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윌리암 아돌프 부그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윌리암 아돌프 부그로는 1825년 프랑스에서 태어난 신고전주의 화가이다. 그는 에콜 데 보자르에서 수학하고 로마 대상을 수상하며 국비 유학을 다녀왔으며, 프랑스 미술 아카데미 회원이자 에콜 데 보자르 교수를 역임했다. 부그로는 기독교, 신화, 문학을 소재로 한 구상화와 초상화를 주로 그렸으며, 관능적인 나체상과 우수에 찬 여성의 상을 통해 독특한 화풍을 구축했다. 생전에는 명성이 높았으나, 20세기 이후 잊혀졌다가 20세기 말에 재평가되기 시작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라로셸 출신 - 베르나르 지로도
    프랑스 배우, 영화 감독, 작가인 베르나르 지로도는 1973년 배우로 데뷔하여 다양한 영화에 출연했고, 1987년 감독 데뷔 후 다큐멘터리 감독, 아동 소설가, 소설가, 사진작가, 프랑스어 오디오북 《해리 포터》 시리즈 낭독자로도 활동했다.
  • 라로셸 출신 - 자크니콜라 비요바렌
    자크니콜라 비요바렌은 프랑스 혁명에 깊이 관여한 혁명가이자 정치인으로, 왕정 폐지를 주장하며 두각을 나타내고 공포 정치를 주도했으나 테르미도르 반동 이후 추방되어 아이티에서 말년을 보냈다.
  • 1825년 출생 - 요한 슈트라우스 2세
    오스트리아의 작곡가 요한 슈트라우스 2세는 아버지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500곡이 넘는 왈츠와 폴카를 작곡하여 "왈츠의 왕"으로 불리며 빈 왈츠의 유행을 선도했고, 오페레타 발전에도 기여하여 그의 음악은 현재까지도 전 세계적으로 사랑받고 있다.
  • 1825년 출생 - 페르디난트 라살
    페르디난트 라살은 19세기 독일의 법학자이자 사회주의 사상가, 정치가로서 전독일 노동자 동맹을 창설하여 독일 노동 운동에 영향을 미쳤으며, 마르크스와의 협력 및 갈등 속에서 독자적인 사회주의 노선을 추구하고 비스마르크와의 협력 가능성을 모색했으나 결투로 사망하여 사회주의 이론가이자 정치 운동가로서 논쟁적인 평가를 받는다.
  • 1905년 사망 - 민영환
    민영환은 1861년 서울에서 태어나 문과에 급제하고 요직을 거치며 러시아 황제 대관식에 참석한 개화파 인물로, 을사늑약 체결에 반대하여 자결했으며 그의 유서는 독립운동에 영향을 미쳤다.
  • 1905년 사망 - 허드슨 테일러
    허드슨 테일러는 중국 내륙 선교회를 설립하고 중국 문화 존중과 믿음 선교 원칙을 통해 51년간 중국 선교에 헌신한 영국의 개신교 선교사이다.
윌리암 아돌프 부그로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윌리엄 부그로 자화상 (1879년)
자화상 (1879년)
본명윌리암 아돌프 부그로
출생1825년 11월 30일
출생지라로셸, 프랑스
사망1905년 8월 19일 (79세)
사망지라로셸, 프랑스
국적프랑스
직업화가
활동 분야아카데미 미술
사조사실주의 미술, 아카데미 미술
교육
훈련에콜 데 보자르, 프랑수아-에두아르 피코
결혼
배우자넬리 몽샤블롱 (1866년 결혼, 1877년 사별)
엘리자베스 제인 가드너 (1896년 결혼)
작품
주요 작품지옥의 단테와 베르길리우스 (1850년)
샘가 (1875년)
비너스의 탄생 (1879년)
바쿠스의 어린 시절 (1884년)
수상 및 서훈
수상로마 대상
레지옹 도뇌르 훈장
기타미술 아카데미 회원
영향 관계
영향을 준 인물도미니크 앵그르
후원자폴 뒤랑-뤼엘

2. 생애와 경력

부그로는 1825년, 프랑스 서부 대서양 연안의 항구 도시 라로셸에서 태어났다. 1846년, 파리로 가서 (国立美術学校)에서 수학했다.[4] 1850년에는 로마 대상(신진 예술가에게 수여되는 최고의 상)을 수상하여 국비로 이탈리아에 유학, 4년간 체류했다.[8] 1876년에는 프랑스 미술 아카데미 회원이 되었고,[18] 1888년에는 교수에 취임했다.

