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세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유세군은 전한 무제의 조카손녀로, 흉노를 견제하기 위한 정략적 목적으로 오손의 군주 엽교미에게 시집간 공주이다. 불우한 어린 시절을 보냈으며, 오손에서 곤막과의 결혼 생활 중 향수를 느껴 시를 지었다. 곤막 사후에는 그의 손자와 재혼해야 하는 상황에 놓였지만, 결국 곤막의 손자와 혼인하여 딸을 낳았다. 유세군 사후, 한나라는 오손과의 혼인 동맹을 지속하기 위해 다른 공주를 시집보냈으며, 유세군의 딸 또한 구자국의 왕과 결혼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전한의 공주 - 평양공주
평양공주는 전한 시대 양신장공주로, 평양의후 조수와 혼인 후 평양공주로 불렸으며, 위청과 위자부의 후원자로서 이들의 성공에 기여했고 정치적 감각과 인물 식별 능력이 뛰어났다는 평가를 받지만, 사치와 가문 인사 등용에 치중했다는 비판도 있다. - 전한의 공주 - 노원공주
노원공주는 전한 고제의 딸이자 혜제의 누이로, 흉노와의 정략결혼을 피해 조왕 장오에게 시집갔으며, 유방 사후 여태후의 권력 강화를 위한 혼인 정책의 중심에 있다가 제나라 왕태후가 된 후 안릉에 묻혔고 드라마 미인심계 등을 통해 재조명되었다. - 전한의 종실 - 유급
유급은 전한 말기에 신양후에 봉해졌으나, 전한 멸망으로 작위를 잃은 유영의 아들이다. - 전한의 종실 - 전한 무제
전한의 제7대 황제인 전한 무제는 54년간 재위하며 유교 기반 중앙집권 강화, 흉노 정벌을 통한 영토 확장, 소금과 철의 전매제 등 경제 개혁을 추진하여 전한의 최전성기를 이끌었으나, 과도한 군사 지출, 사치스러운 생활, 무고의 난 등 부정적인 면모도 보였다. - 생몰년 미상 - 유급
유급은 전한 말기에 신양후에 봉해졌으나, 전한 멸망으로 작위를 잃은 유영의 아들이다. - 생몰년 미상 - 야스케
야스케는 16세기 일본에 기록된 최초의 아프리카인으로, 오다 노부나가의 가신으로 특별한 대우를 받았으며, 혼노지의 변에서 함께 싸웠으나 이후 행적은 불확실하고, 다양한 대중문화 작품에서 소재로 활용된다.
| 유세군 - [인물]에 관한 문서 | |
|---|---|
| 기본 정보 | |
![]() | |
| 이름 | 유세군 |
| 로마자 표기 | Liu Xijun |
| 별칭 | 강도공주, 오손공주 |
| 신분 | |
| 작위 | 전한의 공주, 오손의 왕비 |
| 생애 | |
| 출생 | 알 수 없음 |
| 사망 | 알 수 없음 |
| 사인 | 알 수 없음 |
| 가족 관계 | |
| 아버지 | 유건 |
| 배우자 | 엽교미, 군수미 |
| 자녀 | 소부 |
| 친척 | 할아버지 유비 |
| 기타 | |
| 관련 항목 | 비수구가 |
| 작품 | 비수구가(悲愁歌) |
2. 생애
유세군은 무제의 조카손녀로, 불우한 어린 시절을 보냈다. 아버지 유건은 여러 죄목으로 자결했고, 어머니는 처형당했다.[11] 이후 흉노를 견제하기 위한 한나라와 오손의 정략결혼으로 오손왕 엽교미에게 시집갔다.[12] 낯선 땅에서 고향을 그리워하는 시를 지었으며, 무제는 격년마다 사신을 보내 위로했다. 엽교미 사후 그의 손자 잠취와 재혼하여 딸 소부를 낳았고, 얼마 지나지 않아 오손에서 생을 마감했다.[2]
