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쿠보 도시미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오쿠보 도시미치는 1830년에 태어나 1878년 암살당한 사쓰마 번 출신의 일본 정치인으로, 메이지 유신의 주역 중 한 명이다. 그는 사쓰마 번의 하급 관리에서 시작하여 시마즈 나리아키라의 신임을 얻고, 막부 말기에는 도막 운동에 참여했다. 메이지 유신 이후에는 신정부에서 요직을 맡아 중앙집권 체제 확립에 기여했으며, 부국강병을 위한 개혁을 추진했다. 1878년, 도쿄에서 불만을 품은 사족에게 암살당했다. 그는 뛰어난 현실 감각과 정치적 수완으로 메이지 유신을 성공으로 이끌었지만, 급진적인 개혁 정책과 권위주의적인 통치 방식은 비판을 받기도 한다.
1830년 9월 26일, 사쓰마 국 가고시마 성 아래 고려정(현 가고시마현 가고시마시 고려정)에서 사쓰마 번사(士族)인 오쿠보 도시요시와 후쿠 사이의 장남으로 태어났다. 아명은 '''쇼케사'''(正袈裟)이며, 가계는 오소네요(御小姓与)라 불리는 하급 번사였다. 유년기에 가지야정(시모가지야정방)으로 이주하였다.
오쿠보 도시미치는 메이지 유신과 근대 일본 정부 수립에 핵심적인 역할을 한 인물로, 1873년 내무경이 된 후 사망할 때까지 일본에서 가장 강력한 권력을 가졌다.[10] 그는 충성심과 민족주의 정신으로 동료와 적 모두에게 존경받았다.
2. 생애
다섯 자녀 중 장남이었던 오쿠보는 가지야정의 향중이나 번교 조시관에서 세 살 위인 사이고 다카모리 등과 함께 학문을 배우고 친구이자 동지가 되었다. 어린 시절에는 당시 금기였던 사쿠라지마 화구에 돌을 던져 넣거나 온천에서 폭포수를 이용한 온도 조절을 건드려 온천 손님들을 놀라게 하는 등 장난꾸러기였다.[19] 무술은 위가 약해서 뛰어나지는 않았지만, 학문은 향중에서 두각을 나타냈다.[19]
1844년에 원복하여 '''쇼스케'''(正助)라고 이름을 바꾸었다. 1846년에는 사쓰마 번의 사서(史書) 보좌관직을 맡았다.
사쓰마국(현재의 가고시마현) 출신인 오쿠보 도시미치는 사쓰마 번의 하급 관리로 일찍부터 정치에 참여했다. 1846년부터 번의 기록소에서 일하기 시작했으나, 1850년 아버지의 유배로 인해 실직하고 빈곤한 생활을 했다.[20] 그러나 시마즈 나리아키라가 번주가 되면서 복직하여 오쿠라야쿠(大蔵役)가 되었다.[20]
나리아키라 사후, 오쿠보는 사이고 다카모리와 함께 에도 막부를 타도하려는 움직임에 가담했다. 처음에는 존왕양이 운동에 참여했으나, 이후 공무합체 노선을 거쳐 도막(막부 타도) 운동으로 전환했다.[21]
1866년, 오쿠보는 사이고 다카모리, 조슈 번의 기도 다카요시와 만나 사카모토 료마의 중재로 삿초 동맹을 맺었다.
1868년 1월 3일, 사쓰마번과 조슈번의 군대가 교토 고쇼를 점령하고 메이지 유신을 선언하였다. 오쿠보 도시미치는 사이고 다카모리, 기도 다카요시와 함께 '유신 삼걸'로서 메이지 유신 정부를 구성하는데 주도적인 역할을 수행하였다. 메이지 신정부에서 참여(参与) 등의 요직을 맡았다. 1873년 사이고 다카모리가 정한론을 주장하자, 오쿠보는 일본 국내의 개혁과 성장이 우선되어야 한다고 역설했다.
