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금당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유금당은 1844년 후난성 상향에서 태어난 청나라 말기의 군인이다. 그는 상군 군인인 아버지와 숙부의 영향으로 군에 입대하여 태평천국 운동과 염군을 진압하는 데 참여했다. 둥간 혁명 진압에도 참여하여 금적보를 함락시키고 서녕을 공격했으며, 야쿱 벡의 난을 진압하기 위해 신강으로 진입하여 우루무치를 점령했다. 신강성이 설치된 후 초대 순무를 역임했으며, 사후 양근이라는 시호가 내려졌다. 저서로는 ‘유양근공주고’가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샹탄시 출신 - 마오쩌둥
마오쩌둥은 중국의 혁명가이자 정치가, 군사 전략가, 공산주의 이론가이며 중화인민공화국의 건국 아버지로서, 중국 공산당을 이끌며 최고지도자로서 중국을 통치했고, 마오쩌둥 사상의 창시자로서 그의 정책과 통치는 중국 사회, 경제, 문화, 외교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 샹탄시 출신 - 제백석
제백석은 가난한 농민 출신 목수에서 독학과 다양한 스승을 통해 독창적인 화풍을 구축하고 화조화, 곤충, 풀, 은자, 산수화 등 다양한 소재를 서정적으로 묘사하여 국제적인 명성을 얻은 20세기 중국의 대표 화가이다. - 1894년 사망 - 김개남
김개남은 조선 말기 동학 농민 운동의 지도자 중 한 명으로, 1894년 전봉준과 함께 동학 농민 운동을 주도하며 전라도 남원을 중심으로 활동했으나 제2차 봉기 때 체포되어 처형되었고, 전봉준과 함께 핵심 인물로 평가받지만 노선과 연계 등에 대한 논란이 있다. - 1894년 사망 - 로버트 루이스 스티븐슨
로버트 루이스 스티븐슨은 《보물섬》, 《지킬 박사와 하이드 씨》 등으로 유명한 스코틀랜드의 소설가, 시인, 수필가, 여행 작가로, 병약한 몸으로 세계를 여행하며 얻은 경험과 남태평양 사모아에서의 삶이 그의 작품에 큰 영향을 미쳤다. - 청나라 사람 - 주문모
청나라 출신 가톨릭 신부 주문모는 1794년 조선에 잠입하여 선교 활동을 하다 1801년 신유박해 때 순교하였으며, 초기 조선 천주교회 성장에 기여하여 2014년 시복되었다. - 청나라 사람 - 원매 (청나라)
원매는 청나라 중기의 시인이자 미식가, 수필가로 자연의 성정을 중시하는 성령설을 주창하여 새로운 시풍을 형성하는 데 기여했으며, 은거 생활을 하며 수원식단, 자불어, 수원시화 등 다양한 저술을 남기고 여성 문학을 옹호하며 여제자들을 길러내는 등 진보적이면서도 데카당스적인 면모를 보였다.
유금당 | |
---|---|
기본 정보 | |
![]() | |
이름 | 유금당 (劉錦棠) |
출생 | 1844년 11월 18일 |
사망 | 1894년 11월 15일 (49세) |
출생지 | 후난성 샹샹시 |
사망지 | 베이징시 |
자 | 효암 (孝巖) |
시호 | 양각 (襄勤) |
경력 | |
분야 | 군사, 정치 |
복무 | 청나라 |
최종 계급 | 이등웅용공 (二等雄勇公) |
주요 참전 | 태평천국의 난 염군의 난 신강 회부의 난 |
주요 보직 | 섬감총독 신강순무 |
기타 | |
선대 | - |
재임 기간 | 1884년 ~ 1889년 |
직위 | 신강순무 |
후대 | 위광도 |
로마자 표기 | |
중국어 병음 | Liú Jǐntáng |
웨이드-자일스 표기법 | Liu Chin-t'ang |
2. 생애
유금당은 1844년 후난성 상향에서 태어났으며, 아버지 유후영과 숙부 유송산은 상군 군인이었다. 10세 때 아버지가 악주에서 태평천국군과의 전투 중 전사하자, 성장 후 숙부의 부대에 합류하여 상군의 일원이 되었다. 기문 호위 등에서 공을 세워 증국번의 인정을 받았고, 1864년 태평천국 멸망 후에는 염군과의 전투에서도 숙부와 함께 전공을 세웠다.
