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제백석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제백석은 중국의 대표적인 근대 화가로, 가난한 농가에서 태어나 독학으로 그림을 시작했다. 문인화, 산수화, 화조화 등 다양한 분야에서 독창적인 화풍을 구축했으며, 특히 "홍화묵엽"으로 불리는 붉은 꽃과 먹색 잎의 대비를 통해 강렬하면서도 소박한 아름다움을 표현했다. 그는 중국 전역을 여행하며 예술적 안목을 넓혔고, 베이징으로 이주하여 작품 활동을 시작했으나, 보수적인 화단에서 어려움을 겪기도 했다. 진사증의 도움으로 국제적인 명성을 얻었으며, 말년에는 중국미술가협회 주석을 역임했다. 그의 작품은 현재 미술 시장에서 높은 가격에 거래되며, 그의 화풍은 후대 화가들에게 큰 영향을 미쳤다. 제백석은 두 명의 부인에게서 12명의 자녀를 두었으며, 자녀와 손자들 중에서도 화가로 활동하는 이들이 많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중국의 화가 - 팔대산인
    명나라 황족 후손으로 몰락한 왕족의 고뇌와 은둔 생활, 독특한 화풍으로 유명한 팔대산인은 중국 청나라 초기의 예술가로서 화훼, 산수, 새, 물고기 등을 소재로 한 수묵화에서 대담하고 개성적인 표현을 추구하며 멸망한 명나라에 대한 슬픔과 저항 정신을 상징하는 작품을 남겼다.
  • 중국의 화가 - 마위안
    마위안은 중국의 소설가, 수필가, 극작가, 문학 평론가이자 대학교수로, '이야기의 함정', '내용의 형식'을 갖춘 새로운 작풍의 소설을 추구했다.
  • 샹탄시 출신 - 마오쩌둥
    마오쩌둥은 중국의 혁명가이자 정치가, 군사 전략가, 공산주의 이론가이며 중화인민공화국의 건국 아버지로서, 중국 공산당을 이끌며 최고지도자로서 중국을 통치했고, 마오쩌둥 사상의 창시자로서 그의 정책과 통치는 중국 사회, 경제, 문화, 외교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 샹탄시 출신 - 마오이창
    마오이창은 1870년 후난성 샹탄시에서 태어나 농업, 곡물 중개 등으로 부를 축적했으며, 중국 공산당 주석 마오쩌둥의 아버지이다.
제백석
지도 정보
기본 정보
이름치바이스
한자齊白石
간체자齐白石
병음Qí Báishí
웨이드-자일스 표기법Ch'i Pai-shih
본명치춘즈
아호백석산옹, 백석노인, 제황
출생일1864년 1월 1일
출생지후난성 샹탄
사망일1957년 9월 16일
사망지베이징
국적청나라 → 중화민국 → 중화인민공화국
활동
직업화가
서예가
전각가
분야회화
주요 활동중국미술가협회 주석
작품 및 스타일
화풍대사의
주요 작품묵죽도, 새우, 게, 매미, 개구리, 물고기 등 생태 화제, 산수화, 인물화
작품 특징생동감, 강렬한 색채, 독창적인 구도
기타 정보
별칭삼백석인부옹
로마자 표기Qi Baishi
사진
1956년 정징캉이 촬영한 치바이스 초상 사진

2. 생애

제백석은 후난성 샹탄 현의 가난한 농가에서 태어나 독학으로 그림을 배웠다. 20대에는 소향해가 그림을, 30대에는 왕개운이 글을 가르쳤다.[3] 이후 베이징미술학교 교수, 중국미술가협회 주석, 인민예술가를 역임했다.

2. 1. 어린 시절과 성장

후난성 샹탄 현의 가난한 농가에서 태어나 독학으로 그림을 배웠다. 어릴 적 이름은 아타(阿타)였다. 7세에 몇 달 동안 사숙(私塾)에서 초등 교육을 받았지만, 가정 형편이 어려워 학업을 계속할 수 없었다. 목축 등의 일을 도우면서 독학으로 그림을 그렸다.[3] 몸이 허약하여 쟁기 등을 사용하는 농사일을 할 수 없어, 12세에 목수 견습생이 되었고 1년 후 가구 장인(指物師)이 되었다. 10여 년간 목수로 생계를 유지했는데, 뛰어난 기술로 온 마을에 알려졌다. 목수 일을 하면서 표구장인 출신의 소전흔(蕭伝鑫)에게 초상화를 배웠고, 이후 미인화도 그렸다.[1]

27세에 문인화가 호자탁(胡自倬)에게 사사하여 본격적으로 그림 공부를 시작, 정교한 화조화·조수화(鳥獸畫)를 배웠다. 시문은 진작흔(陳作塤)에게, 산수화는 탐보(譚溥)에게 배웠다. 30세에 고향의 시우들과 "용산시사(龍山詩社)", "라산시사(羅山詩社)"를 결성하고, 서법전각도 독학하여 문인적 자질을 길렀다.

