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닝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시닝시는 칭하이성 동부에 위치한 도시로, 역사적으로 하서회랑의 일부였다. 기원전 121년에 군사 거점으로 시작하여, 오호 십육국 시대에는 남량의 수도가 되었으며, 수, 당, 송, 청 왕조를 거치며 다양한 지배를 받았다. 1929년 칭하이 성의 성도가 되었으며, 현재 4개의 시할구, 2개의 현, 1개의 자치현으로 구성되어 있다. 2020년 기준 인구는 약 247만 명이며, 한족, 회족, 티베트족, 몽골족 등 다양한 민족이 거주한다. 주요 산업은 섬유, 모피, 육류, 우유, 소금 생산 등이며, 시닝 경제 기술 개발구를 통해 경제 발전을 도모하고 있다. 교통은 고속도로, 철도, 항공을 통해 이루어지며, 칭하이 대학교, 칭하이 사범대학교 등 교육 시설도 갖추고 있다. 쿰붐 사원, 동관 모스크 등 종교 유적과 칭하이 호 등 관광 자원이 풍부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칭하이성의 지급시 - 하이둥시
하이둥시는 중국 칭하이성 동부에 위치하며 황수이 계곡을 중심으로 시닝시와 간쑤성 사이에 있는 지급시로, 2개의 시할구와 4개의 자치현을 관할하는 칭하이성 내 인구 밀도가 높은 지역이다. - 중화인민공화국의 성도 - 창춘시
창춘시는 중화인민공화국 지린성의 성도로, 부여의 수도였고 만주국의 수도 신징으로 불렸으며, 현재 자동차, 영화 산업 등의 중심지이다. - 중화인민공화국의 성도 - 우한시
우한은 후베이성 중부에 위치한 장강과 한수 합류 지점의 대도시이자 경제·문화 중심지로, 무창, 한커우, 한양이 통합되어 형성되었으며 오랜 역사와 신해혁명 발상지, 코로나19 팬데믹 진원지로 알려져 있고, 현재는 중국 중부 부흥 계획의 중심 도시로서 경제 성장과 발달된 교통망, 산업 시설, 연구 기관을 갖추고 있다.
시닝시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 | |
![]() | |
![]() | |
![]() | |
![]() | |
공식 명칭 | 시닝 시 |
로마자 표기 | Xīníng (시닝) |
별칭 | 시닝 |
유형 | 지급시 |
위치 | 중국, 칭하이 성 |
시 정부 소재지 | 청중 구 |
행정 | |
정부 형태 | 지급시 |
인민대표대회 | 시닝 시 인민대표대회 |
중국 공산당 서기 | 왕웨이둥 |
인민대표대회 주석 | 쑹천시 |
시장 | 스젠핑 |
정치협상회의 주석 | 돤파다 |
면적 | |
총 면적 | 7596 km² |
도시 면적 | 2892.7 km² |
도시 지역 면적 | 2892.7 km² |
인구 | |
총 인구 (2020년) | 2,467,965명 |
도시 인구 (2020년) | 1,954,795명 |
도시 지역 인구 (2020년) | 1,954,795명 |
경제 | |
GDP (2015년) | 위안 1644억 (미화 182억 달러) |
1인당 GDP (2015년) | 위안 49,185 (미화 7,897 달러) |
시간대 | |