1868년 메이지 유신 이후, 이와쿠라 도모미를 중심으로 한 이와쿠라 사절단의 부사(副使)로서 기도 다카요시, 이토 히로부미와 함께 서양 각국을 순방했다.
귀국 후, 오쿠보는 일본의 빠른 경제 발전을 확신하게 되었다. 이를 위해 기술 학교 설립, 국채 승인, 개인 사업에 대한 임시세 부과, 정부 주도의 공장 건설 및 경영 등을 후원했다.
1873년 사이고 다카모리가 정한론을 주장하자, 오쿠보는 일본 국내의 개혁과 성장이 우선되어야 한다고 반박했다. 일본 정부는 오쿠보의 주장을 지지하여 1894년까지 정한론을 보류했고, 이에 사이고 다카모리는 정부에서 물러나 고향 사쓰마로 돌아가 1877년 세이난 전쟁을 일으켰으나 곧 진압되었고 사이고는 자결했다.
1873년 내무경[7][8]에 취임한 오쿠보는 유신 정권 내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인물로 권력을 강화했다. 내무경으로서 도로, 다리, 항만 건설 등 도쿠가와 막부가 거부했던 산업 개발을 추진했다. 1877년, 오랜 친구였던 사이고 다카모리가 이끄는 사쓰마의 반란 세력이 전국적인 강제 근대화 운동을 종식시키기 위해 메이지 정권에 맞서 봉기했을 때, 정부군을 직접 지휘하여 반란을 진압했고, 그 결과 사이고는 사망했다.
1871년 대장경에 취임하여 이와쿠라 사절단의 부사로 외국을 방문했다. 1873년 귀국 후, 조선 출병을 둘러싼 정한론 논쟁에서 사이고 다카모리와 이타가키 타이스케 등 정한파와 대립하여 메이지 6년 정변을 통해 사이고 등을 실각시켰다. 같은 해 내무성을 설치하고 초대 내무경(참의 겸임)으로서 실권을 장악하여 학제, 지조개정, 징병령 등을 실시했다. 또한 "부국강병"을 슬로건으로 척산흥업 정책을 추진했다.
1874년 2월, 사가의 난이 발발하자 직접 진대 병을 이끌고 원정하여 진압했다. 주모자 에토 신페이 등 13명을 법에 의하지 않는 재판으로 처형했다. 또한 대만 출병의 사후 처리를 위해 전권 변리 대신으로 9월 14일 청으로 건너가 협상을 통해 10월 31일 청이 대만 출병을 의거로 인정하고 50만 량의 배상금을 지불하기로 한 일청 양국 간 상호 조항·상호 증서에 조인했다.
1877년 세이난 전쟁에서는 교토에서 정부군을 지휘했다. 또한 자신이 총재가 되어 우에노 공원에서 8월 21일부터 11월 30일까지 제1회 내국 권업 박람회를 개최했다.
1878년 5월 14일, 도쿄 기오이자카(紀尾井坂)에서 이시카와현의 불평사족 시마다 이치로 등 6명에게 암살당했다.(기오이자카의 변)[30]
오쿠보는 1878년 5월 14일, 마차를 타고 황거로 향하던 중 사이고 다카모리가 생전에 보낸 편지를 읽고 있었다고 한다. 그러던 중 기오이자카 부근 시미즈가야에서 6명의 불평사족에게 살해당했다.[30] 향년 49세(만 47세)였다. 묘소는 도쿄도 미나토구의 아오야마 묘원에 있다.