화풍은 도미니크 앵글(앵글) 등의 신고전주의 계보를 잇는 전통적인 것으로, 기독교, 신화, 문학 등을 소재로 한 구상화 외에도 초상화를 많이 남겼다. 구도와 기법은 아카데믹하지만, 관능적인 나체상, 귀여운 아이의 상, 우수에 찬 젊은 여성의 상 등에 독특한 세계를 구축하고 있다. 감미롭고 탐미적인 그의 화풍은 당시 사람들의 취향에 맞았던 것으로 보이며, 생전에는 명성이 매우 높았지만, 20세기 이후 여러 미술 혁신 운동의 흥기와 함께 부그로의 이름은 점차 잊혀져 갔다. 재평가되기 시작한 것은 20세기 말의 일이다.

참고로, 부그로는 작품에는 William Bouguereau라고 서명하고 있는 것으로부터 "윌리엄"이 평소 사용하던 이름으로 보이지만, 이름 전체에 대해서는 William Adolphe Bouguereau 또는 Adolphe William Bouguereau라고도 쓴다.

2. 1. 초기 생애

윌리암 아돌프 부그로는 1825년 11월 30일 프랑스 라로셸에서 포도주와 올리브 오일 상인 가정에서 태어났다.[4] 가톨릭 집안에서 성장한 그는, 알프레드라는 형과 마리라는 여동생이 있었고, 가족은 1832년 생마르탱드레로 이사했다.[5] 12세 때 부그로는 사제인 삼촌 외젠이 있는 모르타뉴쉬르지롱드로 가서 자연, 종교, 문학에 대한 사랑을 키웠다.[6]

외젠 부그로의 초상화 (1850)


1839년, 부그로는 퐁스의 가톨릭 대학에서 사제가 되기 위한 수업을 받았다. 여기서 앵그르의 제자였던 루이 세이지에게서 그림을 배웠다.[6] 이후 가족이 거주하던 보르도로 돌아가 샤를 마리오노에게서 가르침을 받았고, 1841년 11월 시립 드로잉 및 페인팅 학교에 입학했다.[5] 부그로는 상점 조수로 일하며 미술 공부를 병행했고, 파리 이주 자금을 마련하기 위해 초상화를 그리기도 했다.[5] 1845년에는 삼촌과 더 많은 시간을 보내기 위해 모르타뉴로 돌아갔다.[6] 1846년, 20세가 된 부그로는 파리로 이주했다.[5]



파리에서 부그로는 의 학생이 되었고,[4] 프랑수아 에두아르 피코의 스튜디오에서 아카데믹 스타일로 그림을 공부했다. 그는 ''지옥의 단테와 베르길리우스''(1850)와 같은 신고전주의 작품을 그렸다.

2. 2. 에콜 데 보자르와 로마 유학

부그로는 1848년 4월 로마 대상(Prix de Rome) 경연에 참가했으나 파리에서 발생한 폭동으로 인해 국가방위군에 입대하면서 수상에 실패했다.[8] 1849년에 다시 참가했지만, 106일간의 경쟁 끝에 또다시 수상에 실패했다.[8] 1850년 4월, 세 번째 시도인 《단테와 베르길리우스》(Dante and Virgil)로는 수상에 실패했으나, 5개월 후 《아라크세스 강변에서 발견된 제노비아》(Shepherds Find Zenobia on the Banks of the Araxes)로 공동 1위를 차지했다는 소식을 들었다.[8]

