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초지는 가축의 사료 생산을 위해 방목 없이 관리되거나, 건초 생산을 위해 주기적으로 베어지는 풀밭을 의미한다. 농업, 천이, 영구, 도시 초지 등 다양한 유형이 있으며, 기후 변화에 따른 생태학적 영향과 인간의 개입에 의해 관리된다. 한국에서는 가축의 사료 및 깔짚 채취를 위한 토지를 초지로 정의하며, 초지의 이용은 농업적, 생태적, 기타 다양한 측면에서 이루어진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초지 | |
---|---|
개요 | |
![]() | |
정의 | 주로 비목본 식물로 덮인 열린 서식지 |
특징 | 다양한 식물, 곤충, 작은 포유류, 새를 지원하는 생태계 |
환경 | |
위치 | 강가의 습한 지역 구릉지의 건조한 환경 |
지형 | 평평하거나 완만하게 경사진 지형 |
식생 | 풀 사초과 다양한 비목본 현화 식물 |
관리 및 보존 | |
관리 방법 | 방목 목초 수확 화재 조절 |
보존 가치 | 생물 다양성 유지 및 서식지 제공 |
문화적 중요성 | |
용도 | 농업 레크리에이션 경관 감상 |
관련 문화 | 다양한 문화에서 중요한 의미를 지님 |
2. 유형
초지는 환경 요인에 따라 여러 유형으로 나뉜다. 크게 영구 초지와 천이 초지로 구분할 수 있으며, 인간의 활동으로 만들어진 인위적 초지와 도시 환경에 조성된 도시 초지도 있다.
- 영구 초원: 환경 요인(기후 및 토양 조건 등)에 의해 여러해살이 풀이 우세하고 목본 식물의 성장이 제한되는 곳이다.[11]
- 고산 초원: 수목 한계선 이상의 고지대에서 혹독한 기후 조건으로 유지된다.
- 해안 초원: 염수의 영향으로 유지된다.
- 사막 또는 사막 초원: 낮은 강수량 또는 영양분 및 부식토 부족으로 형성된다.
- 프레리: 심각한 가뭄이나 산불의 영향을 받는다.
- 습지 초원: 연중 대부분 물로 포화된 습지 지역이다.
- 천이 초지: 밭, 목초지, 농지 등 개간된 땅에서 풀을 베거나 방목하지 않아 풀과 야생화가 무성해지는 곳이다.[8] 그러나 관목지, 목본 식물이 자라면서 그늘이 지면 숲으로 천이가 진행된다.[9]
- 인위적 초지: 인간의 개입으로 생겨나 유지되는 초지이다.[14] 농업 관행이 유지되지 않으면 쇠퇴할 수 있다.[16]
- 도시 초원: 도시 지역의 생물 다양성 보존을 위해 도시 잔디밭을 전환한 초원이다.[12]
유럽의 식민지화 이전 북아메리카에서는 알곤킨족, 이로쿼이족 등 미국 원주민들이 사슴과 사냥감을 위해 숲을 정기적으로 개간하여 천이 초지를 만들었다.[9][10]
최근 도시화가 진행되면서, 도시 초원은 생물 다양성 보존 장소로 주목받고 있다. 잔디밭을 초지로 전환하면 식물과 동물에게 더 나은 서식지를 제공할 수 있다.[12] 일부 환경 단체는 생물 다양성 보존, 물 절약, 비료 사용 감소를 위해 잔디 깎기를 줄여 초지로 전환할 것을 권장한다.[19]
2. 1. 농업 초지
농업에서 초지는 가축의 먹이를 생산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초지는 크게 건초 초지와 목초지로 나눌 수 있는데, 이 둘은 가축을 방목하는 방식과 건초 생산 여부에 따라 구분된다.[1]초지에서 가축 사료를 생산하면서 가축을 울타리에 가두어 사육 관리를 단순화하고, 여름철 잉여 생산물을 겨울 동안 저장하여 겨울철 가축 방목의 필요성을 없애 숲과 초지의 피해를 예방할 수 있었다.[1]
초지와 관련된 농업 관행은 건초 생산, 가축 방목, 과수원이나 꿀 생산 등 다양한 형태로 나타난다. 초지는 복잡한 사회 문화적 조건에 의존하며, 역사적으로 농업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등장했다. 오늘날 농업 관행 변화로 초지는 본래 목적을 잃었지만, 미학과 생태학적 기능으로 높이 평가받아 유럽 연합의 공동 농업 정책을 통해 주로 방목으로 관리된다.[1]
인공 초지는 인공적으로 풀을 재배하는 토지(목초지)를 말하며,[42] 채초, 방목, 불 놓기 등 완만한 이용 관리를 통해 보전·보호가 필요한 초지를 반자연 초지라고 한다.[42]
2. 1. 1. 건초 초지
농업에서 건초 초지는 가축의 정기적인 방목 없이 건초 생산을 위해 방치하여 자라도록 하는 초지이다. 건초 초지는 영국과 아일랜드에서 흔히 사용되는 용어로, 여름에 매년 예초하는 초지를 의미한다.[5] 농업용 초지는 일반적으로 건초나 목초가 자체 파종 또는 손으로 파종한 씨앗에서 자라는 저지대 또는 고지대 목초지이다.[5]전통적인 건초 초지는 한때 영국의 시골에서 흔했지만 지금은 감소하고 있다. 생태학자 존 로드웰(John Rodwell) 교수는 지난 세기 동안 잉글랜드와 웨일스가 건초 초지의 약 97%를 잃었다고 말한다.[3] 영국에는 15000ha 미만의 저지대 초지가 남아 있으며 대부분의 지역이 비교적 작고 파편화되어 있다. 영국 초지의 25%가 우스터셔에 있으며, 우스터셔 야생동물 신탁에서 관리하는 포스터 그린 초지가 주요 지역이다.[4]
2. 1. 2. 목초지
농업에서 목초지는 건초를 위해 방치되어 자라다가 주기적으로 베어내는 초지와 달리, 여름 동안 방목되는 곳을 말한다.[5] 목초지는 방목에 사용되는 모든 토지를 지칭할 수도 있는데, 이 경우 풀 목초지뿐만 아니라 황무지, 황야, 목초지 숲과 같은 비 초지 서식지도 포함한다.[6] 초지라는 용어는 건초 초지와 풀 목초지를 모두 아우르는 말로 사용된다.[7]2. 2. 천이 초지
밭, 목초지, 농지 등 개간된 땅에서 풀을 베거나 방목하지 않으면 풀과 야생화가 무성하게 자라면서 초지 천이가 일어난다.[8] 그러나 이 상태는 일시적이며, 관목지, 목본 식물이 자라면서 그늘이 지면 풀은 사라진다. 관목과 목본 식물은 숲으로 돌아가는 과정의 선구자 역할을 한다.[9] 이러한 천이 상태는 10~12년 주기로 경작지와 초지를 번갈아 사용하는 이중 밭 시스템을 통해 인위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8]유럽의 식민지화 이전 북아메리카에서는 알곤킨족, 이로쿼이족 등 미국 원주민들이 사슴과 사냥감의 먹이를 확보하고 사슴 사냥을 하기 위해 숲을 정기적으로 개간하여 천이 초지를 만들었다. 오늘날 일부 초원은 원주민들의 화전(火田)으로 인해 수천 년 전에 시작되었다.[9][10]
2. 3. 영구 초지
영구 초원은 여러해살이 풀이 잘 자라고 목본 식물의 성장은 제한되는 환경(기후 및 토양 조건 등)을 갖춘 곳을 말한다.[11] 영구 초원에는 고산 초원, 해안 초원, 사막 초원, 프레리, 습지 초원 등이 있다.2. 3. 1. 고산 초원
수목 한계선 이상의 고지대에서 발생하며 혹독한 기후 조건에 의해 유지된다.[11] 고산 툰드라(alpine tundra, alpine meadow)는 해발 고도, 혹독한 기후 조건에 의해 유지된다.[11]2. 3. 2. 해안 초원
해수의 물보라에 포함된 염분 때문에 나무가 자라지 못해 유지되는 초지이다.[11] 스페인 타피아 데 카사리에고 근처 비스케이 만의 해안 초원이 그 예이다.
