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유성 후치경 파찰음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유성 후치경 파찰음은 혀의 앞부분을 치경융기 뒤에 대고 발음하는 자음으로, 국제 음성 기호(IPA)로는 [d͡ʒ]로 표기한다. 이 소리는 폐에서 나오는 공기를 사용하고 성대의 진동을 동반하는 유성음이며, 혀의 중앙으로 공기가 통과하는 중설음이다. 다양한 언어에서 다르게 표기되며, 한국어에서는 일반적으로 'ㅈ'으로 표기된다. 영어에서는 'j'나 'g'(e, i, y 앞) 등으로 표기되며, 'dr'이 연이어 나타날 때 이 소리가 나기도 한다. 일본어에서는 'じ' 또는 'ぢ' 등으로 표기된다. 유성 치경구개 파찰음과 유사하지만 조음 위치에서 차이를 보인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후치경음 - 치경 비음
    치경 비음(/n/)은 혀 앞쪽이 잇몸에 닿아 코로 공기가 빠져나가는 유성 비음으로, 혀의 접촉 위치에 따라 다양한 변종이 존재하며, 한국어를 포함한 많은 언어에서 사용된다.
  • 후치경음 - 무성 후치경 마찰음
    혀를 이와 잇몸 사이에 넣고 내는 무성 후치경 마찰음은 영어의 "sh" 발음에서 흔히 볼 수 있으며 국제 음성 기호로 [ʃ]로 표기된다.
  • 파찰음 - 무성 치경 파찰음
    무성 치경 파찰음은 혀 앞부분을 치경릉에 대어 내는 소리로, 국제 음성 기호로 t͡s 또는 t͜s로 표기하며 독일어, 러시아어, 한국어, 표준 중국어 등에서 사용된다.
  • 파찰음 - 유성 치경구개 파찰음
    유성 치경구개 파찰음은 성대의 진동을 동반하여 혀끝과 잇몸 및 경구개로 내는 유성 파찰음으로, 한국어의 홀소리 사이나 유성음 받침 뒤에 오는 'ㅈ'에서 나는 소리이며, 벵골어, 카탈루냐어, 중국어, 일본어, 폴란드어 등 다양한 언어에서 나타난다.
  • 음성학 - 음성 인식
    음성 인식은 음성 신호를 텍스트로 변환하는 기술로, 인공지능과 심층 학습의 발전으로 인식 정확도가 향상되어 다양한 분야에 활용되고 있지만 보안 문제가 남아있다.
  • 음성학 - 음성 합성
    음성 합성은 텍스트를 음성으로 변환하는 기술(TTS)로, 기계 장치에서 컴퓨터 기반 시스템으로 발전해왔으며 통계적 모델과 심층 학습 기반 기술 발전을 거쳐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지만 윤리적 문제와 기술적 과제도 안고 있다.
유성 후치경 파찰음
음성학적 정보
IPA 번호104 + 135
IPA 기호d͡ʒ
IPA 기호 (대안)ʤ
10진수100, 865, 658
X-SAMPAdZ 또는 d_rZ
KirshenbaumdZ
IPA 유니코드 0x02A4
IPA 기호

2. 정의 및 특징

국제 음성 기호로는 d͡ʒ로 표기한다.

유성 후치경 파찰음은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갖는다.


  • 폐장기류기구에 의해 생기는 호기로 발음한다.
  • 성대의 진동을 동반하는 유성음이다.
  • 조음 위치설단과 치경 후부이다.
  • 조음 방법은 혀의 중앙으로 기류가 통과하며, 조음 기관의 접근 정도는 완전한 폐쇄를 서서히 개방하여 틈새에서 일어나는 마찰을 동반하는 파찰음이고, 연구개를 올려 비강으로의 통로를 막은 구음이다.

2. 1. 조음 방법

유성 후치경 파찰음은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갖는다.

  • 혀끝이나 혀의 앞부분을 치경융기 뒤에 대고 발음하는 후치경음이다.
  • 폐장기류기구에 의해 생기는 호기로 발음한다.
  • 성대의 진동을 동반하는 유성음이다.
  • 조음 위치설단과 치경 후부이다.
  • 조음 방법은 다음과 같다.
  • ** 혀의 중앙으로 기류가 통과하는 중설음이다.
  • ** 조음 기관의 접근 정도는 완전한 폐쇄를 서서히 개방하여 틈새에서 일어나는 마찰을 동반하는 파열음 (파찰음)이다.
  • ** 연구개를 올려 비강으로의 통로를 막은 구음이다.