다른 부문 수상자들과 함께 1850년 12월 로마로 향했고, 1851년 1월 빌라 메디치(Villa Medici)에 도착했다.[8] 부그로는 로마를 탐험하며 스케치와 수채화를 제작하고 고전 문학을 연구했는데, 이는 그의 경력 후반부의 주제 선택에 영향을 미쳤다.[8] 나폴리를 거쳐 카프리, 아말피, 폼페이까지 여행했으며, 로마에 기반을 두고 꾸준히 학교 과정 작업을 하면서 1852년에는 이탈리아를 더 탐험했다.[8] 그리스 조각, 레오나르도 다 빈치, 라파엘로, 미켈란젤로, 티치아노, 루벤스, 들라크루아 등 전통 예술에 대한 강한 존경심을 가졌다.[5] 1854년 4월, 로마를 떠나 라 로셸로 돌아왔다.[5]

2. 3. 전성기 활동

부그로는 전통적인 아카데믹 스타일로 그림을 그렸으며, 그의 예술 활동 기간 내내 파리 살롱에 매년 작품을 출품했다.[9] 초기 비평가들은 부그로가 인체의 조화에 대한 본능적인 감각을 지녔으며, 라파엘로처럼 고대 미술의 영향을 받아 고전적인 구성, 형태, 주제를 따랐다고 평가했다.[9][10] 부그로의 여성 초상화는 모델의 아름다움을 부각하면서도 특징을 잘 살려 인기를 얻었다.[10]

부그로는 파리에서 주로 활동했지만, 라로셸 출신으로 지역 주민들로부터 장식 의뢰를 받았다. 1870년대부터 매년 여름을 라로셸에서 보냈고, 1882년에는 영구적인 여름 거주지를 마련했다.[5] 1854~55년에는 앙굴랭에 있는 사촌의 대저택 정자를 장식했고,[5] 1856년에는 미술부 장관의 의뢰로 ''타라스콩 홍수 피해자를 방문하는 나폴레옹 3세 황제''를 제작했다.[5] 또한 생클로틸드 교회 예배당을 장식했으며, 1859년에는 레지옹 도뇌르 훈장을 받았다.[5]

1860년대에 부그로는 폴 뒤랑 뤼엘 등 미술상들과 긴밀한 관계를 맺었으며, 위그 멀르와 교류했다.[11] 1863년 살롱에 출품한 ''성가족''은 나폴레옹 3세에게 판매되었다.[5] 1864년 벨기에 겐트 전시회에 출품된 ''목욕하는 여인''은 큰 성공을 거두었다.[5]

''목욕하는 여인'', 1864년


부그로는 보르도 그랑 테아트르 장식을 맡았으며(4년간),[5] 1875년부터 6년간 라로셸 예배당 천장화를 제작했다.[5] 1876년에는 아들 조르주를 추모하는 ''피에타''를 제작하여 살롱에 전시했다.[5] 1878년 파리 만국 박람회에는 ''님페이움''을 포함한 12점의 작품을 출품했다.[5]

'' 님프와 사티로스 '', 1873년, 캔버스에 유채, 260 × 180 cm, 클라크 미술관


부그로는 장르화와 신화적 주제, 특히 나체 여성의 형태에 집중했다.[14] 그의 그림은 여신, 님프, 목욕하는 여인, 목녀, 마돈나 등을 이상적인 세계에 담아 당시 부유한 미술 애호가들에게 인기가 많았다. 부그로는 섬세한 스케치와 유화 스케치를 통해 인체를 정확하게 묘사했으며, 특히 피부, 손, 발 그림이 칭찬받았다.[14] 또한 "깨진 주전자"와 같이 옛 거장들의 종교적, 에로틱한 상징성을 사용했다.[15] 부그로는 사유 주택과 공공 건물 장식 의뢰를 많이 받았으며, ''수태 고지''(1888년)와 같이 공공 그림을 축소하여 판매하기도 했다.[16] 그는 성공적인 초상화가이기도 했다.[17]

