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연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유연어는 이중모음이 없고, 단어 초두에 'l'이 올 수 있으며, 단어 말미에 '-nd' 자음군이 나타나는 특징을 지닌다. 여성형 접미사 '-tu-'가 존재하며, '쥐', '황소', '용', '말' 등을 포함한 다양한 어휘를 갖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유연어 | |
---|---|
언어 정보 | |
이름 | 유연어/연연어 |
원어명 | Ruan-ruan |
다른 이름 | 柔然語 (중국어) 蠕蠕語 (중국어) |
사용 지역 | 몽골 중국 북부 |
사용 국가 | 유연 카간국 |
시대 | 4세기 ~ 6세기 |
어족 | 미분류 언어, 추정상 몽골어족 또는 고립어 |
문자 | 불명 |
ISO 639-3 | 없음 |
Glottolog | 없음 |
2. 음운론
(내용 없음)
2. 1. 특징
유연어의 주요 특징은 다음과 같다.[14][2]- 중설 모음이 없다.
- 단어 첫머리(어두)에 자음 'l-'이 올 수 있다.
- 단어 끝(어말)에 자음군 '-nd'가 올 수 있으며, 이는 다른 알타이어족 언어에서는 흔하지 않은 특징이다.
3. 어형론
(내용 없음)
3. 1. 여성형 접미사
유연어에는 여성형을 나타내는 접미사 '-tu-'가 있다.[14][2]4. 어휘
유연어의 어휘는 고유 어휘와 함께 튀르크어족 및 중국어 등 주변 언어에서 들어온 차용어로 구성되어 있다.[14][11][2][1] 특히 고대 튀르크어나 중고한어에서 유래한 것으로 보이는 단어들이 확인된다.[16][5] 예를 들어 '용'을 뜻하는 ''luu''는 중고한어 ''luŋ''에서, '말'을 뜻하는 ''yund''는 고대 튀르크어 ''yunt''에서 비롯된 것으로 추정된다.[14][11][16][5] 또한 '맹세'를 뜻하는 ''and'', '힘'을 뜻하는 ''küǰü'' 등도 고대 튀르크어와의 관련성을 보여준다.[14][11][2][1] 로란(누란) 지역에서 발견된 기록에 나타난 어휘 역시 유연어 어휘와 상당 부분 일치하는 모습을 보인다.[2][1]
4. 1. 차용어
유연어에는 튀르크어족 및 중국어에서 온 것으로 보이는 여러 차용어가 존재한다. 주요 차용어 목록은 다음과 같다.
4. 2. 고유어
wikitext단어 | 의미 | 어원 및 비고 |
---|---|---|
küskü | 쥐 | [14][11][2][1] |
ud | 황소 | [14][11][2][1] |
luu | 용 | 중고한어 龍|luŋltc 용[14][11][2][1] |
yund | 말 | 고대 튀르크어 𐰖𐰆𐰣𐱃|yuntotk 말[16][14][11][5][2][1] |
laγzïn | 돼지 | [14][11][2][1] |
qaγan | 카간(qagan), 가한(可汗), 황제 | [14][11][2][1] |
qan | 칸(khan) | [14][11][2][1] |
qaγatun | 카가툰(qagatun), 황후 | [14][11][2][1] |
qatun | 카툰/하툰(khatun), 칸의 아내 | [14][11][2][1] |
aq | 똥 | [14][11][2][1] |
and | 맹세 | 고대 튀르크어 𐰦|antotk 맹세[14][11][2][1] |
beg | 노인장, 연장자 | [14][11][2][1] |
bitig | 비문, 책 | 고대 튀르크어 𐰋𐰃𐱅𐰏|bitigotk 비문, 책[14][11][2][1] |
bod | 사람들 | 고대 튀르크어 𐰉𐰆𐰑|bodotk 씨족, 부족, 친족[14][11][2][1] |
drö | 법 | [14][11][2][1] |
küǰü | 강함, 힘 | 고대 튀르크어 𐰚𐰇𐰲|küčotk 강함, 힘, 권력[14][11][2][1] |
ordu | 군영, 야영지 | [14][11][2][1] |
tal- | 약탈하다 | [14][11][2][1] |
törö- | 태어나다 | [14][11][2][1] |
türǖg | 튀르크인 | [14][11][2][1] |
참조
[1]
논문
A Sketch of the Earliest Mongolic Language: the Brāhmī Bugut and Khüis Tolgoi Inscriptions
https://www.academia[...]
[2]
논문
Once Again on the Ruanruan Language
https://www.academia[...]
2010-12-03
[3]
논문
Some Early Inner Asian Terms Related to the Imperial Family and the Comitatus
https://repository.u[...]
Harrassowitz Verlag
[4]
논문
Some thoughts on the origins of the old Turkic 12-year animal cycle
https://www.academia[...]
[5]
서적
yunt
Clarendon Press
1972
[6]
논문
A Sketch of the Earliest Mongolic Language: the Brāhmī Bugut and Khüis Tolgoi Inscriptions
https://www.academia[...]
[7]
논문
Some thoughts on the origins of the old Turkic 12-year animal cycle
https://www.academia[...]
[8]
논문
Once Again on the Ruanruan Language
https://www.academia[...]
2010-12-03
[9]
논문
Some Early Inner Asian Terms Related to the Imperial Family and the Comitatus
https://repository.u[...]
Harrassowitz Verlag
[10]
서적
Hammer and Anvil: Nomad Rulers at the Forge of the Modern World
2019
[11]
논문
A Sketch of the Earliest Mongolic Language: the Brāhmī Bugut and Khüis Tolgoi Inscriptions
https://www.academia[...]
[12]
논문
Some Early Inner Asian Terms Related to the Imperial Family and the Comitatus
https://repository.u[...]
Harrassowitz Verlag
[13]
논문
Some thoughts on the origins of the old Turkic 12-year animal cycle
https://www.academia[...]
[14]
논문
Once Again on the Ruanruan Language
https://www.academia[...]
2010-12-03
[15]
서적
Hammer and Anvil: Nomad Rulers at the Forge of the Modern World
https://archive.org/[...]
2019
[16]
서적
yunt
Clarendon Press
197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