2. 2. 조음 위치

조음 위치는 후치경음으로, 혀끝이나 혀의 앞부분을 치경융기 뒤에 대고 발음한다.

3. 국제 음성 기호 (IPA)

국제 음성 기호에서는 d͡ʒ로 표기한다.

언어단어IPA의미비고
영어오스트레일리아 영어[영어 알파벳|dr'eam]]rowspan=3 |dream (꿈)강세를 받는 음절의 첫머리에 오는 의 음성 실현. 일반 미국식과 표준 영국식에서는 덜 일반적인 대안으로 치경음이 있다. 호주 영어 음운론과 영어 음운론 참조
일반 미국 영어
표준 영국 영어


4. 언어별 표기 및 발음 예시

유성 후치경 파찰음은 다양한 언어에서 나타나는데, 각 언어마다 표기 방식과 구체적인 발음이 조금씩 다를 수 있다.



언어별 발음 예시
언어단어IPA의미비고
압하스어аџыр|아즤르ab[ad͡ʒər]'강철'압하스어 음운론 참고
아디게어[d͡ʒaːna]'드레스'
알바니아어xham|잠sq[d͡ʒam]'유리'
암하라어እንጀራ|언저라am[ɨnd͡ʒəra]'인제라'
아랍어현대 표준[1]جَرَس|자라스ar[d͡ʒaras]'종'다른 표준어 및 방언에서는 [ɡ] 또는 [ʒ]에 해당한다. 아랍어 음운론 참고
헤자지جـيب/jēb|지브ar[d͡ʒe̞ːb]'주머니'일부 화자들은 [ʒ]로 발음한다. 헤자지 아랍어 음운론 참고
아르메니아어동부[2]ջուր|주르hy[d͡ʒuɾ]'물'
서부ճանճ|잔즈hy[d͡ʒɑnd͡ʒ]'musca (fly)'
아시리아어ܓ̰ܝܪܐ|지라cld[d͡ʒjɑɾɑ]'오줌을 누다'고유 용어로 사용된다. 주로 우르미아 및 일부 질루 방언에서 사용된다. [ɟ]는 다른 변종에서 사용된다.
아제르바이잔어can|잔az[d͡ʒɑn]'영혼'
벵골어জল|절bn[d͡ʒɔl]'물'유기음 형태와 대조된다. 벵골어 음운론 참고
불가리아어джудже|주제bg[d͡ʒʊˈd͡ʒɛ]'난쟁이'불가리아어 음운론 참고
카탈루냐어jutge|주제ca[ˈʒud͡ʒə]'판사'카탈루냐어 음운론 참고
체첸어джерво|제르보ce / [d͡ʒjerwo]'이전에 결혼한 여성'
취저우 방언wuu / [d͡ʒõ]'무거운'
콥트어ϫⲉ/je|제cop[d͡ʒe]'그것'
체코어džbán|즈반cs[d͡ʒbaːn]'항아리'체코어 음운론 참고
디베히어ޖަރާސީމު|자라시무디베히어 / [d͡ʒaraːsiːmu]'세균'디베히어 음운론 참고
네덜란드어jeans|진스nl[d͡ʒiːns]'청바지'일부는 [ʒiːns]라고 말한다.
에스토니아어džäss|재스et[ˈd̥ʒæsː]'재즈'드물게 차용어에만 나타난다. 에스토니아어 음운론 참고
핀란드어džonkki|존키fi[ˈdʒo̞ŋkːi]'정크'드물게 차용어에만 나타난다. 핀란드어 음운론 참고
프랑스어adjonction|아종시옹프랑스어[ad͡ʒɔ̃ksjɔ̃]'추가'드뭅니다. 프랑스어 음운론 참고
조지아어[3]ჯიბე/jibe|지베ka[d͡ʒibɛ]'주머니'
독일어표준[4]Dschungel|중얼de[ˈd͡ʒʊŋəl]'정글'설측 또는 설단-설측이며 강하게 순음화된다.[4] 일부 화자는 [t͡ʃ]로 병합할 수 있다. 표준 독일어 음운론 참고
고에마이어[d͡ʒaːn]'쌍둥이'
히브리어표준ג׳וק/juk|주크he[d͡ʒuk]'바퀴벌레'차용어에만 사용된다. 현대 히브리어 음운론 참고
테마니גָּדוֹל/jaďol|자돌he[d͡ʒaðol]'크다, 훌륭하다'다게쉬가 있는 기멜의 예멘 히브리어 발음이다. 예멘 히브리어 참고
힌두스탄어힌디어जाना/jānā|자나hi[d͡ʒäːnäː]'가다'유기음 형태와 대조된다. 힌두스탄어 음운론 참고
우르두어جانا/jānā|자나ur
헝가리어lándzsa|란자hu[laːnd͡ʒɒ]'창'드물게 차용어에 주로 사용된다. 헝가리어 음운론 참고
인도네시아어jarak|자락id[ˈd͡ʒaraʔ]'거리'
카빌어lǧiran|리지란kab[id͡ʒiræn]'이웃들'
카슈브어[6]
쿠르드어북부cîger|지게르ku[d͡ʒiːˈɡɛɾ]'폐'쿠르드어 음운론 참고
중앙جەرگ|제르그ku[d͡ʒɛɾg]'간'
남부[d͡ʒæɾg]
키르기스어жаман|자만ky / [d͡ʒaman]'나쁜'키르기스어 음운론 참고
라디노어djudyó|주됴lad / [d͡ʒudˈjo]'유대인'
라트비아어dadzis|다지스lv[dad͡ʒi]'엉겅퀴'라트비아어 음운론 참고