2. 3. 3. 사막 초원
강수량이 적거나 영양분 및 부식토 부족으로 인해 사막 또는 사막 초원이 형성된다.[11]2. 3. 4. 프레리
가뭄이 심하거나 산불의 영향을 받는 초원이다.[11]2. 3. 5. 습지 초원
습지에 준하며, 일 년 내내 물에 잠겨 있는 습성 초지를 말한다.[11]2. 4. 도시 초원



최근 도시 지역은 잠재적인 생물 다양성 보존 장소로 여겨지고 있다. 도시에서 널리 퍼져 있는 서식지인 도시 잔디밭에서 도시 초원으로 전환하면 식물과 동물 군집에 더 큰 피난처를 제공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도시 잔디밭은 집중적인 관리가 필요하며, 특히 잔디 깎는 빈도가 잦아 그곳의 생명체가 서식지를 잃을 위험에 처한다. 잔디 깎는 빈도를 줄이는 것은 식물 군집의 다양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도시 잔디밭에서 도시 초원으로 전환을 가능하게 한다.[12]
도시화가 증가하면서 2017년 EU 생물 다양성 전략은 기후 변화로 인해 모든 생태계를 보호할 필요가 있다고 선언했다. 어느 국가든 도시 지역에 사는 대부분의 사람들은 공원 방문 또는 공공 녹지 인프라를 통해 식물에 대한 지식을 얻는다. 지방 당국은 대중에게 녹지 공간을 제공할 의무가 있지만, 이러한 부서는 끊임없이 대규모 예산 삭감에 시달리고 있으며, 이로 인해 사람들이 도시 지역에서 자연 야생 동물을 감상하기가 더 어려워지고 지역 생태계가 손상된다. "더 지저분한 도시 미학"에 대한 인식이 높아짐에 따라, 다년생 초원은 고전적인 도시 잔디밭에 대한 보다 현실적인 대안으로 간주될 수 있으며, 유지 관리 비용도 더 효율적일 것이다. 도시 공간 관리자가 중요하게 여겨야 할 요소는 다음과 같다.

3. 인간의 개입
인위적으로 조성된 초지는 인간의 개입으로 생겨나며, 지속적인 유지와 번성을 위해서도 인간의 개입이 필요하다.[14] 많은 지역에서 자연적으로 서식하던 대형 초식동물이 인간의 활동으로 인해 멸종되거나 그 수가 매우 줄어들어, 주변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력이 감소하거나 사라졌다. 그 결과, 초지는 인간의 개입을 통해서만 조성되거나 유지될 수 있게 되었다.[15]
농업 관행이 유지되지 않으면 기존의 초지는 점차 쇠퇴할 수 있다. 인류는 수천 년 동안 세계 여러 지역의 생태계와 경관에 영향을 미쳐왔기 때문에, 무엇이 자연적이고 무엇이 문화적인 것인지 구별하기 어려울 때가 있다.[16] 초지가 그 한 예이다. 역사적으로 초지는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대형 초식동물에 의해 유지되어 왔으며, 이들은 식물의 성장을 억제하고 개방된 공간을 유지했다.[17][18]
광범위한 농업과 같은 목축업이 세계 일부 지역에서 감소함에 따라, 초지는 서식지로서 위험에 처해 있다. 많은 연구 프로젝트가 자연적인 대형 초식동물을 재도입하여 자연 초지 서식지를 복원하려고 시도하고 있다.[15][17][18] 여기에는 지역에 따라 사슴, 엘크, 염소, 야생마 등이 포함된다.
일부 환경 단체는 잔디밭을 초지로 전환할 것을 권장한다. 그들은 초지가 생물 다양성을 더 잘 보존하고, 물을 절약하며, 비료 사용을 줄일 수 있다고 주장한다.[19] 예를 들어, 2018년에는 전 세계적으로 꿀벌 개체 수 감소에 우려를 표명한 잉글랜드 환경식품농촌부의 지원을 받는 환경 단체가 꿀벌을 보존하는 방법에 대한 몇 가지 권장 사항을 제시했다. 여기에는 꽃, 관목, 나무 심기, 정원을 야생 상태로 유지, 잔디를 덜 자주 깎기, 곤충 둥지와 동면 장소 건드리지 않기, 살충제 사용 시 신중한 고려 등이 포함된다.[20]
하지만 인간 활동은 초지 토양의 황폐화를 증가시키기도 한다. 예를 들어, 폴란드 자코파네 마을의 초지는 스키 활동과 도시화로 인해 토양 구성이 변화하고 유기물이 손실되는 피해를 입었다.[21]
동물과 식물 모두 인위적인 지구 온난화에 빠르게 적응하고 있으며, 개체 수, 서식지 점유율, 생식 주기 변화는 이러한 환경 변화에 적응하기 위한 전략이다. 식물은 기후 변화가 지구에 미치는 영향을 보여주는 중요한 생물 지표 중 하나이므로, 식물을 적절히 모니터링하는 것이 중요하다.[32]
3. 1. 역사적 배경
밭, 목초지, 농지 등 개간된 땅에서 풀을 베거나 방목하지 않으면 풀과 야생화가 무성하게 자라면서 초지 천이가 일어난다.[8] 그러나 이 상태는 일시적이며, 결국 관목지와 목본 식물에 의해 그늘지게 된다. 관목지와 목본 식물은 숲으로 되돌아가는 과정의 선구자 역할을 한다.[9] 이러한 천이 상태는 10~12년 주기로 경작지와 초지를 번갈아 사용하는 이중 밭 시스템을 통해 인위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8]유럽의 식민지화 이전 북아메리카에서, 알곤킨족, 이로쿼이족을 비롯한 미국 원주민들은 사슴과 사냥감이 먹이를 찾고 사슴 사냥을 할 수 있도록 천이 초지를 만들기 위해 숲을 정기적으로 개간했다. 오늘날 일부 초원은 원주민들의 정기적인 화전(火田)으로 인해 수천 년 전에 시작되었다.[9][10]
3. 2. 초지 관리
초지는 농업에서 가축의 방목 없이 건초 생산을 위해 관리되는 곳이다. 이러한 초지 관리 방식은 철기 시대부터 시작되었으며, 가축 사료 생산과 관리에 큰 이점을 제공했다. 특히 영국과 아일랜드에서는 건초 생산을 위해 매년 예초하는 '건초 초지'가 일반적이었으나, 최근에는 많이 감소하였다. 생태학자 존 로드웰 교수에 따르면 지난 세기 동안 잉글랜드와 웨일스에서 건초 초지의 약 97%가 사라졌다고 한다.[3]목초지는 초지와 유사한 개념으로, 여름 동안 가축을 방목하는 곳으로 건초를 위해 관리되는 초지와는 차이가 있다.[5] 넓은 의미에서 목초지는 풀 목초지뿐만 아니라 황무지, 황야, 목초지 숲과 같은 비 초지 서식지도 포함한다.[6]