2. 1. 불우한 어린 시절
유세군 본인의 유년기 기록은 전해오지 않지만, 아버지 강도왕 유건은 무제의 조카였다. 즉 유세군은 무제의 조카손녀였다. 유건은 근친상간·강간·살인·모반 등의 혐의로 원수 2년(기원전 121년)에 자결했고, 유건의 왕후 성광(유세군의 친어머니인지는 확인할 수 없다) 등도 모두 기시에 처해졌으며, 아버지의 제후왕국인 강도나라도 멸망했다.[11]유세군은 강도왕(현재의 장쑤성, 양저우) 유건의 딸이자 유비, 한 무제의 형제의 손녀였다. 유세군은 갓난아기였을 때 부모를 잃었다. 그녀의 아버지는 근친상간, 잔혹함, 타락 등으로 묘사되었으며 반란에 연루된 후 자살했다. 그녀의 어머니 역시 마법을 사용한 혐의로 같은 해에 처형되었다. 몰락한 부모의 딸로서 그녀는 한나라 궁정에서 낮은 지위를 가졌을 가능성이 높다.[1]
2. 2. 오손과의 정략결혼
장건이 무제에게 당시 흉노의 반독립적 속국으로 있던 오손과의 혼인동맹을 맺어 흉노를 제어할 것을 제안함에 따라 전한과 오손의 교류가 시작되었다.[12] 흉노가 오손을 더욱 압박하자 오손은 말 천 필을 빙물로 보내 혼인 의사를 밝혔다. 이에 원봉 연간(기원전 110년~기원전 105년)에 유세군이 공주가 되어 오손의 군주 곤막 엽교미와 혼인해 우부인이 되었다.[12] 흉노에서도 선우의 딸을 곤막의 부인으로 보내니, 곤막은 흉노에서 온 부인을 좌부인으로 삼았다.[13]유세군은 시집갈 때 관속과 환관, 시중드는 사람 백여 명을 데리고 갔으며,[12] 오손에 도착해서는 궁실을 지어 정주했다. 유목 생활을 하는 곤막과는 일 년에 한두 차례 만나 연회를 열고 오손의 귀족들에게 선물했다. 곤막의 나이가 많고 말이 통하지 않아, 유세군은 오손에서의 낯선 생활과 고향에 대한 그리움을 노래하는 시를 지었다. 이 노래를 들은 무제는 격년마다 사신을 보내 위로했다.
곤막이 유목 민족에서 일반적인 수계혼 풍습에 따라 황태손인 잠취(군수미)에게 유세군을 시집보내려 하자, 유세군은 이에 항의하고 전한에 사자를 보냈다. 그러나 무제는 오손과의 동맹으로 흉노를 깨고자 하기에 이를 거절했고, 결국 곤막이 죽으니 잠취와 혼인해 딸 소부(少夫)를 낳았다. 유세군이 죽은 후, 한나라에서는 오손과의 혼인동맹을 이어나가기 위해 유해우를 다시 오손으로 시집보냈다.
2. 3. 향수와 재혼
장건이 무제에게 당시 흉노의 반독립적 속국이었던 오손과 혼인동맹을 맺어 흉노를 제어할 것을 건의함에 따라 전한과 오손의 교류가 시작되었다. 흉노가 오손을 더욱 압박하자 오손은 말 천 필을 빙물로 보내 혼인 의사를 밝혔다.[12] 이에 원봉 연간(기원전 110년~기원전 105년)에 유세군이 공주가 되어 오손의 군주 곤막 엽교미와 혼인해 우부인이 되었다.[12] 흉노에서도 선우의 딸을 곤막의 부인으로 보냈는데, 곤막은 흉노에서 온 부인을 좌부인으로 삼았다.[13]유세군은 시집갈 때 관속, 환관, 시중드는 사람 백여 명을 데리고 갔고, 오손에 도착해서는 궁실을 지어 정주했다.[12] 유목 생활을 하는 곤막과는 일 년에 한두 차례 만나 연회를 열고 오손의 귀족들에게 선물했다. 곤막의 나이가 많고 말이 통하지 않아, 유세군은 오손에서의 낯선 생활과 고향에 대한 그리움을 노래하는 시를 지었다. 이 노래를 들은 무제는 격년마다 사신을 보내 유세군을 위로했다.