2. 4. 아카데미 줄리앙

부그로는 1860년대부터 아카데미 줄리앙과 긴밀하게 협력하여 전 세계 예술 학생들에게 강의와 조언을 제공했다.[18] 수십 년 동안 수백, 수천 명의 학생들에게 드로잉과 회화를 가르쳤으며, 이들 중 다수는 자국에서 예술 경력을 쌓았다. 어떤 이들은 그의 아카데믹한 스타일을 따랐고, 앙리 마티스처럼 반항하는 이들도 있었다. 부그로는 첫 번째 아내가 사망한 후 가장 유명한 제자였던 엘리자베스 제인 가드너와 결혼했다.[18]

부그로는 1876년 프랑스 미술 아카데미의 종신 회원이 되었고,[18] 1885년 레지옹 도뇌르 훈장 사령관 훈장 및 대훈장을 수여받았다.[18][19] 1905년에는 레지옹 도뇌르 훈장 대장교 훈장을 수여받았다.[19] 1875년, 부그로는 에콜 데 보자르와 독립적인 남녀공학 예술 기관인 아카데미 줄리앙에서 드로잉 수업을 시작했다.[20] 아카데미 줄리앙은 입학 시험이 없었고 수업료가 상징적인 수준이었다.[21]

2. 5. 결혼과 가족

1856년, 윌리엄은 모델 중 한 명이었던 넬리 몽샤블롱(리슬앙리골(Lisle-en-Rigault) 출신)과 동거를 시작했다.[22] 1857년 4월에 첫째 딸 앙리에트(Henriette)가 태어났고, 1859년 1월에 아들 조르주(Georges)가 태어났다.[22] 1861년 12월 25일에는 셋째 딸 잔느(Jeanne)가 태어났다.[22] 1866년 5월 24일, 넬리 몽샤블롱과 정식으로 결혼했으나, 8일 후 잔느는 결핵으로 사망했다.[22] 1868년 10월에는 넷째 아들 아돌프(폴(Paul)로 알려짐)가 태어났다.[22] 1875년 6월 19일, 아들 조르주가 사망했다.[22] 1876년에 넬리는 다섯째 아이인 모리스(Maurice)를 낳았지만, 넬리와 모리스는 1877년에 모두 사망했다.[22]

부그로가 그린 아내 엘리자베스 제인 가드너(Elizabeth Jane Gardner)의 초상화, 치메이 박물관, 타이난, 타이완


부그로는 제자였던 엘리자베스 제인 가드너(Elizabeth Jane Gardner)와 결혼하려 했으나, 어머니의 반대에 부딪혔다.[22] 넬리가 사망한 직후, 부그로는 어머니에게 재혼하지 않겠다는 맹세를 했다.[22] 어머니가 사망하고 19년간의 약혼 끝에, 1896년 6월 파리에서 엘리자베스 제인 가드너와 결혼했다.[22] 1900년 4월, 아들 폴(아돌프)이 결핵으로 사망하면서, 부그로는 앙리에트를 제외한 네 자녀를 모두 잃었다.[22] 엘리자베스 제인 가드너는 1922년 1월 파리에서 사망했다.[5]

2. 6. 거주지

부그로는 1846년 3월 파리에 도착하여 뤼 코르네유 5번지에 있는 호텔 코르네유에 거주했다.[5] 1855년 로마에서 돌아온 후에는 뤼 드 플뢰뤼 27번지에 살았으며, 이듬해에는 아파트 근처의 뤼 카르노 3번지에 4층 작업실을 임대했다.[5]

1866년 넬리와 결혼하면서 뤼 노트르담 데 샹에 넓은 땅을 매입했고, 건축가에게 최상층에 작업실을 갖춘 큰 저택 설계를 의뢰했다.[5] 1868년 가족과 하인 다섯 명이 이 저택으로 이주했으며, 어머니 아델린도 매일 방문했다.[5] 부그로는 여생을 이곳과 라로셸에서 보냈다.[5]