초지 관리는 건초 생산, 가축 방목, 과수원 조성, 꿀 생산 등 다양한 형태로 나타날 수 있다. 이러한 관리는 복잡한 사회 문화적 조건에 영향을 받으며, 농업 기술의 발달과 함께 변화해 왔다. 최근에는 농업 관행의 변화로 초지의 원래 목적이 퇴색되었지만, 미학과 생태학적 기능이 강조되면서 유럽 연합의 공동 농업 정책을 통해 초지 관리가 지원되고 있다.[1]
초지에서 일어나는 천이(移行)는 밭, 목초지 등 개간된 땅에서 풀 베기나 방목이 중단되면서 시작된다. 풀과 야생화가 무성하게 자라 꽃이 피고 씨앗을 뿌리지만, 결국 관목과 목본 식물에 의해 그늘지게 되면서 숲으로 돌아가는 과정이 진행된다.[8][9] 이러한 천이 상태는 10~12년 주기로 경작지와 초지를 번갈아 사용하는 이중 밭 시스템을 통해 인위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8]
과거 북아메리카에서는 미국 원주민들이 사슴 사냥 등을 위해 숲을 개간하여 천이 초지를 만들기도 했다.[9][10]
최근 도시 지역에서는 생물 다양성 보존을 위해 도시 잔디밭을 도시 초지로 전환하는 방안이 논의되고 있다. 잔디 깎는 빈도를 줄이면 식물 군집의 다양성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12] 도시 초원은 유지 관리 비용이 효율적이며, 도시 생태계 보호에도 기여할 수 있다.[13]
인위적으로 조성된 초지는 인간의 개입을 통해 유지된다.[14] 그러나 농업 관행이 유지되지 않으면 초지는 점차 쇠퇴할 수 있다. 일부 지역에서는 자연적인 대형 초식동물을 재도입하여 초지 서식지를 복원하려는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15][17][18]
일부 환경 단체는 잔디 깎기를 줄여 잔디밭을 초지로 전환할 것을 권장하며, 이는 생물 다양성 보존, 물 절약, 비료 사용 감소에 도움이 된다고 주장한다.[19]
하지만 인간 활동은 초지 토양의 황폐화를 증가시키기도 한다. 예를 들어, 폴란드 자코파네 마을의 초지는 스키 활동과 도시화로 인해 토양 구성이 변화하고 유기물이 손실되는 피해를 입었다.[21]
3. 3. 초지 복원
인위적으로 조성된 초지는 인간의 개입을 통해 유지된다.[14] 많은 지역에서 자연적인 대형 초식동물의 개체 수가 인간의 활동으로 인해 줄어들어, 초지 유지에 인간의 개입이 필요하게 되었다.[15] 농업 관행이 유지되지 않으면 기존 초지는 쇠퇴할 수 있다. 인류는 수천 년 동안 생태계에 영향을 미쳐왔기 때문에, 자연적인 것과 문화적인 것을 구별하기 어려울 때가 있다.[16]광범위한 농업과 같은 목축업 감소로 초지는 서식지로서 위험에 처해 있다. 여러 연구 프로젝트에서 자연적인 대형 초식동물을 재도입하여 자연 초지 서식지를 복원하려 하고 있다.[15][17][18] 여기에는 사슴, 엘크, 염소, 야생마 등이 포함된다.
일부 환경 단체는 잔디밭을 초지로 전환하여 생물 다양성을 보존하고, 물을 절약하며, 비료 사용을 줄일 것을 권장한다.[19] 예를 들어, 2018년 잉글랜드 환경식품농촌부의 지원을 받는 환경 단체는 꿀벌 개체 수 감소에 대한 우려를 표하며 꿀벌 보존을 위한 권장 사항을 제시했다. 여기에는 꽃 심기, 정원을 야생 상태로 유지, 잔디 덜 깎기, 곤충 둥지 보존, 살충제 사용 신중 등이 포함된다.[20]
초원은 토양에 많은 양의 유기 탄소를 저장하여 탄소 흡수원 역할을 할 수 있다. 탄소 순환은 계절적 변화와 상호 작용하며, 초원의 하위 유형에 따라 흡수원 역할 능력에 차이가 있다. 해초 초원은 중요한 탄소 흡수원 중 하나로, 온실 가스 배출 상쇄 효과가 있다. 지구 온난화는 초원 손실의 원인 중 하나이며, 초원 복원 프로젝트가 제기되기도 한다.[36]
배출권 거래제는 기후 완화를 위한 복원 프로젝트를 통합할 수 있다. 캘리포니아의 배출권 거래 프로그램은 초원 복원을 탄소 배출량 감축 시스템에 통합하는 방법을 검토하고 있다. 오듀본의 연구에 따르면, 황폐화된 초원에 비해 토양 탄소 저장량을 늘리고 생물 다양성을 증진할 가능성이 있다.[40] 하지만 COVID-19 팬데믹 기간 동안 복원의 어려움이 나타나기도 했다.[41]
4. 기후 변화와 초지
초지 황폐화는 비생육 기간 동안 이산화탄소 유출량에 큰 변화를 일으킨다. 기후 변화와 과도한 방목은 모두 황폐화의 원인이다.[37] 칭하이-티베트 고원의 고산 습지 초원처럼 토양 유기물 함량이 높고 분해가 느린 곳은 이산화탄소(CO2) 공급원 및 탄소 흡수원으로서 잠재력이 크다. 하지만 황폐화의 영향은 점차 뚜렷해지고 있다.[38] 초지 황폐화와 토양 탄소 손실 간의 연관성이 관찰되었는데, 이는 이산화탄소 방출을 증가시킨다. 따라서 황폐화된 초지를 복원하면 기후 변화 완화에 기여할 수 있다.[39]
4. 1. 생태학적 영향
초지에서 일어나는 천이(移行)는 밭, 목초지, 농지 등에서 풀베기나 방목이 중단되면 풀과 야생화가 무성해지며 시작된다.[8] 그러나 이는 일시적인 현상으로, 관목과 목본 식물이 자라면서 그늘이 지고, 결국 숲으로 돌아가는 과정의 선구자 역할을 한다.[9] 이러한 천이 상태는 10~12년 주기로 경작지와 초지를 번갈아 사용하는 이중 밭 시스템을 통해 인위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8]유럽의 식민지화 이전 북아메리카에서, 알곤킨족, 이로쿼이족을 비롯한 미국 원주민들은 사슴과 사냥감이 먹이를 찾고 사냥을 할 수 있도록 숲을 정기적으로 개간하여 천이 초지를 만들었다. 오늘날의 일부 초원은 원주민들의 정기적인 화전(火田)으로 인해 수천 년 전에 시작되었다.[9][10]
환경 요인에 의해 여러해살이 풀이 유리하고 목본 식물의 성장이 제한되는 곳을 영구 초원(자연 초원)이라고 한다.[11] 영구 초원의 유형은 다음과 같다.
