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여 (사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유여는 전한 경제의 아들로, 회양왕과 노왕을 역임했다. 그는 오초칠국의 난 이후 노나라로 봉해졌으며, 궁실 건축과 사냥을 즐겼다. 공자의 옛집을 허물다 고문경전을 발견했으며, 원광 6년(기원전 129년)에 사망하여 아들 유광이 뒤를 이었다. 유여의 후손으로는 유표, 유언, 유장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중국의 장애인 - 하후돈
하후돈은 후한 말기부터 삼국시대 위나라의 장군으로, 조조의 사촌이자 그의 거병 때부터 종군하여 많은 공을 세웠으며, 연주 전투에서 왼쪽 눈을 잃어 "애꾸눈 하후"라는 별명을 얻었고, 군사적 능력과 청렴한 성품으로 조조의 신임을 받아 사후 조조의 묘정에 배향되었다. - 중국의 장애인 - 손빈
손빈은 중국 전국 시대 제나라의 군사 전략가로, 손무의 후손이며, 방연의 모함으로 다리가 잘리는 형벌을 받았으나 제나라로 망명하여 계릉 전투와 마릉 전투에서 뛰어난 지략을 발휘, 위나라 군대를 격파하는 데 기여했고 그의 군사 사상은 《손빈병법》에 담겨 중국 병법의 중요한 부분을 차지한다. - 기원전 129년 사망 - 스키피오 아이밀리아누스
스키피오 아이밀리아누스는 로마 공화정 시대의 군인이자 정치가로, 스키피오 가문에 입적되어 제3차 포에니 전쟁과 누만티아 전쟁에서 뛰어난 군사적 재능을 발휘했으며, 감찰관으로 사회 풍기를 바로잡고 티베리우스 그라쿠스의 개혁에 반대하는 등 정치적으로도 활동했다. - 기원전 129년 사망 - 안티오코스 7세 시데테스
안티오코스 7세 시데테스는 형 데메트리오스 2세 니카토르의 뒤를 이어 셀레우코스 제국의 왕이 되었으며, 트리폰을 제거하고 하스몬 왕조 이스라엘을 공격하여 예루살렘을 점령했으나 파르티아 원정 중 사망했다. - 전한 경제의 황자 - 전한 무제
전한의 제7대 황제인 전한 무제는 54년간 재위하며 유교 기반 중앙집권 강화, 흉노 정벌을 통한 영토 확장, 소금과 철의 전매제 등 경제 개혁을 추진하여 전한의 최전성기를 이끌었으나, 과도한 군사 지출, 사치스러운 생활, 무고의 난 등 부정적인 면모도 보였다. - 전한 경제의 황자 - 유승 (중산정왕)
유승은 경제의 아들로 중산국의 초대 왕이며, 오초칠국의 난 이후 제후왕으로 봉해졌고, 영토 삭감 정책에 협조하는 한편 제후왕 탄압 중지를 요청하기도 했으며, 주색을 즐기고 많은 자녀를 두었으며, 그의 묘에서 금루옥의 등의 유물이 출토되었고, 촉한의 유비가 그의 후손이라고 전해진다.