림부르크어하셀트 방언[7]djèn|젠li[d͡ʒɛːn²]'유진'하셀트 방언 음운론 참고
리투아니아어džiaugsmingas|저우그스밍가스lt[d͡ʒɛʊɡʲsʲˈmʲɪnɡɐs]'기쁜'리투아니아어 음운론 참고
마케도니아어џемпер/džemper|젬페르mk[ˈd͡ʒɛmpɛr]'스웨터'마케도니아어 음운론 참고
몰타어ġabra|자브라몰타어[d͡ʒab.ra]'수집'
만주어ᠵᡠᠸᡝ/juwe|주워mnc[d͡ʒuwe]'두'
마라티어जय/jay|저이mr[d͡ʒəj]'승리'유기음 형태와 대조됩니다. 동음이의어 [dʑ] 및 [d̪z]. 마라티어 음운론 참고
오크어랑그도크어jove|주베oc[ˈd͡ʒuβe]'어린'오크어 음운론 참고
프로방스[ˈd͡ʒuve]
오리야어ଜମି/jami|저미or[d͡ʒɔmi]'땅'유기음 형태와 대조된다. 오리야어 음운론 참고
오지브웨어iijikiwenh|이지키웬oj[iːd͡ʒikiwẽːʔ]'형제'오지브웨어 음운론 참고
파슈토어جګ/jeg|제그ps[d͡ʒeɡ]'높은'
페르시아어کجا/koja|코저fa[kod͡ʒɒ]'어디'페르시아어 음운론 참고
폴란드어표준liczba|리즈바pl[ˈlid͡ʐ.ba]'숫자'
이스테브나dziwny|지브니pl[ˈd͡ʒivn̪ɘ]'이상한'이 방언에서는 [ɖ͡ʐ] 및 [d͡ʑ]가 [d͡ʒ]로 병합된다. 표준 폴란드어에서 [d͡ʒ]는 실제로 설단 유성 권설 파찰음인 것을 기록하는 데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루바바 방언[8]
말보르크 방언[8]
오스트로다 방언[8]
바르미아 방언[8]
포르투갈어대부분의 브라질 방언[9]grande|그란지pt[ˈɡɾɐ̃d͡ʒ(i)]'큰'모음이 생략된 경우를 포함하여 [i, ĩ] 전의 [d̪]의 동음이의어이며, 다른 경우의 [i] (예: 모음 삽입)는 부수적인 소리이다.
대부분의 방언jambalaya|잠발라야pt[d͡ʒɐ̃bɐˈlajɐ]'잠발라야'몇몇 최근 차용어에서 [ʒ]와 자유 변이된다. 포르투갈어 음운론 참고
사르데냐어캄피다네세géneru|제네루sc[ˈd͡ʒɛneru]'사위'
스코틀랜드 게일어Dia|지아gd[d͡ʒia]'신'스코틀랜드 게일어 음운론 참고
세르보크로아트어일부 화자џем|젬sh / [d͡ʒê̞m]'잼'방언에 따라 설측 권설일 수 있다. 세르보크로아트어 음운론 참고
보스니아어 / [d͡ʒâ̠ʋo̞ː]'악마'대부분의 크로아티아어 화자와 일부 보스니아어 화자는 [d͡ʒ]와 [d͡ʑ]를 [d͡ʒ] 또는 설측 [ɖ͡ʐ]로 병합한다.
크로아티아어
실레지아어이스테브나[10]이 방언들은 [ɖ͡ʐ]와 [d͡ʑ]를 [d͡ʒ]로 병합한다.
야블룬코프[10]
슬로베니아어enačba|에나치바sl[eˈnáːd͡ʒbà]'방정식'고유어에서 유성 장애음 앞에 있는 [t͡ʃ]의 동음이의어이다. 차용어에만 존재하는 음소이다. 슬로베니아어 음운론 참고
소말리아어joog|주그so[d͡ʒoːɡ]'정지'소말리아어 음운론 참고
타갈로그어diyan|잔tl[d͡ʒän]'거기'고유어에서 의 복합 자음과 스페인어 외의 차용어에서 를 발음하는 데 사용된다. 자세한 내용은 타갈로그어 음운론을 참조하십시오.
타타르어미샤르 방언[11]can|잔tt / [d͡ʒɑn]'영혼'표준 타타르어(카잔 방언)에서 문자 c(җ)에 해당하는 소리는 ⟨[ʑ]⟩이다.
투르크멘어jar|얘르tk[d͡ʒär]'협곡'
탚어jem|옘kcg[d͡ʒem]'하마'
우비흐어[amd͡ʒan]'?'우비흐어 음운론 참고
우크라이나어джерело/džerelo|제렐로uk[d͡ʒɛrɛˈlɔ]'출처'우크라이나어 음운론 참고
위구르어coza|조자ug / [d͡ʒozɑ]'책상'위구르어 음운론 참고
우즈베크어jahon|자헌uz / [d͡ʒaˈhɒn]'세계'
웨일스어siop jips|숍 집스cy[ʃɔp d͡ʒɪps]'피시 앤 칩스 가게'[t͡ʃ]의 구어 연성 변이로 발생한다. 구어 웨일스어 형태론 참고
서프리지아어siedzje|시저fy[ˈʃɪd͡ʒə]'파종하다'서프리지아어 음운론 참고
이디시어דזשוכע/juche|주허yi[d͡ʒʊxə]'곤충'이디시어 음운론 참고
사포텍어틸키아판[12]dxan|잔zpt[d͡ʒaŋ]'신'


