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시 내친왕가의 기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유시 내친왕가의 기이는 유시 내친왕가에 출사한 여성으로, 가인으로 활동하며 작품을 남겼다. 그녀의 작품은 칙선집, 백수 가합, 사집 등에 수록되어 전해지며, 특히 《이치노미야 키이집》이라는 개인 시집이 존재한다. 그녀의 시는 햐쿠닌잇슈에도 수록되어 있으며, 메이지 시대의 정치가 오쿠보 도시미치가 그녀의 시를 인용하여 시를 읊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헤이안 시대의 여성 - 이즈미 시키부
이즈미 시키부는 헤이안 시대의 여류 시인이자 여러 남성과의 열애로 유명하며, 연애시와 애상가, 찬불가 등으로 후대 여류 시인들에게 큰 영향을 미쳤지만, 동시에 비판적인 평가도 받는 인물이다. - 헤이안 시대의 여성 - 미나모토노 쿠소
미나모토노 쿠소는 현재 내용이 없는 빈 문서이다. - 오구라 백인일수의 가인 - 이즈미 시키부
이즈미 시키부는 헤이안 시대의 여류 시인이자 여러 남성과의 열애로 유명하며, 연애시와 애상가, 찬불가 등으로 후대 여류 시인들에게 큰 영향을 미쳤지만, 동시에 비판적인 평가도 받는 인물이다. - 오구라 백인일수의 가인 - 고토바 천황
고토바 천황은 삼종신기 없이 즉위한 최초의 일본 천황으로, 상황으로서 강력한 왕권을 추구했지만 조큐의 난 실패 후 유배되었으며, 뛰어난 와카 시인이자 예술가로서 일본 문학에 큰 영향을 미쳤다. - 헤이안 시대의 가인 - 이즈미 시키부
이즈미 시키부는 헤이안 시대의 여류 시인이자 여러 남성과의 열애로 유명하며, 연애시와 애상가, 찬불가 등으로 후대 여류 시인들에게 큰 영향을 미쳤지만, 동시에 비판적인 평가도 받는 인물이다. - 헤이안 시대의 가인 - 미나모토노 쿠소
미나모토노 쿠소는 현재 내용이 없는 빈 문서이다.
유시 내친왕가의 기이 | |
---|---|
기본 정보 | |
이름 | 유시 내친왕가의 기이 |
일본어 이름 | 祐子内親王家紀伊 (Yūshi Naishinnō-ke no Kii) |
다른 이름 | 이치노미야노 기이 (一宮紀伊, Ichinomiya no Kii) |
설명 | 일본 헤이안 시대 후기의 시인 |
관련 | 뇨보 산주롯카센 (여방 36가선) |
2. 경력
어머니와 마찬가지로 유시 내친왕가에 출사한 것 외에는 전기적인 정보가 거의 알려져 있지 않다. 가인으로서의 활동은 영구 원년(1113년) '소납언정통가합'에 출영하는 것까지 확인되고 있다.
이치노미야 키이(一宮紀伊)의 작품은 칙선집(勅撰集), 백수 가합(百首歌合), 사집(私集)으로 나뉜다. 칙선집은 천황의 명으로 편찬된 노래 모음집이고, 백수 가합은 여러 시인의 노래를 모아 대결하는 형식의 모음집이며, 사집은 개인의 시를 모은 것이다.
3. 작품
칙선집과 백수 가합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하위 섹션에서 다루며, 여기서는 간략하게 설명한다. 후습유화가집, 금엽화가집 등 여러 칙선집에 이치노미야 키이 또는 유사이 나이신노케 키이라는 이름으로 작품이 수록되었다. 또, 유사이 나이신노 명소합, 내리 가합 등 백수 가합에도 참여했다.
후지와라노 사다이에가 필사한 《이치노미야 키이집》이 사집으로 전해지며, 군서유종본에는 《유사이 나이신노케 키이집》이라는 제목으로 수록되어 있다.
