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윌리엄 에드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윌리엄 에드거는 뉴욕, 파리, 제네바에서 성장한 미국 장로교 목사이자 신학자이다. 하버드 대학교에서 음악을 전공하고, 스위스 라브리에서 프란시스 쉐퍼를 만나 신학으로 전향했다. 웨스트민스터 신학교에서 교수로 재직하며 변증학을 가르치고, 웨스트민스터 신학저널 편집장, 위그노교 협회장으로 활동했다. 문화 변증, 브람스의 음악, 위그노, 아프리카계 미국인 미학 등을 연구했으며, 재즈 피아니스트로서도 활동하며, 저서와 편집 활동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윌밍턴 (노스캐롤라이나주) 출신 - 찰리 대니얼스
    찰리 대니얼스는 록, 컨트리, 블루그래스, 재즈를 융합한 음악과 "악마는 조지아로 내려왔다" 등의 히트곡으로 유명한 미국의 가수이자 바이올리니스트로, 찰리 대니얼스 밴드를 결성하여 활동했으며 밥 딜런 등 유명 아티스트와 협업하고 볼런티어 잼 콘서트를 주최하는 등 다양한 활동을 펼쳤다.
  • 윌밍턴 (노스캐롤라이나주) 출신 - 브리애나 벤스커스
    브리애나 벤스커스는 영화와 TV 드라마에서 활동하며, 《하우스》, 《뱀파이어 다이어리》, 《내슈빌》 등 다수의 작품에 출연했고, 마블과 DC 코믹스 작품에도 출연한 양성애자 배우이다.
  • 제네바 대학교 동문 - 김정남 (김정일의 아들)
    김정남은 김정일의 장남으로, 한때 후계자로 거론되었으나 위조 여권 사건 이후 후계 경쟁에서 멀어졌으며, 김정은의 권력 승계에 반대하다가 2017년 말레이시아에서 암살되었다.
  • 제네바 대학교 동문 - 시모어 페퍼트
    남아프리카 공화국 출신 수학자이자 MIT 교수인 시모어 페퍼트는 구성주의를 발전시키고 로고(LOGO) 프로그래밍 언어 개발 및 레고 마인드스톰 개발에 기여하는 등 교육 기술 분야에서 선구적인 역할을 수행했다.
  • 웨스트민스터 신학교 동문 - 팀 켈러
    팀 켈러는 미국의 목사이자 신학자, 기독교 변증가로서, 리디머 장로교회를 개척하여 도시 중심 사역에 헌신했으며 복음 연합 공동 설립자로서 복음 중심 신앙을 전파하고 《하나님의 이유》, 《탕자의 하나님》 등의 저서를 통해 기독교적 관점을 제시하며 영향을 미쳤다.
  • 웨스트민스터 신학교 동문 - 박윤선
    박윤선은 한국의 장로교 목사이자 신학자로, 30여 년에 걸쳐 성경 66권 전체에 대한 주석을 완성하여 한국 교회 신학 발전에 기여하고 개혁주의 신학에 기반한 주석으로 목회자와 신학생들에게 영향을 미쳤으며 고려신학교와 총신대학교에서 후학을 양성하며 한국 교회의 보수 신학 형성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윌리엄 에드거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시대20세기 및 21세기
출생일1944년
출생지노스캐롤라이나주 윌밍턴
직업교수, 작가, 신학자, 변증가
종교개혁주의
학력
학사하버드 대학교
목회학 석사웨스트민스터 신학교
신학 박사제네바 대학교
명예 신학 박사장 칼뱅 신학 대학
주요 저서

2. 생애

윌리엄 에드거는 하버드 대학에서 음악을 전공했으나, 스위스 라브리에서 프란시스 쉐퍼를 만나 회심하고 신학자의 길을 걷게 되었다. 에드거는 쉐퍼를 오랜 기간 가까이에서 지켜보고 교제하며 동역했다.[3]

에드거는 웨스트민스터 신학교에서 만난 바바라 스미스 에드거와 결혼하여 두 자녀와 세 손자를 두었다. 프랑스 위그노 출신으로, 경건함과 따뜻한 마음을 가진 신학자이자 음악가이며 학생들을 세밀하게 지도하는 학자로 알려져 있다. 한국의 제자로는 안명준, 한상화, 이상원 교수가 있다.[3]

2. 1. 초기 생애와 교육

윌리엄 에드거는 뉴욕, 파리, 제네바에서 성장했다. 하버드 대학교(1966년 음악 명예 문학사), 웨스트민스터 신학교(1969년 목회학 석사), 제네바 대학교(1993년 신학 박사)에서 공부했다.[3] 1969년부터 1970년까지 정통 장로교 펜실베이니아 지부의 국내 선교사로 봉사했다.[3] 이후 1970년부터 1978년까지 코네티컷주 그린위치의 브런스윅 스쿨에서, 1979년부터 1989년까지는 프랑스 엑상프로방스에 있는 자유 개혁 신학부에서 가르쳤으며, 현재도 객원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3]

하버드 대학교에서 음악을 전공하였으나, 스위스의 라브리에서 프란시스 쉐퍼를 만나 회심하고 신학을 공부하게 되었다. 그는 오랜 기간 쉐퍼와 교류하며 영향을 받았다.

