웹 프로그래밍은 크게 서버 측에서 동작하는 프로그램과 사용자의 웹 브라우저와 같은 클라이언트 측에서 동작하는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을 포함한다.[20] 이 두 영역에서 사용되는 기술은 서로 다르며, 웹 애플리케이션의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때로는 복잡하게 연계되기도 한다. 예를 들어 Ajax를 사용하는 경우 서버 측과 클라이언트 측 프로그램이 긴밀하게 상호작용해야 하므로, 개발자는 양쪽 기술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2. 1. Web 1.0 (초창기 웹)
팀 버너스리는 1989년 CERN에서 월드 와이드 웹을 만들었다.[5] 웹 개발의 초기 주요 목표는 기관 및 다양한 글로벌 조직에 소속된 학계의 자동화된 정보 공유 요구를 충족시키는 것이었다. 이를 위해 1993년에 HTML이 개발되었다.[6] Web 1.0은 사용자가 자료를 보기만 하고 소량의 정보만 제공할 수 있는 최초의 패러다임으로 묘사된다.[7] Web 1.0의 핵심 프로토콜은 HTTP, HTML 및 URI였다.[8]2. 2. Web 2.0 (참여와 소통의 웹)
웹 2.0은 2004년 미디어 라이브(Media Live)와 함께 열린 컨퍼런스에서 당시 O'Reilly의 부사장 데일 도허티(Dale Dougherty)가 대중화시킨 용어이다. 이는 인터넷 사용 방식의 변화를 나타내며, 특히 상호작용을 강조한다.[9][10]웹 2.0은 사용자들의 참여와 소통을 크게 늘렸다. 이전의 웹 1.0이 정보를 주로 읽기만 하는 정적인 환경이었다면, 웹 2.0은 사용자들이 직접 참여하고 소통하는 통합된 네트워크로 발전했다. 이 때문에 종종 사용자 중심의 '읽기-쓰기' 온라인 네트워크라고 불리기도 한다.[7]
이러한 환경 속에서 사용자들은 음악, 파일, 이미지, 영화 등을 직접 만들고 공유하는 활동을 장려하는 다양한 플랫폼을 이용할 수 있게 되었다.[11] 웹 2.0의 기술적 구조는 서로 다른 플랫폼이나 온라인 데이터베이스 간의 정보 흐름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 표준화된 XML(확장성 마크업 언어) 태그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으며, 이는 '인터넷의 중추' 역할을 하는 것으로 평가받는다.[7]
2. 3. Web 3.0 (시맨틱 웹)
웹 3.0은 웹의 세 번째이자 현재 버전으로 간주되며, 2014년에 소개되었다. 이 개념은 웹의 완전한 재설계를 구상하며, 주요 특징으로는 메타데이터의 통합, 정확한 정보 전달, 그리고 선호도, 기록 및 관심사를 기반으로 하는 개선된 사용자 경험 등이 있다.웹 3.0은 웹을 기존의 검색 엔진보다 더 많은 기능을 제공하는 크고 체계적인 데이터베이스로 전환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사용자는 자신의 선호도에 따라 탐색을 맞춤 설정할 수 있으며, 핵심 아이디어는 데이터 소스를 식별하고, 효율성을 위해 연결하며, 사용자 프로필을 생성하는 것을 포함한다.[7]
이 버전은 때때로 시맨틱 웹으로도 알려져 있다.[12]
2. 4. 웹 개발 기술의 진화
웹의 상용화 이후 웹 개발은 지속적으로 성장하는 산업으로 자리 잡았으며, 특히 온라인으로 상품과 서비스를 판매하려는 기업들의 요구에 힘입어 확장되었다.[24] 웹 개발 기술의 여정은 인터넷 초창기의 단순한 HTML 페이지 제작에서 시작되었다. 팀 버너스리가 1989년 CERN에서 월드 와이드 웹을 처음 만들고[5], 1993년 HTML이 개발되면서[6] 웹사이트 구축이 가능해졌다. 초기 웹(흔히 웹 1.0으로 불림)은 사용자가 주로 정보를 보기만 하는 정적인 단방향 소통의 특징을 가졌다.[7] 시간이 흐르면서 웹 페이지의 스타일을 정의하는 CSS와 사용자 상호작용을 가능하게 하는 JavaScript가 통합되었고, 이후 다양한 기술들이 등장하며 웹은 동적이고 상호작용적인 플랫폼으로 진화했다.웹 개발 기술의 주요 발전 단계는 다음과 같다.
- 정적 HTML 페이지 (1990년대): 웹 초창기에는 HTML을 사용하여 텍스트와 이미지를 표시하는 단순한 정적 페이지가 주를 이루었다. 이는 웹의 기본적인 정보 공유 기능을 수행했다.
- CSS 도입 (1990년대 후반): 웹 페이지의 디자인(글꼴, 색상, 레이아웃 등)을 HTML 문서 구조와 분리하여 정의할 수 있게 해주는 CSS(Cascading Style Sheets)가 도입되었다. 이로써 웹 디자인의 일관성과 유지보수성이 향상되었다.[13]
- JavaScript 및 동적 HTML (1990년대 - 2000년대 초): JavaScript의 등장은 웹 페이지에 동적인 효과를 주고 사용자와의 상호작용을 가능하게 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페이지 내용이 변경되거나 애니메이션 효과를 주는 것이 가능해졌다. 이는 정적인 문서를 넘어선 사용자 경험을 제공하는 시작점이 되었다.[14][15]
- AJAX (1998년 개념 등장, 2000년대 중반 확산): AJAX(Asynchronous JavaScript and XML) 기술은 페이지 전체를 새로고침하지 않고도 서버와 데이터를 비동기적으로 교환하여 웹 페이지의 일부만 업데이트할 수 있게 만들었다. 이는 웹 애플리케이션의 반응성과 사용자 경험을 획기적으로 개선했으며, 웹 2.0 시대로의 전환을 이끈 핵심 기술 중 하나로 평가받는다.[16][9][10] 웹 2.0은 사용자 참여와 상호작용, 정보 공유가 강조되는 패러다임이다.[7]
- 콘텐츠 관리 시스템 (CMS)의 부상 (2000년대 중반): 워드프레스, 줌라, 드루팔과 같은 콘텐츠 관리 시스템(CMS)이 등장하면서 프로그래밍 지식이 없는 사용자도 비교적 쉽게 웹사이트를 제작하고 콘텐츠를 관리할 수 있게 되었다. 이는 웹사이트 구축의 대중화에 크게 기여했다.