시간대 | 중국 표준시 |
기타 정보 | |
우편번호 | 810000 |
지역번호 | 971 |
ISO 3166-2 | CN-QH-01 |
차량 번호판 접두사 | (칭A) |
웹사이트 | www.xining.gov.cn |
나무 | 류수 (버드나무) |
꽃 | 라일락 |
2. 역사
시닝시는 2,100년이 넘는 역사를 가지고 있으며[6], 고대에는 목재, 양모, 소금을 취급하며 티베트로 가는 하서회랑 대상 루트의 주요 상업 중심지였다. 허시 회랑을 통한 무역은 북방 실크로드를 따라 이루어지는 더 큰 무역 회랑의 일부였으며, 이 경로는 한나라가 이 길을 통제하려는 노력 이후 기원전 1세기에 그 사용이 더욱 강화되었다.[7]
한나라(기원전 206년 – 서기 220년) 시대에는 현지 강족을 통제하기 위해 린챵현이 설치되었다. 수나라 (581–618)와 당나라 (618–907) 시대에도 변경 현으로 존재했다. 7세기와 8세기 초에는 토욕혼 및 토번 제국과의 끊임없는 전쟁의 중심지였다. 763년에는 토번에게 점령되었고, 토번의 지배하에서 중국에서는 '칭탕청'(青唐城중국어)으로 알려졌다. 1104년 송나라에 의해 회복되었고, 시닝(西寧, "서쪽의 평화"라는 의미)이라는 이름을 얻어 그 이후부터 현 또는 상급 현의 소재지가 되었다. 겔룩 종파의 창시자인 총카파(티베트 문자: ཙོང་ཁ་པ་, 의미: "시닝총카 출신 사람". c. 1357–1419)는 14세기에 태어났으며, 그의 출생지에는 16세기 후반에 쿰붐 사원이 세워져 시닝이 겔룩 불교 학교의 중요한 종교 중심지가 되었다.
1927년 구랑 지진은 1927년 5월 22일 발생한 대규모 지진으로 모멘트 규모 7.6을 기록했다. 이는 4만 명 이상의 사망자를 낸 중국에서 가장 치명적인 지진 중 하나였으며, 대규모 지면 균열을 야기했다.
시닝은 코코 노르 지역의 치외 법권 수도였으며, 1928년까지 간쑤성에 속해 있다가, 새로 설립된 칭하이성의 성도가 되었다.[8][9]
제2차 중일 전쟁 중인 1941년 일본 제국의 군용기에 의해 공습을 받았다. 이 폭격으로 현지 칭하이 몽골족과 칭하이 티베트족을 포함한 칭하이의 모든 민족이 일본에 대항하게 되었다.[10][11] 살라 무슬림 장군인 한유웬은 일본 비행기의 공습 동안 시닝시의 방어를 지휘했다.[12][13]
1945년에 시의 지위를 부여받았다.
마부팡 총독의 통치 하에, 시닝은 칭하이의 다른 지역과 마찬가지로 산업화 및 근대화를 겪었다. 1947년 미국은 마부팡에게 시닝에 설치된 배관된 상수도(하수도) 시스템을 판매했다.[14] 마부팡은 또한 교육을 장려했으며, 사업가들에게 해충 구제사 역할을 하여 시닝을 체계적으로 청소하게 했다.[15]
1950년대 후반 이웃한 간쑤성의 류자샤 댐 및 수력 발전 프로젝트가 가동된 이후 시닝은 고압 전력망을 통해 류자 및 란저우와 연결되었다. 또한 북쪽 다퉁 후이족 투족 자치현의 광산에서 나오는 지역 석탄을 사용하며, 현대적인 모직 공장이 1957년 이전에 설치되었다. 이 도시는 가죽 산업을 가지고 있으며 차이다무 지역의 소금 시장이기도 하다. 1950년대 후반에는 중규모 철강 공장이 건설되어 란저우에 금속을 공급했다.