2. 2. 신학으로의 전환

하버드 대학에서 음악을 공부하던 중, 우연히 방문한 스위스의 라브리에서 프란시스 쉐퍼를 만나 회심하고 신학자의 길을 걷게 되었다. 오랜 시간 쉐퍼와 교류하며 그의 삶을 애정 어린 시선으로 관찰했다.[3] 에드거는 뉴욕, 파리, 제네바에서 성장했다. 하버드 대학교 (1966년 음악 명예 문학사), 웨스트민스터 신학대학원 (1969년 목회학 석사), 제네바 대학교 (1993년 신학 박사)에서 수학했다. 1969년부터 1970년까지 정통 장로교 펜실베이니아 지부의 국내 선교사로 활동했다. 1970년부터 1978년까지는 코네티컷주 그린위치의 브런스윅 스쿨에서, 1979년부터 1989년까지는 프랑스 엑상프로방스에 있는 자유 개혁 신학부에서 교수로 재직했으며, 현재도 객원 교수로 활동 중이다.[3]

2. 3. 목회 및 교육 활동

하버드 대학에서 음악을 공부하였으나, 스위스의 라브리에서 프란시스 쉐퍼를 만나 회심하고 신학자의 길을 걷게 되었다. 1969년부터 1970년까지 정통 장로교 펜실베이니아 지부의 국내 선교사로 봉사했다. 1970년부터 1978년까지는 코네티컷주 그린위치의 브런스윅 스쿨에서, 1979년부터 1989년까지는 프랑스 엑상프로방스에 있는 자유 개혁 신학부에서 가르쳤으며, 현재도 객원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3]

1989년부터 웨스트민스터 신학교 변증학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그는 또한 변증학부 코디네이터이자 복음과 문화 프로젝트 디렉터이며, 2010년까지 학부 의장을 역임했다. 1978년부터 미국 장로교 교육 장로로 안수받았다.[3] 현재 웨스트민스터 신학교 변증학 교수이자 웨스트민스터 신학저널(Westminster Theological Journal) 편집장, 위그노교 협회장으로 활동하면서 포커스위원회와 그린우드 학교에서도 일하고 있다. 한국의 제자로는 안명준, 한상화, 이상원 교수를 비롯한 많은 제자들이 있다.

2. 4. 웨스트민스터 신학교 교수

프란시스 쉐퍼를 만나 회심하고 신학자가 된 에드거는 1989년부터 웨스트민스터 신학교 변증학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3] 그는 변증학부 코디네이터이자 복음과 문화 프로젝트 디렉터(director)를 맡았으며, 2010년까지 학부 의장을 역임했다.[3] 또한 웨스트민스터 신학저널(Westminster Theological Journal) 편집장, 위그노교 협회장으로도 활동하고 있다.

2. 5. 가정

윌리엄 에드거는 웨스트민스터 신학교에서 만난 바바라 스미스 에드거와 결혼하여, 슬하에 윌리엄 키스 힐-에드거와 데보라 보트라이트 에드거 두 자녀를 두고 있다.[3]

3. 학문 활동 및 관심 분야

에드거는 미국 음악학회, 복음주의 신학회 등 여러 학회의 회원이며, 트리니티 포럼의 선임 연구원이다. 위그노 펠로우십 회장, 복음 & 문화 프로젝트 이사를 역임했으며, 필라델피아 체스넛힐 병원의 기관 검토 위원회 및 의료 윤리 위원회에서도 활동했다. 윌버포스 포럼 및 콜슨 센터의 펠로우이자 그린우드 스쿨의 명예 이사, ''La Revue Réformée''의 편집 자문 위원이기도 하다. 베리타스 포럼에서 강연하고, 중국 기독교 학자 협회와 교류하며, 프랑스어 사용 아프리카 국가에서 가르치기도 했다.[1]

빌 에드거와 오스 기네스가 2013년 CICCU 메인 행사에서


그는 문화 변증, 브람스의 음악, 위그노, 아프리카계 미국인 미학 등과 같은 주제를 다루었다. 또한 재즈 피아니스트로서, 재즈 역사 강연과 콘서트를 열고, "Heaven in a Nightclub"이라는 더블 CD를 발매했다. 그의 작곡에는 La Sainte Victoire가 있으며, 아프리카 모드로 시편에 곡을 붙이기도 했다. 전문 재즈 밴드인 Renewal을 운영한다.