- 모바일 웹 (2000년대 후반 - 2010년대): 스마트폰과 태블릿 등 모바일 기기의 보급이 확산되면서 다양한 화면 크기에 맞춰 웹사이트 레이아웃과 콘텐츠가 자동으로 최적화되어 표시되는 반응형 웹 디자인의 중요성이 커졌다.
- 싱글 페이지 애플리케이션 (SPA) 및 프런트엔드 프레임워크 (2010년대): 싱글 페이지 애플리케이션(SPA)는 최초 로딩 시 필요한 모든 리소스를 받아오거나, 이후 필요한 데이터만 동적으로 로드하여 페이지 전환 없이 단일 페이지 내에서 콘텐츠를 갱신하는 방식이다. 이는 데스크톱 애플리케이션과 유사한 부드러운 사용자 경험을 제공한다. Angular, React, Vue.js와 같은 프런트엔드 프레임워크의 발전은 SPA 개발을 용이하게 하고 개발 생산성을 크게 향상시켰다.
- 서버 측 JavaScript (2010년대): Node.js의 등장은 전통적으로 브라우저 환경에서만 사용되던 JavaScript를 서버 측 개발에도 사용할 수 있게 만들었다. 이를 통해 프런트엔드와 백엔드 개발에 동일한 언어를 사용하는 풀스택 개발이 용이해졌다.
- 마이크로서비스 및 API 기반 개발 (2010년대 - 현재): 단일의 거대한 애플리케이션을 작고 독립적으로 배포 가능한 서비스 단위(마이크로서비스)로 나누어 개발하는 아키텍처가 주목받기 시작했다. 각 서비스는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를 통해 서로 통신하며, 이는 애플리케이션의 개발 유연성, 확장성, 유지보수성을 높이는 데 기여한다.
- 프로그레시브 웹 앱 (PWA) (2010년대 - 현재): 프로그레시브 웹 앱(PWA)은 웹 기술을 기반으로 하면서도 네이티브 앱과 유사한 사용자 경험(예: 오프라인 작동, 홈 화면 아이콘 추가, 푸시 알림)을 제공하는 웹 애플리케이션이다. 별도의 설치 과정 없이 웹 브라우저를 통해 접근 가능하며 다양한 플랫폼에서 작동하는 장점이 있다.
- JAMstack 아키텍처 (2010년대 - 현재): JAMstack(JavaScript, APIs, Markup)은 사전 렌더링된 정적 마크업(HTML) 파일을 기반으로 하고, 동적인 기능은 클라이언트 측 JavaScript와 재사용 가능한 API를 통해 처리하는 현대적인 웹 개발 아키텍처이다. 이는 웹사이트의 성능, 보안, 확장성을 개선하고 개발 경험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표로 한다.
- WebAssembly (Wasm) (2010년대 - 현재): WebAssembly는 웹 브라우저에서 C, C++, Rust 등 고성능 언어로 작성된 코드를 네이티브에 가까운 속도로 실행할 수 있게 하는 바이너리 명령어 형식이다. 복잡한 연산이 필요한 게임, 비디오 편집, 데이터 시각화 등 고성능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의 가능성을 열었다.
- 서버리스 컴퓨팅 (2010년대 - 현재): 서버리스 컴퓨팅은 개발자가 서버의 존재를 의식하거나 직접 관리할 필요 없이 코드를 실행할 수 있게 하는 클라우드 컴퓨팅 실행 모델이다. 클라우드 제공자가 인프라 관리를 담당하므로 개발자는 비즈니스 로직 개발에 더 집중할 수 있으며, 실제 사용량에 따라 비용을 지불하는 방식으로 운영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 인공지능 (AI) 및 머신 러닝 통합 (2010년대 - 현재): 인공지능(AI)과 머신 러닝(ML) 기술이 웹 개발에 점차 통합되면서 지능형 챗봇, 개인화된 콘텐츠 추천 시스템, 사용자 행동 분석, 자동화된 웹 디자인 및 테스트 등 다양한 기능 구현이 가능해지고 있다. 이는 사용자 경험을 개인화하고 웹 서비스의 지능을 높이는 방향으로 웹 개발을 이끌고 있다.
미래의 웹 개발은 브라우저 기술의 발전, 웹 인프라의 고도화, 새로운 프로토콜 표준의 등장, 소프트웨어 엔지니어링 방법론의 진화, 그리고 변화하는 애플리케이션 트렌드에 의해 지속적으로 영향을 받으며 발전해 나갈 것으로 예상된다.[8]
3. 웹 개발의 분야
웹 개발에서 클라이언트 측과 서버 측의 기본적인 역학 관계를 이해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웹 개발은 크게 사용자가 직접 상호작용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시각적 구성 요소를 만드는 '''프런트엔드 개발'''과 데이터베이스, 서버 측 로직, 애플리케이션 기능과 관련된 '''백엔드 개발'''로 나눌 수 있다. 안정적이고 사용자 친화적인 온라인 애플리케이션을 구축하려면 프런트엔드 및 백엔드 엔지니어 간의 협업을 통한 포괄적인 접근 방식이 필요하다. 또한, 웹 애플리케이션의 프런트엔드와 백엔드 구성 요소, 데이터베이스 및 기타 필요한 인프라를 포함한 전체 솔루션 스택을 설계, 구축, 유지 관리하는 '''풀 스택 개발''' 분야도 존재한다.
3. 1. 프론트엔드 개발
프론트엔드 개발은 사용자가 웹사이트와 직접 상호작용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UI) 및 시각적 구성 요소를 만들고 사용자 경험(UX)을 설계하는 분야이다. 이는 데이터베이스, 서버 측 로직 등을 다루는 백엔드 개발과 구분되며, 안정적이고 사용자 친화적인 웹 애플리케이션 구축을 위해서는 프론트엔드와 백엔드 개발 간의 협업이 중요하다. 클라이언트 측과 서버 측 개발의 기본적인 역학 관계를 이해하는 것 또한 웹 개발에서 매우 중요하다.프론트엔드 개발의 핵심 목표 중 하나는 훌륭한 사용자 경험 디자인을 제공하는 것이다. 사용자가 웹사이트나 애플리케이션을 직관적이고, 접근 가능하며, 즐겁게 사용할 수 있도록 인터페이스를 만드는 데 중점을 둔다. 이를 위해 사용자 행동을 이해하고, 사용성 연구를 수행하며, 와이어프레임 및 프로토타입 제작, 디자인 원칙 적용 등을 통해 사용자의 전반적인 만족도를 향상시킨다. UI 와이어프레임 제작에 사용되는 도구들은 다음과 같다.
