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위후두신경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위후두신경은 속목동맥 뒤에서 인두 측면을 따라 내려와 바깥가지와 속가지로 나뉜다. 바깥후두신경은 반지방패근에 분포하여 성대를 긴장시키고, 속후두신경은 후두의 점막에 분포하며 감각 정보를 전달한다. 위후두신경은 반지방패근을 지배하며, 임상적으로는 마비 시 목소리 변화와 쉰 목소리를 유발하고, 갑상선 절제술 중 손상될 수 있다. 속후두신경 손상은 기침 반사 소실 및 흡인성 폐렴의 위험을 증가시킬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두경부 신경 - 가로막신경
    가로막신경은 목 척수에서 시작하여 횡격막의 운동 및 섬유심장막 등의 감각 기능을 담당하며 호흡 조절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손상 시 딸꾹질이나 가로막 마비 등을 유발하며 팔신경얼기 손상 치료에 이용되기도 한다.
  • 두경부 신경 - 위턱신경
    위턱신경은 삼차신경의 두 번째 가지로서 얼굴 감각 정보를 뇌로 전달하며, 삼차신경절에서 시작해 머리뼈, 눈확을 거쳐 얼굴에 분포하고, 뇌막, 날개입천장오목 등에서 여러 가지를 내며, 부교감신경계 섬유를 통해 눈물샘과 코, 입천장, 인두 점막샘을 조절한다.
  • 미주신경 - 명치
    명치는 복강 신경총을 지칭하며, 이 부위를 가격당하면 횡격막 경련, 호흡 곤란, 극심한 통증, 내장 기능 장애가 발생할 수 있고, 췌장암 통증 치료나 만성 췌장염 치료에 활용되기도 한다.
  • 미주신경 - 미주신경 등쪽핵
    미주신경 등쪽핵은 숨뇌에 위치하며 미주신경의 운동 신경 섬유를 제공하는 뇌신경핵으로, 올리브체 높이에서 위치를 확인하거나 루이체 병리와 같은 병리학적 특징을 통해 관찰될 수 있다.
  • 인후부 - 편도
    편도는 인두, 이관, 구개, 설 편도로 구성된 림프 조직으로, 구강과 비강에서 흡입된 이물질에 대한 면역 반응을 수행하며, 편도 비대증이나 염증 시 편도절제술을 시행할 수 있다.
  • 인후부 - 목젖
    목젖은 연구개 뒤쪽에 위치한 원뿔형 구조물로, 삼킴 작용 시 음식물이 비강으로 넘어가지 않도록 막고, 발음, 코골이, 수면 무호흡증과 관련되며, 드물게 염증이 생기거나 제거되는 풍습이 있기도 하다.
위후두신경
개요
해부학적 정보
라틴어 이름nervus laryngeus superior
기원미주신경
혀인두신경, 미주신경, 더부신경의 위쪽 부분을 그린 모습. 위후두신경은 오른쪽 아래에 'Laryngeal'로 표시되어 있다.
혀인두신경, 미주신경, 더부신경의 위쪽 부분을 그린 모습. 위후두신경은 오른쪽 아래에 'Laryngeal'로 표시되어 있다.
혀인두신경, 미주신경, 더부신경의 경로와 분포. 위후두신경의 가지들이 그림의 오른쪽에 표시되어 있다.
혀인두신경, 미주신경, 더부신경의 경로와 분포. 위후두신경의 가지들이 그림의 오른쪽에 표시되어 있다.

2. 구조

위후두신경은 속목동맥 뒤쪽에서 인두 측면을 따라 내려와 바깥가지와 속가지로 갈라진다.

바깥가지는 반지방패근을 활성화시켜 성대를 긴장시킨다. 속가지는 후두덮개, 의 바닥, 모뿔덮개주름 등에 분포하며, 후두 입구부터 성대까지의 후두 점막에 분포한다.

2. 1. 바깥후두신경 (External laryngeal nerve)

바깥후두신경은 바깥쪽에 위치한 더 작은 가지로, 복장방패근 아래에서 후두를 내려가 반지방패근에 분포한다. 바깥가지는 반지방패근을 활성화시켜 성대를 긴장시킨다. 바깥가지에서는 아래인두수축근 위쪽 부분과 인두신경얼기로 가지를 내고, 속목동맥 뒤쪽에서는 위심장신경과 교통한다.

2. 2. 속후두신경 (Internal laryngeal nerve)

속후두신경은 안쪽에 위치한 가지로, 방패목뿔막을 따라 내려가다가 위후두동맥과 함께 막을 뚫고 후두의 점막에 분포한다.

2. 2. 1. 성대 감각 분포

위후두신경의 속가지는 방패목뿔막을 따라 내려가다가 위후두동맥과 함께 막을 뚫고 후두의 점막에 분포한다. 속후두신경의 감각신경섬유 일부는 후두덮개, 의 바닥, 후두덮개의 샘 등에 분포하고 나머지 일부는 뒤쪽으로 주행하여 모뿔덮개주름에서 후두 입구부터 성대까지의 후두 점막에 분포한다.[1]

방패연골 속면의 점막 아래를 따라 내려가는 미세섬유는 되돌이후두신경에 합류한다. 성대보다 위쪽에 있는 후두의 감각 정보는 속후두신경에 의해 전달된다. 성대보다 아래쪽의 감각 정보는 되돌이후두신경의 가지들에 의해 전달된다. 성대 자체에는 양쪽 신경 모두가 분포한다.[1]

3. 기능

위후두신경은 양쪽 반지방패근에 분포하며,[8] 윤상갑상근을 지배한다.[2]