2. 7. 말년과 사망

부그로는 부지런한 화가였으며, 종종 1년에 20점 이상의 그림을 완성했다. 평생 동안 최소 822점의 그림을 그린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그중 많은 그림들이 분실되었다.[3] 생애 말년에 그는 자신의 예술에 대한 사랑을 "매일 기쁨으로 가득 차 스튜디오에 간다. 어둠 때문에 작업을 멈춰야 하는 저녁이 되면 다음날 아침이 오기를 간절히 기다린다… 내 사랑하는 그림에 몰두할 수 없다면 저는 비참하다."라고 표현했다.[23]

1905년 봄, 파리에 있는 부그로의 집과 작업실이 도둑맞았다. 1905년 8월 19일, 부그로는 79세의 나이로 라로셸에서 심장병으로 사망했다.[5] 그의 출생지에는 슬픔의 물결이 넘쳤다. 대성당에서 미사를 드린 후 그의 시신은 파리로 가는 기차에 실려 두 번째 장례식을 치렀다. 부그로는 몽파르나스 묘지의 가족 납골당에 안치되었다.[5]

3. 작품의 특징과 주제

윌리암 아돌프 부그로는 고전적인 주제를 현대적으로 해석하고, 나체 여성의 형태를 통해 이상적인 세계를 표현하는 데 주력했다. 그는 여신, 님프, 목욕하는 여인, 목녀, 마돈나 등의 주제를 다루었으며, 연필 스케치와 유화 스케치 등 전통적인 회화 방법을 사용했다. 특히 인체 묘사에 탁월했는데, 피부, 손, 발 등의 묘사가 뛰어났다.

부그로는 옛 거장들의 종교적, 에로틱한 상징성을 차용하기도 했다. 예를 들어, 깨진 주전자는 잃어버린 순수를 의미한다. 그는 사유 주택과 공공 건물의 장식 의뢰를 다수 받았으며, 공공 그림의 축소판(예: 수태 고지)을 제작하기도 했다. 또한, 부유한 후원자들의 초상화를 다수 제작하여 초상화가로도 활동했다.

4. 논란과 비판

5. 재평가와 현대적 의의

''님페움'', 1878, 해긴 미술관


''젊은 목녀'' (1885)


부그로는 당대에 아카데믹 예술계에서 세계적인 화가 중 한 명으로 여겨졌지만, 아방가르드에게는 비난을 받았다. 그는 벨기에, 네덜란드, 포르투갈, 스페인, 이탈리아, 루마니아 그리고 미국에서 널리 명성을 얻었고, 높은 가격에 그림을 팔았다.[17] 그의 작품들은 완성된 지 며칠 만에 팔리는 경우가 많았다. 어떤 작품들은 국제적인 수집가들이 작업이 완료되기도 전에 구매하기도 했다.[5]

20세기 초, 변화하는 취향으로 인해 부그로의 명성은 하락했다.[8] 케네스 클라크는 부그로의 그림에 대해 "음탕함"을 비난했고, 그러한 살롱 예술을 피상적인 것으로 묘사하며 "매끄럽게 다듬어진 형태와 밀랍 같은 표면의 관습"을 사용했다고 지적했다.[31] 드가와 그의 동료들은 "부그로풍(Bouguereauté)"이라는 용어를 사용하여 "매끄럽고 인공적인 표면"에 의존하는 모든 예술 양식을 경멸했다.[24]

1974년 뉴욕 문화 센터는 부그로의 작품 전시회를 개최했는데, 부분적으로는 호기심 때문이었지만, 큐레이터 로버트 아이작슨은 부그로의 유산과 명성을 장기적으로 재평가하는 데 관심을 두고 있었다.[32] 1984년 보르기 갤러리는 23점의 유화와 1점의 드로잉으로 구성된 상업 전시회를 개최했다. 같은 해, 캐나다 몬트리올 미술관이 주요 전시회를 조직했다. 이 전시회는 파리의 쁘띠 팔레 미술관에서 시작하여 와즈워스 애서니엄(하트퍼드)를 거쳐 몬트리올에서 마무리되었다.