4. 1. 한국어

이 발음의 한글 표기는 홀소리 앞에서는 ㅈ, 닿소리 앞과 어말에서는 '지'이다.[1] 한국어의 'ㅈ'은 무성음 t͡ʃ|영어가 기본 음가이며, 유성음 d͡ʒ|영어는 변이음으로 나타난다.

4. 2. 영어

영어에서 유성 후치경 파찰음은 주로 'j'나 'g'(e, i, y 앞) 등으로 표기된다. 예를 들어, 'jeans'는 [d͡ʒiːnz]로 발음되어 '청바지'를 뜻하고, 'judge'는 [d͡ʒʌd͡ʒ]로 발음되어 '판사'를 뜻한다.[5]

영어 음운론에 따르면, 강세를 받는 음절의 첫머리에 오는 /dr/은 음성적으로 [d̠͡ɹ̠˔ʷɪi̯m] (dream, 꿈)과 같이 실현될 수 있다. 일반 미국 영어와 표준 영국 영어에서는 치경음 가 덜 일반적인 대안으로 나타난다.

영어에서 /d͡ʒ/ 표기
단어IPA 발음의미
'j'eans[ˈd͡ʒiːnz]청바지
'j'udgement[ˈd͡ʒʌd͡ʒmənt]재판


4. 3. 일본어

일본어에서 유성 후치경 파찰음은 일반적으로 'じ'(じ), 'ぢ'(ぢ) 등으로 표기된다.