2. 1. 어린 시절
오쿠보 도시미치(大久保利通)는 1830년 9월 26일 사쓰마 번(薩摩藩)(현재의 가고시마현(鹿児島県)) 가고시마에서 시마즈 나리아키라의 하급 가신(家臣)이었던 오쿠보 주에몬(大久保十右衛門, 도시오(利雄) 또는 시로(四郎)라고도 함)[4]과 의사의 딸 미나요시 후쿠(皆吉福) 사이에서 태어났다.[5] 오쿠보 가문은 높은 신분은 아니었지만, 후지와라 씨(藤原氏)의 후손으로 여겨지는 명문 가문이었다.[6]
1830년 9월 26일, 사쓰마 국 가고시마 성 아래 고려정(현 가고시마현 가고시마시 고려정)에서 사쓰마 번사(士族)인 오쿠보 도시요시와 후쿠 사이의 장남으로 태어났다. 아명은 '''쇼케사'''(正袈裟)이며, 가계는 오소네요(御小姓与)라 불리는 하급 번사(藩士)였다. 유년기에 가지야정(시모가지야정방)으로 이주하였다.
다섯 자녀 중 장남이었던 오쿠보는 가지야정의 향중이나 번교 조시관에서 세 살 위인 사이고 다카모리를 비롯하여 세쇼 아츠시, 요시이 토미, 카이에다 신기 등과 함께 학문을 배우고 친구이자 동지가 되었다. 어린 시절에는 당시 금기였던 사쿠라지마 화구에 돌을 던져 넣거나 온천에서 폭포수를 이용한 온도 조절을 건드려 온천 손님들을 놀라게 하는 등 장난꾸러기였다.[19] 무술은 위가 약해서 뛰어나지는 않았지만, 학문은 향중에서 두각을 나타냈다.[19]
1844년에 원복하여 '''쇼스케'''(正助)라고 이름을 바꾸었다. 1846년에는 사쓰마 번의 사서(史書) 보좌관직을 맡았다.
2. 2. 막부 말기
사쓰마국(현재의 가고시마현) 출신인 오쿠보 도시미치는 사쓰마 번의 하급 관리로 일찍부터 정치에 참여했다. 1846년부터 번의 기록소에서 일하기 시작했으나, 1850년 아버지의 유배로 인해 실직하고 빈곤한 생활을 했다.[20] 그러나 시마즈 나리아키라가 번주가 되면서 복직하여 오쿠라야쿠(大蔵役)가 되었다.[20]
나리아키라 사후, 오쿠보는 사이고 다카모리와 함께 에도 막부를 타도하려는 움직임에 가담했다. 처음에는 존왕양이 운동에 참여했으나, 이후 공무합체 노선을 거쳐 도막(막부 타도) 운동으로 전환했다.[21]
1866년, 오쿠보는 사이고 다카모리, 조슈 번의 기도 다카요시와 만나 사카모토 료마의 중재로 삿초 동맹을 맺었다. 이 동맹은 도쿠가와 막부를 무너뜨리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했다.
2. 3. 도막과 왕정복고
1868년 1월 3일, 사쓰마번과 조슈번의 군대가 교토 고쇼를 점령하고 메이지 유신을 선언하였다. 오쿠보 도시미치는 사이고 다카모리, 기도 다카요시와 함께 '유신 삼걸'로서 메이지 유신 정부를 구성하는데 주도적인 역할을 수행하였다. 메이지 신정부에서 오쿠보는 참여(参与) 등의 요직을 맡았다. 1873년 사이고 다카모리가 조선을 정벌하자는 정한론을 주장하자, 오쿠보는 일본 국내의 개혁과 성장이 우선되어야 한다고 역설했다.
2. 4. 메이지 유신 이후
1868년 메이지 유신 이후, 오쿠보 도시미치는 이와쿠라 도모미를 중심으로 한 이와쿠라 사절단의 부사(副使)로서 기도 다카요시, 이토 히로부미와 함께 서양 각국을 순방했다. 이와쿠라 사절단 시절 오쿠보 도시미치(맨 오른쪽)의 모습을 담은 사진이 남아있다.
귀국 후, 오쿠보는 일본의 빠른 경제 발전을 확신하게 되었다. 이를 위해 기술 학교 설립, 국채 승인, 개인 사업에 대한 임시세 부과, 정부 주도의 공장 건설 및 경영 등을 후원했다.