광물 자원이 풍부한 차이다무 분지로 가는 고속도로 건설과 1959년 간쑤성 란저우를 경유하는 중국 철도망과의 연결이 완료되면서 산업 개발이 촉진되었다. 이 노력은 1950년대부터 시닝 지역의 석유와 목초지를 급속하게 개발하려는 중앙 정부의 계획의 일부였다.[16]
2. 1. 고대
시닝 시의 주요 부분은 역사적으로 하서회랑의 일부분이었다.기원전 121년, 전한의 곽거병 장군이 시역에 군사 거점인 서녕정(西寧亭)을 쌓아 올린 것이 시작이다. 전한 말에 서해군이 설치되었고, 오호 십육국 시대에는 남량의 수도가 되었다. 수나라 때는 서평·하원의 두 군이 되었고, 당나라 후반에는 토번에 점령되었다. 송나라 때 수복되어 서녕주가 설치되었지만, 후에 다시 서하에 점령되었다. 청나라 때에는 서녕부가 설치되어 감숙성에 속했다. 옹정제의 티베트 분할 이후, 청나라의 지배하에 들어간 칭하이 지방의 칭하이 몽골인과 티베트계, 몽골계 유목 집단 "40족(옥수 40족)"은 이 땅에 배치된 서녕 변사 대신에 의해서 장관(掌管)이 되었다.
총카 지방(황중현)은 티베트 불교 겔룩파의 종조 총카파의 탄생지이며, 후에 이곳에 쿰붐 챔파린 사원이 건립되어 몽골, 티베트에서 온 순례자, 수행승이 모여 티베트 6대 사원 중 하나로 번영했다. 달라이 라마 14세의 출생지(시닝 시 황중현)로도 알려져 있다.
2. 2. 중세 ~ 근대
기원전 121년, 전한의 곽거병 장군이 시역에 군사 거점인 서녕정을 축조한 것이 시작이다. 전한 말에 서해군이 설치되었고, 오호 십육국 시대에는 남량의 국도가 되었다. 수대에는 서평·하원의 두 군이 되었고, 당대 후반에는 토번에 점령되었다. 송대에 수복되어 서녕주가 설치되었지만, 후에 다시 서하에 점령되었다. 청대에는 서녕부가 설치되어 감숙성에 속했다. 옹정제의 티베트 분할 이후, 청나라의 지배 하에 들어간 칭하이 지방의 칭하이 몽골인과 티베트계, 몽골계 유목 집단 "40족(위수 40족)"은 이 지역에 배치된 서녕 변사 대신에 의해 관장되었다.총카 지방(황중현)은 티베트 불교겔룩파의 종조 총카파의 탄생지이며, 후에 이 곳에 쿰붐 챔파린 사원이 건립되어 몽골, 티베트에서 온 순례자, 수행승이 모여 티베트 6대 사원 중 하나로 번영했다. 달라이 라마 14세의 출생지(시닝 시 황중현)로도 알려져 있다.
- 1922년 5월 22일 - 대지진이 발생하여 약 20만 명이 사망했다.
- 1929년 - 국민정부에 의해 감숙성에서 분리되어 칭하이 지방과 합쳐 칭하이 성이 설치되었고, 성도가 되었다.
- 1941년 - 일본 제국 군용기에 의한 공습을 받았다.
2. 3. 근현대
기원전 121년, 전한의 곽거병 장군이 시역에 군사 거점인 서녕정을 축조한 것이 시작이다. 전한 말에 서해군이 설치되었고, 오호 십육국 시대에는 남량의 국도가 되었다. 수대에는 서평·하원의 두 군이 되었고, 당대 후반에는 토번에 점령되었다. 송대에 수복되어 서녕주가 설치되었지만, 후에 다시 서하에 점령되었다. 청대에는 서녕부가 설치되어 감숙성에 속했다. 옹정제의 티베트 분할 이후, 청나라의 지배 하에 들어간 칭하이 지방의 칭하이 몽골인과 티베트계, 몽골계 유목 집단 "40족(위수 40족)"은 이 지역에 배치된 서녕 변사 대신에 의해 관장되었다.총카 지방(황중현)은 티베트 불교겔룩파의 종조 총카파의 탄생지이며, 후에 이 곳에 쿰붐 챔파린 사원이 건립되어 몽골, 티베트에서 온 순례자, 수행승이 모여 티베트 6대 사원 중 하나로 번영했다. 달라이 라마 14세의 출생지(시닝 시 황중현)로도 알려져 있다.
- 1922년 5월 22일 - 대지진이 발생하여 약 20만 명이 사망했다.
