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산균목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유산균목은 유산균을 포함하는 세균 분류군으로, 1900년대 초 그람 양성, 젖산 발효 방식, 형태, 카탈라아제 음성 여부 등에 따라 분류되었다. 1980년대에는 세포벽 펩티도글리칸 조성, 지방산 조성을 기준으로, 1990년대에는 16S rRNA 계통 분석을 통해 분류 체계가 발전했다. 현재는 원핵생물 명명법 목록을 따르며, 아이로콕쿠스과, 카르노박테리움과, 장내구균과, 유산균과, 레우코노스톡과, 연쇄상구균과 등으로 구성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유산균목 - 연쇄상구균과
연쇄상구균과는 유산구균속, 락토붐속, 연쇄구균속을 포함하며, 유산구균속은 유제품 발효에, 연쇄구균속은 질병을 유발하는 세균을 포함한다. - 유산균목 - 반코마이신 내성 장알균
반코마이신 내성 장알균은 펩티도글리칸 합성 경로 변화로 반코마이신에 내성을 보이는 장알균으로, Van-A, Van-B, Van-C, Van-D, Van-E, Van-G의 6가지 유형이 있으며, 리네졸리드 등으로 치료한다. - 그람 양성균 - 탄저균
탄저균은 바실러스속의 그람 양성 포자 형성 간균으로, 탄저병을 일으키는 병원체이며, 생물학적 무기로 사용될 수 있을 만큼 강력한 포자를 형성하고 캡슐과 외독소를 통해 숙주를 공격하며, 백신과 항생제로 예방 및 치료가 가능하다. - 그람 양성균 - 황색포도상구균
황색포도상구균은 다양한 질병을 일으키는 그람 양성 구균으로, 인구의 약 30%가 보균하고 있으며 항생제 내성이 널리 퍼져 있어 효과적인 백신 개발과 항생제 내성 문제 해결을 위한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유산균목 - [생물]에 관한 문서 | |
---|---|
분류 정보 | |
![]() | |
도메인 | 세균 |
문 | 후벽균문 |
강 | 간균강 |
목 | 라토바실루스목 |
하위 분류 | |
과 | 아에로코쿠스과 Aerococcaceae 카르노박테리움과 Carnobacteriaceae 엔테로코쿠스과 Enterococcaceae 라토바실루스과 Lactobacillaceae 류코노스톡과 Leucinostocaceae 렌사구균과 Streptococcaceae |
2. 유산균목의 분류
1990년대 16S rRNA 계통 분석 도입 이후, 유산균 대부분이 락토바실루스목에 포함되었다. Bergey's Manual of Systematic Bacteriology 제2판에서는 락토바실루스목을 에어로코쿠스과, 카르노박테리움과, 엔테로코쿠스과, 락토바실루스과, 류코노스톡과, 사슬알균과(스트렙토코쿠스과)의 6개 과로 분류했다.[1]
2. 1. 역사적 분류
1900년대에 유산균은 그람 양성, 젖산 발효(호모 발효 또는 헤테로 발효), 카탈라아제 음성, 간균 및 구균 형태 등의 특징을 기준으로 락토바실루스속, 페디오코쿠스속, 스트렙토코쿠스속, 류코노스톡속의 4개 속으로 분류되었다. 1980년대에는 세포벽 펩티도글리칸 조성, 균체 지방산 조성을 근거로 스트렙토코쿠스속에서 락토코쿠스속과 엔테로코쿠스속이, 락토바실루스속에서 카르노박테리움속이 독립했다. 같은 시기에 DNA의 GC 함량 분석이 이용되기 시작했으며, 유산균은 그람 양성의 저 GC 함량군에 포함되었다. 1990년대에는 16S rRNA 계통 분석이 도입되어 유산균의 대부분이 락토바실루스목에 포함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1]。2. 2. 현대적 분류
현대 유산균목 분류는 '원핵생물 명명법 목록'(List of Prokaryotic names with Standing in Nomenclature, LPSN)과 '전 종 생명 나무' 프로젝트(The All-Species Living Tree Project)의 16S rRNA 계통 분석 결과를 기반으로 한다.[2][3][4]1900년대에는 그람 양성, 젖산 발효(호모 발효 또는 헤테로 발효) 여부, 형태(간균 및 구균), 카탈라아제 음성 등의 조건에 따라 락토바실루스속, 페디오코쿠스속, 스트렙토코쿠스속, 류코노스톡속으로 분류되었다. 1980년대에는 세포벽 펩티도글리칸 조성, 균체 지방산 조성을 기준으로 락토코쿠스속과 엔테로코쿠스속이 스트렙토코쿠스속에서, 카르노박테리움속이 락토바실루스속에서 각각 분리되었다. DNA의 GC 함량이 이용되기 시작하면서 유산균은 그람 양성의 저 GC 함량군에 포함되었다. 1990년대, 16S rRNA 계통 분석 도입으로 유산균의 대부분이 락토바실루스목에 포함되었다.