1873년 동료였던 사이고 다카모리가 조선을 정벌하자는 정한론을 주장하자, 오쿠보는 일본 국내의 개혁과 성장이 우선되어야 한다고 반박했다. 일본 정부는 오쿠보의 주장을 지지하여 1894년까지 정한론을 보류했고, 이에 사이고 다카모리는 정부에서 물러나 고향 사쓰마로 돌아가 1877년 세이난 전쟁을 일으켰으나 곧 진압되었고 사이고는 자결했다.
1873년 내무경[7][8]에 취임한 오쿠보는 유신 정권 내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인물로 권력을 강화했다. 내무경으로서 오쿠보는 도로, 다리, 항만 건설 등 도쿠가와 막부가 거부했던 산업 개발을 추진했다. 1877년, 오쿠보는 오랜 친구였던 사이고 다카모리가 이끄는 사쓰마의 반란 세력이 전국적인 강제 근대화 운동을 종식시키기 위해 메이지 정권에 맞서 봉기했을 때, 정부군을 직접 지휘하여 반란을 진압했고, 그 결과 사이고는 사망했다.
메이지 4년(1871년) 대장경에 취임하여 이와쿠라 사절단의 부사로 외국을 방문했다. 메이지 6년(1873년) 귀국 후, 조선 출병을 둘러싼 정한론 논쟁에서 사이고 다카모리와 이타가키 타이스케 등 정한파와 대립하여 메이지 6년 정변을 통해 사이고 등을 실각시켰다. 같은 해 내무성을 설치하고 초대 내무경(참의 겸임)으로서 실권을 장악하여 학제, 지조개정, 징병령 등을 실시했다. 또한 "부국강병"을 슬로건으로 척산흥업 정책을 추진했다.
메이지 7년(1874년) 2월, 사가의 난이 발발하자 직접 진대 병을 이끌고 원정하여 진압했다. 주모자 에토 신페이 등 13명을 법에 의하지 않는 재판으로 처형했다. 또한 대만 출병의 사후 처리를 위해 전권 변리 대신으로 9월 14일 청으로 건너가 협상을 통해 10월 31일 청이 대만 출병을 의거로 인정하고 50만 량의 배상금을 지불하기로 한 일청 양국 간 상호 조항·상호 증서에 조인했다.
메이지 10년(1877년) 세이난 전쟁에서는 교토에서 정부군을 지휘했다. 또한 자신이 총재가 되어 우에노 공원에서 8월 21일부터 11월 30일까지 제1회 내국 권업 박람회를 개최했다.
2. 5. 암살
1878년 5월 14일, 도쿄 기오이자카(紀尾井坂)에서 이시카와현의 불평사족 시마다 이치로 등 6명에게 암살당했다.(기오이자카의 변)[30] 이 사건은 기오이자카 부근의 시미즈가야(도쿄도지요다구기오이초)에서 일어났지만, '기오이자카의 변'이라고 불린다.
오쿠보는 1878년 5월 14일, 마차를 타고 황거로 향하던 중 사이고 다카모리가 생전에 보낸 편지를 읽고 있었다고 한다. 그러던 중 기오이자카 부근 시미즈가야에서 6명의 불평사족에게 살해당했다.[30] 향년 49세(만 47세)였다. 묘소는 도쿄도 미나토구의 아오야마 묘원에 있다.
3. 평가
오쿠보는 가정에서는 자식을 몹시 사랑하는 다정한 아버지였다. 짧은 시간이라도 외동딸을 껴안고 귀여워했으며, 아이들이 현관으로 나와 신발을 벗겨주려는 모습을 보고 즐거워했다. 공무로 바쁜 와중에도 토요일에는 가족들과 저녁 식사를 함께하며 시간을 보내는 것을 소중히 여겼다.