곤막이 유목 민족의 일반적인 수계혼 풍습에 따라 황태손인 잠취(군수미)에게 유세군을 시집보내려 하자, 유세군은 이에 항의하며 전한에 사자를 보냈다. 그러나 무제는 오손과의 동맹으로 흉노를 격파하고자 했기에 이를 거절했다.[2] 결국 곤막이 죽자 유세군은 잠취와 혼인해 딸 소부(少夫)를 낳았다. 유세군이 죽은 후, 한나라에서는 오손과의 혼인동맹을 이어나가기 위해 유해우를 다시 오손으로 시집보냈다.[2]
2. 4. 죽음과 이후
장건이 무제에게 흉노의 반독립적 속국이던 오손과 혼인동맹을 맺어 흉노를 제어할 것을 건의하여 전한과 오손의 교류가 시작되었다. 흉노가 오손을 더욱 압박하자 오손은 말 천 필을 빙물로 보내 혼인 의사를 밝혔다. 이에 원봉 연간(기원전 110년~기원전 105년)에 유세군이 공주가 되어 오손의 군주 곤막 엽교미와 혼인해 우부인이 되었다.[12] 흉노에서도 선우의 딸을 곤막의 부인으로 보내니, 곤막은 흉노에서 온 부인을 좌부인으로 삼았다.[13]곤막이 유목 민족의 수계혼 풍습에 따라 황태손인 잠취(군수미)에게 유세군을 시집보내려 하자, 유세군은 이에 항의하고 전한에 사자를 보냈다. 그러나 무제는 오손과의 동맹으로 흉노를 깨고자 하기에 이를 거절했고, 결국 곤막이 죽자 유세군은 잠취와 혼인해 딸 소부(少夫)를 낳았다. 유세군이 죽은 후, 한나라에서는 오손과의 혼인동맹을 이어나가기 위해 유해우를 다시 오손으로 시집보냈다.[2]
3. 유세군의 시
《한서》에는 서군이 지은 것으로 여겨지는 시가 실려 있다.[9]
| style="width:12em;"| | style="width:45em;"| |
|---|---|
4. 가족 관계
5. 기타
유세군은 강도왕(현재의 장쑤성, 양저우) 유건의 딸이자 유비, 한 무제의 형제의 손녀였다. 유세군은 갓난아기였을 때 부모를 잃었다. 아버지는 반란에 연루되어 자살했고, 어머니 역시 같은 해에 처형되었다.[1]
기원전 105년, 유세군은 공주가 되었고, 한 무제는 흉노를 견제하기 위해 오손과의 동맹을 맺고자 그녀를 오손의 왕 열가미(猎驕靡)와 결혼시켰다. 오손에서 한나라 궁정에 1,000마리의 말을 보내자, 그녀는 100명의 관리, 환관, 시종, 마차를 이끌고 일리강 유역으로 오손으로 보내졌다. 결혼 후 그녀는 좌부인(左夫人)이 되었고, 흉노 출신의 우부인이 있었다. 남편은 나이가 많았고, 의사소통도 어려웠다. 열가미는 죽기 직전에 손자 잠취(岑陬)와 그녀를 결혼시키기 위해 이혼을 요구했다. 유세군은 한나라 황제에게 항의했지만, 한나라는 흉노 정벌을 위해 오손과의 동맹이 필요했기에 그녀는 따를 수밖에 없었다.[2] 그녀는 열가미가 죽은 후 왕이 된 잠취와 결혼했고, 기원전 102년에 그와 딸을 낳았다. 그녀는 다음 해에 사망했다. 그녀가 죽은 후 해우공주가 잠취와 결혼하기 위해 보내졌다.[2]
유세군 공주의 딸은 기원전 64년에 한나라 궁정으로 보내졌다. 그러나 딸은 가는 길에 구자국에 들렀을 때, 구자국의 왕과 결혼하기로 결정했다.[3]
오손 공주는 비파 발명과 관련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한나라 황제가 그녀가 오손으로 가는 길에 말 위에서 향수를 달랠 수 있도록 비파를 만들게 했다고 한다.[4][5] 그러나 비파는 중국에서 기원하지 않았을 가능성이 높다.[6] 그녀의 이야기는 진(266–420) 시대의 작가 석숭이 비파가 왕소군의 여정 동안에도 연주되었을 것이라고 추측한 후 왕소군의 이야기와 종종 혼동된다.[7][8]
참조
[1]
서적
Biographical Dictionary of Chinese Women: Antiquity Through Sui, 1600 B.C.E–618 C.E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5-03-26
[2]
서적
Southern Identity and Southern Estrangement in Medieval Chinese Poetry
https://books.google[...]
Hong Kong University Press
2015-01
[3]
서적
Trade, Commerce, and the State in the Roman World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17-10-27
[4]
Book
Song Shu
http://zh.wikisource[...]
[5]
웹사이트
The pipa: How a barbarian lute became a national symbol
http://www.danwei.co[...]
2011-06-10
[6]
간행물
The Origin of the Short Lute
1955-03
[7]
서적
Monks, Bandits, Lovers, and Immortals
https://books.google[...]
Hackett Publishing Company
2010
[8]
서적
Southern Identity and Southern Estrangement in Medieval Chinese Poetry
https://books.google[...]
Hong Kong University Press
2015-01
[9]
간행물
The Poetry of Han Historiography
https://scholar.prin[...]
[10]
웹사이트
黃鵠
https://dict.revised[...]
National Academy for Educational Research
[11]
문서
반고: 《한서》 권53 경십삼왕전 중 강도역왕
[12]
문서
원봉 4년(기원전 107년) 흉노에 사신으로 간 양신이 “옹주를 오손왕의 처로 삼게 함으로서…”라고 한 것으로 보아 이보다 전에 시집간 것으로 추측된다.
[13]
문서
오손이 왼쪽과 오른쪽 중 어느 쪽을 중시했는지 명확히 설명하는 자료는 없는데, 보통 흉노처럼 왼쪽을 중시하는 것으로 본다. 그렇다면 유세군보다 흉노 여자의 지위를 더 높게 대우했다는 것이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