최근에는 미국의 수집가 프레드 로스가 부그로의 그림을 여러 점 소장하고 예술 부흥 센터 웹사이트에 그를 소개하면서 화가의 인기가 다시 부상하고 있다.[33][34] 2019년 밀워키 미술관은 부그로의 작품을 40점 이상 모아 그의 작품에 대한 대규모 회고전을 개최했는데, 이에 대해 ''월스트리트 저널''은 독자들에게 "부그로가 칭송받았고 인상파가 '프랑스의 자유'로 폄하되었던 시대의 눈으로 부그로를 보라"고 요청했다.[35]

부그로의 작품 가격은 1975년 이후 꾸준히 상승했으며, 주요 작품들은 높은 가격에 팔렸다. ''천사의 성모 마리아(Notre Dame des Anges)''는 1893년 시카고 만국박람회에서 미국에서 마지막으로 공개적으로 전시되었다. 2002년 클라렌스 켈리의 전통 가톨릭 교회 성 비오 5세 협회와 관련된 수녀회인 구세주 성모 마리아의 딸들에게 기증되었다. 2009년 수녀들은 45만 달러에 미술상에게 팔았고, 미술상은 200만 달러 이상에 되팔았다. 켈리는 그 후 뉴욕주 올버니에서 배심원에 의해 텔레비전 인터뷰에서 한 발언으로 미술상을 명예 훼손한 혐의로 유죄 판결을 받았다.[37]

19세기 이전 프랑스 화가의 성공 방정식은 에콜 데 보자르(École des Beaux-Arts)에서 수학하고, 로마 대상(Prix de Rome)을 수상하여 국가 지원으로 이탈리아에 유학하고, 살롱(Salon)에 매년 출품하며, 미술 아카데미 회원이 되고, 에콜 데 보자르 교수가 되는 것이었다. 부그로는 이러한 당시 화가들의 전형적인 엘리트 코스를 밟은 화가였다. 19세기 말 인상파가 등장한 프랑스 화단에서 중심을 차지하고 있던 것은 라파엘로와 푸생의 계보를 잇는 아카데미즘 회화였으며, 부그로 또한 그 일원이었다. 20세기에 들어 인상파, 후기 인상파, 입체파(큐비즘) 등 모더니즘의 부상과 함께 이에 대항하는 구세력으로서의 아카데믹 회화는 소홀히 여겨지게 되었고, 결국 미술사에서 잊힌 존재가 되었다. 그러나 20세기 후반부터 아카데미즘 회화를 재평가하고 미술사에서 정당한 위치를 부여하려는 움직임이 높아지면서 부그로에 대한 재평가 또한 이루어지게 되었다.

6. 주요 작품

윌리암 아돌프 부그로는 고전적 주제, 여성 누드, 신화 장면을 묘사한 작품들을 남겼다. 대표작으로는 단테와 베르길리우스 (1850), 비너스의 탄생 (부그로) (1879), 님프와 사티로스 (1873), 천사들의 노래 (1881), 첫 애도 (1888), 프시케와 사랑 (1889), 보헤미안 (부그로 그림) (1890), 깨진 물병 (1891), 프시케의 납치 (1895), 파도 (1896), 오리아데스 (1902) 등이 있다.

'''1850년대'''에는 단테와 베르길리우스 외에도, 『아멜리나 뒤포 부그로 초상화』, 『외젠 부그로 초상화』, 『제네비에브 부그로 초상화』, 『레오니 부그로 초상화』, 『M씨 초상화』(1850), 『형제애』(1851), 『바다말을 탄 아리온』, 『표범을 탄 바카날 여인』(1855), 『춤』(1856), 『자선』, 『죽은 자의 날』(1859) 등을 그렸다.[41]

'''1860년대'''에는 『아버지에게 작별 인사하는 토비아스』(1860), 『두 아이를 껴안고 있는 것을 바라보는 젊은 여자』(1861), 『오레스테스의 후회』, 『염소를 놀리는 바카날레』(1862), 『기도』, 『수프』(1865), 『첫 애무』(1866), 『바스크 드럼을 든 집시 소녀』, 『새에 대한 연구』, 『이보네트』, 『세상에서 혼자』(1867), 『포도송이』, 『젊은 목녀』(1868), 『언니』, 『건초 만드는 사람』, 『뜨개질하는 여인』, 『어머니의 감탄』, 『푸에스낭의 세탁부들』, 『젊은 노동자』(1869) 등을 그렸다.[41]