- 1929년 - 국민정부에 의해 감숙성에서 분리되어 칭하이 지방과 합쳐 칭하이 성이 설치되었고, 성도가 되었다.
- 1941년 - 일본 제국 군용기에 의한 공습을 받았다.[10][11] 살라 무슬림 장군인 한유웬은 일본 비행기의 공습 동안 시닝시의 방어를 지휘했다.[12][13]
- 1950년 - 시닝 시 인민정부가 정식으로 성립되었고, 1999년 황중현, 황원현을 합병했다.
- 2022년 8월 17일 - 집중 호우로 산복 붕괴 및 토석류가 발생. 사망·실종자 34명 이상.

마부팡 총독의 통치 하에, 시닝은 산업화 및 근대화를 겪었다. 1947년 미국은 마부팡에게 시닝에 설치된 배관된 상수도(하수도) 시스템을 판매했다.[14] 마부팡은 또한 교육을 장려했다. 그는 사업가들에게 해충 구제사 역할을 하여 시닝을 체계적으로 청소하게 했다.[15]
1950년대 후반 이웃한 간쑤성의 류자샤 댐 및 수력 발전 프로젝트가 가동된 이후 시닝은 고압 전력망을 통해 류자 및 란저우와 연결되었다. 또한 북쪽 다퉁 후이족 투족 자치현의 광산에서 나오는 지역 석탄을 사용한다. 현대적인 모직 공장이 1957년 이전에 시닝에 설치되었다. 이 도시는 또한 가죽 산업을 가지고 있으며 차이다무 지역의 소금 시장이기도 하다. 1950년대 후반에는 중규모 철강 공장이 건설되어 란저우에 금속을 공급했다.
광물 자원이 풍부한 차이다무 분지로 가는 고속도로 건설과 1959년 간쑤성 란저우를 경유하는 중국 철도망과의 연결이 완료되면서 산업 개발이 촉진되었다. 이 노력은 1950년대부터 시닝 지역의 석유와 목초지를 급속하게 개발하려는 중앙 정부의 계획의 일부였다.[16]
3. 지리
시닝은 티베트고원 동쪽 가장자리이자 황수이강 상류에 위치하며, 평균 해발고도는 2200m이다. 칭하이성의 정치, 경제, 문화 중심지로서, 2100년 전부터 인류 활동의 역사를 가지고 있다.[6] 한나라 시대에는 농업 발전으로 경제적, 군사적 요충지로 주목받았으며, 고대에는 중원과 중국 서부를 잇는 비단길의 주요 거점 역할을 했다. 현재도 티베트고원 오지와 연결되는 중요한 철도 및 도로 교통의 중심지이다.
시닝은 칭하이-티베트 고원 동부 변두리, 황하 지류인 湟水 유역에 위치한다. 북쪽은 칭하이성 하이둥 시, 남쪽은 하이베이 티베트족 자치주와 접한다.
