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윤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박윤선은 한국의 칼뱅주의 신학자로, 1905년에 태어나 1988년에 사망했다. 그는 평양 숭실전문학교 영문과를 졸업하고 웨스트민스터 신학교에서 신학석사 학위를 받았다. 목회 활동과 신학교 교수를 역임했으며, 고려신학교 교장을 지냈다. 그는 한국 교회에 칼뱅주의 신학을 소개하고 체계화하는 데 기여했으며, 신구약 성경 전권 주석을 완간하여 성경 신학 발전에 공헌했다. 그의 저술과 신학은 한국 보수 장로교에 큰 영향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철산군 출신 - 홍종철 (1924년)
홍종철은 한국 전쟁에 참전한 군인 출신으로, 5·16 군사 정변 이후 국가재건최고회의 최고위원 겸 문교사회위원장, 박정희 정부의 대통령경호실장, 문교부 차관, 공보부 장관, 문화공보부 장관, 문교부 장관을 역임한 정무직 공무원이다. - 철산군 출신 - 양세봉
일제강점기 독립운동가 양세봉은 만주에서 항일 무장투쟁을 이끌며 대한통의부, 참의부, 정의부, 조선혁명군 등에서 활약한 독립군 지휘관으로서, 한중 연합군을 편성하여 융링제 전투 등에서 승리했으나 일본군 밀정의 계략으로 암살당했고 남북한 모두에서 높이 평가받고 있다. - 합동신학대학원대학교 교수 - 박영선 (목사)
박영선은 남서울교회 부목사, 남포교회 개척 및 30년간 목회, 합동신학대학원대학교 실천신학 교수를 역임하고 칼뱅주의에 입각한 설교와 신학 서적 출간을 통해 한국 교회에 영향을 미친 대한민국의 목사이다. - 합동신학대학원대학교 교수 - 김명혁
김명혁은 순교자 김관주 목사의 아들이자 한국의 대표적인 복음주의 신학자 겸 목회자로, 월남 후 서울대 사학과 졸업, 미국 유학을 통해 다양한 신학 학위를 취득하고 총신대학교와 합동신학대학원대학교 교수, 강변교회 담임목사, 한국복음주의협의회 회장 등을 역임하며 한국 교회 연합 운동에 기여했으며 어거스틴 연구 권위자로도 알려졌으나 2024년 별세했다. - 성경 해석학자 - 마르틴 루터
마르틴 루터는 1483년 독일에서 태어난 신학자이자 종교 개혁가로, '오직 믿음으로' 칭의 교리를 확립하고 95개 논제를 발표하여 종교 개혁을 촉발했으며, 독일어 성경 번역과 성직자 결혼 허용에 기여했으나 후기에는 반유대주의적 주장을 펼치기도 했다. - 성경 해석학자 - 게르하르트 폰 라트
게르하르트 폰 라트는 독일의 루터교 신학자로서 구약학 연구에 기여했으며, 형식 비평과 전승사 연구를 통해 새로운 접근 방식을 제시하고, 하이델베르크 대학교에서 구약학 교수로 재직하며 저서 《구약성서신학》 등을 저술했다.
박윤선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박윤선 |
한글 | 박윤선 |
한자 | 朴允善 |
로마자 표기 | Bak Yun-seon |
분야 | 신학, 신약신학 |
직업 | 대학 교수, 목사, 저술가 |
종교 | 개신교(장로회) |
국적 | 대한제국→대한민국 |
언어 | 한국어, 영어 |
생애 | |
출생지 | 대한제국 평안북도 철산군 백량면 장평동 |
활동 기간 | 1938년~1988년 |
설명 | 박윤선 합동신학대학원대학교 설립자 |
학력 | |
학력 | 미국 웨스트민스터 신학교(D.D.) |
2. 학력
박윤선은 1913년부터 1922년까지 서당에서 한학을 수학했다. 1922년 대동소학교에 편입하여 1923년에 졸업하였고, 1924년 3월 신성학교에 입학하여 1927년에 졸업하면서 기독교로 개종했다. 1931년 3월에는 평양 숭실전문학교 영문과를 졸업했으며, 1931년부터 1934년 3월까지 조선예수교장로회신학교(평양 장로회 신학교)를 졸업했다.
박윤선은 1905년 12월 11일 평안북도 철산에서 출생하였다. 1936년 8월부터 1938년 7월까지 조선예수교장로회신학교에서 성경원어 강사로 활동했고, 장로회 총회 종교교육부 표준성경주석 편집부에서 근무하며 박형룡과 함께 고린도후서 주석을 저술하였다. 1940년 4월부터 1941년 3월까지 만주 봉천(현 심양) 오가황교회에서 목회 활동을 하였다. 1941년 4월부터 1943년 7월까지 만주 봉천동북신학교 교수로 재직하였다. 1944년 4월에는 첫 주석인 <요한계시록 주석>을 저술하였다.