'''1870년대'''에는 『욕녀』(1870), 『브르타뉴 형제자매』, 『물 뜨는 이탈리아 소녀』, 『아이를 바라보는 젊은 어머니』(1871), 『폭풍우 동안』, 『프로포즈』(1872), 『방적하는 여인』(1873), 『화관을 엮는 아이』, 『호메로스와 그의 안내자』(1874), 『목욕 후』, 『시냇가에서』, 『큐피드』, 『플로라와 제피르』, 『자장가』, 『성모, 예수, 세례자 요한』(1875), 『자선』, 『님페이움』, 『수확 후 귀환』(1878), 『시냇가에서』, 『비너스의 탄생』, 『휴식』, 『젊은 집시들』, 『추위를 타는 여인』, 『뜨개질하는 여인』, 『엘리자베스 가드너 양의 초상』, 『목욕하는 여인』(1879) 등을 그렸다.[41]

'''1880년대'''에는 『그리스도의 채찍질』, 『유혹』, 『에로스로부터 자신을 방어하는 어린 소녀』(1880), 『새벽』, 『낮』, 『양치기 소녀』(1881), 『저녁 분위기』, 『작은 뜨개질하는 소녀』, 『견과류를 따는 사람들』(1882), 『어머니 조국』, 『밤』(1883), 『뷔블리스』, 『꽃 왕관』, 『어려운 레슨』, 『승마』, 『앉은 누드』, 『잃어버린 플레이아데스』, 『바쿠스의 젊은 시절』(1884), 『사랑의 저항』, 『샘으로 가는 어린 소녀』, 『젊은 양치기 소녀』(1885), 『큰 언니』, 『봄의 귀환』, 『M. 세이지에게 헌정하는 자화상』, 『갈증』(1886), 『형제와 자매』, 『서 있는 젊은 양치기 소녀』(1887), 『소녀의 머리 연구』(1888), 『작은 양치기 소녀』, 『양치기 소녀』, 『사랑의 속삭임』, 『코바늘뜨기를 하는 젊은 소녀』(1889) 등을 그렸다.[41]

'''1890년대''' 이후에는 『아무르와 프시케, 아이들』, 보헤미안 , 『조금의 구애』, 『사랑을 찾아서』, 가브리엘 콧(1890), 깨진 물병, 『거위 소녀』, 『방해받은 작업』(1891), 『프시케』(1892), 『침입』, 『청춘』(1893), 『수욕 후』, 『바카날리아 여인』, 『데이지』, 『야자수 잎』(1894), 프시케의 납치, 『참회 중』, 『업고』,[41] 『나이팅게일의 노래』, 『봄바람』(1895), 『부름』, 파도(1896), 『샘에서』, 『연민』, 『이렌』(1897), 『절』, 『젊은 소녀의 머리』, 『영감』, 『바느질』(1898), 『만가』, 『레몬을 든 소녀』, 『말리스』(1899), 『천사와 함께하는 성모』, 『월계수 가지』, 『목욕 전』, 『어린 시절의 목가』(1900), 『두 자매』, 『봄의 꿈』(1901), 『젊은 여사제』, 오리아데스(1902), 『장미의 마돈나』(1903), 『파르 니엔테』(1904) 등을 그렸다.[41]

7. 수상 및 영예

윌리암 아돌프 부그로는 1848년에 ''감옥에서 풀려난 베드로가 마리아의 집에서 신자들을 만나다''로 제2회 로마 대상을, 1850년에는 ''아라크세스 강가에서 목동들에게 발견된 제노비아''로 제1회 로마 대상을 수상했다. 1859년에는 레지옹 도뇌르 훈장 기사장을 수여받았고,[19] 1876년에는 레지옹 도뇌르 훈장 장교장을 수여받았다.[19] 1881년에는 레오폴드 훈장 기사장을 수여받았으며,[38] 1885년에는 레지옹 도뇌르 훈장 사령관장과[19] 대훈장을 수여받았다.[18] 1890년에는 벨기에 왕립 과학·문학·예술 아카데미 회원으로 선출되었고,[39] 1905년에는 레지옹 도뇌르 훈장 대장교장을 수여받았다.[19]