도구 | 특징 |
---|---|
Sketch | 상세한 벡터 기반 디자인에 사용 |
Moqups | 초보자용 |
피그마 (Figma) | 무료 와이어프레임 앱 |
UXPin | 개발자에게 디자인 문서를 넘겨줄 때 사용 |
MockFlow | 프로젝트 구성에 사용 |
Justinmind | 인터랙티브 와이어프레임에 사용 |
Uizard | AI 지원 와이어프레임에 사용 |
디자인 시 중요한 또 다른 고려 사항은 웹 접근성이다. 웹 접근성은 장애 유무와 관계없이 모든 사용자가 디지털 콘텐츠를 동등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보장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 웹 콘텐츠 접근성 지침(WCAG)과 같은 표준을 준수하고, 이미지에 대체 텍스트를 제공하는 등 다양한 사용자 요구 사항을 고려하여 디자인해야 한다.[22]
3. 1. 1. 주요 기술
웹 개발의 핵심을 이루는 주요 기술은 웹 페이지의 구조, 디자인, 동작을 담당한다. 대표적인 프론트엔드 기술 3가지는 다음과 같다.- '''HTML (Hypertext Markup Language):''' 웹 페이지의 뼈대를 만드는 마크업 언어이다. 웹 페이지에 표시될 글자, 이미지 등의 콘텐츠 구조와 의미를 정의한다.[13] 초기 웹은 단순한 HTML 페이지로 시작되었다.
- '''CSS (Cascading Style Sheet):''' 웹 페이지의 디자인과 레이아웃을 담당하는 스타일 시트 언어이다. HTML로 만들어진 구조에 색상, 글꼴, 배치 등을 적용하여 시각적으로 보기 좋게 꾸민다.[13] HTML 이후 스타일링을 위해 도입되었다.
- '''자바스크립트 (JavaScript):''' 웹 페이지를 동적으로 만들고 사용자와 상호작용할 수 있게 하는 프로그래밍 언어이다. 버튼 클릭 반응, 애니메이션 효과, 데이터 업데이트 등 다양한 기능을 구현한다.[14][15] 자바스크립트의 발전은 React, Angular, Vue.js와 같은 현대적인 프론트엔드 프레임워크의 등장을 이끌었다.
이러한 핵심 기술 외에도 웹 개발에는 다양한 기술이 활용된다. 클라이언트 측 프로그래밍에서는 웹 브라우저에서 동작하는 자바스크립트가 주로 사용되며, 특히 Ajax 기술은 페이지 전체를 새로고침하지 않고도 서버와 데이터를 주고받아 동적인 웹 경험을 가능하게 했다.[16] 초기에는 웹 브라우저마다 자바스크립트 구현 방식이 달라 개발에 어려움이 있었으나[22], 제이쿼리나 prototype.js 같은 자바스크립트 라이브러리가 등장하면서 브라우저 호환성 문제를 해결하고 개발 편의성을 높였다. 이러한 라이브러리와 프레임워크는 대부분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 방식으로 설계되어 있다.[23] 이로 인해 클라이언트 사이드 개발에서도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의 중요성이 커졌다.
과거에는 Flash나 Silverlight 같은 리치 클라이언트 기술도 웹 브라우저의 한계를 보완하고 풍부한 사용자 경험을 제공하기 위해 사용되었으나, 웹 표준 기술의 발전과 함께 점차 사용 빈도가 줄어들었다. Java Web Start나 .NET의 ClickOnce, 어도비의 AIR 같은 기술도 브라우저 의존성을 줄이기 위해 사용되기도 했다.
웹 브라우저는 본래 문서 열람을 목적으로 만들어졌기 때문에, 애플리케이션 수준의 복잡한 GUI를 구현하는 데는 한계가 있었다. Ajax와 리치 클라이언트 기술은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시도였다. 현대 웹 개발에서는 HTML5, CSS3 등 발전된 웹 표준 기술과 강력한 자바스크립트 프레임워크를 통해 풍부하고 인터랙티브한 웹 애플리케이션을 구현하고 있다.
3. 2. 백엔드 개발
백엔드 개발은 웹 애플리케이션의 눈에 보이지 않는 영역, 즉 서버 측의 논리 구조와 데이터베이스를 설계하고 구축하는 과정을 의미한다. 사용자가 웹사이트나 앱과 상호작용할 때 발생하는 요청을 처리하고,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관리하며, 애플리케이션의 전반적인 기능이 원활하게 작동하도록 보장하는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한다.백엔드 개발자는 서버, 애플리케이션, 데이터베이스가 서로 원활하게 통신하며 작동하도록 시스템을 구축하고 유지 관리한다. 이를 위해 다양한 서버 측 프로그래밍 언어와 프레임워크, 그리고 데이터베이스 기술에 대한 깊은 이해가 필요하다. 웹 애플리케이션의 성능 최적화, 보안 강화, 데이터 무결성 확보 등 안정적이고 신뢰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데 필수적인 분야이다.[21]
3. 2. 1. 주요 기술
웹 개발 기술은 인터넷 초창기의 단순한 HTML 페이지에서 시작하여, 스타일을 위한 CSS와 상호 작용을 위한 JavaScript가 통합되면서 발전해 왔다.[13][14][15] 이러한 발전은 정적인 웹사이트를 오늘날의 복잡하고 기능이 풍부한 동적 웹 애플리케이션으로 변화시키는 기반이 되었다. 웹 개발에 사용되는 주요 기술 요소는 다음과 같다.'''서버 측 기술'''
서버 측 언어는 클라이언트의 웹 브라우저가 아닌 웹 서버에서 실행되는 프로그래밍 언어를 의미한다. 이러한 언어들은 데이터 처리, 데이터베이스와의 상호 작용, 사용자의 요청에 따른 동적 콘텐츠 생성 등 웹 애플리케이션의 핵심 로직을 담당한다. 서버 측 스크립팅은 서버가 클라이언트의 요청에 실시간으로 응답할 수 있도록 하는 핵심 기술이다.
주요 서버 측 언어는 다음과 같다.
# '''PHP''': 오픈 소스 기반의 스크립트 언어로, HTML 코드에 직접 내장하여 사용할 수 있어 웹 개발에 널리 사용된다.
# '''파이썬''':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는 다목적 고급 프로그래밍 언어로, 장고나 플라스크와 같은 웹 프레임워크를 통해 서버 측 개발에 활발히 사용된다. 오픈 소스이다.