이후 좌종당을 따라 둥간 혁명 진압에 참여하여 산서성과 감숙성 등지에서 활동했다. 1870년 숙부 유송산이 전사하자 그의 부대를 물려받아 지휘했으며, 1871년 금적보 함락, 1872년 서녕에서 백언호 등의 회민군 격퇴 등 둥간 혁명 진압에 기여했다.
1876년에는 야쿱 벡의 난 진압을 위해 신강으로 진군하여 우루무치를 점령하고 천산남로 평정에 기여했다. 이후 1884년 신강성이 설치되자 초대 순무로 임명되어 1889년까지 재임했다.
사후에는 양근(襄勤)이라는 시호를 받았으며, 저서로 ‘유양근공주고’(劉襄勤公奏稿)가 전해진다.
2. 1. 초기 생애와 상군 참여
유금당은 1844년 후난성 상향에서 태어났다. 그의 아버지 유후영과 숙부인 유송산은 상군 소속 군인이었다. 유금당이 10세 되던 해, 아버지는 악주에서 태평천국군과의 전투 중에 전사하였다. 이후 성장한 유금당은 강서성에 주둔하고 있던 숙부 유송산의 부대에 들어가 상군에 합류하였다. 그는 상군의 사령부가 위치한 기문을 호위하는 임무에서 공을 세웠고, 이 공적으로 숙부와 함께 증국번으로부터 칭찬을 받았다. 1864년 태평천국이 멸망한 뒤에는 염군과의 전투에 참여하여 숙부 유송산과 함께 여러 차례 전공을 세우기도 했다.2. 2. 태평천국 운동과 염군 진압
유금당은 10세 때 악주에서 태평천국군과의 전투 중 아버지를 잃었다. 이후 성장하여 숙부 유송산이 속한 상군에 합류하였다. 그는 상군 사령부가 있던 기문을 호위하는 과정에서 숙부와 함께 공을 세워 증국번으로부터 능력을 인정받았다. 1864년 태평천국이 멸망한 이후에는 염군과의 전투에 참여하여 숙부 유송산과 함께 여러 차례 전공을 세웠다.2. 3. 둥간 혁명 진압
숙부인 유송산과 함께 좌종당을 따라 산서성과 감숙성으로 이동하여 둥간 혁명 진압에 참여했다. 이들은 금적보에서 마화룡을 포위했다. 그러나 1870년 전투 중 유송산이 전사하자, 유금당이 숙부의 부대를 이어받아 지휘하게 되었다. 그는 부대를 이끌고 1871년에 금적보를 함락시켰다. 이듬해인 1872년에는 시닝시를 공격하여 백언호 등이 이끄는 회민군을 격퇴했다.2. 4. 야쿱 벡의 난 진압과 신강성 설치
야쿱 벡의 난이 일어나자, 유금당은 1876년 2월 사령부를 감주에서 숙주로 이전했다. 같은 해 7월, 그는 자신이 이끄는 상군 25개 영(약 1만 3천 명)과 만주 팔기군 김순이 이끄는 40개 영(약 2만 1천 명)과 함께 선봉에 서서 신강으로 진군하여 우루무치를 공략했다. 우루무치 점령 이후, 군대를 나누어 김순은 신강 북부 지역을, 유금당은 천산남로 지역을 각각 맡아 소탕 작전을 이어갔다. 이후 1884년 신강성이 새로 설치되자, 유금당은 초대 순무로 임명되어 1889년까지 그 직책을 수행했다.2. 5. 사망과 사후
사후 시호로 양근(襄勤)이 내려졌다.저서로는 ‘유양근공주고’(劉襄勤公奏稿)가 남아 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