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성 순치 파찰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유성 순치 파찰음은 파열음과 마찰음의 두 가지 요소로 구성된 자음이다. 아랫입술과 윗니를 사용하여 조음하며, 성대가 진동하는 유성음이고, 입으로 공기가 나오는 구강음이며, 혀의 가운데로 공기가 나오는 중설음이자 폐에서 공기가 나오는 폐음이다. 이 소리는 매우 드물게 사용되며, 중국어 차오저우 방언, 영어, 이탈리아어 일부 방언, 룩셈부르크어, 응기티어, 소프보마어, 총가어 XiNkuna 방언, 네덜란드어 올스마르-구센호벤 방언 등에서 나타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순치음 - 무성 순치 마찰음
윗니와 아랫입술 사이 마찰로 나는 무성음인 무성 순치 마찰음은 영어 'f' 소리에서 볼 수 있으며, 식습관 변화와 저작력 감소가 확산에 영향을 준다는 연구가 있다. - 순치음 - 유성 순치 마찰음
유성 순치 마찰음은 윗니와 아랫입술 사이의 마찰로 생성되는 유성음으로, 여러 언어에서 나타나지만 한국어에서는 외래어 표기 시에 주로 사용된다. - 파찰음 - 무성 치경 파찰음
무성 치경 파찰음은 혀 앞부분을 치경릉에 대어 내는 소리로, 국제 음성 기호로 t͡s 또는 t͜s로 표기하며 독일어, 러시아어, 한국어, 표준 중국어 등에서 사용된다. - 파찰음 - 유성 후치경 파찰음
유성 후치경 파찰음은 혀끝이나 혀 앞부분을 치경융기 뒤에 대고 내는 유성 파찰음으로, 국제 음성 기호로는 d͡ʒ로 표기되며, 영어의 "judgement", 이탈리아어의 "gemma", 페르시아어의 "ج" 등 다양한 언어에서 여러 가지 문자로 표현된다.
유성 순치 파찰음 | |
---|---|
음성학적 정보 | |
조음 방법 | 파찰음 |
조음 위치 | 순치음 |
발성 | 유성음 |
특징 | |
설명 | b̪ 소리와 v 소리가 결합된 파찰음. 드물게 나타나는 소리이다. |
2. 특징
- 파열음과 마찰음의 두 가지 요소로 구성된다.
- * 파열음 구성 요소에는 두 가지 변형이 있다.
- ** 양순 파열음은 두 입술로 발음된다. 이 파열음을 가진 파찰음은 ''양순-순치음''이라고 불린다.
- ** 순치 파열음은 아랫입술과 윗 이로 발음된다.
- * 마찰음 구성 요소는 아랫입술과 윗니로 발음되는 유성 순치 마찰음이다.
- 성대가 진동하는 유성음이다.
- 입으로 공기가 나오는 구강음이다.
- 혀의 가운데로 공기가 나오는 중설음이다.
- 폐에서 공기가 나오는 폐음이다.
2. 1. 조음 방법
이 소리는 파열음과 마찰음의 두 가지 요소로 구성된다.- 파열음 구성 요소에는 두 가지 변형이 있다.
- * 양순 파열음은 두 입술로 발음된다. 이 파열음을 가진 파찰음은 ''양순-순치음''이라고 불린다.
- * 순치 파열음은 아랫입술과 윗 이로 발음된다.
- 이 파찰음의 마찰음 구성 요소는 아랫입술과 윗니로 발음되는 유성 순치 마찰음이다.
2. 2. 조음 위치
- 이 파찰음의 파열음 구성 요소에는 두 가지 변형이 있다.
- * 양순 파열음은 두 입술로 발음된다. 이 파열음을 가진 파찰음은 ''양순-순치음''이라고 불린다.
- * 순치 파열음은 아랫입술과 윗 이로 발음된다.
- 이 파찰음의 마찰음 구성 요소는 유성 순치 마찰음이며 아랫입술과 윗니를 사용하여 조음된다.
2. 3. 성대 진동
이 음은 성대가 진동하는 유성음이다.2. 4. 기류
- 입으로 공기가 나오는 구강음이다.
- 혀의 가운데로 공기가 나오는 중설음이다.
- 폐에서 공기가 나오는 폐음이다.
3. 언어별 사용 예시
유성 순치 파찰음은 매우 드문 소리이며, 이 소리가 나타나는 언어는 다음과 같다.
언어 | 단어 | IPA | 의미 | 비고 |
---|---|---|---|---|
중국어 (차오저우어) | {{lang|mis|bhuê7 lai5|} | } || [b̪͡vue꜔꜔ lai˥˥] || '미래' || 차오양 방언에서 /u/ 앞의 /b/의 변이음[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