박윤선은 1905년 12월 11일(음력) 평안북도 철산의 농부 가정에서 태어나, 마을 서당에서 한학을 공부했다.[7] 1922년 늦은 나이에 신식 교육을 받기 시작하여 선천 대동소학교, 신성중학교, 평양 숭실전문학교 영문과를 졸업했다. 신성중학교 재학 중 기독교를 믿게 되었고, 1931년 조선예수교장로회신학교를 졸업한 후 미국 웨스트민스터 신학교(Westminster Theological Seminary)에서 신학석사 학위를 받았다.[7]
박윤선은 한국 칼뱅주의 신학의 선구자로서, 평양 신학교와 웨스트민스터 신학교에서 수학하며 칼뱅주의 신학을 공부했다.[10] 강의와 저술, 주석 발간을 통해 한국 교회에 칼뱅과 칼뱅주의 신학을 소개하고 체계화하는 데 크게 기여했다.[10] 총신대학교와 합동신학대학원대학교 등에서 교수로 재직하면서 칼뱅 연구의 중요성을 강조했다.[10]
박윤선의 제자 신복윤은 정암을 가리켜 성경의 사람이라고 부른다.[11] 성경신학자 박윤선은 그의 책 "성경과 신학"에서 신학자의 정체성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제시한다.[12]
1936년 5월, 미국 필라델피아 웨스트민스터신학교에서 신학석사(Th.M) 학위를 취득했고, 1938년 9월부터 1939년 11월까지 같은 학교에서 변증학 및 성경원어를 연구했다. 1953년 10월부터 1954년 3월까지는 네덜란드 암스테르담 자유대학에서 신약학을 연구했다.
1954년 9월, 미국 훼이스신학교에서 명예신학박사(D.D) 학위를 받았으며, 1979년 9월에는 웨스트민스터신학교에서 명예신학박사(D.D) 학위를 받았다.
3. 약력
1946년 9월, 부산 고려신학대학원의 전신인 고려신학교 교장서리에 취임하였고, 1948년 5월부터 1960년 10월까지 고려신학교 2대 교장을 역임하였다. 1960년 9월 고려파를 떠났다. 1961년 2월부터 1964년 4월까지 서울 서대문에 위치한 동산교회에서 목회하였다. 1963년 3월 서울 사당동 총회신학교 교수로 취임하였다. 1964년 1월부터 12월까지 총회신학교 교장(윤번제)을 역임하였다. 1965년 3월부터 1967년 2월까지 총회신학교 부산분교장 및 교수로 활동하였다.
1968년 6월, 서울 한성교회를 개척하였다. 1967년 3월부터 1974년 11월까지 총회신학교 교수로 재직하였다. 1971년 9월부터 1977년 5월까지 미국에 체류하였다. 1977년부터 1979년까지 미국 LA에서 주석을 집필하였다. 1979년 3월, 총신대학교 대학원장에 취임하였다. 1979년 10월, 마지막 주석인 <에스라 느헤미야 에스더 주석>을 출간하고, 총신대학교 대강당에서 성경주석 완간 감사예배를 드렸다. 1980년 10월, 총신대학교 대학원장직을 사임하였다. 1980년 11월부터 1985년 2월까지 수원 합동신학원 초대 원장을 역임하였다. 1985년 3월부터 1988년 6월까지 수원 합동신학교 명예교장을 지냈다. 1988년 6월 30일 소천하였다.
4. 생애
1936년 귀국 후 평양신학교에서 성경원어를 가르치며 성경 주석 작업을 시작했다.[7] 1938년 다시 미국으로 건너가 웨스트민스터 신학교에서 변증학 및 성경 원어를 연구하고, 1940년 만주 봉천노회에서 목사 안수를 받았다.[7] 이후 만주와 한국을 오가며 목회 활동과 신학교 교수 사역을 병행했다.
해방 후 1946년 한상동과 함께 부산에 고려신학교를 설립하고 교장(서리)을 역임했다.[7] 1953년 네덜란드 자유대학에서 신약학을 연구하고 귀국했다. 1960년 고려신학교를 사임하고, 1961년 서울 동산교회를 담임했다. 이후 서울 총회신학교, 총신대학 신학원 교수로 활동했다.