4. 임상적 중요성

위후두신경이 손상되면 목소리가 변하거나, 기침 반사가 사라지는 등 여러 문제가 생길 수 있다. 속후두신경이 너무 민감하면 후두인두에 음식물이나 물이 들어갔을 때 조절되지 않는 기침을 하게 된다. 목 앞쪽을 통해 수술을 할 때 속가지가 손상될 수 있는데, 이 경우 기침의 후두반사가 사라져 흡인성 폐렴의 위험이 커진다.[13]

4. 1. 위후두신경 마비

위후두신경 마비로 인해 목소리의 높이가 바뀔 수 있으며 반지방패근이 마비된다. 마비가 발생한 지 3달 동안 회복되지 않을 경우 손상이 영구적으로 진행할 가능성이 매우 높다. 양측성 마비는 쉰목소리와 같은 증상을 보인다. 갑상샘을 제거하는 수술인 갑상샘절제술 중에 위후두신경이 손상될 수 있다.[9][10] 바깥후두신경 먼쪽 부분에 생기는 흔한 해부학적 변이나, 신경과 아래인두수축근 간의 위치 관계를 이해하는 것은 신경을 수술 중에 확인하고 보존하는 데에 중요하다.[11][12] 한편 바깥가지는 위갑상동맥의 바로 깊은쪽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갑상샘절제술이나 반지방패연골절개술 중에 손상되기 쉽다. 이로 인해 소리의 높이를 바꾸는 능력이 손상되며 목이 소리를 낼 때 쉽게 지치게 되며, 대개 소리가 단조롭게 나는 양상을 보인다.

속후두신경이 과민하게 반응하면 조절되지 않는 기침이 나게 되는데, 이는 주로 후두인두에 있는 음식물이나 물에 의한 것이다. 목 앞쪽을 통해 접근하는 수술 등으로 인해 속가지가 손상될 수 있는데, 손상이 생기면 기침의 후두반사가 소실되며 흡인성 폐렴의 위험이 증가한다.[13]

4. 2. 수술 중 손상

위후두신경 마비로 인해 목소리의 높이가 바뀔 수 있으며 반지방패근이 마비된다. 마비가 발생한 지 3달 동안 회복되지 않을 경우 손상이 영구적으로 진행될 가능성이 매우 높다. 양측성 마비는 쉰목소리와 같은 증상을 보인다. 갑상샘을 제거하는 수술인 갑상샘절제술 중에 위후두신경이 손상될 수 있다.[9][10] 바깥후두신경 먼쪽 부분에 생기는 흔한 해부학적 변이나, 신경과 아래인두수축근 간의 위치 관계를 이해하는 것은 신경을 수술 중에 확인하고 보존하는 데에 중요하다.[11][12] 한편 바깥가지는 위갑상동맥의 바로 깊은쪽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갑상샘절제술이나 반지방패연골절개술 중에 손상되기 쉽다. 이로 인해 소리의 높이를 바꾸는 능력이 손상되며 목이 소리를 낼 때 쉽게 지치게 되며, 대개 소리가 단조롭게 나는 양상을 보인다.

속후두신경이 과민하게 반응하면 조절되지 않는 기침이 나게 되는데, 이는 주로 후두인두에 있는 음식물이나 물에 의한 것이다. 목 앞쪽을 통해 접근하는 수술 등으로 인해 속가지가 손상될 수 있는데, 손상이 생기면 기침의 후두반사가 소실되며 흡인성 폐렴의 위험이 증가한다.[13]

4. 3. 흡인성 폐렴

속후두신경이 과민하게 반응하면 조절되지 않는 기침이 나게 되는데, 이는 주로 후두인두에 있는 음식물이나 물에 의한 것이다. 목 앞쪽을 통해 접근하는 수술 등으로 인해 속가지가 손상될 수 있는데, 손상이 생기면 기침의 후두 반사가 소실되며 흡인성 폐렴의 위험이 증가한다.[13]

5. 추가 이미지

목과 뒤세로칸에서의 식도의 위치. 뒤에서 본 모습.


참조

[1] 서적 Last's Anatomy Elsevier Australia
[2] 간행물 Chapter 19 - Glossopharyngeal and other Facial Neuralgias http://www.sciencedi[...] Mosby 2009-01-01
[3] 논문 Partial superior laryngeal nerve (SLN) lesions before and after thyroid surgery
[4] 논문 External branch of the superior laryngeal nerve monitoring during thyroid and parathyroid surgery: International Neural Monitoring Study Group standards guideline statement
[5] 논문 Superior laryngeal nerve identification and preservation in thyroidectomy https://jamanetwork.[...]
[6] 논문 Injury of the external branch of the superior laryngeal nerve in thyroid surgery
[7] 논문 Surgical anatomy of the internal branch of the superior laryngeal nerve
[8] 간행물 Chapter 19 - Glossopharyngeal and other Facial Neuralgias http://www.sciencedi[...] Mosby 2009-01-01
[9] 논문 Partial superior laryngeal nerve (SLN) lesions before and after thyroid surgery
[10] 논문 External branch of the superior laryngeal nerve monitoring during thyroid and parathyroid surgery: International Neural Monitoring Study Group standards guideline statement
[11] 논문 Superior laryngeal nerve identification and preservation in thyroidectomy https://jamanetwork.[...]
[12] 논문 Injury of the external branch of the superior laryngeal nerve in thyroid surgery
[13] 논문 Surgical anatomy of the internal branch of the superior laryngeal nerv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