4. 4. 기타 언어



언어단어IPA의미비고
압하스어аџырab[ad͡ʒər]'강철'압하스어 음운론 참고
아디게어[d͡ʒaːna]'드레스'
암하라어እንጀራam[ɨnd͡ʒəra]'인제라'
아랍어현대 표준[1]جَرَس|d͡ʒarasar[d͡ʒaras]'종'다른 표준어 및 방언에서는 [ɡ] 또는 [ʒ]에 해당한다. 아랍어 음운론 참고
헤자지جـيب/jēb|d͡ʒe̞ːbar[d͡ʒe̞ːb]'주머니'일부 화자들은 [ʒ]로 발음한다. 헤자지 아랍어 음운론 참고
아르메니아어동부[2]ջուրhy[d͡ʒuɾ]'물'
서부ճանճhy[d͡ʒɑnd͡ʒ]'musca (fly)'
아시리아어ܓ̰ܝܪܐcld[d͡ʒjɑɾɑ]'오줌을 누다'고유 용어로 사용된다. 주로 우르미아 및 일부 질루 방언에서 사용된다. [ɟ]는 다른 변종에서 사용된다.
벵골어জলbn[d͡ʒɔl]'물'유기음 형태와 대조된다. 벵골어 음운론 참고
불가리아어джуджеbg[d͡ʒʊˈd͡ʒɛ]'난쟁이'불가리아어 음운론 참고
카탈루냐어jutge|ˈʒud͡ʒəca[ˈʒud͡ʒə]'판사'카탈루냐어 음운론 참고
체첸어джервоce / [d͡ʒjerwo]'이전에 결혼한 여성'
취저우 방언wuu / [d͡ʒõ]'무거운'
콥트어ϫⲉ/jecop[d͡ʒe]'그것'
체코어džbán|d͡ʒbaːncs[d͡ʒbaːn]'항아리'체코어 음운론 참고
디베히어ޖަރާސީމު디베히어 / [d͡ʒaraːsiːmu]'세균'디베히어 음운론 참고
네덜란드어jeans|d͡ʒiːnsnl[d͡ʒiːns]'청바지'일부는 [ʒiːns]라고 말한다.
에스토니아어džäss|ˈd̥ʒæsːet[ˈd̥ʒæsː]'재즈'드물게 차용어에만 나타난다. 에스토니아어 음운론 참고
핀란드어džonkki|ˈdʒo̞ŋkːifi[ˈdʒo̞ŋkːi]'정크'드물게 차용어에만 나타난다. 핀란드어 음운론 참고
프랑스어adjonction|ad͡ʒɔ̃ksjɔ̃프랑스어[ad͡ʒɔ̃ksjɔ̃]'추가'드뭅니다. 프랑스어 음운론 참고
조지아어[3]ჯიბე/jibeka[d͡ʒibɛ]'주머니'
독일어표준[4]Dschungelde[ˈd͡ʒʊŋəl]'정글'설측 또는 설단-설측이며 강하게 순음화된다.[4] 일부 화자는 [t͡ʃ]로 병합할 수 있다. 표준 독일어 음운론 참고
고에마이어[d͡ʒaːn]'쌍둥이'
히브리어표준ג׳וק/juk|d͡ʒukhe[d͡ʒuk]'바퀴벌레'차용어에만 사용된다. 현대 히브리어 음운론 참고
테마니גָּדוֹל/jaďol|d͡ʒaðolhe[d͡ʒaðol]'크다, 훌륭하다'다게쉬가 있는 기멜의 예멘 히브리어 발음이다. 예멘 히브리어 참고
힌두스탄어힌디어जाना/jānā|d͡ʒäːnäːhi[d͡ʒäːnäː]'가다'유기음 형태와 대조된다. 힌두스탄어 음운론 참고
우르두어جانا/jānā|d͡ʒäːnäːur
헝가리어lándzsa|laːnd͡ʒɒhu[laːnd͡ʒɒ]'창'드물게 차용어에 주로 사용된다. 헝가리어 음운론 참고
인도네시아어jarak|ˈd͡ʒaraʔid[ˈd͡ʒaraʔ]'거리'
카빌어lǧiran|id͡ʒirænkab[id͡ʒiræn]'이웃들'
카슈브어[6]
쿠르드어북부cîger|d͡ʒiːˈɡɛɾku[d͡ʒiːˈɡɛɾ]'폐'쿠르드어 음운론 참고
중앙جەرگ|d͡ʒɛɾgku[d͡ʒɛɾg]'간'
남부[d͡ʒæɾg]
키르기스어жаманky / [d͡ʒaman]'나쁜'키르기스어 음운론 참고
라디노어djudyó|d͡ʒudˈjolad / [d͡ʒudˈjo]'유대인'
라트비아어dadzis|dad͡ʒilv[dad͡ʒi]'엉겅퀴'라트비아어 음운론 참고
림부르크어하셀트 방언[7]djèn|d͡ʒɛːn²li[d͡ʒɛːn²]'유진'하셀트 방언 음운론 참고
리투아니아어džiaugsmingas|d͡ʒɛʊɡʲsʲˈmʲɪnɡɐslt[d͡ʒɛʊɡʲsʲˈmʲɪnɡɐs]'기쁜'리투아니아어 음운론 참고
마케도니아어џемпер/džemper|ˈd͡ʒɛmpɛrmk[ˈd͡ʒɛmpɛr]'스웨터'마케도니아어 음운론 참고