# '''루비''':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 언어로, 특히 루비 온 레일스 프레임워크와 함께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에 자주 사용된다. 오픈 소스이다.
# '''자바''': 범용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 언어로, 스프링과 같은 프레임워크를 사용하여 대규모 엔터프라이즈급 웹 애플리케이션 구축에 주로 사용된다.
# '''Node.js (자바스크립트)''': 전통적인 클라이언트 측 언어인 JavaScript를 서버 환경에서 실행할 수 있게 해주는 런타임 환경이다. 이벤트 기반의 논블로킹 I/O 모델을 특징으로 하여 확장성 높은 고성능 애플리케이션 개발에 적합하다.
# '''C#''': 마이크로소프트에서 개발한 프로그래밍 언어로, .NET 프레임워크와 함께 마이크로소프트 기술 스택 기반의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에 주로 사용된다. (마이크로소프트 사유 기술)
# '''ASP.NET''': 마이크로소프트에서 개발한 웹 프레임워크로, C#이나 VB.NET 등의 언어를 지원하며 동적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을 용이하게 한다. (마이크로소프트 사유 기술)
# '''Go''': 구글에서 개발한 정적 타입 언어로, 단순성과 효율성을 바탕으로 확장성 있는 고성능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에 점차 많이 사용되고 있다.
# '''펄''': 웹 개발 초창기부터 사용되어 온 다목적 스크립트 언어로, 강력한 텍스트 처리 기능이 특징이다. 오픈 소스이다.
# '''Swift''': 애플에서 개발한 언어로, iOS 및 macOS 앱 개발뿐만 아니라 서버 측 개발에도 활용된다.
이 외에도 ASP (마이크로소프트 사유 기술), 콜드퓨전 (어도비 사유 기술, 이전 매크로미디어, Allaire 소유), 웹스피어 (IBM 사유 기술) 등 다양한 서버 측 기술이 존재한다.
서버 사이드 프로그래밍에서는 DBMS에 대한 지식이 중요하다. 특히 접속량이 많은 웹사이트의 경우 데이터베이스 부하가 커질 수 있으며, DoS(디도스) 방지 등 보안 대책 마련도 필수적이다. 또한 여러 사용자의 동시 요청을 처리해야 하므로, 사용자별 데이터가 메모리 상에서 혼용되지 않도록 주의 깊게 프로그래밍해야 한다.[21]
'''응용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 (API)'''
API는 서로 다른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이 정해진 규칙과 프로토콜에 따라 서로 통신하고 정보를 교환할 수 있도록 하는 인터페이스이다. 웹 개발에서는 서버와 클라이언트 간, 또는 서로 다른 서비스 간의 데이터 연동을 위해 필수적으로 사용된다.
'''서버 및 클라우드 인스턴스'''
웹 애플리케이션을 구동하고 사용자에게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물리적 또는 가상의 컴퓨팅 환경이다. 클라우드 인스턴스는 인터넷을 통해 접근 가능한 가상 서버로, 필요에 따라 자원을 유연하게 확장하거나 축소할 수 있어 동적이고 경제적인 운영이 가능하다.
'''데이터베이스'''
웹 애플리케이션에서 생성되고 사용되는 데이터를 영구적으로 저장하고 관리하는 시스템이다. 백엔드 개발의 핵심 요소 중 하나로, 사용자 정보, 게시물 내용, 상품 정보 등 다양한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DBMS에 대한 이해와 활용 능력이 요구된다.[21]
3. 3. 풀스택 개발
풀 스택 개발은 웹 애플리케이션의 전체 솔루션 스택을 설계, 구축 및 유지 관리하는 행위를 말한다. 여기에는 프런트엔드 (클라이언트 측) 및 백엔드 (서버 측) 구성 요소와 데이터베이스 및 기타 필요한 인프라가 모두 포함된다. 풀 스택 개발자는 프런트엔드 및 백엔드 기술 모두를 사용하여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의 모든 측면을 처리할 수 있는 전문 지식을 가진 사람이다.- '''MEAN''' (MongoDB, Express.js, Angular, Node.js) 및 '''MERN''' (MongoDB, Express.js, React, Node.js)은 일관된 기술 세트를 제공하여 개발 프로세스를 간소화하는 인기 있는 풀 스택 개발 스택이다.
3. 4. 데이터베이스 기술
데이터베이스 관리는 웹 애플리케이션에서 데이터를 저장, 검색, 관리하는 데 매우 중요하다. MySQL, PostgreSQL, MongoDB와 같은 다양한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은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구성하고 구조화하는 데 각기 다른 역할을 수행한다. 효율적인 데이터베이스 관리는 데이터 기반 웹 애플리케이션의 응답성과 성능을 보장하는 핵심 요소이다. 웹 개발에 사용되는 주요 데이터베이스 유형은 다음과 같다.-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데이터를 테이블 형태로 구성하고 관계를 정의하여 관리하는 구조화된 데이터베이스이다. SQL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조작하며, 데이터의 일관성과 무결성을 중요하게 다룬다. 대표적인 예로는 MySQL, PostgreSQL, 오라클, 마이크로소프트 SQL 서버, SQLite 등이 있다.
- '''NoSQL 데이터베이스''': NoSQL 데이터베이스는 비정형 데이터 또는 반정형 데이터를 처리하도록 설계되어 관계형 데이터베이스보다 유연한 데이터 모델을 제공한다. 대규모 데이터 분산 처리와 빠른 속도가 장점이다. NoSQL 데이터베이스는 데이터 모델에 따라 다음과 같이 분류될 수 있다.
- '''문서 저장소''': 데이터를 JSON이나 XML과 같은 문서 형식으로 저장한다. 각 문서는 독립적인 구조를 가질 수 있어 유연성이 높다. 주요 예시로는 MongoDB, CouchDB가 있다.
- '''키-값 저장소''': 고유한 키(Key)와 해당 키에 연결된 값(Value)의 쌍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는 가장 단순한 형태의 NoSQL 데이터베이스이다. 빠른 데이터 조회 속도가 특징이며, 캐싱이나 세션 관리에 자주 사용된다. Redis, Memcached 등이 대표적이다.
- '''열 패밀리 저장소''': 데이터를 행(Row) 단위가 아닌 열(Column) 단위로 저장한다. 대규모 데이터 세트에 대한 읽기 및 쓰기 작업에 효율적이며, 분산 시스템 환경에 적합하다. 카산드라, HBase 등이 여기에 속한다.