3. 1. 기후
시닝은 시원한 여름 날씨로 인해 중국의 여름 휴양지 수도로 불리기도 하며, 한랭 반건조 기후(쾨펜 ''BSk'')/건조한 겨울의 습윤 대륙성 기후 (''Dwb'')를 보인다. 기후는 건조함과 높은 고도의 영향을 받는다. 밤에는 연중 춥거나 서늘하며, 일교차는 종종 15°C에 도달하거나 이를 초과한다. 월별 24시간 평균 기온은 1월 에서 7월 17.5°C까지이며, 연평균 기온은 6°C로, 성(省) 기준으로 고도가 낮아 칭하이에서 가장 따뜻한 지역 중 하나이다. 강수는 주로 5월부터 9월까지이며, 이 지역은 종종 건조하고 맑은 날씨를 보인다. 월별 가조시간 비율은 9월 49%에서 11월 67%까지이며, 이 도시는 연간 2,540시간의 밝은 햇살을 받는다. 극값 기온은 에서 36.5°C까지였다.[17] 건조한 겨울로 인해 눈 덮임은 매우 드물다.월 |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연 |
---|---|---|---|---|---|---|---|---|---|---|---|---|---|
평균 최고 기온 (℃) | 2.1°C | 5.8°C | 11°C | 16.6°C | 20.2°C | 23.2°C | 25.1°C | 24.2°C | 19.6°C | 14.5°C | 8.6°C | 3.4°C | - |
평균 기온 (℃) | -7.9°C | -3.6°C | 2.2°C | 8.3°C | 12.3°C | 15.6°C | 17.5°C | 16.6°C | 12.2°C | 6.2°C | -0.7°C | -6.3°C | - |
평균 최저 기온 (℃) | -14.6°C | -10.4°C | -4.4°C | 1.4°C | 5.7°C | 9.2°C | 11.6°C | 11.1°C | 7.4°C | 0.9°C | -6.5°C | -12.6°C | - |
역대 최고 기온 (℃) | 13.9°C | 20.8°C | 26.2°C | 31.8°C | 30.7°C | 31.9°C | 36.5°C | 34°C | 29.9°C | 25.2°C | 19.3°C | 13.3°C | - |
역대 최저 기온 (℃) | -24.9°C | -20.7°C | -16.9°C | -12.5°C | -2.3°C | 0.2°C | 4.2°C | 3.7°C | -1.1°C | -12.5°C | -19°C | -26.6°C | - |
평균 강수량 (mm) | 1.8mm | 1.9mm | 8.8mm | 20.7mm | 53.8mm | 64.5mm | 81.5mm | 87mm | 68mm | 23.3mm | 5.2mm | 1.2mm | - |
평균 상대 습도 (%) | 48 | 45 | 46 | 47 | 55 | 61 | 66 | 69 | 72 | 67 | 58 | 52 | - |
평균 강수일수 (≥ 0.1mm) | 3.2 | 2.9 | 4.9 | 7.1 | 11.7 | 14.4 | 15.4 | 14.5 | 14.4 | 7.7 | 3.2 | 2.1 | - |
평균 일조 시간 | 196.7 | 200.3 | 223.9 | 232.8 | 240.5 | 230.1 | 223.8 | 215.8 | 181.4 | 200.0 | 201.8 | 192.6 | - |
월별 일조율 (%) | 63 | 65 | 60 | 59 | 55 | 53 | 51 | 52 | 49 | 58 | 67 | 64 | - |
평균 적설일수 | 5.1 | 5.8 | 7.0 | 3.4 | 0.4 | 0 | 0 | 0 | 0.1 | 1.5 | 4.2 | 4.0 | - |
[32][33][34]
쾨펜의 기후 구분에서는 스텝 기후에 속하며, 해발 2275m에 위치한 고원 도시이기 때문에 여름에는 시원하고, 겨울은 매우 춥다. 1월 평균 기온은 -6.5°C, 7월 평균 기온은 17.7°C, 연평균 기온은 6.7°C, 연간 강수량은 373.8mm이다.
3. 2. 환경 문제
세계은행은 2007년에 시닝시의 하천 정비를 지원하기 위해 10억달러를 대출했으며, 산셴 현의 홍수 방지 사업과 인프라 지원에도 10억달러를 추가로 지원했다. 칭하이성은 황수이강 본류와 난촨강 정비에 총 24.5km를 투자했다. 그러나 40km 길이의 하천 구간 정비와 10개의 돌발 홍수 방지 수로 설치는 장비 부족으로 보류된 상태이다. 산셴 현에서는 108.4m 길이의 하천 구간과 80개의 돌발 홍수 방지 수로 정비가 필요한 상황이다.세계 보건 기구(중국 통계 기반)에 따르면 2011년에 시닝시는 서부 중국 11개 도시 중 대기 질이 두 번째로 나쁜 도시이며(연간 평균 PM10 141ug/m3), 베이징(121)보다 나쁘다.[21]
4. 행정 구역
(2010년)
(/km2)
자치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