- 고산 초원: 수목 한계선 이상의 고지대에서 혹독한 기후 조건에 의해 유지된다.
- 해안 초원: 염수에 의해 유지된다.
- 사막 또는 사막 초원: 낮은 강수량 또는 영양분 및 부식토 부족으로 제한된다.
- 프레리: 심각한 가뭄 기간에 의해 유지되거나 산불의 영향을 받는다.
- 습지 초원: 연중 대부분 물로 포화되어 있다.
스페인 타피아 데 카사리에고 근처 비스케이 만의 해안 초원
인간 활동은 초지 토양의 황폐화를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숄라 지역의 산사태를 유발했다. 예를 들어, 폴란드 자코파네 마을의 초지는 스키 활동과 도시화로 인해 토양 구성이 변화했는데, 유기물이 사라지고 인공적으로 녹은 눈과 스키 장비의 화학 물질로 인해 훼손되었다.[21]
기후 변화는 여러 요인들을 통해 복잡하고 비선형적인 군집 반응을 일으켜, 생태계 구조가 근본적으로 변화하는 생태적 재조합을 초래한다.[32] 예를 들어, 식물의 개화 시기와 꽃가루 매개자의 생태적 변화가 일치하지 않거나, 상호 의존하는 식물 군집의 성장 기간이 달라질 수 있다.[30] 로키 산맥 초원 연구에서는 한여름에 꽃 활동이 거의 없는 기간이 나타났으며, 이는 지속적인 꽃 자원 공급에 의존하는 꽃가루 매개자에게 위협이 된다.[33]
동물과 식물 모두 인위적인 지구 온난화에 빠르게 적응하고 있으며, 개체 수, 서식지 점유율, 생식 주기 변화는 이러한 환경 변화에 적응하기 위한 전략이다. 식물은 기후 변화의 영향을 보여주는 중요한 생물 지표이므로, 식물의 생태 전략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는 것이 중요하다.[32] 동티베트 고산 초원에서는 1년생 식물과 다년생 식물 사이에 개화 생태학적 차이점과 유사점이 관찰되었다.[34]
북방 지역은 기후 변화로 인해 더 큰 변화를 겪을 가능성이 높다. 고산 지역의 북극 초원 식물은 일정한 온도 상승 패턴에 적응하여 광합성을 강화하고 호흡을 증가시켜 순 탄소 이득을 얻었지만, 단기간의 변화에는 열 적응 시간이 부족하여 사망할 가능성이 높았다.[35]
4. 1. 1. 온도 상승의 영향
기후 변화는 전 세계적으로 온도와 강수 패턴에 영향을 미친다. 일반적으로 온도는 상승하고 적설량은 더 일찍 녹는 경향이 있으며, 많은 지역이 더 건조해지는 경향이 있다.[22] 이에 따라 많은 종들은 서식지를 천천히 위쪽으로 이동하거나, 발아 또는 개화 시기를 바꾸는 ''생태 시기'' 적응을 통해 변화에 반응한다.[22]초지에서는 온도 상승으로 인해 물 부족 현상이 심해지면서 식물이 제대로 자라지 못하고, 이는 동물들에게 충분한 먹이를 제공하지 못하는 결과를 초래한다.[23] 이러한 식물의 변화는 버팔로 개체군뿐만 아니라 곤충을 포함한 많은 다른 동물들에게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온도 변화에 대응하여 개화 식물은 공간적 또는 시간적 변화를 통해 반응할 수 있다. 공간적 변화는 더 추운 지역, 종종 더 높은 고도로의 이동을 의미하며,[24] 시간적 변화는 식물이 연중 다른 시기에 꽃을 피우도록 생태를 변경하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나 이러한 적응에는 제한이 따르는데, 공간적 이동은 이미 다른 종이 서식하고 있거나, 식물이 특정 수문학 또는 토양 유형에 의존할 경우 어려울 수 있다.[26]
다른 연구자들은 더 높은 온도가 총 생물량을 증가시킬 수 있지만, 온도 충격과 불안정성은 생물 다양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25] 이는 이전에 극심한 기상 현상에 대한 완충 효과가 있는 것으로 여겨졌던 다년생 종에서도 마찬가지이다.[25]
4. 1. 2. 강수 패턴 변화의 영향
기후 변화는 전 세계적으로 온도와 강수 패턴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일반적으로 온도는 상승하고, 적설량은 더 일찍 녹으며, 많은 지역이 건조해지는 경향이 있다. 초지에서는 물이 부족해짐에 따라 식물에 습기가 줄어든다.[23] 개화 식물은 제대로 자라지 못하고 동물들에게 충분한 먹이를 제공하지 못하게 된다. 이러한 식물의 변화는 다양한 동물들에게 영향을 미칠 수 있다.건조하거나 습한 초지는 강수 변화에 비교적 탄력적이지만, 중간 습도의 초지는 다른 체제로 쉽게 바뀔 수 있어 특성이 변화한다.[26] 건조한 초원은 관목 및 목본 식물의 침입과 개화하는 초본의 감소로 위협받는 반면, 습윤한 지역은 목본 종을 잃는 경향이 있다.[27][28][26] 토양이 건조해지면 뿌리가 얕은 초본은 물을 얻기 어렵고, 뿌리가 깊은 목본 식물은 더 낮은 토양층의 물을 이용해 가뭄을 견딜 수 있다.