- '''그래프 데이터베이스''': 데이터를 노드(Node), 엣지(Edge), 속성(Property)을 사용하여 그래프 구조로 표현하고 저장한다. 데이터 간의 복잡한 관계를 효율적으로 탐색하고 분석하는 데 강점을 보인다. 소셜 네트워크 분석, 추천 시스템 등에 활용된다. Neo4j, 넵튠 등이 있다.
- '''인메모리 데이터베이스''': 데이터를 하드 디스크나 SSD가 아닌 주 메모리(RAM)에 저장하여 데이터 처리 속도를 극대화한 데이터베이스이다. 매우 빠른 응답 시간이 필요한 실시간 분석, 게임, 금융 거래 시스템 등에 사용된다. Redis, Memcached 등은 키-값 저장소이면서 인 메모리 데이터베이스의 특징도 가진다.
- '''시계열 데이터베이스''': 타임스탬프와 함께 기록된 데이터를 저장하고 분석하는 데 최적화된 데이터베이스이다. 센서 데이터, 주식 시장 데이터, 시스템 로그 등 시간의 흐름에 따라 변화하는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처리한다. InfluxDB, OpenTSDB 등이 있다.
- '''NewSQL 데이터베이스''':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의 ACID(원자성, 일관성, 격리성, 지속성) 트랜잭션 특성과 NoSQL 데이터베이스의 확장성 및 성능을 결합하려는 목표를 가진 새로운 유형의 데이터베이스이다. 대규모 분산 환경에서도 데이터의 일관성을 유지하면서 높은 처리량을 제공한다. 구글 스패너, CockroachDB 등이 대표적이다.
- '''객체 지향 데이터베이스''': 데이터를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에서 사용하는 객체(Object) 형태로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이다. 데이터와 데이터를 처리하는 메서드를 함께 캡슐화하여 저장하며, 객체 지향 언어와의 호환성이 높다. db4o, ObjectDB 등이 있다.
데이터베이스의 선택은 저장하려는 데이터의 특성, 필요한 확장성 수준, 성능 요구 사항, 개발 중인 애플리케이션의 구체적인 사용 사례 등 다양한 요소를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결정해야 한다. 각 데이터베이스 유형은 고유한 장단점을 가지므로, 프로젝트의 요구 사항에 가장 적합한 기술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하다.
특히 접속량이 많은 웹사이트에서는 데이터베이스에 높은 부하가 걸리기 쉬우므로, 이를 효과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DBMS에 대한 깊이 있는 지식이 소프트웨어 개발 과정에서 중요하게 요구된다.[21]
(원본 소스 목록에서 * 표시는 오픈 소스 / 퍼블릭 도메인을 의미한다: 아파치 더비, 파이어버드, MySQL, PostgreSQL, SQLite, 레디스, 몽고DB, 카우치DB)
4. 웹 개발 생명 주기
웹 개발 수명 주기는 웹사이트 및 웹 애플리케이션 구축에 관련된 단계를 간략하게 설명하는 방법이다. 이는 개발 프로세스 전반에 걸쳐 최적의 결과를 보장하는 구조화된 접근 방식을 제공한다.
일반적인 웹 개발 프로세스는 7단계로 나눌 수 있다.
4. 1. 분석
Debra Howcraft와 John Carroll은 웹 개발 과정을 순차적인 단계로 나눌 수 있는 방법론을 제안하며 분석의 다양한 측면을 강조했다.[17]웹 개발의 초기 단계는 웹 전략을 수립하고 웹사이트가 설정된 목표를 효과적으로 달성할 방안을 분석하는 것이다. Keil 등의 연구[18]에 따르면, 소프트웨어 프로젝트 실패의 주요 원인 중 하나는 최고 경영진의 지원 부족과 시스템 요구 사항에 대한 오해이다. 이러한 위험을 줄이기 위해, 분석 단계에서는 전략적 목표를 설정하고 이를 달성하기 위한 시스템을 설계하는 데 중점을 둔다. 웹사이트 구축 결정은 조직의 전반적인 정보 전략과 일치하는 것이 이상적이다.
분석 단계는 크게 세 가지 하위 단계로 나눌 수 있다.
- 웹 전략 개발
- 목표 정의
- 목표 분석
이 단계에서는 앞서 설정된 목표와 사용 가능한 자원을 분석하여 프로젝트의 실행 가능성을 판단한다. 이 분석 과정은 다음의 여섯 가지 주요 작업으로 구성된다.
- '''기술 분석:''' 웹사이트를 구축하고, 호스팅하며, 유지보수하는 데 필요한 모든 기술적 구성 요소와 도구를 식별한다.
- '''정보 분석:'''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정보가 정적인 웹 페이지 형태인지, 아니면 데이터베이스 서버에서 실시간으로 가져오는 동적인 형태인지를 파악하고 정의한다.
- '''기술 역량 분석:''' 프로젝트를 성공적으로 완료하는 데 필요한 다양한 기술 역량(skill sets)을 식별한다.
- '''사용자 분석:''' 웹사이트를 사용할 모든 잠재적 사용자를 식별한다. 사용자 범위가 다양하고 사용하는 기술 수준이 다르기 때문에 이 과정은 복잡할 수 있다.
- '''비용 분석:''' 웹사이트 개발에 필요한 비용을 추정하거나, 미리 정해진 예산 안에서 어떤 기능을 구현할 수 있는지 평가한다.
- '''위험 분석:''' 웹사이트 개발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주요 위험 요소를 검토하고 평가한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더욱 구체화된 목표들이 문서화된다. 만약 현재 자원이나 기술로 달성하기 어려운 목표가 있다면, 이는 '희망 목록(wish list)'으로 별도 관리되며 목표 문서의 일부가 된다. 이 문서는 이후 개발 과정에서 반복적으로 검토되고 수정되는 데 중요한 기초 자료로 활용된다.[17]
4. 2. 계획
웹 개발자는 계획을 수립하고 최적의 아키텍처를 결정하며 프레임워크를 선택하는 데 참여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개발자/컨설턴트는 웹사이트 지원과 관련된 총 소유 비용을 명확히 하는 역할도 수행하며, 이는 초기 개발 비용을 초과할 수 있다.이 단계의 주요 측면은 다음과 같다.