취미는 바둑이었으며, 상당한 실력을 갖추고 있었다. 오쿠마 시게노부는 오쿠보가 바둑에서 지면 화를 내는 성격이었다고 회고했다.[34] 이토 히로부미는 오쿠보가 바둑을 매우 좋아했으며, 시를 쓰기도 했지만 시인으로서는 성공하지 못했다고 언급했다.[36] 마키노 노부아키는 오쿠보가 바둑을 너무 좋아해 건강을 해칠까 걱정하는 사람도 있었지만, 바둑을 두지 못하면 죽는다는 농담을 할 정도로 바둑을 즐겼다고 전했다.[37]
오쿠보는 담배(진한 이부스키 담배)를 즐겨 피웠으며, 아침저녁으로 파이프를 청소해야 할 정도였다. 서구적인 생활 방식을 선호하여 서양식 방에서 양복을 입고 생활했으며, 푸른 유리로 된 세면 도구를 사용했다. 머리숱이 적어 정수리가 비어 보이는 것을 가리기 위해 머리카락을 빗어 넘기는 등 외모에도 신경을 썼다.[38]
3. 1. 긍정적 평가
오쿠보 도시미치는 뛰어난 현실 감각과 정치적 수완을 바탕으로 메이지 유신을 성공으로 이끈 주역으로 평가받는다. 그는 부국강병을 목표로 근대 산업 육성, 교육 제도 정비, 군사력 강화 등 다양한 분야에서 개혁을 추진했다. 그의 노력은 일본이 근대 국가로 발돋움하는 데 중요한 기반을 마련했다는 평가를 받는다.[10]3. 2. 부정적 평가
오쿠보 도시미치는 급진적인 개혁 정책으로 사회적 갈등을 야기했으며, 몰락한 사족들의 불만을 샀다는 비판을 받는다.[10] 그의 권위주의적인 통치 방식은 민주주의 발전을 저해했다는 지적도 있다. 1873년 정한론을 둘러싼 대립 과정에서 사이고 다카모리가 세이난 전쟁을 일으켜 자결하게 된 것에 대한 책임론도 제기된다.[10]
4. 유산
오쿠보 도시미치는 일본의 근대화를 이끈 대표적인 정치가로 기억된다. 그가 추진한 개혁 정책은 일본 사회 전반에 걸쳐 큰 영향을 미쳤으며, 그의 업적은 오늘날까지도 일본 역사에서 중요한 부분으로 평가받고 있다.[10]
오쿠보는 가정에서는 자식을 매우 사랑하는 다정한 아버지였다고 한다. 출근 전 짧은 시간 동안 외동딸을 껴안고 귀여워했으며, 아이들이 현관으로 나와 신발을 벗겨주려고 하는 모습을 보고 즐거워했다고 한다. 평소에는 공무로 바빠 가족과 저녁 식사를 함께 하는 일이 드물었지만, 토요일에는 친동생들까지 불러 가족과 저녁 식사를 함께 하며 시간을 보냈다고 한다.
취미는 바둑이었다. 바둑을 좋아하는 시마즈 히사미쓰에게 접근하기 위해 바둑을 배웠다고 전해지지만, 그 이전부터 바둑을 즐겼다는 기록도 있다. 오쿠마 시게노부는 이와쿠라와 오쿠보 모두 바둑 실력이 좋았지만, 오쿠보가 조금 더 잘했다고 회고했다.[34] 이토 히로부미는 오쿠보가 바둑을 매우 좋아해서 잘 두었다고 평가했다.[36] 마키노 신켄은 아버지가 바둑을 너무 좋아해서 몸에 해가 되지 않을까 걱정하는 사람도 있었다고 회고했다.[37]
오쿠보는 헤비 스모커였으며, 진한 이부스키 담배를 애용했다. 아침용과 저녁용 파이프를 따로 사용했을 정도로 담배를 즐겨 피웠다. 차는 교토 우지시의 옥로를 진하게 우려낸 것을 좋아했으며, 여러 종류의 밑반찬을 즐겼다고 한다.