3. 1. 학회 및 위원회 활동

에드거는 미국 음악학회, 복음주의 신학회, 음악과 기독교 학문에 관한 포럼, 미국 역사 협회, 음악 인류학회 회원이며, 트리니티 포럼의 선임 연구원이다.[1]

위그노 펠로우십 회장, 복음 & 문화 프로젝트 이사를 맡고 있으며, 필라델피아 체스넛힐 병원의 기관 검토 위원회 및 의료 윤리 위원회에서 활동하고 있다.[1] 윌버포스 포럼 및 콜슨 센터의 펠로우, 그린우드 스쿨의 명예 이사, 트리니티 포럼의 선임 연구원, ''La Revue Réformée''의 편집 자문 위원이기도 하다.[1] 베리타스 포럼 프로그램에서 정기적으로 강연하며, 중국 기독교 학자 협회에 자주 참여하고, 종종 중국을 방문한다.[1] 프랑스어 사용 아프리카 여러 나라에서 가르친 경험이 있다.[1]

3. 2. 주요 관심 분야

에드거는 문화 변증, 브람스의 음악, 위그노, 아프리카계 미국인 미학 등의 주제를 다룬 저서와 논문을 저술했다. 그는 재즈 피아니스트로서 재즈 역사 강연과 함께 저녁 콘서트를 정기적으로 공연한다. 2007년 코넬 대학교의 기독교 연구 센터인 체스터턴 하우스 자선 콘서트에서 라이브로 녹음한 더블 CD "Heaven in a Nightclub"을 발매했다. 이 콘서트와 녹음에는 에드거 외에도 보컬리스트 루스 나오미 플로이드, 색소폰 연주자 조 살자노, 베이시스트 존 파투치가 참여했다. 그의 작곡으로는 2007년 6월 엑상프로방스에서 초연된 La Sainte Victoire가 있으며, 아프리카 모드로 시편에 곡을 붙이기도 했다. 그는 전문 재즈 밴드인 Renewal을 운영하고 있다.

3. 3. 재즈 음악 활동

에드거는 재즈 피아니스트이며, 재즈의 역사에 대한 강연과 함께 저녁 콘서트를 정기적으로 공연한다. 2007년에는 코넬 대학교의 기독교 연구 센터인 체스터턴 하우스를 위한 자선 콘서트에서 라이브로 녹음되어 더블 CD인 "Heaven in a Nightclub"으로 발매되었다. 콘서트와 녹음에는 에드거, 보컬리스트 루스 나오미 플로이드, 색소폰 연주자 조 살자노, 베이시스트 존 파투치가 참여했다. 그의 작곡에는 2007년 6월 엑상프로방스에서 초연된 La Sainte Victoire가 있다. 그는 또한 아프리카 모드로 시편에 곡을 붙였다. 그는 전문 재즈 밴드인 Renewal을 운영하고 있다.

4. 저서 및 편집


  • ''Covenantal Apologetics, Suffering and the Goodness of God, Heralds of the King''[1]
  • ''An Introduction to Systematic Theology'' (편집: 코닐리어스 밴틸)
  • ''음악에 주목하기.'' (런던, 1986, SPCK)
  • ''마음의 이유.'' (1996, 베이커/아워글래스)
  • ''라 카르트 프로테스탄테.'' (1997, 라보 에 피데스)
  • ''진실의 얼굴: 베일을 걷어내다.'' (2001, P & R)
  • ''모든 영광 속의 진실: 개혁 신앙을 칭찬하다.'' (2004, P & R)
  • ''십계명.'' (2007, 엑셀시스)
  • ''과거와 현재의 기독교 변증: 1권, 1500년까지의 주요 자료 독본.'' (2009, 크로스웨이)
  • ''프레임을 넘어서.'' (2010, 트리니티 포럼)
  • ''과거와 현재의 기독교 변증: 2권, 1500년부터의 주요 자료 독본.'' (2011, 크로스웨이)
  • ''크리스찬 삶에 대한 섀퍼: 반문화적 영성.'' (2013년 발간 예정, 크로스웨이)

5. 한국과의 관계

윌리엄 에드거는 프랑스 위그노 출신으로, 웨스트민스터 신학교에서 만난 바바라와 결혼해 두 자녀와 세 손자를 두었다. 경건함과 따뜻한 마음을 소유한 신학자이자 음악가이며 학생 지도에 매우 세밀한 학자로 알려져 있다. 한국인 제자로는 안명준, 한상화, 이상원 교수를 비롯한 많은 이들이 있다.[1]

참조

[1] 웹사이트 BILL EDGAR RETIRES https://wm.wts.edu/n[...] Westminster Theological Seminary 2023-09-05
[2] 서적 Christian Apologetics
[3] 웹사이트 William Edgar Professor of Apologetics http://www.wts.edu/f[...]
[4] 웹사이트 William Edgar http://www.cardus.ca[...]
[5] 서적 Christian Apologetic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