4. 3. 설계
분석 단계가 끝나면 개발 과정은 디자인 단계로 넘어간다. 이 단계는 사전에 정의된 목표 문서를 기반으로 진행된다. 웹사이트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점진적으로 성장하고 변화할 수 있으므로, 디자인 단계에서는 이러한 변경 및 추가 사항을 고려하기 위해 반복적인 접근 방식을 사용한다. 디자인 단계는 크게 정보 디자인과 그래픽 디자인으로 나눌 수 있으며, 웹사이트의 전체적인 구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 그리고 공용 게이트웨이 인터페이스 스크립트 등을 상세하게 명시하는 디자인 문서를 생성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다음으로 디자인 테스트 단계가 이어진다. 이 단계에서는 디자인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불일치나 결함을 초기에 발견하기 위한 저비용 테스트에 중점을 둔다. 웹사이트의 디자인 결과물이 초기에 설정된 목표 및 목적과 잘 부합하는지 비교하고 검토하는 과정이 포함된다. 디자인과의 일관성을 확보하기 위해 이전 단계에서 설정된 목표를 반복적으로 재검토하며, 만약 제거되는 목표가 있다면 추후 다시 고려할 수 있도록 위시 리스트(wish list)에 기록해 둔다.[17]
이 설계 단계에서 중요하게 다루는 주요 측면은 다음과 같다.
- 페이지 레이아웃 설계
- 디자인 결과물 검토
- 최종 디자인 승인
특히 사용자가 직접 접하는 웹 애플리케이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UI)와 사용자 경험(UX)을 설계하고 구현하는 프론트엔드 웹 개발은 이 설계 단계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프론트엔드 개발은 사용자가 시각적으로 매력을 느끼고 쉽게 상호작용할 수 있는 웹 요소를 만드는 과정이다. 프론트엔드 개발과 관련된 주요 핵심 기술은 다음과 같다.
- '''HTML (Hypertext Markup Language):''' 웹 페이지의 기본적인 뼈대와 콘텐츠 구조를 만드는 데 사용된다.
- '''CSS (Cascading Style Sheet):''' HTML로 구성된 요소들의 스타일(색상, 글꼴, 레이아웃 등)을 지정하여 웹 페이지를 시각적으로 보기 좋게 꾸민다.
- '''JavaScript:''' 웹 페이지에 동적인 기능과 상호작용(예: 버튼 클릭 시 반응, 애니메이션 효과 등)을 추가하는 데 사용된다. JavaScript의 발전은 React, Angular, Vue.js 등과 같은 다양한 프론트엔드 프레임워크의 등장을 이끌었다.
4. 4. 콘텐츠 제작
웹사이트의 시각적 요소만큼이나 고객과의 원활한 소통 역시 매우 중요하다. 콘텐츠 제작의 주된 목적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고객에게 매력적이고 이해하기 쉬운 방식으로 관련 정보를 전달하여 소통 채널을 만드는 것이다. 콘텐츠 제작에는 다음과 같은 활동이 포함된다.- 매력적인 행동 유도(콜 투 액션) 개발
- 창의적인 헤드라인 제작
- 가독성을 높이기 위한 콘텐츠 서식 지정
- 문장 및 내용 편집 수행
- 사이트 개발 과정 전반에 걸친 텍스트 업데이트
콘텐츠 제작 단계는 웹사이트 또는 웹 애플리케이션의 브랜딩 및 마케팅 전략을 구축하는 데 매우 중요하다. 설득력 있고 매력적인 콘텐츠는 해당 온라인 플랫폼의 존재 목적과 목표를 명확히 정의하는 데 기여한다.
4. 5. 개발
이 단계에서는 웹사이트의 기본적인 목표를 염두에 두고 실제 웹사이트를 구축한다. 모든 그래픽 요소에 세심한 주의를 기울여 완전히 작동하는 사이트를 만드는 것을 목표로 한다.개발 절차는 일반적으로 메인 페이지(홈페이지) 개발로 시작하여 점차 내부 페이지를 제작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이 과정에서 사용자가 사이트 내 정보를 쉽게 찾고 이동할 수 있도록 탐색 구조를 개선하는 작업이 중요하다.
또한, 이 개발 단계에서는 웹사이트의 핵심 기능들이 구현되고 활성화된다. 대표적인 예로는 콘텐츠 관리 시스템(CMS), 사용자와 상호작용하는 연락처 양식, 전자상거래 사이트의 경우 쇼핑 카트 기능 등이 있다.
코딩 과정은 웹사이트를 구동하는 모든 소프트웨어를 만들고 이를 적절한 웹 서버에 설치하는 작업을 포함한다. 이는 단순히 완성된 파일을 웹 서버에 올리는(게시하는) 것부터 시작하여, 데이터베이스와의 연결 설정과 같이 더 복잡한 기술적인 작업을 포괄한다.
특히 현대 웹 개발에서는 다양한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 여러 종류의 장치와 화면 크기에서 웹사이트가 잘 보이고 사용하기 편리하도록 만드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이를 위해 반응형 웹 디자인 기법을 사용하는데, 주로 CSS 미디어 쿼리와 유연한 레이아웃 구조를 활용하여 다양한 환경에 웹사이트 화면이 자동으로 적응하도록 구현한다.
4. 6. 테스트
웹 프로젝트에서 테스트 단계는 매우 복잡하고 어렵다. 웹 애플리케이션은 다양한 기술 환경에서 실행되며, 종종 알려지지 않은 사용자 기반을 위해 설계되기 때문에 그 복잡성은 정보 시스템보다 훨씬 높다. 웹사이트가 최대 도달 범위와 효율성을 보장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컨텍스트와 기술 환경에서 테스트되어야 한다.웹사이트는 디자이너의 최종 승인을 받은 후 배포 단계로 이동하며, 그 전에 품질 보증 팀은 웹사이트의 출시 준비를 위해 기능, 호환성, 성능에 대한 엄격한 테스트를 수행한다. 여기에는 통합 테스트, 스트레스 테스트, 확장성 테스트, 부하 테스트, 해상도 테스트, 크로스 브라우징 호환성 테스트 등이 포함된다. 승인이 완료되면, 웹사이트는 보통 FTP를 통해 서버로 전송되어 개발 프로세스가 마무리된다.
이 단계의 주요 측면은 다음과 같다.
- 손실된 링크 테스트
- 코드 유효성 검사기 사용
- 다양한 웹 브라우저에서의 확인
철저한 웹 테스트와 디버깅 프로세스는 웹 애플리케이션에서 문제를 식별하고 해결하는 데 필수적이다. 주요 테스트 방법론은 다음과 같다.