사이고 다카모리와는 대조적으로 사진을 좋아해서 많은 초상사진이 남아 있다. 푸른 유리로 된 세면 도구를 사용하고, 서양식 방에 머물면서 양복을 입는 등 당시로서는 매우 서구적인 생활을 했다. 오쿠마 시게노부는 오쿠보가 머리숱이 적어 애써 머리카락을 옮겨 가리고 있었다고 회고했다.[38]
5. 가계도
오쿠보 도시미치는 하야사키 마사코(早崎正子)와 결혼하여 4남 1녀를 두었고, 측실과의 사이에서도 4남을 두었다.[72] 그의 후손들은 일본 정계, 재계, 학계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했으며, 특히 차남 마키노 노부아키는 외무대신, 내대신 등을 역임하며 정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다.
부인 | 자녀 |
---|---|
마스코(정실) | |
스기우라 유(오유)(첩) |
오쿠보 도시미치의 손자 오쿠보 토시켄은 일본 근대사가이며, 국립국회도서관 헌정자료실 설립에 기여했다. 또 다른 손자인 오쿠보 토시하루는 마루베니 전무로, 1976년 록히드 사건 당시 뇌물 제공 혐의로 체포·기소되어 유죄 판결을 받았다. 증손자로는 요시다 겐이치(작가), 아소 다로(제92대 내각총리대신) 등이 있다.
6. 대중문화 속의 오쿠보 도시미치
오쿠보 도시미치는 여러 소설, 드라마, 만화 등에서 메이지 유신을 이끈 주요 인물로 등장한다. 그의 냉철하고 카리스마 있는 모습은 대중들에게 강한 인상을 남겼다.[14]
만화/애니메이션 시리즈 《바람의 검심》에서 오쿠보 도시미치는 히무라 켄신에게 시시오 마코토의 반란이라는 위협을 제거하는 데 도움을 요청한다. 켄신은 확신하지 못하고, 오쿠보는 그에게 5월 14일까지 결정을 내릴 기한을 준다. 그날 켄신의 답을 구하러 가던 중, 그는 시시오의 오른팔인 세타 소지로에게 암살당한 것으로 추정되며, 이치로 일족은 그의 시체를 훼손하고 그들이 그를 죽였다고 주장한다. (와츠키는 그의 메모에서 오쿠보를 미국 대통령, 에이브러햄 링컨에 비교한다.)
보리스 아쿠닌의 소설 《다이아몬드 마차》에서 에라스트 판도린은 오쿠보 암살 음모를 조사하지만 암살을 막는 데 실패한다.
참조
[1]
서적
Okubo Toshimichi: The Bismarck of Japan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64
[2]
서적
Modern Japan: A Social and Political History
Routledge
2002
[3]
서적
Machiavelli's Children: Leaders and their Legacy in Italy and Japan
Cornell University Press
2003
[4]
서적
Ōkubo Toshimichi: The Bismarck of Japan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64
[5]
서적
Ōkubo Toshimichi: The Bismarck of Japan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64
[6]
서적
Ōkubo Toshimichi: The Bismarck of Japan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64
[7]
서적
The last phase of the East Asian world order : Korea, Japan, and the Chinese Empire, 1860-1882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80
[8]
서적
Japanese Political History Since the Meiji Renovation
Palgrave
1980
[9]
서적
Ōkubo Toshimichi
[10]
서적
The last phase of the East Asian world order : Korea, Japan, and the Chinese Empire, 1860-1882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80
[11]
서적
The Correspondence of G. E. Morrison 1912–1920
https://books.google[...]
CUP Archive
2013-01-08
[12]
서적
Biographies of Graduates of the Yale Law School, 1824-1899
https://books.google[...]
Morehouse & Taylor Company
2019-04-07
[13]
웹사이트
Genealogy
http://reichsarchiv.[...]