장기적으로 수문학적 체제 변화는 새로운 조건에 적응 가능한 침입종의 정착을 촉진할 수 있다.[26] 예를 들어, 히말라야 산맥 남부의 고산 초원이 관목 지대로 대체되고 있는데, 기후 변화가 이 과정의 주요 원인으로 보인다.[29] 더 습한 겨울은 총 바이오매스를 증가시킬 수 있지만, 경쟁력이 강한 종을 선호하게 될 수 있다.[27] 불안정한 강수 패턴은 전문화된 식물을 감소시키고 일반적인 종의 유행을 촉진하여 생물 다양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27]
4. 1. 3. 적설량 감소의 영향
기후 변화는 전 세계적으로 온도와 강수 패턴에 영향을 미치는데, 특히 고산 초원 지역에서 눈이 녹는 시기의 변화는 식물의 생물 계절 반응에 중요한 결정 요인으로 보인다.[30] 눈이 녹는 것의 영향이 온난화 자체보다 더 크다는 데이터도 있다. 눈이 녹으면서 주입되는 수분이 연말에 부족할 수 있으므로, 더 이른 시기가 식물에게 일관되게 긍정적인 것은 아니다. 또한 씨앗 포식 기간이 더 길어질 수 있다. 단열 효과가 있는 눈 덮개의 부족 역시 문제인데, 봄철 서리 현상이 더 큰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다.[31]4. 1. 4. 생태 군집에 대한 영향
밭, 목초지, 농지 등에서 풀베기나 방목이 중단되면 풀과 야생화가 무성해지며 천이(移行)가 시작된다. 그러나 이는 일시적인 현상으로, 관목과 목본 식물이 자라면서 그늘이 지고, 결국 숲으로 돌아가는 과정의 선구자 역할을 한다.[9] 이러한 천이 상태는 10~12년 주기로 경작지와 초지를 번갈아 사용하는 이중 밭 시스템을 통해 인위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8]유럽의 식민지화 이전 북아메리카에서, 알곤킨족, 이로쿼이족을 비롯한 미국 원주민들은 사슴과 사냥감이 먹이를 찾고 사슴 사냥을 할 수 있도록 숲을 정기적으로 개간하여 천이 초지를 만들었다. 오늘날의 일부 초원은 원주민들의 정기적인 화전(火田)으로 인해 수천 년 전에 시작되었다.[9][10]
환경 요인에 의해 여러해살이 풀이 유리하고 목본 식물의 성장이 제한되는 곳을 영구 초원(자연 초원)이라고 한다.[11] 영구 초원의 유형은 다음과 같다.
- 고산 초원: 수목 한계선 이상의 고지대에서 혹독한 기후 조건에 의해 유지된다.
- 해안 초원: 염수에 의해 유지된다.
- 사막 또는 사막 초원: 낮은 강수량 또는 영양분 및 부식토 부족으로 제한된다.
- 프레리: 심각한 가뭄 기간에 의해 유지되거나 산불의 영향을 받는다.
- 습지 초원: 연중 대부분 물로 포화되어 있다.
스페인 타피아 데 카사리에고 근처 비스케이 만의 해안 초원
기후 변화는 전 세계적으로 온도와 강수 패턴에 영향을 미치며, 많은 종들이 서식지를 위쪽으로 이동하거나 ''생태 시기''를 적응시키는 방식으로 반응한다.[22] 초지에서는 물 부족으로 인해 식물이 제대로 자라지 못하고 동물들에게 충분한 먹이를 제공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23]
온도 변화에 대응하여 식물은 공간적(더 추운 지역으로 이동) 또는 시간적(개화 시기 변경) 변화를 통해 반응할 수 있다.[24] 그러나 이러한 적응에는 제한이 있으며, 다른 연구에서는 온도 충격과 불안정성이 생물 다양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밝혔다.[25]
초지의 수문학적 체제에 따라 강수 패턴 변화의 영향은 다르게 나타난다. 건조하거나 습한 초지는 비교적 탄력적이지만, 중간 습도의 초원은 다른 체제로 쉽게 바뀔 수 있다.[26] 건조한 초원은 관목 등의 침입과 초본 감소로 위협받는 반면, 습윤한 지역은 목본 종을 잃는 경향이 있다.[27][28][26] 장기적으로 수문학적 체제 변화는 침입종 정착을 촉진할 수 있다.[26]
눈 덮개는 온도, 강수량 등의 변화와 관련이 있으며, 특히 고산 지역에서 눈이 녹는 시기의 변화는 식물의 생물 계절 반응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30]
이러한 요인들은 복잡하고 비선형적인 군집 반응을 일으키며, 생태계 구조가 근본적으로 변화하는 생태적 재조합을 초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식물의 개화 시기와 꽃가루 매개자의 생태적 변화가 일치하지 않거나, 상호 의존하는 식물 군집의 성장 기간이 달라질 수 있다.[30] 로키 산맥 초원 연구에서는 한여름에 꽃 활동이 거의 없는 기간이 나타났으며, 이는 지속적인 꽃 자원 공급에 의존하는 꽃가루 매개자에게 위협이 된다.[33]
4. 2. 생태학적 재조립
밭, 목초지, 농지 등 개간된 땅에서 풀을 베거나 방목을 하지 않으면 풀과 야생화가 무성해져 꽃이 피고 씨앗을 뿌리게 된다.[8] 그러나 이는 일시적인 현상으로, 관목지나 목본 식물이 자라면서 그늘이 지기 때문이다. 관목지와 목본 식물은 숲으로 돌아가는 과정의 선구자 역할을 한다.[9] 이러한 천이 상태는 10~12년 주기로 경작지와 초지를 번갈아 사용하는 이중 밭 시스템을 통해 인위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8]유럽의 식민지화 이전 북아메리카에서는 알곤킨족, 이로쿼이족 등 미국 원주민들이 사슴과 사냥감이 먹이를 찾고 사슴 사냥을 할 수 있도록 숲을 정기적으로 개간하여 천이 초지를 만들었다. 오늘날 일부 초원은 원주민들의 정기적인 화전(火田)으로 인해 수천 년 전에 시작되었다.[9][10]
기후 변화는 전 세계적으로 온도와 강수 패턴에 영향을 미치며, 많은 종들이 서식지를 위쪽으로 이동하거나 ''생태 시기'' 적응을 통해 이러한 변화에 반응한다.[22] 초지에서는 물 부족으로 식물이 제대로 자라지 못해 동물들에게 충분한 먹이를 제공하지 못하게 된다.[23]
이러한 요인들은 복잡하고 비선형적인 군집 반응을 일으키는데, 서로 다른 종이 다양한 수준의 생태적 반응을 보이며 생태계 구조가 근본적으로 변화하는 생태적 재조합이 발생한다.[32] 예를 들어, 특정 식물의 개화 시기가 꽃가루 매개자[32]의 생태적 변화와 일치하지 않거나, 서로 의존하는 식물 군집의 성장 기간이 달라질 수 있다.[30] 로키 산맥의 초원 연구에서는 한여름 꽃 피크가 여러 개로 분리되어 꽃가루 매개자에게 위협이 되는 현상이 나타났다.[33] 데빈스키 등은 초원에서 관찰된 단기적인 변화를 "경관 구성의 모자이크 변화"로 묘사한다.[26]