- '''단위 테스트:''' 개별 구성 요소 또는 기능이 예상대로 작동하는지 확인하기 위한 테스트이다.
- '''통합 테스트:''' 서로 다른 구성 요소 또는 모듈 간의 상호 작용을 테스트하여 함께 제대로 작동하는지 확인한다.
- '''사용자 인수 테스트:''' 최종 사용자의 관점에서 시스템이 요구사항을 만족하는지 확인하는 테스트이다.
디버깅은 코드의 오류를 찾아 수정하여 애플리케이션의 안정성과 신뢰성을 보장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또한, CI/CD 파이프라인은 테스트, 배포 환경 구성, 릴리스 프로세스를 자동화하여 더욱 빠르고 안정적인 릴리스를 가능하게 한다.
4. 7. 유지보수
웹 개발 과정은 웹사이트나 애플리케이션을 단순히 만드는 배포 단계 이후에도 다양한 작업을 포함한다.웹사이트는 지속적인 유지보수가 필요하며, 새로운 콘텐츠가 정기적으로 업데이트될 수 있다. 웹사이트의 규모가 커짐에 따라 유지 관리에 드는 비용과 노력도 증가하는 경향이 있다. 제공되는 정보의 정확성을 유지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며, 정보와 링크, 특히 외부 웹사이트로 연결되는 링크가 최신 상태인지 지속적으로 확인해야 한다. 또한 사용자들의 피드백을 반영하여 웹사이트를 개선하고, 장기적인 효과를 유지하기 위해 정기적인 지원 및 유지 관리 작업이 수행된다.[17]
웹 애플리케이션의 경우, 데이터의 일관성과 응답성을 보장하기 위해 애플리케이션의 상태를 관리하는 것이 중요하다. 복잡한 웹 애플리케이션에서는 리덕스(리액트에서 주로 사용)나 뷰엑스(뷰.js에서 주로 사용)와 같은 상태 관리 라이브러리가 이러한 상태 관리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5. 웹 개발 방법론
웹 개발은 사용자가 직접 보는 화면을 만드는 프런트엔드와, 보이지 않는 곳에서 데이터를 처리하고 시스템을 움직이는 백엔드로 나눌 수 있다. 이 둘의 역할과 상호작용, 즉 클라이언트 측과 서버 측의 역학 관계를 이해하는 것이 웹 개발의 기본이며 매우 중요하다.
- 프런트엔드 개발: 사용자가 웹사이트에서 직접 보고 상호작용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UI)와 시각적인 부분을 만드는 작업이다. 사용자가 편리하고 보기 좋게 웹사이트를 이용할 수 있도록 디자인하고 구현한다.
- 백엔드 개발: 웹사이트의 서버 측 로직, 데이터베이스 관리 등 눈에 보이지 않는 부분을 담당한다. 사용자 요청을 처리하고, 데이터를 관리하며, 웹 애플리케이션이 원활하게 작동하도록 하는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한다.
성공적인 웹 애플리케이션을 구축하려면 프런트엔드 개발자와 백엔드 개발자 간의 긴밀한 협업이 필수적이다. 사용자 친화적인 화면과 안정적인 시스템 기능이 조화를 이루어야 좋은 웹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웹 개발 과정의 효율성과 체계성을 높이기 위해 다양한 개발 방법론이 사용된다.
5. 1. 전통적인 개발 방법론
Debra Howcraft와 John Carroll은 연구 논문에서 몇 가지 전통적인 웹 개발 방법론에 대해 논의했다.[17]- '''폭포수 모델''': 폭포수 모델 방법론은 각 단계 사이의 반복을 최소화하며 개발 프로세스를 순차적인 단계로 나누어 진행한다. 그러나 웹사이트나 정보 시스템 개발에 이 모델을 적용할 때의 주요 단점은 이전 단계로 돌아가기 어려운 엄격한 구조에 있다. 웹사이트 개발 방법론은 변화에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어야 한다.[17]
- '''구조적 시스템 분석 및 설계 방법(SSADM)''': SSADM은 정보 시스템 및 소프트웨어 공학 분야에서 시스템 분석 및 설계를 위해 널리 사용되는 방법론이다. 개발 프로젝트의 전체 생명 주기를 다루지는 않지만, 분석 및 설계 단계에 집중하여 개발 후반부에 발생할 수 있는 비용이 많이 드는 오류나 누락을 최소화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17]
- '''프로토타이핑''': 프로토타이핑은 시스템이나 애플리케이션의 초기 버전을 만들어 주요 기능을 시각적으로 확인하고 테스트하는 소프트웨어 개발 접근 방식이다. 프로토타입은 최종 제품의 구체적인 예시로서, 사용자와 개발자를 포함한 이해 관계자들이 직접 사용해보고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게 한다.
- '''신속 응용 프로그램 개발(RAD)''': RAD는 개발 과정에서 속도와 유연성을 중요하게 여기는 소프트웨어 개발 방법론이다. 반복적인 프로토타이핑과 최종 사용자의 적극적인 참여를 통해 고품질의 시스템을 빠르게 만드는 것을 목표로 한다. RAD는 시스템 개발 시간을 줄이고 변화하는 요구 사항에 더 잘 적응하는 것을 지향한다.
- '''점증적 프로토타이핑''': 점증적 프로토타이핑은 프로토타이핑과 점증적 개발의 원칙을 결합한 소프트웨어 개발 접근 방식이다. 이 방법론에서는 개발 과정을 작은 단위(증분)로 나누어 진행하며, 각 증분은 이전 단계의 기능을 바탕으로 새로운 기능을 추가한다. 동시에 각 증분 단계마다 프로토타입을 만들고 개선하여 사용자 요구 사항과 기대에 더 부합하도록 한다.
5. 2. 애자일 방법론
애자일은 유연성, 협업, 고객 만족을 우선시하는 소프트웨어 개발을 위한 원칙 및 가치 집합이다. 네 가지 핵심 가치는 다음과 같다.- 프로세스 및 도구보다 개인과 상호 작용 중시
- 포괄적인 문서보다 작동하는 소프트웨어 중시
- 계약 협상보다 고객 협업 중시
- 계획 준수보다 변화에 대한 대응 중시
애자일 방법론의 주요 특징은 다음과 같다.
- '''반복적이고 점진적인 개발:''' 작고 반복 가능한 주기를 통해 웹 애플리케이션을 구축하고 개선하며, 각 반복마다 기능을 점진적으로 향상시킨다.