2. 2. 1. 유산균목의 과
과 |
---|
아이로콕쿠스과 (Aerococcaceae) |
카르노박테리움과 (Carnobacteriaceae) |
장내구균과 (Enterococcaceae) |
유산균과 (Lactobacillaceae) |
레우코노스톡과 (Leuconostocaceae) |
연쇄상구균과 (스트렙토콕쿠스과) (Streptococcaceae) |
[1]
'The All-Species Living Tree' Project|전 종 생명 나무' 프로젝트영어의 16S rRNA 계통 분석 LTP 릴리스 106에 기반한 유산균목의 계통수는 다음과 같다.[4]
3. 계통수
{| class="wikitable"
|-
|
{| class="wikitable"
|-
|
|-
|
|-
|
|-
|
{| class="wikitable"
|-
|
|-
|
|-
|
{| class="wikitable"
|-
|
- ''Trichococcus'' Scheff et al. 1984 emend. Liu et al. 2002
|-
|
{| class="wikitable"
|-
|
- ''Lactobacillus algidus'' Kato et al. 2000
|-
|
- ''Lactobacillus'' species group 2
|-
|
{| class="wikitable"
|-
|
- ''Lactobacillus'' Beijerinck 1901 emend. Cai et al. 2012
|-
|
{| class="wikitable"
|-
|
- Leuconostocaceae
|-
|
- ''Lactobacillus'' species group 3
|-
|
- ''Lactobacillus'' species group 4
|-
|
- ''Lactobacillus'' species group 5
|-
|
- ''Lactobacillus'' species group 6
|-
|
|}
|}
|}
|}
|}
|}
|}
|-
|
{| class="wikitable"
|-
|
- ''Carnobacterium'' Collins et al. 1987
|-
|
|}
|}
{| class="wikitable"
|-
|
{| class="wikitable"
|-
|
- ''Vagococcus fessus'' Hoyles 등 2000
|-
|
{| class="wikitable"
|-
|
- ''Vagococcus'' Collins 등 1990
|-
|
{| class="wikitable"
|-
|
- ''Catellicoccus marimammalium'' Lawson 등 2006
|-
|
{| class="wikitable"
|-
|
- ''Enterococcus'' (ex Thiercelin 및 Jouhaud 1903) Schleifer 및 Kilpper-Bälz 1984
|-
|
- ''Enterococcus phoeniculicola'' Law-Brown 및 Meyers 2003
|-
|
- ''Enterococcus'' species group 2 [incl. ''Melissococcus plutonius'' & ''Tetragenococcus'']
|-
|
- ''Enterococcus'' species group 3
|-
|
- ''Enterococcus'' species group 4
|-
|
{| class="wikitable"
|-
|
- ''Enterococcus raffinosus'' Collins 등 1989
|-
|
- ''Enterococcus avium'' (ex Nowlan 및 Deibel 1967) Collins 등 1984
|-
|
{| class="wikitable"
|-
|
- ''Enterococcus pallens'' Tyrrell 등 2002
|-
|
{| class="wikitable"
|-
|
- ''Enterococcus hermanniensis'' Koort 등 2004
|-
|
|}
|}
|}
|}
|}
|}
|}
|}
|}
|}
4. 한국에서의 유산균
한국은 전통적으로 발효식품을 통해 유산균을 섭취해 온 역사가 깊다. 김치, 된장, 고추장, 막걸리 등 다양한 발효식품에는 유산균이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다. 최근에는 프로바이오틱스 제품 시장이 성장하면서, 유산균을 건강기능식품 형태로 섭취하는 경우도 증가하고 있다.
참조
[1]
논문
近年の乳酸菌の分類体系と''Carnobacteriaceae'' 科および''Aerococcaceae'' 科の分類学的特徴
https://doi.org/10.4[...]
日本乳酸菌学会
2012
[2]
웹사이트
Bacilli
http://www.bacterio.[...]
2012-05-17
[3]
웹사이트
NCBI Taxonomy Browser
http://www.ncbi.nlm.[...]
National Center for Biotechnology Information
2012-05-17
[4]
웹사이트
16S rRNA-based LTP release 106 (full tree)
http://www.arb-silva[...]
Silva Comprehensive Ribosomal RNA Database
2012-05-17
[5]
웹사이트
Order Lactobacillales
http://www.bacterio.[...]
원핵생물명 목록(List of Prokaryotic names with Standing in Nomenclature, LPSN)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