2. 2. 예술가로서의 성장

27세에 문인화가 호자탁(胡自倬)에게 사사하여 본격적으로 그림 공부를 시작하여 정교한 화조화·조수화(鳥獸畫)를 배웠다. 또한 시문을 진작흔(陳作塤)에게, 산수화를 탐보(譚溥)에게 배웠다.[20] 30세 무렵, 고향의 시우들과 "용산시사(龍山詩社)"·"라산시사(羅山詩社)"를 결성하고, 서법전각도 독학하여 문인적인 자질을 길렀다.[20]

40세 이후 7년 동안 "오출오귀(五出五帰)"라고 불릴 만큼 5차례에 걸쳐 중국 전역을 여행하며 명산과 대천을 두루 경험했다. 동시에 과거 명가의 진필과 명문 등을 직접 보고 예술적 안목을 넓혔다.[20]

55세에 베이징에 거처를 정하고, 그림과 인장을 팔아 생계를 유지하기 시작했다.[20] 당시 베이징 화단은 보수적인 풍조가 강했고, 농민 출신에 목수였던 백석은 냉대와 배척을 받기도 했다.[20] 이러한 상황에서 진사증(陳師曽)은 백석의 재능을 알아보고 예술적 교류를 하며 그를 지원했다.[20] 1922년, 도쿄에서 열린 일중(日中) 공동 회화전에 백석의 작품을 출품한 것도 진사증이었는데, 이를 계기로 백석의 국제적인 평가가 높아졌다.[20] 외교관 수마야키치로(須磨彌吉郎)는 중국 주재 당시 백석의 중요한 후원자가 되었다.[20]

2. 3. 노년과 죽음

베이징미술학교 교수와 중국미술가협회 주석을 역임하며 중국 화단의 중심인물로 활동했다.[3] 그는 식물에서 동물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작품을 그렸으며, 자연스러운 화풍으로 많은 사람들에게 사랑받았다. 특히 그의 작품은 삶과 성격을 바탕으로 했으며, 어려운 시대에도 자신의 가치관과 사상을 유지하는 것으로 알려졌다.[3]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도 전통 예술 작품과 문화가 파괴되는 상황 속에서도 그는 존경받았으며, "전국인민대표대회(全國人民代表大會) 의원으로 선출되었고 전국미술협회 명예회장이 되어 혁명적인 중국에서 전통 문화적 가치에 대한 지속적인 헌신을 대변했다".[3]

말년까지 왕성한 창작 활동을 펼치며 수많은 작품을 남겼고, 1957년 9월 16일 베이징에서 93세의 나이로 세상을 떠났다.[3]

3. 예술 세계

왕차오원(王 Chao-Wen)은 제백석(치바이스)이 베이징에서 제자와 이야기하던 중 진흙탕 물이 고인 벽돌 바닥에서 새의 윤곽을 보았다고 말했다. 그는 모든 사람이 그 새를 보았을 것이라고는 말하지 않았지만, 제백석은 항상 새로운 그림을 찾는 데 몰두했기 때문에 “특별한 감각”을 지녔다고 말했다.[6] 제백석은 끊임없이 그림에 대해 생각하고 훌륭한 예술가가 되고자 하는 강한 의지와 동기를 가지고 있었다.[7]

제백석의 일기 발췌문은 그의 작품에 대한 강렬한 열정과 확신을 보여준다. “제백석(치바이스) 그림에 대한 감상”이라는 글에서 그의 일기에는 다음과 같이 적혀 있다.