[14]
간행물
The Secret Life of Characters (22) Ōkubo Toshimichi
Viz Media
[15]
웹사이트
日本大百科全書(ニッポニカ)「大久保利通」
https://kotobank.jp/[...]
[16]
서적
伊藤博文
PHP研究所
2004
[17]
서적
日本人の覚悟
実業之日本社
2014
[18]
서적
早わかり幕末維新 ビジュアル図解でわかる時代の流れ!
実業之日本社
2009
[19]
서적
大久保利通
中公新書
[20]
서적
甲東逸話
冨山房
1928
[21]
서적
甲東逸話
冨山房
1928
[22]
서적
甲東逸話
冨山房
1928
[23]
기타
[24]
서적
甲東逸話
冨山房
1928
[25]
서적
甲東逸話
冨山房
1928
[26]
기타
[27]
서적
帝国海運政策論
巌松堂書店
1923
[28]
서적
逓信事業史 第6巻
逓信協会
1941
[29]
서적
“政事家”大久保利通―近代日本の設計者
講談社選書メチエ
2003
[30]
서적
利通暗殺 紀尾井町事件の基礎的研究
行人社
1986
[31]
서적
事典有名人の死亡診断 近代編
吉川弘文館
2010
[32]
기타
[33]
웹사이트
歴史秘話ヒストリア
http://www.nhk.or.jp[...]
2021-07-17
[34]
웹사이트
大隈侯一言一行
https://dl.ndl.go.jp[...]
[35]
웹사이트
大隈伯百話
https://dl.ndl.go.jp[...]
[36]
서적
伊藤侯,井上伯,山県侯元勲談
近代デジタルライブラリー
[37]
서적
牧野伸顕 回顧録
[38]
서적
早稲田清話
[39]
서적
近現代日本を史料で読む
御厨貴編著
[40]
웹사이트
Exslt
https://exslt.org/
2023-08-24
[41]
서적
江藤新平と明治維新
[42]
서적
江藤新平
実業之日本社
1944-09
[43]
서적
実はこんな人
四季社
2002-04-10
[44]
서적
済世遺言
[45]
서적
大久保利通―明治維新と志の政治家
山川出版社
2009
[46]
서적
甲東逸話
[47]
서적
逸事史補
[48]
서적
氷川清話
[49]
서적
早稲田清話
[50]
서적
大隈伯演説座談
近代デジタルライブラリー
[51]
서적
伊藤公直話
[52]
서적
伊藤候井上伯山縣候元勲談
[53]
서적
木戸松菊公逸話
[54]
서적
木戸松菊公逸話
[55]
서적
甲東先生逸話
[56]
서적
甲東逸話
近代デジタルライブラリー
[57]
서적
大久保利通之一生
近代デジタルライブラリー
[58]
서적
園公秘話
[59]
서적
大久保甲東先生
[60]
서적
大久保利通
[61]
서적
牧野伸顕 回顧録
[62]
서적
維新英雄詩人伝
[63]
서적
棋界秘話
[64]
서적
中江兆民全集
[65]
서적
維新雑史考
[66]
웹사이트
実験論語処世談 10. 器ならざりし大久保利通
https://eiichi.shibu[...]
[67]
웹사이트
実験論語処世談 14. 木戸先生と大久保卿
https://eiichi.shibu[...]
[68]
서적
雨夜譚会談話筆記
[69]
서적
生きている歴史
[70]
서적
小野梓全集
[71]
서적
近世偉人百話[正編]
[72]
서적
日本の有名一族―近代エスタブリッシュメントの系図集
幻冬舎新書
[73]
뉴스
故大久保の愛妾男子を出生
https://dl.ndl.go.jp[...]
新聞集成明治編年史編纂会
1940
[74]
웹사이트
植村花菜のルーツは大久保利通!祖母の故郷で知る
http://www.sponichi.[...]
スポニチAnnex
2011-03-1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