몰타어ġabra|d͡ʒab.ra몰타어[d͡ʒab.ra]'수집'
만주어ᠵᡠᠸᡝ/juwemnc[d͡ʒuwe]'두'
마라티어जय/jay|d͡ʒəjmr[d͡ʒəj]'승리'유기음 형태와 대조됩니다. 동음이의어 [dʑ] 및 [d̪z]. 마라티어 음운론 참고
오크어랑그도크어jove|ˈd͡ʒuβeoc[ˈd͡ʒuβe]'어린'오크어 음운론 참고
프로방스[ˈd͡ʒuve]
오리야어ଜମି/jami|d͡ʒɔmior[d͡ʒɔmi]'땅'유기음 형태와 대조된다. 오리야어 음운론 참고
오지브웨어iijikiwenh|iːd͡ʒikiwẽːʔoj[iːd͡ʒikiwẽːʔ]'형제'오지브웨어 음운론 참고
파슈토어جګ/jeg|d͡ʒeɡps[d͡ʒeɡ]'높은'
폴란드어표준liczba|ˈlid͡ʐ.bapl[ˈlid͡ʐ.ba]'숫자'
이스테브나dziwny|ˈd͡ʒivn̪ɘpl[ˈd͡ʒivn̪ɘ]'이상한'이 방언에서는 [ɖ͡ʐ] 및 [d͡ʑ]가 [d͡ʒ]로 병합된다. 표준 폴란드어에서 [d͡ʒ]는 실제로 설단 유성 권설 파찰음인 것을 기록하는 데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루바바 방언[8]
말보르크 방언[8]
오스트로다 방언[8]
바르미아 방언[8]
포르투갈어대부분의 브라질 방언[9]grande|ˈɡɾɐ̃d͡ʒ(i)pt[ˈɡɾɐ̃d͡ʒ(i)]'큰'모음이 생략된 경우를 포함하여 [i, ĩ] 전의 [d̪]의 동음이의어이며, 다른 경우의 [i] (예: 모음 삽입)는 부수적인 소리이다.
대부분의 방언jambalaya|d͡ʒɐ̃bɐˈlajɐpt[d͡ʒɐ̃bɐˈlajɐ]'잠발라야'몇몇 최근 차용어에서 [ʒ]와 자유 변이된다. 포르투갈어 음운론 참고
사르데냐어캄피다네세géneru|ˈd͡ʒɛnerusc[ˈd͡ʒɛneru]'사위'
스코틀랜드 게일어Dia|d͡ʒiagd[d͡ʒia]'신'스코틀랜드 게일어 음운론 참고
세르보크로아트어일부 화자џемsh / [d͡ʒê̞m]'잼'방언에 따라 설측 권설일 수 있다. 세르보크로아트어 음운론 참고
보스니아어 / [d͡ʒâ̠ʋo̞ː]'악마'대부분의 크로아티아어 화자와 일부 보스니아어 화자는 [d͡ʒ]와 [d͡ʑ]를 [d͡ʒ] 또는 설측 [ɖ͡ʐ]로 병합한다.
크로아티아어
실레지아어이스테브나[10]이 방언들은 [ɖ͡ʐ]와 [d͡ʑ]를 [d͡ʒ]로 병합한다.
야블룬코프[10]
슬로베니아어enačba|eˈnáːd͡ʒbàsl[eˈnáːd͡ʒbà]'방정식'고유어에서 유성 장애음 앞에 있는 [t͡ʃ]의 동음이의어이다. 차용어에만 존재하는 음소이다. 슬로베니아어 음운론 참고
소말리아어joog|d͡ʒoːɡso[d͡ʒoːɡ]'정지'소말리아어 음운론 참고
타갈로그어diyan|d͡ʒäntl[d͡ʒän]'거기'고유어에서 의 복합 자음과 스페인어 외의 차용어에서 를 발음하는 데 사용된다. 자세한 내용은 타갈로그어 음운론을 참조하십시오.
타타르어미샤르 방언[11]cantt / [d͡ʒɑn]'영혼'표준 타타르어(카잔 방언)에서 문자 c(җ)에 해당하는 소리는 ⟨[ʑ]⟩이다.
투르크멘어jar|d͡ʒärtk[d͡ʒär]'협곡'
탚어jem|d͡ʒemkcg[d͡ʒem]'하마'
우비흐어[amd͡ʒan]'?'우비흐어 음운론 참고
우크라이나어джерело/džerelo|d͡ʒɛrɛˈlɔuk[d͡ʒɛrɛˈlɔ]'출처'우크라이나어 음운론 참고
위구르어coza|d͡ʒozɑug / [d͡ʒozɑ]'책상'위구르어 음운론 참고
우즈베크어jahon|d͡ʒaˈhɒnuz / [d͡ʒaˈhɒn]'세계'
웨일스어siop jips|ʃɔp d͡ʒɪpscy[ʃɔp d͡ʒɪps]'피시 앤 칩스 가게'[t͡ʃ]의 구어 연성 변이로 발생한다. 구어 웨일스어 형태론 참고
서프리지아어siedzje|ˈʃɪd͡ʒəfy[ˈʃɪd͡ʒə]'파종하다'서프리지아어 음운론 참고
이디시어דזשוכע/juche|d͡ʒʊxəyi[d͡ʒʊxə]'곤충'이디시어 음운론 참고
사포텍어틸키아판[12]dxan|d͡ʒaŋzpt[d͡ʒaŋ]'신'