- '''스크럼 및 칸반:''' 구조화된 스프린트를 위해 스크럼과 같은 애자일 프레임워크를 사용하거나, 작업 관리를 위해 칸반을 사용하여 팀 효율성을 향상시킨다.
- '''교차 기능 팀:''' 포괄적인 웹 개발을 위해 필요한 모든 전문 지식이 갖춰지도록 다양한 기술을 갖춘 협업 팀을 구성한다.
- '''고객 협업:''' 개발 프로세스 전반에 걸쳐 고객과 소통하여 피드백을 수집하고, 요구 사항을 검증하며, 제공된 제품이 기대에 부합하는지 확인한다.
- '''변화에 대한 적응력:''' 개발 프로세스 후반에도 요구 사항 또는 우선 순위의 변경 사항을 수용하여 진화하는 요구 사항에 대한 제품의 대응성을 향상시킨다.
- '''사용자 스토리 및 백로그:''' 사용자 스토리를 통해 기능적 요구 사항을 파악하고, 개발 노력을 안내하기 위해 우선 순위가 지정된 작업의 백로그를 유지 관리한다.
- '''지속적 통합(CI) 및 지속적 제공(CD):''' 코드 변경 사항을 지속적으로 통합하고 업데이트된 버전을 제공하기 위한 자동화된 프로세스를 구현하여 간소화되고 효율적인 개발 파이프라인을 보장한다.
6. 웹 개발 도구 및 환경
효율적인 웹 개발을 위해서는 코딩과 협업 과정을 편리하게 만들어주는 다양한 도구와 환경이 필요하다.
7. 웹 개발 보안
보안은 사이버 공격으로부터 웹 애플리케이션을 보호하고 사용자 데이터의 기밀성과 무결성을 보장하기 위해 웹 개발에서 매우 중요하다. 일반적인 취약점, 특히 SQL 주입, 크로스 사이트 스크립팅 (XSS), 그리고 크로스 사이트 요청 위조 (CSRF)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보안 조치를 구현해야 한다. 인증 및 인가 메커니즘은 데이터와 사용자 접근 권한을 보호하는 데 필수적이다.
보안 모범 사례에는 암호화, 안전한 코딩 방식 적용, 정기적인 정보 보안 감사 수행, 그리고 최신 취약점 및 관련 패치에 대한 정보를 꾸준히 얻는 것이 포함된다.
- '''일반적인 위협:''' 개발자는 SQL 주입, 크로스 사이트 스크립팅 (XSS), 크로스 사이트 요청 위조 (CSRF)와 같은 흔한 보안 위협을 인지하고 대비해야 한다.
- '''안전한 코딩 방식:''' 안전한 코딩 방식을 따르기 위해서는 입력 값의 유효성을 검사하고, 데이터를 적절히 위생 처리하며(sanitization), 중요한 정보는 안전하게 저장하고 전송해야 한다.
- '''인증 및 권한 부여:''' OAuth나 JSON 웹 토큰 (JWT) 같은 강력한 인증 및 권한 부여 메커니즘을 구현하여, 허가된 사용자만이 애플리케이션 내의 특정 자원에 접근할 수 있도록 제한해야 한다.
참조
[1]
웹사이트
What is Web Development? - Definition from Techopedia
https://www.techoped[...]
2018-12-07
[2]
서적
Web Design: Introductory
Cengage Learning
[3]
서적
The Full Stack Developer: Your Essential Guide to the Everyday Skills Expected of a Modern Full Stack Web Developer
https://books.google[...]
Apress
2018-11-19
[4]
웹사이트
Discover The Difference Between Front-End Vs. Back-End Developer – Forbes Advisor
https://www.forbes.c[...]
2023-05-30
[5]
웹사이트
A short history of the Web
https://home.cern/sc[...]
2023-12-04
[6]
웹사이트
WebD2: A Brief History of HTML
https://www.washingt[...]
2023-12-10
[7]
논문
Evolution Of Web Technologies in Recent Years
https://www.jetir.or[...]
2023-09
[8]
서적
Future of Software Engineering (FOSE '07)
https://ieeexplore.i[...]
2023-11-30
[9]
웹사이트
Web 2.0
http://www.paulgraha[...]
2023-12-10
[10]
웹사이트
How Web 2.0 Works
https://computer.how[...]
2023-12-10
[11]
웹사이트
Web 2.0 Explained: Everything You Need To Know
https://history-comp[...]
2023-12-10
[12]
간행물
Semantic Service Description Framework for Address
http://link.springer[...]
Springer US
2023-11-30
[13]
웹사이트
20 Years of CSS
https://www.w3.org/S[...]
2023-12-10
[14]
웹사이트
JavaScript History
https://www.w3school[...]
2023-12-10
[15]
웹사이트
A brief history of PHP
https://ifj.edu.pl/p[...]
2023-12-10
[16]
웹사이트
http://www.alexhopma[...]
2023-12-10
[17]
논문
A proposed methodology for web development.
https://aisel.aisnet[...]
2000
[18]
논문
A framework for identifying software project risks
1998-11
[19]
논문
Analyzing best practices on Web development frameworks: The lift approach
2015-05
[20]
문서
HTMLによるウェブページの記述はプログラミングではなくウェブデザインとされることも多いが、HTMLはグラフィックデザインだけではなくクライアントからサーバへの通信内容をも定義する等、その境目はあまり明確ではない。
[21]
문서
この場合、Web開発はフロントエンドだけに力を注いでいるため、ソフトウェア開発全体の氷山の一角に過ぎないケースがある。そのためにこのような開発のことをWeb開発とは呼ばないことがある。
[22]
문서
ウェブブラウザのバージョンの違いによるバグの有無もあるが、そもそも実装系によって仕様が違うこともある。
[23]
문서
今では主にAjaxに使われているJavaScriptは従来、オブジェクト指向言語ではないと誤解されていた。
[24]
웹인용
Information Security Analysts, Web Developers, and Computer Network Architects
http://www.bls.gov/o[...]
2013-01-17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KISA, 대학생·개발자 대상 웹3.0 시대 대비한 ‘웹 개발 교육’ 진행 – 바이라인네트워크
“고졸은 개발자 되기 힘든가요?” 블록체인 개발자가 말하는 개발자 되는 법 – 바이라인네트워크
취약한 자바스크립트 기반 서비스 보호…악산, ‘시큐어JS’ 발표 – 바이라인네트워크
구글이 제시하는 미래의 웹…AMP와 PWA – 바이라인네트워크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