> “나는 인장을 새길 때 옛 규칙을 따르지 않아 비정통적인 것으로 비난받는다. 그러나 나는 이 세대의 어리석음을 불쌍히 여긴다. 그들은 진(秦)나라와 한(漢)나라의 예술가들도 인간이었고 우리도 마찬가지이며 우리 또한 우리만의 독특한 자질을 가질 수 있다는 것을 깨닫지 못하는 것 같다… 경정(Ching-teng), 학고(Hsueh-ko), 대제자(Da-ti-tzu)와 같은 고전적인 예술가들은 그림에 과감한 붓놀림을 시도했는데, 나는 그들을 엄청나게 존경한다. 내가 후회하는 한 가지는 300년 전에 태어나지 못한 것이다. 그렇다면 나는 그 신사들을 위해 먹을 갈거나 종이를 잡아달라고 부탁할 수 있었을 것이고, 만약 그들이 나를 원하지 않았다면 그들의 문 밖에서 굶어 죽더라도 떠나지 않았을 것이다. 얼마나 멋졌을까! 나는 미래 세대가 우리 시대의 예술가들을 옛날 사람들을 존경하는 것만큼이나 존경할 것이라고 생각한다. 내가 그것을 볼 수 없다는 것이 얼마나 유감스러운 일인가!”[8]

제백석의 독특한 점은 당시 다른 대부분의 예술가들과 달리 그의 작품에는 서구의 영향이 전혀 나타나지 않는다는 것이다. 다른 예술가들은 제백석이 화조화, 곤충과 풀, 은자와 산수화의 친숙한 장르에 가져온 “신선함과 자발성”을 칭찬했다.[9] 그는 자연의 작은 것들에 초점을 맞춘 최초의 예술가는 아니었지만, 이러한 주제들을 묘사하는 데 있어 사려 깊고 서정적인 접근 방식으로 높이 인정받았다.

제백석 작품의 위작과 잘못된 귀속은 현대 미술 시장에서 흔한 일이 되었다.[13][10][11]

3. 1. 화풍

제백석은 전통적인 문인화 기법을 바탕으로 민간 예술의 소박하고 생동감 넘치는 요소를 결합하여 독창적인 화풍을 창조했다. 그는 명나라의 팔대산인, 석도, 서위의 예술을 존경하고, 그 계보를 잇는 오창석에게서 서예, 그림, 전각 등에서 가장 큰 영향을 받았다고 스스로 밝혔다.[3]

그의 화풍은 주요 소재에서 따와 "홍화묵엽(紅花墨葉)"이라고 불린다. 붉은 꽃과 먹색 잎의 대비를 통해 강렬하면서도 소박한 아름다움을 표현한다. 제백석은 공필화와 사의화를 모두 능숙하게 구사했으며, 특히 자유롭고 표현력이 풍부한 사의화풍으로 유명하다.[1][2]

제백석의 작품은 서구의 영향을 받지 않은, 중국 전통 회화의 독자적인 발전 과정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례로 평가받는다. 그는 범고주의에 빠져 침체된 근대 중국 예술의 구습을 타파하고, 신풍을 불어넣어 현대 중국화의 거장으로 평가받고 있다.[3]

3. 2. 주요 작품

기 바이시는 식물에서 동물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작품으로 인기를 얻었으며, 자연스러운 화풍 덕분에 많은 수집가들이 그의 작품을 구입했다.[3] 그는 화조화, 곤충과 풀, 은자와 산수화 등 친숙한 장르에 "신선함과 자발성"을 불어넣었다는 평가를 받는다.[9]

  • '''산수화''': 스승 담포(譚浦)의 영향을 받아 산수화를 그리기 시작했다.[2]
  • '''화조화''': 화조화에 뛰어났으며, 특히 새우, 게, 물고기, 매미, 풀벌레 등을 잘 그렸다.
  • '''채소화''': 배추, 무, 가지, 고추 등 채소를 소재로 한 그림도 그렸다.
  • '''인물화''': 자화상, 초상화 등 인물화도 남겼다.


기 바이시 작품의 위작과 잘못된 귀속은 현대 미술 시장에서 흔한 일이 되었다.[13][10][11] 그는 평생 8,000점에서 15,000점 사이의 독특한 작품을 제작한 것으로 추산되며,[11] 그중 3,000점이 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그러나 1993년 이후 경매 회사들은 그에게 귀속된 18,000점이 넘는 독특한 작품을 판매하려고 시도했다.[13]

2011년에는 ''소나무 위에 서 있는 독수리(老鷹圖)''가 4억 2,550만 위안(6550만달러)에 팔려 경매에서 팔린 가장 비싼 그림 중 하나가 되었으나,[12] 진품 여부에 대한 논란이 있었다.[13] 2017년에는 ''산수 12폭 병풍''(山水十二條屏)(1925년)이 1억 4,080만 달러(9.315억위안)에 팔리기도 했다.[15]

3. 3. 전각

제백석은 전각에도 뛰어난 재능을 보였다. 목수 경험을 바탕으로 정을 사용하듯 대담하게 철필을 휘둘러, 서투르고 메마른 화풍으로 여겨졌다.[3] 그의 전각은 힘찬 기운이 느껴지는 것이 특징이다.