5. 유성 치경구개 파찰음과의 비교

유성 치경구개 파찰음은 유성 후치경 파찰음과 유사하지만, 조음 위치에서 차이가 있다. 는 혀끝을 치경 후부에 대고 조음하는, 점적인 소리인 반면, 는 혀끝에서 전설부에 걸쳐 치경 후부에서 경구개 전부에 대고 조음하는, 면적인 소리이다. 또한, 는 에 비해 입술을 둥글게 내미는 경향이 있다.

일본어의 「ぢ」의 자음, 그리고 어두나 「ん」의 직후에 있는 「じ」・「じゃ」행의 자음은, 화자에 따라 다르지만 표준적인 발음은 유성 치경구개 파찰음 에 가깝다.

6. 유성 후치경 무마찰 파찰음

유성 후치경 무마찰 파찰음은 IPA에서 [d̠͡ɹ̠˔] 또는 [dɹ̝˗]로 표기된다. 영어 등 일부 언어에서 나타나는 자음이다.

참조

[1] 서적
[2] 서적
[3] 서적
[4] 서적
[5] 서적
[6] 웹사이트 Fonetyka i fonologia https://web.archive.[...] 2015-11-16
[7] 서적
[8] 서적
[9] 서적
[10] 서적
[11] 서적 Mishäärit – Suomen vanha islamilainen yhteisö. Kirja-Leitzinger
[12] 서적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