1974년 미국에서 성경주석 저술에 전념하다 1979년 귀국하여 총신대학 대학원장에 취임했고, 같은 해 미국 웨스터민스터신학교에서 명예 신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1980년 총신대학 대학원장을 사임하고 대한예수교장로회(합신측)을 조직, 합동신학원을 설립하여 초대 원장을 역임했다.[8] 1985년 합동신학교 명예교장에 추대되고, 1988년 6월 30일 소천하였다.[9]
5. 박윤선과 칼뱅주의
박윤선은 찰스 핫지, 존 그레섬 메이천, 벤저민 워필드 등 미국의 칼뱅주의자들뿐만 아니라, 5개월간의 네덜란드 유학(1953.10-1954.3)을 통해 아브라함 카이퍼, 헤르만 바빙크, 클라스 스힐더르 등 네덜란드 칼뱅주의자들의 신학과 전통을 한국 교회에 소개했다.[10]
1979년 신구약 성경 전권 주석을 완간하여 한국 성경 신학계에 큰 공헌을 했으며, 성경 주석의 6가지 원칙과 근거를 제시했다.[10] 성경은 성경으로 해석해야 하며, 칼뱅주의 해석 방법론에 따라 해석해야 하고, 칼뱅주의 신학자들의 신학 저서를 최대한 참고해야 한다는 원칙을 세웠다.[10] 이는 성경의 무오성에 근거한 합리적 해석 방법에 따른 객관적인 논증의 결과였다.[10] 그의 저술과 설교, 신앙은 칼뱅주의 신학에 충실했던 것으로 평가받는다.[10]
6. 성경과 신학자
7. 교회관
7. 1. 교권주의 비판
박윤선은 "교회의 성립과 성직" 설교에서 교권주의를 다음과 같이 비판했다.[13]교권주의는 자신의 주장을 내세워 교회를 잘못 인도하고, 이에 반대하는 사람들과 파벌 싸움을 일으켜 옳은 것을 세우지 못하게 한다.[13] 상대방이 옳은 주장을 해도 자신의 파가 이길까 봐 양심을 속이고 억누르기 때문에, 교권주의가 만연한 교회는 의를 이루거나 주님의 일을 할 수 없다.[13] 권력 유지를 위해 정치적 술수를 쓰느라 하나님의 말씀대로 주의 일을 하는 데는 마비 상태에 빠진다.[13] 성직자는 교회를 섬기는 입장이지, 교회를 자신의 직장이나 출세의 기반으로 삼아서는 안 되며, 그런 사람들이 있는 동안에는 하나님의 교회가 적지가 된다고 보았다.[13]
8. 정암 박윤선 연구사
박윤선에 대한 연구는 다양한 방법론으로 진행되어 왔다. 역사신학적 연구방법은 주로 교회사가들에 의한 가장 기본적인 연구방법으로, 서영일 박사가 웨스트민스터 신학교에서 정암 박윤선에 대하여 박사학위를 받았다. 주석적 연구방법은 주석에 나타난 방법론에 대한 연구이다. 신학적 연구방법은 교의학이나 현대신학에 나타난 조직신학적 주제들에 대한 연구이다. 성경신학적 연구방법은 신구약의 구속 계시의 점진성을 그의 주석에 나타난 내용에 따라서 연구하는 방법이다. 내러티브 연구방법은 현일 박사(피어선신학전문대학원 Ph.D.)가 박윤선의 신학을 내러티브 탐구로 시도한 것으로, 박윤선의 삶의 정황을 보다 총체적으로 이해하는 방식으로 이야기 속에서 이해하려는 방법이다.
9. 평가
박윤선은 성경 전체에 대한 주석을 완성하여 한국 성경 신학계에 큰 공헌을 했다. 다만, 그의 성경 해석이 본문의 역사적 배경을 충분히 고려하지 못했다는 비판도 제기된다. 예를 들어 고린도전서 주석 해석이 이러한 한계점을 드러낸다고 평가받는다. 보수적인 신학 노선을 견지했기에, 진보적인 신학계 일각으로부터는 비판을 받기도 하지만, 한국교회, 특히 보수적인 장로교단에 있어서는 그의 신학적 입지가 확고하다.
참조
[1]
웹사이트
박윤선 (朴允善)
https://encykorea.ak[...]
Academy of Korean Studies
2024-03-24
[2]
웹사이트
Yune Sun Park Official Site
http://www.yunesunpa[...]
2011-04-06
[3]
웹사이트
Hapdong Seminary Official Site
http://www.hapdong.a[...]
[4]
웹사이트
Reformiert Online
http://www.reformier[...]
[5]
뉴스
朴允善목사 숙환별세
http://newslibrary.n[...]
1988-07-01
[6]
뉴스
개혁주의 모델 박윤선 목사 - ①박윤선 목사는 누구인가
http://m.kidok.com/n[...]
2018-05-31
[7]
뉴스
정암 박윤선 목사의 생애와 사상(1)
http://www.newsnjoy.[...]
2015-04-01
[8]
뉴스
<남기고 싶은 이야기> 노진현 목사 편
1990
[9]
웹인용
김승태, "박윤선(朴允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http://encykorea.aks[...]
[10]
뉴스
<한국장로교회사 특강> 박윤선 박사 편
2013
[11]
서적
정암 박윤선 박사의 생애와 신학
킹덤북스
2020
[12]
서적
성경과 나이 생애
영음사
2011
[13]
Youtube
박윤선, 교회의 성립과 성직
https://www.youtube.[...]
[14]
웹사이트
http://blog.daum.net[...]
[15]
웹사이트
https://www.kirs.kr/[...]
[16]
웹사이트
http://www.denverdou[...]
[17]
웹사이트
http://www.kirs.kr/d[...]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