참조

[1] 서적 Bouguereau Pomegranate Artbooks
[2] 웹사이트 To Bouguereau, Art Was Strictly 'The Beautiful' https://www.nytimes.[...] 2013-01-27
[3] 웹사이트 William Bouguereau: Genius Reclaimed http://www.artrenewa[...] 2013-01-27
[4] 서적 Wissman 1996
[5] 서적 William Bouguereau: His Life and Works
[6] 서적 William-Adolphe Bouguereau
[7] 웹사이트 Musée d'Orsay: William Bouguereau Equality before Death https://www.musee-or[...]
[8] 서적 Birmingham Museum of Art: Guide to the Collection D Giles Ltd
[9] 서적 Wissman 1996
[10] 서적 Wissman 1996
[11] 서적 Wissman 1996
[12] 서적 Wissman 1996
[13] 서적 Wissman 1996
[14] 서적 Wissman 1996
[15] 서적 Wissman 1996
[16] 서적 Wissman 1996
[17] 서적 Wissman 1996
[18] 서적 Wissman 1996
[19] 웹사이트 Ministère de la Culture et de la Communication, Base Léonore, Archives Nationales http://www.culture.g[...]
[20] 서적 Artistic Relations: Literature and the Visual Arts in Nineteenth-century France https://books.google[...] Yale University Press
[21] 서적 Wissman 1996
[22] 서적 Wissman 1996
[23] 서적 Wissman 1996
[24] 서적 Wissman 1996
[25] 웹사이트 Gauguin le rapin: ""Racontars de rapin, suivi de Art de Papou & chant de Rossignoou"" et ""La lutte pour les peintres"" http://www.liberatio[...] Libération 1995-02-02
[26] 서적 Intimate Journals
[27] 웹사이트 The painting that changed New York https://daily.jstor.[...] 2019-03-12
[28] 서적 Museum Builders in the West: The Stanfords as Collectors and Patrons of Art, 1870–1906 Stanford University Museum of Art
[29] 서적 The Trans-Mississippi and International Expositions of 1898-1899: art, anthropology, and popular culture at the Fin de Siècle University of Nebraska Press 2018
[30] 서적 Marketing Modernism in Fin-de-siècle Europe https://books.google[...] Princeton University Press
[31] 서적 The Nude; A Study in Ideal Form Princeton University Press
[32] 서적 William-Adolphe Bouguereau (catalogue) New York Cultural Center and Farleigh Dickinson
[33] 웹사이트 Who Is Buying All Those Bouguereaus? http://www.nysun.com[...] 2022-03-31
[34] 웹사이트 Gifted artist? Bouguereau's work controversial more than a century after his death http://www.post-gaze[...] 2022-03-31
[35] 뉴스 Re-Examining A Reviled Master https://www.wsj.com/[...] 2019-02-26
[36] 웹사이트 Bouguereau & America at The San Diego Museum of Art https://www.sdmart.o[...]
[37] 뉴스 Gallery Owner Didn't Cheat Nuns https://www.abqjourn[...]
[38] 뉴스 Handelsblad Handelsblad (Het) 1881-05-15
[39] 간행물 Index biographique des membres et associés de l'Académie royale de Belgique (1769–2005)
[40] 서적 Sherlock Holmes: The Sign of Four (Sherlock Complete Set 2) https://books.google[...] Headline
[41] 서적 しぐさで読む美術史 筑摩書房
[42] 서적 Bouguereau https://archive.org/[...] Pomegranate Artbooks
[43] 웹인용 To Bouguereau, Art Was Strictly 'The Beautiful' http://www.nytimes.c[...] 2013-01-27
[44] 웹인용 William Bouguereau: Genius Reclaimed http://www.artrenewa[...] 2013-01-2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