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성 순치 마찰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무성 순치 마찰음은 윗니로 아랫입술을 가볍게 깨물어 공기를 마찰시켜 내는 자음으로, 무성음, 순치음, 구강음, 중설음, 폐장기류음의 특징을 갖는다. 영어의 'f', 독일어의 'f'와 'v', 중국어의 'f'(병음) 등으로 표기되며, 다양한 언어에서 나타난다. 브라지(2019)의 연구에 따르면 신석기 시대 이후 6000~8000년 전부터 f 발음이 용이해져 현대 언어에서 널리 사용되게 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순치음 - 유성 순치 마찰음
유성 순치 마찰음은 윗니와 아랫입술 사이의 마찰로 생성되는 유성음으로, 여러 언어에서 나타나지만 한국어에서는 외래어 표기 시에 주로 사용된다. - 순치음 - 순치 탄음
순치 탄음은 윗니를 아랫입술에 튕겨 내는 소리로, 국제 음성 기호로 ⱱ로 표기되며 주로 중앙 아프리카 언어에서 발견되고 일부 언어에서는 양순 탄음의 변이음으로 나타난다. - 마찰음 - 무성 양순 마찰음
무성 양순 마찰음은 입술을 가볍게 맞대고 공기를 강하게 내쉬어 만드는 무성 구강음으로, 일부 언어에서 음소로 나타나거나 다른 자음의 변이음으로 나타나며 한국어와 일본어 등에서 찾아볼 수 있다. - 마찰음 - 유성 치경 마찰음
유성 치경 마찰음은 혀끝과 치조릉 사이의 마찰로 나는 유성음으로, 국제 음성 기호는 /z/이며, 다양한 변종이 존재하고, 한국어에는 없지만 중세 한국어의 반치음과 관련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무성 순치 마찰음 | |
---|---|
음성 기호 정보 | |
IPA 기호 | f |
IPA 번호 | 128 |
십진수 | 102 |
X-SAMPA | f |
키르셴바움 | f |
점자 | f |
보조 기호 정보 | |
위 | 무성 순치 접근음 |
IPA 기호 | ʋ̥ |
IPA 번호 | 150 402A |
X-SAMPA | P_0 |
2. 조음 방법
윗니로 아랫입술을 가볍게 깨물어, 옆의 빈 공간으로 공기를 흐르게 한다. 빈 공간을 강하게 마찰한다. 윗니를 떼면서 마찰되는 공기를 강하게 내뱉는다. 기류는 폐기류기구에 의해 발생하는 호기를 사용한다. 발성 시 성대의 진동을 수반하지 않는 무성음이다. 구강 내 기류는 혀의 중앙을 통과하는 중설음이다. 조음 기관의 접근도는 틈을 만들어 공기의 통과를 어렵게 하고, 거기에 호기를 통과시켜 발생시키는 마찰음이다. 연구개를 들어 올려 비강으로의 통로를 막은 구강음이다.
3. 특징
4. 언어별 발음
- 영어: of의 f를 제외한 나머지 f에서 이 소리가 나며, 'fill'과 같이 발음된다. 일부 방언에서는 'think'의 'th'를 [f]로 발음하기도 한다.[1]
- 현대 그리스어: φ에서 이 소리가 나며, 'φύση' (자연)와 같이 발음된다.[1]
- 독일어: f, 외래어 음역이 아닌 v(음절말이 아님)에서 이 소리가 나며, 'fade' (싱거운)와 같이 발음된다.[1]
- 독일어·웨일스어·아이슬란드·영어를 제외한 유럽의 언어, 소말리어, 아파르어, 스와힐리어, 오로모어: f에서 이 소리가 난다.[1]
- 현대 히브리어: פ에서 이 소리가 나며, 'סופר' (작가)와 같이 발음된다.[1]
- 아이슬란드어: 첫소리의 및 무성 자음 앞의 f와 /s, k, t/ 앞의 p에서 이 소리가 난다.[1]
- 세르보크로아트어: 키릴 문자 표기의 ф, 라틴 문자 표기의 f에서 이 소리가 나며, 'фаза'/'faza' (단계)와 같이 발음된다.[1]
- 러시아어, 우크라이나어, 마케도니아어: ф에서 이 소리가 나며, 러시아어 'орфография' (정자법), 우크라이나어 'Фастів' (파스티우)와 같이 발음된다.[1]