동물과 식물 모두 인위적인 지구 온난화에 빠르게 적응하고 있으며, 개화 시기와 기간은 눈 녹음, 온도, 토양 수분 등 다양한 요인에 의해 발생하는 생태학적 재조립의 한 측면이다.[32] 동티베트의 고산 초원에서는 1년생 식물과 다년생 식물 사이에 개화 시기와 기간의 차이가 관찰되었다.[34]
4. 3. 극한 기상 현상
기후 변화는 전 세계적으로 온도와 강수 패턴에 영향을 미치며, 이는 초지 생태계에 큰 영향을 준다. 일반적으로 기온 상승, 적설량 감소, 건조한 환경 심화 등의 현상이 나타난다.[22]초지에서는 물 부족 현상이 심화되면서 식물 생장에 필요한 습기가 줄어든다.[23] 이는 개화 식물의 성장을 방해하고, 결과적으로 동물들에게 충분한 먹이를 제공하지 못하게 된다. 이러한 식생 변화는 버팔로 개체군뿐만 아니라 곤충을 포함한 많은 다른 동물들에게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북극 지역과 같이 기온 상승이 두드러지는 지역에서는 초원 식물의 적응을 관찰하기 위한 실험이 수행되었다. 실험 결과, 식물은 일정한 온도 상승 패턴에 적응하여 광합성을 늘리고 호흡을 조절하여 생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단기간의 급격한 온도 변화는 식물의 적응 시간을 부족하게 만들어 생존율을 낮출 수 있다.[35]
이러한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많은 종은 서식지를 고도가 높은 곳으로 이동하거나, 발아 및 개화 시기를 조절하는 등 생태 시기를 변화시키기도 한다.[22]
4. 4. 초지 복원과 탄소 저장
초원은 토양에 많은 양의 유기 탄소를 저장하여 탄소 흡수원 및 배출원 역할을 할 수 있다. 탄소 흡수와 배출은 자연적인 순환에 의해 결정되며, 계절 변화(비성장기 대 성장기)와 상호 작용한다. 다양한 초원 유형은 각기 다른 속성을 가지며, 이는 해당 지역의 탄소 흡수 능력에 영향을 미친다. 예를 들어 해초 초원은 전 세계 탄소 순환에서 중요한 흡수원 중 하나이다. 해초 초원의 경우, 다른 온실 기체(메테인 및 아산화 질소)의 생산이 증가하지만, 전체적으로는 총 배출량을 상쇄하는 효과를 가져온다. 한편, 초원 손실의 일반적인 원인은 기후 변화이며, 이로 인해 탄소 배출량이 증가한다. 일부 경우 초원 복원을 촉진한 복원 프로젝트(예: 미국 버지니아 주의 ''Zostera marina'' 초원)가 제기되었다.[36]4. 4. 1. 초지 황폐화
초지 황폐화가 발생한 경우, 비생장 기간 동안 이산화탄소 유출에 상당한 변화가 일어날 수 있다. 기후 변화와 과도한 방목 모두 황폐화의 요인이다.[37] 칭하이-티베트 고원의 고산 습지 초원과 같이 토양 유기물 함량이 높고 분해가 낮아, 적당한 CO2 공급원과 탄소 흡수원이 될 수 있는 잠재력이 있다. 하지만 이러한 역학 관계가 더 많이 정량화될수록, 황폐화의 영향은 더욱 뚜렷해진다.[38] 초지 황폐화와 토양 탄소 손실 사이의 강력한 연관성이 관찰되었으며, 이로 인해 이산화탄소 방출이 촉진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이는 결과적으로 황폐화된 초지를 복원함으로써 기후 변화 완화 가능성을 시사한다.[39]4. 4. 2. 배출권 거래제
배출권 거래제는 배출량에 대한 시장 기반 규제로, 기후 완화를 위한 복원 프로젝트를 통합하기도 한다. 예를 들어, 캘리포니아의 배출권 거래 프로그램은 초원 복원을 탄소 배출량 감축 시스템에 통합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오듀본(Audubon)의 예비 연구에 따르면, 황폐화된 초원에 비해 토양 탄소 저장량을 상당히 늘리는 동시에 지역 생물 다양성을 증진할 가능성이 있다.[40] 하지만 최근 COVID-19 팬데믹 기간 동안 복원의 어려움이 나타나기 시작했다. 초기 몇 년 동안 복원 중인 지역은 외부적인 방해에 취약하며, 예를 들어 생태계가 가장 민감한 시기에 침입종에 대한 초원 관리가 중단되는 경우가 있다.[41]5. 한국의 초지
주어진 원본 소스는 일본의 초지에 대한 법률 및 면적 변화를 다루고 있다. 한국의 초지에 대한 내용은 없으므로, 주어진 `title`과 `section-title`에 맞는 내용을 작성할 수 없다.
5. 1. 한국 초지의 역사
주어진 원본 소스는 일본의 초지에 대한 내용이므로, 한국 초지의 역사에 대한 내용을 담고 있지 않다. 따라서 주어진 원본 소스만으로는 섹션을 작성할 수 없다. (이 내용은 변경할 수 없습니다. 이전 출력과 동일합니다.)5. 2. 한국 초지의 현황 및 문제점
주어진 원본 소스는 일본의 초지에 대한 현황 및 법률 내용을 담고 있으며, 한국의 초지 현황 및 문제점에 대한 내용은 포함하고 있지 않다. 따라서 주어진 `title`과 `section-title`에 해당하는 내용을 작성할 수 없다. (이전 출력과 동일)5. 3. 한국 초지 보전 및 관리 방안
(없음)6. 초지의 이용
초지는 이용 목적에 따라 다양하게 분류된다. 크게 목초지, 채초 영년 목초지, 방목 영년 목초지, 채초 야초지, 방목 야초지, 채초·방목 산림(혼목림) 등으로 나뉜다.[43]
좀 더 세분화하면, 초지는 목야, 땔감용 섶풀밭, 지붕 이엉이나 볏짚 가마니 제조용 억새밭으로 나눌 수 있다. 이 중 목야는 다시 가축을 방목하는 방목지와 풀을 베어 사료로 사용하는 채초지로 구분된다.[44]
6. 1. 농업적 이용
농업에서 초지는 가축의 정기적인 방목 없이 건초 생산을 위해 방치하여 자라도록 하는 초지이다. 그 뿌리는 건초 수확에 적합한 도구가 등장한 철기 시대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초지에서 가축 사료를 생산하는 능력은 가축 생산에 상당한 이점을 제공했는데, 동물들을 울타리에 가두어 사육 관리를 단순화할 수 있었기 때문이다. 여름철 바이오매스 생산의 잉여분은 겨울 동안 저장할 수 있었고, 더 이상 겨울 동안 가축 방목의 필요성이 없어 숲과 초지의 피해를 예방했다.[1]특히 영국과 아일랜드에서 초지라는 용어는 건초를 만들기 위해 여름에 매년 예초하는 초지를 의미하는 건초 초지로 흔히 사용된다. 농업용 초지는 일반적으로 건초나 목초가 자체 파종 또는 손으로 파종한 씨앗에서 자라는 저지대 또는 고지대 목초지이다.[5] 전통적인 건초 초지는 한때 영국의 시골에서 흔했지만 지금은 감소하고 있다. 생태학자 존 로드웰(John Rodwell) 교수는 지난 세기 동안 잉글랜드와 웨일스가 건초 초지의 약 97%를 잃었다고 말한다.[3]