3. 1. 칙선집
가집명 | 작가명 표기 | 가 수 |
---|---|---|
후습유화가집 | 이치노미야 키이 | 1 |
금엽화가집 | 이치노미야 키이 | 3 |
사화화가집 | 이치노미야 키이 | 2 |
신고금화가집 | 유사이 나이신노케 키이 | 2 |
신칙선화가집 | 유사이 나이신노케 키이 | 1 |
속후선화가집 | 유사이 나이신노케 키이 | 5 |
속고금화가집 | 유사이 나이신노케 키이 | 1 |
옥엽화가집 | 유사이 나이신노케 키이 | 4 |
속천재화가집 | 유사이 나이신노케 키이 | 3 |
속후습유화가집 | 유사이 나이신노케 키이 | 4 |
신천재화가집 | 유사이 나이신노케 키이 | 2 |
신습유화가집 | 유사이 나이신노케 키이 | 1 |
신속고금화가집 | 유사이 나이신노케 키이 이치노미야 키이 | 1 1 |
3. 2. 백수 가합
고헤이|고헤이일본어 4년(1061년)에 열린 유사이 나이신노 명소 합에 '이치노미야 키이'라는 이름으로 참여하여 2수를 남겼다. 쇼료쿠|쇼료쿠일본어 2년(1078년) 4월 30일에 열린 내리 가합 우방 후반에도 '이치노미야 키이'라는 이름으로 참여하여 2수를 남겼다. 간지일본어 8년(1094년) 8월 10일에 열린 고요인전 7번 화가합(전 관백 사네자네 가합)에는 '키이'라는 이름으로 유키에와 대결하여 3승 2수를 기록했다.고와일본어 4년(1102년) 호리카와 원 염서 합에는 백인일수에 선정된 "소리로 듣는" 노래가 수록되어 있다. 초지|초지일본어 원년(1104년) 사콘권중장 도시타다 아손가 가합에는 '키이'라는 이름으로 오와리노키미와 대결해 승리했다. 초지 2년(1105년) 호리카와 백수에는 '키이 유사이 나이신노케, 평경방의 딸, 키이노카미 시게쓰구의 아내, 잉호 키이'라고 기록되어 있다. 에이큐|에이큐일본어 원년(1113년) 쇼나곤 사다미치 가합에도 참여했다.
명칭 | 시기 | 비고 |
---|---|---|
유사이 나이신노 명소 합 | 고헤이|고헤이일본어 4년 (1061년) | "이치노미야 키이" 명의로 출영, 2수 |
내리 가합 우방 후반 | 쇼료쿠|쇼료쿠일본어 2년 4월 30일 (1078년 6월 12일) | "이치노미야 키이" 명의로 출영, 2수 |
고요인전 7번 화가합 (전 관백 사네자네 가합) | 간지일본어 8년 8월 10일 (1094년 9월 22일) | "키이" 명의로 유키에와 대결하여 3승 2수 |
호리카와 원 염서 합 | 고와일본어 4년 (1102년) | 백인일수에 선정된 "소리로 듣는"의 노래를 수록 |
사콘권중장 도시타다 아손가 가합 | 초지|초지일본어 원년 (1104년) | "키이" 명의로 오와리노키미와 대결해 승리 |
호리카와 백수 | 초지 2년 (1105년) | "키이 유사이 나이신노케, 평경방의 딸, 키이노카미 시게쓰구의 아내, 잉호 키이" |
쇼나곤 사다미치 가합 | 에이큐|에이큐일본어 원년 (1113년) |
3. 3. 사집
후지와라노 사다이에가 필사한 이치노미야 키이의 개인 시집 《이치노미야 키이집(一宮紀伊集)》이 전해진다. 군서유종본에는 《유사이 나이신노케 키이집(祐子内親王家紀伊集)》이라는 제목으로 수록되어 있다.4. 햐쿠닌잇슈
오구라 백인일수 72번에 이치노미야 키이의 시가 수록되어 있다.
4. 1. 햐쿠닌잇슈 72번
그녀의 시 중 하나는 오구라 백인일수에 수록되어 있다.'''원문:''' 音に聞く高師の浦のあだ波はかけじや袖の濡れもこそすれ
'''한국어 번역:''' 소문으로 듣는 다카시(高師) 해변의 덧없는 파도는 (그저 소문일 뿐) 직접 겪지 않으려 했는데, (덧없이 사랑하는 당신 때문에) 눈물로 소매가 젖을까 걱정됩니다.
5. 일화
메이지 시대의 오쿠보 도시미치는 이치노미야 키이의 "소리로 듣는" 노래를 혼가토리하여, 다카시 해변(현재의 하마데라 공원 부근)의 소나무가 땔감이나 목재로 벌채되는 것을 슬퍼하는 시를 읊었다. 이 시는 현재 '석송비'라는 석비에 새겨져 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