- 웨일스어: ff에서 이 소리가 나며, 'ffon' (막대기)와 같이 발음된다.[1]
- 베트남어: ph에서 이 소리가 나며, 'pháo' (폭죽)과 같이 발음된다.[1]
- 아랍어: ف에서 이 소리가 나며, 'ظرف' (봉투)와 같이 발음된다.[1]
- 표준 중국어, 광둥어, 눠쑤어, 하카어: 병음 f에서 이 소리가 나며, 표준 중국어와 광둥어 모두 '飛' (날다)와 같이 발음된다.[1]
- 태국어: ฝ에서 이 소리가 나며, 'ฝน' (비)와 같이 발음된다.[1]
- 신드어: ف에서 이 소리가 난다.[1]
- 라오어: ຝ에서 이 소리가 난다.[1]
- 암하라어: ፈ, ፉ, ፊ, ፋ, ፌ, ፍ, ፎ에서 이 소리가 난다.[1]
- 아일랜드어: f와 ph에서 이 소리가 난다.[1]
언어 | 단어 | IPA | 의미 | 주석 |
---|---|---|---|---|
압카스어 | фы|fyab | [fə] | 번개 | 압카스어 음운론 참조 |
아디게어 | [tfə] | 다섯 | 카바르디노어와 원시 체르케스어에서는 [xʷ]에 해당 | |
알바니아어 | faqe|faqesq | [facɛ] | 볼 | |
아르메니아어 | ֆուտբոլ|futbolhy | [fut̪bol] | 축구 | |
아시리아어 | ܦܬܐ ܦܬܐ|pataaii | [fɔθɔ] | 얼굴 | 주로 서부 방언 화자들이 사용; 다른 대부분의 방언에서는 [p]에 해당. |
아삼어 | বৰফ|borofas | [bɔɹɔf] | 눈/얼음 | |
아제리어 | tüfəng | [t̪y̆fæɲɟ] | 총 | |
바스크어 | fin|finbas | [fin] | 얇은 | |
벵골어 | ফুল|fulbn | [ful] | 꽃 | [pʰ]의 이음 음소. 벵골어 음운론 참조 |
카탈루냐어 | fort|fortca | [ˈfɔɾt] | 강한 | 카탈루냐어 음운론 참조 |
체첸어 | / | [faks] | 팩스 | 차용어에서만 사용. 체첸어에는 /f/가 없음; 러시아어의 영향이 커지기 전에는 /f/를 포함한 차용어에서 /f/가 /p/로 대체되었지만, 러시아어의 영향으로 /f/의 사용이 널리 퍼짐. |
콥트어 | ϥⲧⲟⲟⲩ|ftoowcop | [ftow] | 네 | |
체코어 | foukat|foukatcs | [ˈfoʊ̯kat] | 불다 | 체코어 음운론 참조 |
네덜란드어 | fiets|fietsnl | [fiːts] | 자전거 | 네덜란드어 음운론 참조 |
에스페란토어 | fajro|fajroeo | [ˈfajɾo] | 불 | 에스페란토어 음운론 참조 |
에웨어 | [éflé] | 그는 뱉었다 | ||
프랑스어 | fabuleuse|fabuleuse프랑스어 | [fäbyˈløːz̪] | 멋진 | 프랑스어 음운론 참조 |
갈리시아어 | faísca|faíscagl | [faˈiska] | 불꽃 | 갈리시아어 음운론 참조 |
고에마이어 | f'at' | [fat] | 불다 | |
구자라트어 | ફળ|faļgu | [fəɭ] | 과일 | 구자라트어 음운론 참조 |
힌디어 | साफ़|saafhi / صاف|saafur | [sɑːf] | 깨끗한 | 힌디어 음운론 참조 |
헝가리어 | figyel|figyelhu | [ˈfiɟɛl] | 주의하다 | 헝가리어 음운론 참조 |
인도네시아어 | fajar|fajarid | [fadʒar] | 새벽 | 인도네시아어 음운론 참조 |
이탈리아어 | fantasma|fantasmait | [fän̪ˈt̪äzmä] | 유령 | 이탈리아어 음운론 참조 |
카바르디노어 | [fəz] | 여자 | 아디게어와 원시 체르케스어에서는 [ʂʷ]에 해당 | |
카빌어 | afus|afuskab | [afus] | 손 | | |
카자흐어 | faqır / фақыр | [faqr] | 가난한 | |
크메르어 | កាហ្វេ|kahvékm | [kaːfeː] | 커피 | 크메르어 음운론 참조 |