건초 초지와 유사한 개념은 목초지인데, 이는 여름 동안 방목되는 것이 초지와 다르며, 건초를 위해 방치되어 자라다가 주기적으로 베어낸다.[5] 초지라는 용어는 건초 초지와 풀 목초지를 모두 설명하는 데 사용된다.[7]
초지와 관련된 특정 농업 관행은 건초 생산, 방목하는 소와 가축에게 먹이 제공, 과수원이나 꿀 생산을 위한 공간 제공 등 다양한 형태로 나타날 수 있다. 초지는 유지 관리를 위해 복잡한 사회 문화적 조건의 그물망에 포함되어 있으며 이에 의존한다. 역사적으로 필요한 도구가 사용 가능해졌을 때 농업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등장했다. 오늘날 농업 관행이 바뀌었고 초지는 원래의 목적을 대부분 잃었다. 그러나 오늘날에는 미학과 생태학적 기능으로 높이 평가받고 있다. 결과적으로 유럽 연합의 공동 농업 정책은 주로 방목을 통해 초지 관리를 보조한다.[1]
일부 환경 단체는 잔디 깎기를 중단하거나 줄여 잔디밭을 초지로 전환할 것을 권장한다. 그들은 초지가 생물 다양성을 더 잘 보존하고, 물을 절약하며, 비료 사용을 줄일 수 있다고 주장한다.[19]
초지는 이용상 목초지, 채초 영년 목초지, 방목 영년 목초지, 채초 야초지, 방목 야초지, 채초·방목 산림(혼목림) 등으로 나뉜다.[43] 이용상의 분류에서는 초지를 목야, 섶풀밭(연료용), 억새밭(지붕 이엉, 볏짚 가마니 제조용)으로 나누며, 이 중 목야를 방목지(가축 방목용)와 채초지로 나누는 분류도 있다.[44]
6. 2. 생태적 이용
최근 도시 지역은 잠재적인 생물 다양성 보존 장소로 여겨지고 있다. 도시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서식지인 도시 잔디밭을 도시 초지로 바꾸면 식물과 동물 군집에 더 좋은 서식지를 제공할 수 있다. 도시 잔디밭은 집중적인 관리가 필요하며, 특히 잔디 깎는 빈도가 잦아 그곳의 생명체가 서식지를 잃을 위험이 크다. 잔디 깎는 빈도를 줄이면 식물 군집의 다양성이 뚜렷하게 증가하며, 이는 도시 잔디밭에서 도시 초원으로의 전환을 가능하게 한다.[12]도시화가 심화됨에 따라, 2017년 EU 생물 다양성 전략은 기후 변화로 인해 모든 생태계를 보호해야 한다고 선언했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공원 방문이나 공공 녹지 시설을 통해 식물에 대한 지식을 얻는다. 지방 당국은 대중에게 녹지 공간을 제공할 의무가 있지만, 예산 삭감으로 인해 사람들이 도시에서 자연을 접하기 어려워지고 지역 생태계가 훼손되고 있다. "더 지저분한 도시 미학"에 대한 인식이 높아짐에 따라, 다년생 초원은 유지 관리 비용이 더 효율적인 대안으로 간주될 수 있다. 도시 공간 관리자는 다음과 같은 요소를 중요하게 고려해야 한다.
인위적으로 조성된 초지는 인간의 개입으로 생겨나며, 지속적으로 유지되고 번성하기 위해 인간의 개입을 필요로 한다.[14] 많은 지역에서 자연적으로 자유롭게 돌아다니는 대형 초식동물은 인간의 활동으로 인해 멸종되었거나 매우 제한적이어서, 주변 생태계에 미치는 자연적인 영향력이 감소하거나 사라졌다. 그 결과 초지는 인간의 개입을 통해서만 조성되거나 유지된다.[15] 기존의 초지는 농업 관행이 유지되지 않으면 점차 쇠퇴할 수 있다. 인류는 수천 년 동안 세계 여러 지역의 생태계와 풍경에 영향을 미쳐왔기 때문에, 무엇이 자연적이고 무엇이 문화적인 것인지 구별하기 어려울 때가 있다.[16] 초지가 그 한 예이다. 그러나 초지는 역사적으로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대형 초식동물에 의해 유지되어 왔으며, 이들은 식물의 성장을 억제하고 개방된 공간을 유지했다.[17][18]
광범위한 농업과 같은 목축업이 세계 일부 지역에서 감소함에 따라, 초지는 서식지로서 위험에 처해 있다. 많은 연구 프로젝트가 자연적인 대형 초식동물을 재도입하여 자연 초지 서식지를 복원하려고 시도하고 있다.[15][17][18] 여기에는 지역에 따라 사슴, 엘크, 염소, 야생마 등이 포함된다.
일부 환경 단체는 잔디 깎기를 중단하거나 줄여 잔디밭을 초지로 전환할 것을 권장한다. 이들은 초지가 생물 다양성을 더 잘 보존하고, 물을 절약하며, 비료 사용을 줄일 수 있다고 주장한다.[19] 예를 들어, 2018년에는 전 세계적으로 꿀벌 개체 수 감소에 우려를 표명한 잉글랜드 환경식품농촌부의 지원을 받는 환경 단체가 꿀벌을 보존하는 방법에 대한 몇 가지 권장 사항을 제시했다. 여기에는 1) 꽃, 관목, 나무 심기, 2) 정원을 야생 상태로 유지, 3) 잔디를 덜 자주 깎기, 4) 곤충 둥지와 동면 장소 건드리지 않기, 5) 살충제 사용 시 신중한 고려 등이 포함된다.[20]
초지는 이용상 목초지, 채초 영년 목초지, 방목 영년 목초지, 채초 야초지, 방목 야초지, 채초·방목 산림(혼목림) 등으로 나뉜다.[43]
이용상의 분류에서는 초지를 목야, 섶풀밭(연료용), 억새밭(지붕 이엉, 볏짚 가마니 제조용)으로 나누며, 이 중 목야를 방목지(가축 방목용)와 채초지로 나누는 분류도 있다.[44]
6. 3. 기타 이용
최근 도시 지역은 잠재적인 생물 다양성 보존 장소로 여겨지고 있다. 도시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서식지인 도시 잔디밭을 도시 초원으로 전환하면 식물과 동물에게 더 좋은 서식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도시 잔디밭은 잦은 잔디깎기 등 집중적인 관리가 필요하여 생물들이 서식지를 잃을 위험이 크다. 잔디 깎는 빈도를 줄이면 식물 군집의 다양성이 증가하여 도시 잔디밭이 도시 초원으로 바뀔 수 있다.[12]도시화가 심화되면서, 2017년 EU 생물 다양성 전략은 기후 변화에 대응하여 모든 생태계를 보호해야 한다고 선언했다. 대부분의 도시민들은 공원 방문이나 공공 녹지 시설을 통해 식물에 대한 지식을 얻는다. 지방 정부는 시민들에게 녹지 공간을 제공할 의무가 있지만, 예산 삭감으로 인해 도시에서 자연을 접하기 어려워지고 지역 생태계가 훼손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에 따라 유지 관리 비용이 효율적이고 다년생 식물이 자라는 초원은 "더 지저분한 도시 미학"이라는 인식이 개선되면서 도시 잔디밭의 현실적인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다. 도시 공간 관리자는 다음과 같은 요소를 중요하게 고려해야 한다.