4. 유산과 영향

치바이스는 현대 중국 회화의 거장으로, 그의 작품은 중국뿐만 아니라 세계적으로 높은 평가를 받고 있다. 중국 전통 회화의 아름다움을 현대적으로 계승하고 발전시킨 모범적인 사례로 여겨진다. 독창적인 화풍은 후대 화가들에게 큰 영향을 미쳤으며, 그의 예술 세계는 오늘날까지도 많은 연구자들에 의해 활발하게 연구되고 있다.[3] 서예와 각인을 포함한 다양한 기법에 능숙했으며, 특히 자유롭고 표현력이 풍부한 사의(寫意) 화풍으로 유명하다. 식물, 동물 등 다양한 소재를 자연스럽게 그려내 많은 수집가들의 사랑을 받았다.[3]

그의 ''산수 12폭 병풍''은 2017년 1.4080000000000001억달러 (9.315억위안)에 판매되어 중국 회화 최고가를 기록했다.[15] 이는 그의 작품이 가진 예술적 가치와 희소성을 보여주는 사례이다. 그러나 그의 작품은 위작과 잘못된 귀속 문제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13][10][11]

4. 1. 가족 및 제자

제백석은 두 명의 부인과의 사이에서 12명의 자녀를 두었다. 첫 번째 부인 천춘준(陳春俊)과는 1887년에 결혼하여 세 아들(기량원, 기량부, 기량곤)과 두 딸(이름 미상)을 낳았다.[16] 1919년에는 후보주(胡寶珠)를 첩으로 맞이하여 네 아들(기량치, 기량의, 기량년, 기량모)과 세 딸(기량련, 기량환, 기량지)을 두었다.[17]

제백석의 자녀들과 손자, 손녀들 중에는 화가로 활동하는 이들이 많다. 대표적인 인물들은 다음과 같다.

  • 기량곤(齊良坤, Qi Ziru로도 알려짐)과 그의 아들 기켈라이(齊克萊)
  • 기량치(齊良歧)와 그의 아들 기전의(齊戰義)
  • 기량의(齊良義)와 그의 아들 기병의(齊秉義)
  • 기량모(齊良谟)와 그의 아들 기견웅(齊健雄), 딸 기회관(齊慧娟)
  • 기량지(齊良芝)와 그의 아들 웅지춘(熊志春), 딸들 웅유유(熊悠悠), 기원원(齊圓圓)


기량곤, 기량의, 기량치, 기량모, 기량지는 가족 전통을 이어받아 제백석에게서 배운 화풍을 적극적으로 그렸다. 웅지춘[18]은 기량모와 기량지에게서 가르침을 받았고, 나중에는 해외 미술 아카데미에서 수학하여 자신만의 개성적인 화풍을 형성했다.[17]

참조

[1] 서적 undefined
[2] 서적 undefined
[3] 서적 undefined
[4] 서적 undefined
[5] 서적 undefined
[6] 서적 undefined
[7] 서적 undefined
[8] 서적 undefined
[9] 서적 undefined
[10] 웹사이트 Qi Baishi, Dead, Keeps Making Art http://museumzero.bl[...] 2014-01-09
[11] 웹사이트 Replicas flood China's auctions as art becomes a business http://www.wantchina[...] 2013-10-28
[12] 웹사이트 China painting nets record $65 million at auction https://www.google.c[...] 2018-10-04
[13] 웹사이트 A Culture of Bidding: Forging an Art Market in China https://www.nytimes.[...] 2013-10-28
[14] 웹사이트 The art market in 2016 https://www.artprice[...] 2018-10-04
[15] 웹사이트 Qi Baishi Just Became the First Chinese Artist to Break the $100 Million Mark at Auction - artnet News https://news.artnet.[...] 2017-12-19
[16] 웹사이트 齐白石:57岁娶18岁娇妻,3段婚姻,育有12个孩子 https://www.163.com/[...]
[17] 인터뷰 Xiong Zhichun Interview 2013
[18] 웹사이트 www.jlzcartstudio.com http://www.jlzcartst[...] 2016-02-18
[19] 서적 橋本コレクション 中国の絵画 渋谷区立松濤美術館 1984
[20] 뉴스 日中画人往来十選「宋法山水図」 日本経済新聞 2016-01-2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