마케도니아어 | фонетика|fonetikamk | [fɔnetika] | 음성학 | 마케도니아어 음운론 참조 |
마오리어 | [fakapapa] | 족보 | 드물게 [ɸ]. 마오리어 음운론 참조. | |
말레이어 | feri|ferims | [feri] | 페리 | 차용어에서만 나타남 |
말라얄람어 | ഫലം|falamml | [fɐlɐm] | 과일, 결과 | 표준 버전에서는 차용어에서만 나타남. ഫ는 /pʰ/와 /f/ 모두를 나타내지만 오늘날 대부분의 사람들은 /pʰ/를 [f]로 발음함. 제세리 방언의 고유어에서 나타남. |
몰타어 | fenek|fenekno | [fenek] | 토끼 | |
노르웨이어 | filter|filterno | [filtɛɾ] | 필터 | 노르웨이어 음운론 참조 |
페르시아어 | فروخت|foruxtfa | [foru:χt] | 그는/그녀는 팔았다 | |
폴란드어 | futro|futropl | [ˈfut̪rɔ] | 모피 | 폴란드어 음운론 참조 |
포르투갈어 | fala|falapt | [ˈfalɐ] | 말 | 포르투갈어 음운론 참조 |
펀자브어 | ਫ਼ੌਜੀ/faujī | [fɔːd͡ʒi] | 군인 | |
루마니아어 | foc|focro | [fo̞k] | 불 | 루마니아어 음운론 참조 |
스코틀랜드 게일어 | faisg|faisggd | [faʃkʲ] | 가까운 | 느슨하게 발음되며, [ɸ]와 비슷할 수 있음. 스코틀랜드 게일어 음운론 참조 |
슬로바키아어 | fúkať|fúkaťsk | [ˈfu̞ːkäc] | 불다 | 슬로바키아어 음운론 참조 |
슬로베니아어 (표준어) | flavta|flavtasl | [ˈfláːu̯t̪à] | 플루트 | 슬로베니아어 음운론 참조 |
소말리아어 | feex|feexso | [fɛħ] | 사마귀 | 소말리아어 음운론 참조 |
스페인어 | fantasma|fantasmaes | [fã̠n̪ˈt̪a̠zma̠] | 유령 | 스페인어 음운론 참조 |
스와힐리어 | kufa|kufasw | [kufɑ] | 죽다 | |
스웨덴어 | fisk|fisksv | [ˈfɪsk] | 생선 | 스웨덴어 음운론 참조 |
토다어 | nes̲of | [nes̲of] | 달 | |
터키어 | saf|saftr | [ˈs̟ɑf] | 순수한 | 터키어 음운론 참조 |
이어 | ꃚ|fuii | [fu˧] | 굽다 | |
사포텍어 (틸키아판) | cafe | [kafɘ] | 커피 | 주로 스페인어에서 차용된 단어에서 사용 |
이 음은 많은 언어에서 찾아볼 수 있다. 원래 유럽 언어에서 볼 수 있는 이중자음 ph는 일본어의 파행(ファ行)과 같은 음소인 무성 양순 마찰음 [ɸ]을 나타내지만, 현대에는 [f]로 발음되는 경우가 많다.
5. 비교적 새로운 자음?
브라지(2019)는 신석기 시대 이후 부드러운 음식에 익숙해져 저작력이 떨어짐에 따라 위쪽 앞니와 아랫입술 사이의 거리가 좁아지면서 f|에프영어 발음이 용이해져 f|에프영어 발음이 일반화되었다고 결론짓고 있다.[2] 그의 연구에 따르면, 6000~8000년 전 언어(인도유럽조어 등 조어 시대)에서 f|에프영어를 가지고 있던 언어는 약 3%에 불과했지만, 현대어에서는 그 비율이 76%까지 증가했다는 것이다. 실제로 인도유럽조어, 상고 중국어, 우랄조어에는 f|에프영어가 존재하지 않지만, 이들 언어의 자손 언어들 중 상당수에는 f|에프영어가 존재한다.
참조
[1]
웹사이트
DEX Online
http://dexonline.ro/[...]
[2]
논문
Human sound systems are shaped by post-Neolithic changes in bite configuration
https://www.science.[...]
201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