- '''미학 및 대중의 반응'''
- '''위치적 맥락'''
- '''인적 자원 및 경제적 지속 가능성'''
- '''지역 정치'''
- '''의사 소통'''
- '''생물 다양성 및 기존 서식지'''
- '''물리적 요인.'''[13]
초지는 이용 목적에 따라 목초지, 채초 영년 목초지, 방목 영년 목초지, 채초 야초지, 방목 야초지, 채초·방목 산림(혼목림) 등으로 나뉜다.[43] 이용상의 분류에서는 초지를 목야, 섶풀밭(땔감용), 억새밭(지붕 이엉, 볏짚 가마니 제조용)으로 나누며, 이 중 목야를 방목지(가축 방목용)와 채초지로 나누기도 한다.[44]
참조
[1]
논문
Origin and Development of Managed Meadows in Sweden: A Review
2020
[2]
논문
Effect of nature protection and management of grassland on biodiversity – Case from big flooded river valley (NE Poland)
2023-11-10
[3]
뉴스
Conservationists warn of hay meadow decline
https://www.bbc.co.u[...]
BBC News Science & Environment
2013-06-18
[4]
간행물
Fields of Gold
Worcestershire Life
2013-05
[5]
문서
Meadow
https://en.wikisourc[...]
2013-06-18
[6]
문서
Pasture
https://en.wikisourc[...]
2013-07-05
[7]
서적
Land-Use Patterns, Historic
https://www.scienced[...]
Academic Press
2023-05-02
[8]
서적
Grasslands of the East Carpathian Biosphere Reserve in Slovakia
National Academies Press
1996-09-27
[9]
문서
Conifer Invasion of Forest Meadows Transforms Soil Characteristics in the Pacific Northwest
http://andrewsforest[...]
2013-06-18
[10]
서적
Connecticut Wildlife: Biodiversity, Natural History, and Conservation
UPNE
2004
[11]
문서
Meadow
http://slovari.yande[...]
2013-06-18
[12]
논문
From urban lawns to urban meadows: Reduction of mowing frequency increases plant taxonomic, functional and phylogenetic diversity
2018-12
[13]
논문
"Not in their front yard" The opportunities and challenges of introducing perennial urban meadows: A local authority stakeholder perspective
2017-07
[14]
논문
Agricultural practices and biodiversity: Conservation policies for natural grasslands in Europe
2024-08-19
[15]
웹사이트
Natural grazing
http://www.freenatur[...]
Foundation for Restoring European Ecosystems
2017-06-20
[16]
웹사이트
TRInet
http://www.tri-net.e[...]
2013-12-10
[17]
웹사이트
Natural Grazing – Practices in the Rewilding of Cattle and Horses
https://www.rewildin[...]
Rewilding Europe
2015-12-16
[18]
논문
Biodiversity management of fens and fen meadows by grazing, cutting and burning
[19]
웹사이트
Why flowering meadows are better than lawns
https://www.mnn.com/[...]
2018 NARRATIVE CONTENT GROUP
2018-07-09
[20]
웹사이트
Bees' Needs Week 2018
https://www.bumblebe[...]
2018-07-09
[21]
논문
Assessment of heavy metal pollution risks and enzyme activity of meadow soils in urban area under tourism load: a case study from Zakopane (Poland)
2018-05
[22]
뉴스
Ecosystem Shift: How Global Climate Change is Reshaping the Biosphere
http://sitn.hms.harv[...]
2020-04-26
[23]
웹사이트
Climate change impacts 'medium' meadows
https://www.futurity[...]
2021-06-24
[24]
논문
A globally coherent fingerprint of climate change impacts across natural systems
2003-01
[25]
논문
Impacts of different climate change regimes and extreme climatic events on an alpine meadow community
2016-02-18
[26]
논문
Montane meadow change during drought varies with background hydrologic regime and plant functional group
2010
[27]
웹사이트
Climate Change Adaption Manual – Lowland meadow
http://publications.[...]
2020-05-10
[28]
웹사이트
Climate Change Adaption Manual – Upland hay meadow
http://publications.[...]
2020-05-10
[29]
논문
Regime shift on the roof of the world: Alpine meadows converting to shrublands in the southern Himalayas
2013-02
[30]
논문
Flowering phenology in subalpine meadows: Does climate variation influence community co-flowering patterns?
2010-02
[31]
논문
Effects of experimentally reduced snowpack and passive warming on montane meadow plant phenology and floral resources
2017-03
[32]
논문
Climate drives phenological reassembly of a mountain wildflower meadow community
2017-10-11
[33]
논문
Emergence of a mid-season period of low floral resources in a montane meadow ecosystem associated with climate change
2011-03-16
[34]
논문
Relationships between Flowering Phenology and Functional Traits in Eastern Tibet Alpine Meadow
2011-11-01
[35]
논문
Impacts of different climate change regimes and extreme climatic events on an alpine meadow community
2016
[36]
논문
The greenhouse gas offset potential from seagrass restoration
2020-04-30
[37]
논문
Agricultural practices and biodiversity: Conservation policies for natural grasslands in Europe
2024-08-19
[38]
논문
Seasonal variations in carbon dioxide exchange in an alpine wetland meadow on the Qinghai-Tibetan Plateau
2010-04-06
[39]
논문
Increasing grassland degradation stimulates the non-growing season CO2 emissions from an alpine meadow on the Qinghai–Tibetan Plateau
2018-07-11
[40]
웹사이트
Can Restored Meadows Fight Climate Change? California Seeks to Find Out
https://www.audubon.[...]
2017-07-19
[41]
웹사이트
From Meadow to Marsh, Habitats May Take a Hit During Pandemic
https://www.audubon.[...]
2020-04-20
[42]
웹사이트
高橋佳孝「草原の自然再生と多様な主体の連携」里なび研修会 in 熊本 半自然草原に生き続ける多様な命を守ろう
https://www.env.go.j[...]
環境省
2022-11-18
[43]
웹사이트
宮沢香春「北海道における草地の実態」
https://hlgs.jp/arch[...]
北海道畜産草地学会
2022-11-18
[44]
웹사이트
伊藤健次「草地改良の実際」
http://okayama.lin.g[...]
岡山県畜産協会
2022-11-18
[45]
논문
英語英文学の背景:英国の田園
https://www.seijo.ac[...]
成城大学文芸学部
1985-03
[46]
서적
センサスに見る日本の林業(1990年)
全国農林統計協会連合会
1992
[47]
논문
Origin and Development of Managed Meadows in Sweden: A Review
2020
[48]
논문
Effect of nature protection and management of grassland on biodiversity – Case from big flooded river valley (NE Poland)
https://www.scienced[...]
2023-11-1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