유여 (사람) | |
---|---|
기본 정보 | |
![]() | |
신분 | |
작위 | 회양왕(淮陽王) (초기) , 노왕(魯王) (이후) |
봉지 | 회양, 노 |
왕조 | 한나라 |
생애 | |
출생 | 알 수 없음 |
사망 | 기원전 128년 |
아버지 | 한경제 |
어머니 | 성희 (程姬) |
재위 | |
회양왕 | 기원전 155년 ~ 기원전 154년 |
노왕 | 기원전 154년 ~ 기원전 128년 |
기타 | |
시대 | 중국 한나라 |
2. 생애
경제 전2년 회양나라의 왕으로 봉해졌다가, 이듬해 오초칠국의 난이 진압된 후 노나라로 옮겨 봉해졌다. 유여는 궁실과 원유(苑囿)를 짓고 개와 말을 기르는 것을 좋아했으며, 말년에는 음악을 좋아했다. 말더듬이라 말을 잘 하지 못했다.[7][8] 사냥을 즐겼고, 백성의 재물을 함부로 빼앗았다가 재상 전숙의 지적으로 배상하기도 했다.[6]
궁실을 넓히려고 공자의 옛 집을 허물다가 벽 안에서 고문경전을 발견했다.[7]
원광 6년(기원전 129년)에 죽었고, 공왕(恭王)이라는 시호를 받았다.[3][4] 아들 유광이 왕위를 계승했다.[7][8]
2. 1. 초기 생애와 즉위
경제 전2년(기원전 155년)에 회양나라의 왕으로 봉해졌다가, 이듬해 오초칠국의 난이 진압된 후 반란의 주역인 초나라의 영토를 분할하여 만들어진 노나라로 옮겨 봉해졌다.[7][8] 노공왕은 궁실과 원유(苑囿)를 짓고 개와 말을 키우는 것을 좋아했으며, 말년에는 음악을 좋아했다. 말더듬이였다.[7][8]2. 2. 통치와 성향
유여는 궁실과 원유(苑囿)를 짓고 개와 말을 기르는 것을 좋아했으며, 말년에는 음악을 좋아했다. 말더듬이였다.[7][8] 사냥 다니는 것도 좋아했고, 백성의 재물을 함부로 빼앗았다가 재상 전숙의 지적으로 배상한 적이 있었다.[6]2. 3. 고문경전 발견
유여는 자기 궁실을 넓히고자 공자의 옛 집을 허물다가 벽 안에서 고문경전을 발견했다.[7]2. 4. 사망
원광 6년(기원전 129년)에 죽어 아들 유광이 뒤를 이었다.[7][8] 시호는 공왕(恭王)이다.[3][4]3. 가계
劉餘|유여중국어는 전한 경제와 정희(程姬) 사이에서 태어났다. 아들로는 노안왕 유광이 있었으며, 그 밑으로 광척절후 유장(廣戚節侯 劉將), 영양절후 유염(領陽節侯 劉恬), 하구절후 유정(瑕丘節侯 劉定), 공구이후 유순(公丘夷侯 劉順), 욱랑후 유교(郁 Lang 侯 劉交), 서창후 유경(西昌侯 劉敬)이 있었다.[2]
광척절후는 원삭 원년(기원전 128년) 10월 정유일에, 영양정후 이하는 원삭 3년(기원전 126년) 3월 을묘일에 봉해졌다.[2]
劉餘|유여중국어의 후손으로는 삼국 시대의 군벌 유표와 유언, 유표의 아들 유기와 유총, 그리고 유언의 아들 유장이 있다.[2]
4. 후손
후한 말의 군벌 유표의 조상은 욱랑후 유교이다.[2] 유여의 후손으로는 삼국 시대의 군벌 유표와 유언, 유표의 아들 유기와 유총, 그리고 유언의 아들 유장이 있다.[2]
참조
[1]
설명
[2]
서적
A Biographical Dictionary of Later Han to the Three Kingdoms 23-220 AD
Brill
2007
[3]
서적
『史記』五宗世家
[4]
서적
『漢書』王子侯表、『[[後漢書]]』劉表伝
[5]
서적
[[高島俊男]]著『三国志きらめく群像』276頁によると、劉焉は[[後漢]]の[[章帝 (漢)|章帝]]の皇子であった平春悼王の[[劉全]]の末裔だと推測されている。平春は[[江夏郡]]の地名である。
[6]
서적
《사기》 권104 전숙열전제44
https://zh.wikisourc[...]
[7]
서적
《[[한서]]》 권53 경십삼왕전제23
https://zh.wikisourc[...]
[8]
서적
《[[사기 (역사서)|사기]]》 권59 오종세가제29
https://zh.wikisourc[...]
[9]
설명
[10]
설명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